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교육평가 (1) 교육평가의 이해, 모형 Flashcards
1
Q
이해 - 검사관
- 검사관의 종류 및 한줄설명 (3)
A
- 측정관; 정량 평가, 측정
- 평가관; 정성평가, 가치판단을 더해 학습자 변화 및 성취도 평가
- 총평관; 종합 평가, 행동특성 포함해 종합적으로 평가
2
Q
이해 - 교육관
- 교육관의 종류 및 한 줄 설명 (3)
A
- 선발적 교육관; 타고난 지능, 우수 학습자를 선발하는 게 목표
- 발달적 교육관; 누구나 교육목표에 도달 가능
- 인본주의적 교육관;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존재, 교육은 자아실현의 과정
3
Q
모형 - 목표중심모형 - 타일러 **
- 개념 키(3)
A
- 설정된 프로그램의 목표달성 정도 확인, 명세적으로 진술된 행동목표, 이원목적분류표 작성
4
Q
모형 - 목표중심모형 - 타일러 **
- 평가 절차(7)
A
- 목표 설정
- 목표 분류
- 목표 행동 용어 진술
- 달성 조건 설정
- 도구 선정 개발
- 자료 수집
- 성취를 행동목표와 비교
5
Q
모형 - 목표중심모형 - 타일러 **
- 장점 (2)
A
- 행동용어로 진술하므로 명확한 평가 기준
- 교육 목표의 실현 정도를 명확하게 파악
6
Q
모형 - 목표중심모형 - 타일러 **
- 단점 (2)
A
- 사전에 설정하지 않은 잠재적, 부수적 효과 평가 어려움
- 교육과정 자체를 소홀히 할 수 있음
- 행동목표로 표현하기 어려운 목표는 평가가 어려움.
7
Q
모형 - 판단중심모형 - 스크리븐 탈목표 평가 모형 **
- 기본개념 키 (3)
A
- 목적달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님, 복지향상에 기여, 객관적 가치 판단
8
Q
모형 - 판단중심모형 - 스크리븐 탈목표 평가 모형 **
- 특징 (5)
A
- 비교평가 비비교평가 구분
- 목표중심 평가와 탈목표 평가
- 내재적 준거와 외재적 준거에 의한 평가 구분
-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의 구분
- 메타평가
9
Q
모형 - 판단중심모형 - 스크리븐 탈목표 평가 모형 **
- 장 (1), 단 (1)
A
- 교육의 부가적인 효과를 포함하여 실제 효과를 파악할 수 있음
- 부가적인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움.
10
Q
모형 - 판단중심모형 - 스크리븐 메타평가 ***
- 메타평가 기본 개념 (3)
A
- 평가의 장단점을 평가관련자에게 알려줌
- 질적 개선을 위함
- 평가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
11
Q
모형 - 의사결정모형- 스터플핌 CIPP 운영중심평가 ***
- 기본개념 (키 2)
A
- 의사결정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도움.
- 상황, 투입, 과정, 산출
12
Q
모형 - 의사결정모형- 스터플핌 CIPP 운영중심평가 ***
- 평가 유형 (4)
A
- 상황평가; 계획단계, 구체적인 상황, 요구 분석
- 투입평가; 구조화단계, 전략, 인적물적 자원, 시기
- 과정평가; 실행단계, 계획한대로 실행되는지 관찰, 설문조사
- 산출평가; 재순환단계; 최종 산출된 결과의 가치 판단
13
Q
모형 - 의사결정모형- 스터플핌 CIPP 운영중심평가 ***
- 장 (1), 단 (1)
A
- 목표와 결과 간에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 의사결정에 도움 되는 정보 많이 제공.
- 과정과 방법이 구체적이지 않음. 가치에 대한 평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