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12 Flashcards

1
Q

철학자 ????가 일깨우고 있는 바처럼,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그 누구도 자신의 정체성을 묻는 질문에 인종, 성별, 계급, 국적, 종교, 지역 따위를 언급하는 법이 없었다.[1]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41636

A

철학자 콰메 앤서니 아피아Kwame Anthony Appiah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정체성 정치에서는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A

민족적ethnic 정체성과 성gender 정체성 두 가지를 중요시하도록 고집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불사를 원하면 형태를 부정하라
형태를 가진 것은 모두 죽음을 피할 수 없다
형태 너머에 형태가 없는 자들, 불사의 존재가 있다

A

듄 4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8세기 말부터 미국 뉴욕시 행정은 ‘???이라는 민주당의 한 파벌이 주도했다. 자선을 목적으로 출발해 특히 아일랜드에서 새롭게 도착한 이민의 자립을 도왔던 이 조직이 그 목적에만 충실했다면 아직도 존경을 받으며 존속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정치적 사조직으로 변질한 태머니 홀은 부패와 타락의 온상으로 전락해 오명을 남기고 역사에서 사라졌다.

A

태머니 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은 칼 세이건이 집필한 책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The Demon-Haunted World)[1]≫에 등장하는 비유다.

A

내 차고 안의 용(The dragon in my garag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그리스 불과 화로의 여신

A

베스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멘델스존이 유명세를 타자, 그의 아버지 아브라함 멘델스존은 “나는 저명한 아버지의 아들이었지만 이제는 저명한 아들의 아버지가 되었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아브라함의 저명한 아버지가

A

바로 계몽주의 철학자로 유명한 모세(모제스) 멘델스존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나는 정의란 것이 더 강한자의 이득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라고 단언한다.
― 플라톤, 『국가』 1권 338c

누구의 말?

A

트라시마코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정말로 양치기와 목동들이 그들의 양과 소들을 위해서 행동한다고 생각하는가. 그들이 노예의 소유자들과 그들 자신이 아닌 그 너머의 무언가를 위해 가축들을 살찌우고 돌봐준다고 생각하는가. 도시의 지도자들도 마찬가지다. 정말로 그들이 국민을 보는 시각이 우리가 양떼를 보는 시각과 다르며, 그들이 자신들에게 가장 큰 이익이 가는 일들만이 아닌 그 너머의 무언가를 생각하느라 낮과 밤을 지새운다고 생각하는가.”

A

트라시마코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그게 소크라테스만의 지혜지. 아무도 가르치기 싫어하면서, 감사의 말 하나조차도 없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모두에게 배우는 거.” [11]

A

트라시마코스
(소크라테스는 이 말에 니 말이 맞다고 답하며 웃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모든 지식은 불의不義에 기반한다는 점(즉 인식 활동에 있어서조차 진리 혹은 진리의 기초에 대한 권리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지식을 원하는 본능은 악의적인 것이라는 점(즉 인류의 행복과는 반대되는 살인적인 것이라는 점).[4]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41636

A

미셸 푸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권력은 한마디로 전쟁과 같은 지배 형태가 아닌가? 따라서 권력에 관한 모든 문제는 전쟁 관계를 기준으로 생각해야 하지 않는가? 권력이란 그저 특수한 시점에 평화와 국가라는 형태를 취할 뿐, 사실은 일반화된 전쟁의 하나로 보아야 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평화란 일종의 전쟁이며, 국가란 전쟁을 수행하는 수단인 것이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A

미셸 푸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미국의 철학자이자 젠더 이론가. 포스트 모더니즘, 비판 이론, 정치철학, 윤리학, 페미니즘, 퀴어 이론 및 문학 이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퀴어 이론의 창시자 격으로 여겨진다

A

주디스 버틀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버틀러의 핵심 개념은 ‘.

