인문학 6 Flashcards
물론 이성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현대사회의 비판자들이 있다.15 그들은 인간의 본성과 같은 것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는 어떤 삶의 방식이 옳고 그른 것인지, 어떤 방식들이 다른 것들보다 더 뛰어나고 좋은지 제시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이런 관점은 ??의 철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현대의 주관주의자들은 ??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불안한 현대사회 | 찰스 테일러, 송영배 저
아리스토텔레스
???에 호소하면서 자신을 넘어서는 것은 무엇이건 무시하는 태도가 있다. 예를 들어 과거의 전통을 자신과 무관하다고 해서 배격해버리거나, 시민사회의 요구, 연대 활동의 의무, 자연환경 보존의 필요성을 거부하는 태도가 바로 그것이다.
불안한 현대사회 | 찰스 테일러, 송영배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31406
자기 진실성
??의 윤리는 비교적 새로운 것으로 현대의 문화에만 고유한 것이다. 그것은 18세기 말에 생겨났으며, 개인주의의 초기 형태에 바탕을 두고 있다.
불안한 현대사회 | 찰스 테일러, 송영배 저
자기 진실성
??은 실험이 단순한 사건의 관찰이 아니라 해석이 포함된 것이라 했다. 고로 실험은 특정 가설만을 반박할 수 없고, 전반적인 체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문제되는 가설만을 추려내서 배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피에르 뒤앙 (뒤엠)
다시 말해, 어떠한 실험도 가설을 반증하는데 결정적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물리학의 목표가 간결하고 논리적인 추상적 시스템을 통해 자연세계를 형용하는 것이지, 그것을 설명하기 위한 법칙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1883년에 ??은 이를 현대 생활에 적용했다. “똘똘 뭉친 부족은 이긴다. 그리고 그들은 가장 순하다. 문명의 시작은 군사적 이득을 주기 때문에 문명화가 시작된다.”8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정치철학자이자 수필가였던 월터 배젓
예를 들어 언어 기능(기억과 사회 행동을 포함하여)에 관여하는 뇌의 ???은 호모 사피엔스가 네안데르탈인보다 비교적 더 크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측두엽
???과 함께, 지배적인 공격자가 된 집단의 일원을 배제하거나 배척하는 집단 구성원들이 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 그러한 연합은 지나치게 공격적인 남성들을 제거하는 방향으로의 인간 선택을 가능하게 했다. 그 결과로 인간은 두개골이 더 우미優美해졌고, 유형 진화를 했으며, 더 참을성이 있는 종으로, 즉 자기 길들이기되는 방향으로 계속 변해 왔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언어의 개선
함께 음모를 꾸미는 능력은 심리학자 마이클 토마셀로가 말하는 “??”의 한 예로, 공모자들이 서로의 심리 상태를 공유하는 협동적 상호 작용이라고 정의된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의도의 공유
듀이는 스스로 ???로 여기지 않아
문화적 다원주의자
그는 오히려 전체 강조
강제는 자연적이며 자유는 인위적이다
어디?
메타피지컬 클럽 책에 나온 구절
자유는 사회적으로 설계된 영역
그 영역 안에서 보호받는다
한 사람의 자유는 늘 다른 사람을 구속한다
강제는 자연적이며 자유는 인위적이다
어디?
메타피지컬 클럽 책에 나온 구절
자유는 사회적으로 설계된 영역
그 영역 안에서 보호받는다
한 사람의 자유는 늘 다른 사람을 구속한다
올리버 웬델 홈스. 생각한다는 것은 사회적 행위이다. 어떤 개인도 혼자서 옳은 생각을 할 수 없다.
생각들의 시장 -
듀이의 가장 방대한 철학서
경험과 자연
홈스 제임스 퍼스 듀이 사상의 근본가치
관용
애초에 미국인들이 종교적 자유 찾아온 사람들
프래그머티스트들은 ??가 좋은 결과를 낳기 위한 더 나은 기회를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에 더 큰 사회적 여지가 생기기를 바랬다 564
오류
????는 프래그머티스트도 상대주의자도 다윈주의자도 아니었다. 그에게 영향 준 사람은 라인홀트 니부어와 마하트마 간디. 실용주의자였다면 그런 업적을 이룰 수 있었을까?
마틴 루터 킹 쥬니어
톨스토이는 새로운 확신에 기초해 ???가 되었고, 교회의 권위를 부정하게 되었다. 그는 정신적 위기를 체험한 뒤 도덕적인 목적을 지닌 이야기들을 많이 썼다
톨스토이 고백록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박문재 저
그리스도교적 무정부주의자
“나는 전례가 없었고, 앞으로도 그 성취를 모방할 사람이 전혀 없을 작업을 시작하려 한다. 나는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한 사람을 완전히 자연 그대로 보여주려고 한다. 그 사람은 바로 내가 될 것이다.” 누구?
나는 이렇게 루소가 되었다 | 장 자크 루소 저
우리는 생각하기 전에 느낀다. 그것은 인간의 공통조건이다.
나는 이렇게 루소가 되었다 | 장 자크 루소 저
그리스 신화에서 황금사과를 지키던 100개의 눈이 달린 용 ??에 비유했다
나는 이렇게 루소가 되었다 | 장 자크 루소 저
라돈Ladon
묘한 것은 이 체벌이 그것을 가한 여인에게 훨씬 더 애정을 느끼도록 만들었다는 사실이다
나는 이렇게 루소가 되었다 | 장 자크 루소 저
오만한 애인에게 무릎을 꿇고 그녀의 명령에 복종하거나 용서를 구하는 것이 나에게는 너무도 달콤한 즐거움이었다.
나는 이렇게 루소가 되었다 | 장 자크 루소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34002357
길들이기는 사회화의 창을 넓힌다. 트루트와 그녀의 동료들은 은여우의 공포 반응이 선택되지 않은 계통의 경우 생후 45일에 나타났지만 낮은 감정적 반응으로 선택된 계통의 경우 생후 120일로 지연된 것을 발견했다. 그 효과는 ??인 것이다. 선택된 여우는 선택되지 않은 여우보다 유년기의 특성이 늦게 끝난다.
유형 진화
“Facts are the enemy of truth!” 어디?
브로드웨이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
Reality becomes what I feel. From this, it is a small step to the identity politics and the ethics of “If it feels good, it’s OK.”
For example, when we read James Joyce’s Ulysses we decode it as a modernist literary experiment or as a response to the epic tradition, or as part of some other conversation, or as part of many conversations at once. This intertextual view of literature, as shown by Roland Barthes, supports the concept that the meaning of a text does not reside in the text, but is produced by the reader in relation both to the text in question and the complex network of texts evoked by the reading process. 누구?
줄리아 크리스테바
intertext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