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교수이론 및 교육공학 Flashcards

1
Q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A

1.교사변인
-지적 변인
-정의적 변인: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수준(로젠탈, 피그말리온 효과)
2.학생변인
-지적변인
-정의적 변인:학습동기와 자아개념이 가장 큰 영향
3 환경변인
-지역사회 환경
-가정환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수업설계의 3대 변인

A
  1. 교수의 조건
    - 교과내용의 특성
    - 교과목표
    - 학습자 특성
    - 제약조건
  2. 교수의 방법
    - 조직전략: 미시적전략,거시적 전략
    - 전달전략
    - 관리전략
  3. 교수의 성과
    - 효과성
    - 효율성
    - 매력성
    - 안정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수업목표의 진술

A

진술방식

  • 타일러: 이원목표 분류
  • 메이거: 진술방식(조건, 수락기준, 도착점행동)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학습의 5대 영역

A
  1. 인지적 영역: 언어정부, 지적기능, 인지 전략
  2. 정의적 영역: 태도
  3. 심동적 영역:운동기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출발점 행동 진단

A
  • 선수학습능력: 학습자가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할 기능이나 지적능력

- 사전학습능력: 예정인 학습과제에 대하여 이미 알고 있는수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학습과제 분석

A
  1. 위계분석: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기능들을 상위기능과 하위기능으로 분석(순서+위계)
  2. 군집분석: 상하의 위계적 관계가 없는 언어정보의 학습과제를 분석할 때 사용
  3. 절차분석(단계분석):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적 단계를 파악하는것(순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강의법 장.단점

A

장점: 수업의 경제성/ 체계적,논리적 전달

단점: 고등정신능력 함양에 부적함/ 학생의 수동성 초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문답법-효과적 발문의 조건

A
  1. 명확하고 간결한 발문
  2. 구체적인 발문
  3. 학생의 사고를 자극하는 개방적 발문
  4. 개인차를 고려한 발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토의법

A
  1. 자유토의
  2. 원탁토의
  3. 배심토의
  4. 단상토의
  5. 공개토의
  6. 대담토의
  7. 세미나
  8. 버즈토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문제해결법

A
  • 듀이의 반성적 사고에 기초(지력의 획득과정)
  • 경험(매개체)=반성적 사고
  • 경험은 곧 문제해결과정, 반성적 사고 획득과정

-학습단계: 문제제기-문제인식-문제해결 방안의 계획(대안설정)- 자료의 수집 및 분석(대안 탐색)- 학습활동의 전개(최선의 대안 선정) -결과의 검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구안법

A

킬패트릭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스스로 계획 세워 수행하는 교수

  • 실제 생활과 직결될 수 있는 학습주제 수행,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교수방법
  • 학습과정: 목표설정, 계획, 실행, 평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프로젝트 구안범 장단점

A

장점: 실천적인 면을 중시,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활동 촉구

단점: 실천력이 부족한 학생에게는 비경제적, 교재의 논리적 체계가 무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탐구법

A

발견학습(브루너)
탐구학습: 과학적 문제해결의 일반적 탐구절차(가설 검증 및 일반화 과정)중시
-문제해결학습(듀이)
-구안법(킬패트릭)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협동학습 개념/원리**

A

이질집단을 구성하여 동일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활동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

  • 원리
    1. 긍정적 상호의존성: 학생들 개개인이 집단의 성공을 위해 자신뿐만 아니라 동료들도 성취해야 하기 때문에 서로 도움
  1. 대면적 상호작용: 집단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구성원들의 노력을 직접 격려하고 촉진시켜 주는 것을 의미한다.
  2. 개별책무성: 과제를 숙달해야 하는 책임이 각 학생들에게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협동학습의 이론적 근거

A
  1. 동기론적 관점: 집단보상에 초점(STAD,TGT)

2. 사회응집성 관점: 팀의 응집성을 강조, 협동기술에 초점(직소,GI)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직소 모형