A

젠더는 어떤 사람이 행하는 바에 따라 결정된다’는 수행성(Performativity)이다. 초기작인 『젠더 트러블』에서는 수행(Performance)으로 쓰던 것을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에서부터는 수행성(Performativity)이라는 용어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3] 버틀러를 유명하게 만든 개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세계에서 발생 한 모든 사실은 그것이 그렇게 발생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하는 원리 이다.

A

라이프니츠의 충족이유율
(하지만 고대 그리스에도 있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보편적 인류 개념을 거부하고 또 권력과 정의를 구별하기도 거부했으며, 여기에 진보라는 개념 자체에 깊은 의구심을 품는 태도가 더해진다. 오늘날 진보 사상가들이 두 사람 모두에 끌리는 이유는 이들이 공통으로 자유주의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고 있으며 또 자유주의의 여러 위선을 폭로하는 데 열성적이라는 점에 있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41636

A

푸코와 카를 슈미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저는 일단 존재한다는 것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염두에 두고, 어떻게 해야 우리가 법칙이 존재한다는 말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봤습니다. 이에 대해서, 스티븐 와인버그(Steven Weinberg)라는 물리학자가 아주 좋은 말을 해놓았습니다.

과학은 논쟁이다 | 이강영, 홍성욱, 김상욱, 이중원, 김범준, 이상욱, 송기원, 장대익, 이명현, 재단법인 카오스 저

A

스티븐 와인버그는 “나와 법칙의 관계는 나와 의자와의 관계와 같다”고 했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다 의자에 앉아 계시죠? 의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여러분은 어떻게 알죠? 이렇게 바꿔 말해보겠습니다. 의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여러분은 어떻게 될까요? 뒤로 넘어지게 될 겁니다. 그러면 법칙이 존재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지금 그 법칙에 의해서 우리가 예언했던 일들이 일어나지 않게 될 겁니다.

과학은 논쟁이다 | 이강영, 홍성욱, 김상욱, 이중원, 김범준, 이상욱, 송기원, 장대익, 이명현, 재단법인 카오스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73004376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근대 이전에는 인간 본성에 대한 이런저런 사변이 넘쳐났던 바 있었지만, 우리가 인간 본성의 본질에 접근하는 일은 절대로 불가능하다고 말한 사람은 ??가 처음이었다. 우리가 하는 짓은 우리의 현재 상태 그리고 우리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가져다가 우리가 가볼 수도 없는 선사시대 사람들의 것인 양 읽어들이는 것이라는 게 그의 지적이었다. 이렇게 되면 인간의 본성을 이루는 골격이 모두 불에 타 없어지고 오로지 남는 것은 재와 뼛조각뿐이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A

루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나는 ‘이빨과 손톱이 피로 물든 자연’이라는 테니슨의 시구절이야말로 자연 선택에 대한 우리의 근대적 이해를 훌륭하게 요약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A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말이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41636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에드워드 윌슨의 주장에 따르면 진정으로 물어야 할 질문은 ‘

A

오히려 우리가 어떻게 협동하는 법을 배우게 되었는가’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인류학자 클리포드 기어츠의 대표 저서

A

문화의 해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이 말한 껍데기 이론Veneer Theory, 즉 “우리의 일부는 자연이고, 일부는 문화이며, 잘 통합된 전체가 아니다. 인간의 도덕이란 얇게 덮인 껍질일 뿐이며 그 밑에서는 반사회적이고, 초도덕적이며, 이기적인 정념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라는 주장까지 신봉할 이유는 없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41636

A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Frans de Waa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was a region in the north-east of Eriador, lying between the Ettenmoors, the Weather Hills, and the Misty Mountains. The land between the rivers Loudwater and Hoarwell, forming the the Angle, where the Trollshaws were located,[1] was also a part of ???

A

Rhudau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 are the indigenous Mannish peoples of Middle-earth, in contrast to the Dúnedain who drew their heritage from Númenor.

A

Pre-Númenóreans
남쪽의 던랜드와 달리 두네다인에 우호적
왜냐하면 분노의 전쟁 후 루다우르와 앙마르에 어둠의 세력이 모이면서 괴롭힘을 많이 당해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 was the Númenórean language, spoken by the Men of Númenor during the Second Age.

A

Adûnaic (“Language of the West”), or the native name Adûnayâ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Baranduin (브랜디와인) 강 어귀 남쪽, Minhiriath 에서 대해 로 뻗어 있는

A

Eryn Vor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When the Elendili established the Realms in Exile many Men turned from evil and became subject to them; the King of the Mountains first swore allegiance to Gondor.
여기서 산의 왕들이란?

A

죽은 자들의 왕 (맹세를 어긴 자 Oathbreake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s, also known as the Dead Men of Dunharrow, were a Pre-Númenórean people, originally settling in the White Mountains who were cursed by Isildur to not find rest until they fulfilled their oath of allegiance to Isildur and to fight against Sauron.

A

The Oathbreaker
그들의 원래 이름은 Men of Mountain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First Age
During these migrations, many Men wandered or settled the empty lands between the Iron Hills, the Greenwood, and the Inland Sea.[9]Those Men of Rhovanion settled near the lands of the ??.

A

Longbeards 두린 가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 was a relatively peaceful 4-century period during the Third Age, from T.A. 2063, when Sauron, then known as “the Necromancer”, fled from Dol Guldur to hide himself from the Wise until his return in 2460.

A

The Watchful Peac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The Nazgûl gathered back in Mordor to prepare for Sauron’s return;[3] they subsequently captured Minas Ithil in T.A. ??,

A

2002

The Dwarves of Khazad-dûm also suffered a major loss with the awakening of a Balrog and the subsequent evacuation of Khazad-dûm, which caused many Galadhrim to seek to leave Middle-earth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and Gondor suffered the end of the line of the Kings of Gondor with the loss of Eärnur in T.A. ??.

A

2050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By T.A.?? the shadow of Dol Guldur grew so much that the Wise realised that Sauron was returning there.

A
  1. But Sauron’s plans were to change; in T.A. 2063 Gandalf went there to investigate; the “Necromancer” fled to the East.[2]

During his absence, the Nazgûl remained quiet in Minas Morgul.[2] The Shadow on Mirkwood had lessened, but the Nazgûl had used this period to prepare for Sauron’s return, who, in the meantime, was corrupting the Men of the Eas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4
Q

에오세오드의 기원

A

Marhwini, son of Marhari, led one such band of refugees north between the eastern bank of the Anduin and the western eaves of Mirkwood. Along the way they were joined by additional fugitives who had fled through the forest. They ended their journey in the Vales of Anduin between the Carrock and the Gladden Fields, where they settled for the most part on the west side of the river. There they became known as the Éothéo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5
Q

에오세오드
These migrations happened outside the knowledge of Gondor, who learned about their existence many years later. That was until around ??, when Marhwini warned Calimehtar that the Wainriders were plotting to raid Calenardhon over the Undeeps. But the enslaved Northmen also prepared a revolt against the Wainriders. Calimehtar therefore provoked the Wainriders out of Ithilien, and his horsemen, joined by a large Éored led by Marhwini, drove the Wainriders back. Meanwhile outlaws and roused slaves from Mirkwood burned many Wainriders settlements.

A

1899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6
Q

In T.A. ??? Gondor granted Calenardhon passed to the Eotheod who came from Rhovanion and the wild hillmen and herd-folk who the Dunlendings viewed as competitors and usurpers.

A

2510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7
Q

In some places, the two peoples mingled in some peaceful circumstances; and the dark-haired Landlord Freca from the lands near ?? had Dunlendish blood.[10]

A

Ador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8
Q

Lord Freca held lands at either side of the ? river around T.A. 2758.[4]

A

Ador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9
Q

?? was an arrow used by Gondor as a symbol to summon its allies from Rohan in times of war.[1]

A

The Red Arrow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0
Q

In 2510 the Balchoth crossed Anduin on numerous fords, passing into the ?? in the north of the Gondorian province of Calenardhon. They met little resistance as Calenardhon had been mostly abandoned long before, and by the time the Northern Army of Gondor appeared from the fortresses of Isengard, Aglarond and other fortresses in the White Mountains the bulk of the Balchoth army had crossed.

A

Wol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1
Q

“악마가 존재하는 것도 다 신의 섭리”라는 ???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A

신정론 theodicy

42
Q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악한 존재는 아니다. 인간이 사악해지는 것은 병에 걸리는 것과 같다”고 그는 《철학 사전》에서 말한 바 있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43
Q

??가 진보를 하나의 가능성으로 희망했던 근거는 인간 본성에 대한 그의 보다 근본적인 혜안이었다. “우리의 본성이 우리가 어떤 모습이 되도록 허용하는지에 대해 우리는 알지 못한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44
Q

??는 진화심리학의 비판자들이 최근에 내놓은 명제들을 이미 오래전에 선취한 바 있다. 즉 우리는 가장 초기의 인류 상태가 어떠했는지를 알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45
Q

루소의 철학적 명제를 검증하려 한 가장 세련된 인류학자였던 ??는 루소가 말하는 자연 상태의 사람들과 닮은 부족을 찾아보겠다는 희망으로 아마존 지대를 돌아다녔지만, 경험적 방법으로는 확실하게 이를 검증할 수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41636

A

클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

46
Q

루소의 주장을 ??가 더욱 확장하여 말한 바 있듯이, 우리는 희망 없이는 도덕적으로 행동할 수 없다.[15] 좀 더 명확히 말하면, 희망은 낙관주의가 아니라는 것이다

47
Q

나는 ??? 등을 따라 희망은 인식론의 문제가 아니라 도덕적 입장의 문제임을 시사했다. 그런데 많은 철학자들은 그 반대의 입장을 취해왔다. 스토아학파는 진정한 만족을 원한다면 희망과 욕망에 제한을 가하라고 충고했다. 니체는 판도라 상자에 들어 있던 모든 나쁜 것 중에서도 최악이야말로 희망이라고 말했다. 희망을 품게 되면 영원토록 고문을 당할 게 확실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만약 당신이 찾고자 하는 게 오직 마음의 평안뿐이라면, 이들의 말이 옳을 것이다. 그리고 정말 그게 당신이 원하는 것이라면, 어떤 철학자가 와서 무슨 말을 한다고 해도 당신은 절대로 그 확신을 뒤집지 않을 것이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A

루소, 칸트, 노엄 촘스키

48
Q

최근 작고한 ???은 세계적인 마르크스주의 유전학자로, 유전자가 인간 행위를 모두 결정한다고 보는 사회생물학을 논파하고, 사회주의적 생물학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유명해졌다.

A

리처드 르원틴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

49
Q

리처드 르원틴의 책들

A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
3중 나선
변증법적 생물학자

50
Q

The WHO의 혁명에 안 속는더는 노래

A

Won’t get fooled again

51
Q

캄브리아기 대폭발: 고생대 초, 약 ?? 전에 다양한 동물 화석이 갑작스럽게 출현한 지질학적 사건이다. 동물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에서도 유사한 다양화가 나타났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A

5억 4천만 년

52
Q

연구원 캐럴 후븐Carol Hooven이 우간다 서부 카냐와라에서 관찰한 결과, 이런 괴롭힘은 8분 동안 지속되었는데, 수컷은 암컷을 손으로 패거나 주먹으로 때리거나 발로 차지 않을 때는 막대기를 쥐고 간헐적으로 때렸다. 이런 공격에서 수컷이 목표로 하는 것은 자기가 선택한 암컷이 미래에 자신의 성욕에 쉽게 응할 수 있도록 협박하는 것이다. 무슨 동물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53
Q

초기 발달 단계에서 예상보다 이른 일부 성년의 특성을 나타내는 진화의 형식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950000322

A

과형 진화:

54
Q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는 에오스로부터 영성을 얻지만 영원한 젊음을 받지 못한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950000322

A

티토노스

55
Q

???화는 지질脂質인 ???이 뉴런을 코팅하여 신경 자극이 더 빨리 지나가도록 만드는 과정이다(그 결과 뉴런은 백질을 만든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950000322

A

미엘린

미엘린화의 단점은 미엘린으로 덮인 세포는 더 이상 자라지 못하고 새로운 시냅스를 연결하는 능력을 상실한다는 것이다. 침팬지의 경우, 미엘린화는 열 살 때 끝나는 반면, 인간은 서른 살까지 지속된다.27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950000322

56
Q

세라 허디는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컷은 권력을 잡으면 자기 자식을 늘리기 위해 모든 유아를 죽이고 암컷의 배란을 촉진시킨다고 밝혔다. 암컷은 자기 자식을 지키기 위해 되도록 많은 수의 수컷과 교미함으로써 수컷이 친자식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지 못하게 만든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950000322

A

랑구르 원숭이

57
Q

인류학자 토마스 한센Thomas Hansen과 핀 스테푸타트Finn Stepputat에 따르면, 실제 주권은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950000322

A

무사히 처형하고, 처벌하고, 훈육

“주권력60은 삶과 죽음을 결정하는 능력과 의지, 공공연한 적 또는 위험 인물에게 과도한 폭력을 가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쓰고 있다.6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58
Q

1954년 ??은 법의 기능에 대한 조사에서 같은 결론을 내렸다. “원시적인 사회에서나 문명화된 사회 어디서든 법의 진정으로 필수 불가결한 조건은 사회적으로 공인된 대리인에 의해 신체적인 강제력을 합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6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950000322

A

애덤슨 호벨

59
Q

• “법의 생명은 논리가 아니라 경험이다.“라는 유명한 말로 법적 현실주의를 요약했습니다.
• 법의 본질은 법관이 실제로 판결을 내릴 때의 예측 가능성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A

올리버 웬델 홈즈

60
Q

법적 현실주의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킨 학자로, 법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적 성격을 가진다고 강조했습니다.

A

칼 르웰린

61
Q

• 법적 결정은 불확실성과 주관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고 주장했습니다.
• 특히 법관의 심리적 요소와 법정 상황이 판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봤습니다.

A

제롬 프랭크

62
Q

???는 법과 도덕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법실증주의적 시각을 지지했습니다.
• 그는 법이 반드시 도덕적이어야 한다고 보지 않았으며, 법은 사회적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도덕은 법을 평가할 기준이 될 수 있지만, 법 그 자체와는 별개의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A

올리버 웬델 홈스

63
Q

영국의 정치가 ???는 1770년에 “악한 사람들이 모이면, 선한 사람들은 뭉쳐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선한 사람은 하나씩 죽을 것이다.”

한없이 사악하고 더없이 관대한 | 리처드 랭엄 저

A

에드먼드 버크Edmand Burke

64
Q

??은 전쟁을 자연적인 것으로 보는 데서 오는 예상되는 냉담함에 대해 똑같이 결정론적인 설명을 했다. 그는 파멸 의식이 위로라고 주장했다. 2

A

프롬은 『인간 파괴성의 해부The Anatomy of Human Destructiveness』에서 “어떤 이론이 파괴의 과정을 바꾸는 것에 대해 겁을 먹고 무력하게 느끼는 사람들에게 폭력은 우리의 동물성, 즉 공격에 대한 제어할 수 없는 추진력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확신시키는 이론보다 더 환영받을 만한 것이 있을까?”라고 물었다.9 그런 감정은 루소주의자들에게 만연하다. 그들은 이상해 보인다. 전쟁을 자연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왜 “전쟁을 방치하거나 줄이거나 폐지하려는 노력이 별 의미가 없다”는 것을 의미해야 하는가?

65
Q

???은 도파민 시스템과 연결되어 보상 처리와 동기 부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특히, 보상 기대와 행동 선택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여 결정적 행동을 유도합니다.
• 예: 특정 행동이 보상을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을 때, 그 행동을 강화하는 데 기여.

66
Q

???? 조약은 1928년 8월에 체결된, 전쟁이 아닌 평화적 수단을 국제분쟁의 해결수단으로 채택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조약이다

A

켈로그-브리앙

67
Q

국가 사이의 관계에서 국가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국제법의 핵심 규칙들이 15세기와 16세기 내내 발전 되어왔다. 그런 국제법 규칙들의 완성은 1648년에 이루어졌다. 베스트팔렌 조약은 종교전쟁에 종지부를 찍고, 영토국가를 근대 국가체제의 초석으로 놓았다.

A

베스트팔렌 조약

1648년은 교회와 국가를 구분하는 확실한 지점은 아니지만 서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변동을 상징한다. 이 조약의 영향으로 민족과 종교, 문화적 구별이 뒤섞인 전근대적 국가관이 허물어지고 외교 주권을 가진 ‘국민국가(國民國家, nation state)’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다. 또 이 조약으로 신성 로마 제국에서 일어난 30년 전쟁과 네덜란드 독립 전쟁이 종결되었다이 외에도 조약을 통해 ‘종교의 자유’를 법적으로 보장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으며, 교황이 황제 위에 군림하던 중세적 질서를 그 틀까지 완벽하게 끝장낸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는 19세기에 이르러 일반 민중의 생활규범이 종교적 교리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는 세속화를 달성하는 데까지 이른다. .

68
Q

Learning from the Germans: Race and the Memory of Evil 저자는?

A

수잔 네이먼

69
Q

???의 참으로 혜안이 있는 말이다. “도덕적인 변화란 아마 다른 무엇보다도, 사람들이 어떤 종류의 것들을 부끄럽게 여기는지의 변화일 것이다

워크는 좌파가 아니다 | 수전 니먼, 홍기빈 저

A

메리 미즐리 영국 철학자

70
Q

분노의 함성은 단순히 빈곤과 고통 그 자체에 대한 즉물적 반응 같은 것이 절대 아니다. 분노의 함성은, 지금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이 전혀 변하지 않는다는 의심이 생겨날 때만 터져 나온다. 그리고 그러한 반응이 생겨나는 것은 오로지 정의에 대한 우리의 감각이 자극되었을 때뿐이다.

A

한나 아렌트

71
Q

“나는 전례가 없었고, 앞으로도 그 성취를 모방할 사람이 전혀 없을 작업을 시작하려 한다. 나는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한 사람을 완전히 자연 그대로 보여주려고 한다. 그 사람은 바로 내가 될 것이다.”

A

루소 고백록

72
Q

1545년부터 1563년까지 현재 이탈리아의 영토인 ???에서 열린 가톨릭 교회의 공의회이다. 개신교의 도전에 대한 가톨릭의 응답[1]이자 대항적 성격의 자체 정화, 개혁의 총정리판이라고 할 수 있다

A

트렌토 공의회
자유의지의 존재 재확인
악마의 유혹에 인간은 저항할 수 있다. 악마는 신이 아니므로

73
Q

우리의 본성은 사실 붙잡기 어려울 정도로 실체가 없다. 다른 사물들에 비해 악명 높을 정도로 덜 안정적이고 덜 본래적이다. 그리고 사실이 이런 한, ??? 그 자체가 개소리다.

74
Q

바그너주의란

A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가 창시한 악극 형식에 대한 언급. 바그너는 음악이 중심이 되는 전통적인 오페라 형식을 타파하고 그리스 비극을 계승하여 음악, 연극, 문학이 동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종합 예술로서의 악극을 주창하였다.

안나 까레니나 (하)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이명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242000578

75
Q

귀스타브 도레의 삽화에 대한 톨스토이의 평가

A

1875년에 러시아에서는 이 책들이 화려한 장정으로 출간되었음을 알리는 광고가 여러 매체에 실렸는데, 똘스또이는 도레가 성서적 형상들을 미학적으로만 해석하고 있으며 오로지 아름다움에만 신경 쓸 뿐이라고 혹평했다.

안나 까레니나 (하)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이명현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242000578

76
Q

〈과연 이게 예술이란 말인가? 정신을 고양시키는 사상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예의 그 자연 묘사란 얼마나 쉬운가? 기술을 익힌 다음, 대충 써대면 그만이다.〉 누구?

안나 까레니나 (하)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이명현 저

A

프랑스 작가 에밀 졸라의 자연주의 선언문 「파리의 서한」이 1870년대에 러시아 잡지 『유럽 통보』에 발표되었다. 졸라에 따르면 새로운 소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삶의 정확한 재현과 일체의 낭만적 공상의 부재〉이다. 똘스또이는 자연주의를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다음과 같이 일갈한 바 있다.

안나 까레니나 (하)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이명현 저

77
Q

데카르트가 ‘생각하는 자아’를 발견한 뒤부터 서서히 외부 원천에 대한 믿음이 깨졌다. 자아의 합리적 사유 능력 없이 어떠한 지식과 가치도 성립될 수 없음을 사람들이 깨닫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도덕의 원천은 다름 아닌 개인의 내면이라는 인식이 퍼지게 되었다. 테일러는 이러한 인식을 ‘??라고 지칭한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008003664

A

근대적 내면화(internalization)’

78
Q

셋째, 사회계약론자 홉스는 근대적 개인을 ???로 이해한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원자적(atomic)’ 행위자

79
Q

테일러가 말한 근대 사회의 3가지 분리

A

첫째, 개인 정신과 신체의 분리
둘째, 개인과 외부 세계의 분리
셋째, 개인과 공동체의 분리

하지만 3가지는 모두 필요

80
Q

불안 요인들은 근현대 문화를 대표하는 세 가지 사상, 즉 ???와 연결된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개인주의ㆍ합리주의ㆍ자유주의

81
Q

개인주의 그 자체를 그릇된 사상이라 말하기는 어렵다. 개인주의는 일차적으로 ‘ ??’이라는 개인의 선험적ㆍ보편적 능력을 전제하고 개인들에게 동등한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82
Q

개인주의 그 자체를 그릇된 사상이라 말하기는 어렵다. 개인주의는 일차적으로 ‘ ??’이라는 개인의 선험적ㆍ보편적 능력을 전제하고 개인들에게 동등한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83
Q

???는 ‘개인주의’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며 개인주의 경향이 ‘고립화’를 낳는다고 비판한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토크빌은 자신의 저서 ≪미국의 민주주의(Democratie en Amerique)≫(1840)에서

84
Q

테일러에 따르면 오늘날 개인들은 바람직한 삶의 방식을 홀로 추적하고 찾으려 하며, 자기 탐구로 스스로 결정한 내용을 어떤 경우에서든 ‘타자(others)’의 간섭 또는 참견을 받지 않고 고유하고 진실한 것으로 인정받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타자는 다른 개인뿐 아니라 집단(공동체)도 포함한다. 테일러는 이러한 열망이 담긴 사상을 “???”라 명명한다(Taylor, 2003: 14). 하지만 이 같은 열망은 삶의 지평을 거부하게 만들며, 역설적이게도 삶의 진실한 의미를 상실하도록 이끈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A

자아실현의 개인주의

85
Q

??? 없이 개인은 결코 진정한 의미에서 자아실현을 이룰 수 없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A

질적 구별(강한 평가)

질적 구별(강한 평가)은 개인이 자신의 고유한 욕구를 발견하게 하는 활동이자,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인하게 하는 본질적 활동이기 때문이다.

찰스 테일러 | 이연

86
Q

자유주의 정치철학자 ??에 따르면 자유는 ‘소극적 자유(negative freedom)’와 ‘적극적 자유(positive freedom)’로 나눌 수 있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A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 1909∼1997)

87
Q

18세기 말 낭만주의 시대에 새로운 도덕적 이상이 등장하면서, 자유는 이제 단순한 해방을 넘어 왜곡된 자기 결정으로서의 자유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영문학자이자 소설가였던 라이어널 트릴링(Lionel Trilling, 1905∼1975)은 자유 개념을 변화시킨 도덕적 이상을 “ ???으로 불렀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자기 진실성(authenticity)의 이상”

88
Q

문화는 선이 기원하는 중심지다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008003664

A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89
Q

테일러가 말하는 불가피한 투쟁은 달리 표현하면 ‘????을 얻어 내기 위한 투쟁’이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타자의 인정(recognition)

90
Q

???에게 지평은 ‘사물에 대한 지각과 의미 형성의 터전이 되는 총체적 맥락’으로서 일상적 삶의 맥락을 의미한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A

후설

이 지평 개념이 가다머를 거쳐 찰스 테일러로

91
Q

테일러에 따르면 인정에 도달하기 위한 깊은 이해는 선에 대한 심층적 해석과 명료화의 작업을 수반할 때 가능하다. 이러한 작업은 테일러가 직접 언급하듯이 인류학자 클리퍼드 기어츠(Clifford Geertz, 1926∼2006)가 말한 “????와 유사하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두꺼운 묘사(thick description)

기어츠의 두꺼운 묘사는 일정한 문화를 영위하는 지역의 특수성, 즉 역사적ㆍ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일정한 문화적 실천들에 내재한 의미 구조를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활동이다(Geertz, 2009: 11∼47).

92
Q

“우리를 둘러싼 지각의 세계를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과 경험의 문제에 대해 논할 수 없듯이, 그 어떤 도덕적 요구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과 옳고 그름에 대해 논할 수 없다”

A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즉, 모든 논쟁은 그것에 참여하는 이들 사이에 최소한의 공통분모가 있어야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테일러에게 그러한 최소한의 공통분모는 바로 지평이다.

93
Q

테일러는 자신의 도덕적 이상을 ‘???의 윤리’로 명명한다

찰스 테일러 | 이연

A

자기 진실성

94
Q

테일러는 현대 사회를 “???로 특징짓는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허용하는 사회(permissive society)”

95
Q

자기 진실성의 이상은 ??의 사상에서 잘 제시된다.

A

헤르더 - 낭만주의

헤르더는 우리 각자가 자기 나름대로 인간적일 수 있는 근원적 방식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헤르더는 우리에게 남의 것을 모방하는 대신 나만의 방식으로 내 인생을 살아가라고 독려한다. 그러한 인생이 참된 인생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나만의 방식을 찾기 위해 나 자신의 내적 본연성과 접촉하라고 말한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Taylor, 1979: 2∼3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96
Q

테일러는 자기 진실성의 이상이 18세기 말 낭만주의 시대에 등장했으나, 그 뿌리는 앞선 17∼18세기의 사상과 연결된다고 분석한다. 즉,??의 내면화 작업 이후 개인은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질 수 있는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했고, 이러한 개인관에 영향을 받은 낭만주의자들이 ‘개인이 자기 책임하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을 도덕적 이상으로 주창했다는 것이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데카르트

97
Q

???들은 인간이 사물의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는 도덕적 직감을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존재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들은 이성보다는 ‘정서[느낌(feeling)]’와 ‘고유한 욕구(본연성)’를 도덕성의 원천으로 내세운다.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낭만주의자

테일러는 이와 같은 낭만주의자들의 생각에 상당 부분 공감한다

98
Q

???들에게 자유란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본연성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거쳐, 자기 행위를 조절하고 질서를 세우는 것을 뜻했다

찰스 테일러 | 이

A

낭만주의자

99
Q

낭만주의자들의 자유 개념은 개인에게 잠재된 능력을 일깨워 준다. 그것은 바로
찰스 테일러 | 이연희 저

A

자신의 본연성을 진실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성찰 능력이다.

하지만 테일러는 낭만주의자들과 달리 내부의 원천만큼이나 외부 원천도 중요시한다

100
Q

태양신 헬리오스의 아들

A

파에톤
태양 전차를 몰다가 세상에 불을 지르고 제우스의 벼락에 맞아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