A

동료로부터 배우고 동료를 가르치는 모형
소집단 편성-학습과제의 개별분담-전문가 집단 토의- 모집단 재소집-개별 시험(퀴즈)

직소2: 개별보상에 집단보상을 추가

17
Q

STAD성취과제 분담모형

A

역할분담x 공동학습구조, 동미세 개인의 성취에 대해 개별적인 보상구조

-절차: 팀구성-개인별 기대점수 계산-수업 안내-소집단 활동-평가-보상

18
Q

TGT 팀경쟁학습

A

집단 내 협력학습, 집단 간 경쟁 유도

토너먼트식 퀴즈게임을 이용하여 각 팀 간의 경쟁을 유도

19
Q

자율적인 협동학습(Co-op, Coop)

A

자신이 학습과제를 선택하고 팀활동을 한 후 팀 동료와 교사에 의한 다면적 평가 실시

20
Q

집단 탐구법(GI)

A

그룹 조사, 집단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고차적 인지기능의 습득에 중점

21
Q

함께 학습하기(LT)

A

과제,보상,평가 모두 집단별

22
Q

완전학습모형

A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블룸의 완전학습모형

23
Q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A

완전학습모형:인지적 학습에 작용하는 주요 변인들

  1. 학습기회
  2. 학습지속력
  3. 교수의 질
  4. 적성
  5. 교수이해력
24
Q

블룸의 완전학습모형

A

학급의95% 학생들이 학습과제의 90프로 이상 학습하는 것-캐롤의 학습모형에 기초

완전학습 전략-교정학습(보충학습)

25
브루너의 발견학습모형
교사의 지시를 최소화, 학습자 스스로 찾아내는 방법 -발견이란 대상간에 존재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 관계 짓는 것
26
오수벨의 유의미수용학습이론
교사가 학습내용을 조직화해서 제시, 정보를 의미 있게 학습하도록
27
유의미 학습을 위한 3가지 조건
1. 논리적 유의미성: 실사성과 구속성 2. 잠재적 유의미성: 인지구조와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해 주는 관련정착의미 3. 심리적 유의미성:학습자의 의도와 성향을 가져야한다.
28
선행조직자
-수업의 도입단계에서 새로운 학습과제 이전에 교사가 제시하는 개론적 내용 학습과제보다 추상적, 포괄적, 일반적인 특징 - 종류 1. 비교조직자:관련정착의미와 학습과제가 유사할때 2. 설명조직자: 관련정착의미와 학습과제가 유사하지 않을 때
29
오수벨이 제시한 포섭의 종류
의미: 새로운 명제나 아이디어가 학습자의 머릿속에 이미 조직되어 존재하고 있는 보다 포괄적인 인지구조 종류: 1. 종속포섭-포괄성이 높은 인지구조에 포섭되는 것 2. 상위적포섭-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에 있는 내용보다 더 포괄적이고 일반적일 때 일어나는 포섭 3. 병렬포섭-동일한수준의 포괄성, 일반성
30
유의미수용학습이론 학습원리
1. 선행조직자: 도입단계에서 제시하는 개론적 설명 2. 점진적 분화: 포괄적, 일반적인 의미 먼저-구체적,세분화하여 제시 3. 통합적조정: 새로운 개념과 의미는 이미 학습된 내용과 일치되고 통합되어야 한다.
31
유의미수용학습이론 수업과정
1. 선행조직자 제시 2. 학습과제와 자료의 제시 3. 인지적 조직의 강화
32
가네의 목표별 수업이론
수업목표에 따라 수업방법을 다르게 설계해야한다. 1. 처방적 수업이론 2. 정보처리 학습이론
33
가네의 목표별 수업이론 학교학습에 관계하는 3요소
1. 학습의 조건: 내적조건/외적조건 2. 학습의 사태 3. 학습의 성과:학습의 5대영역
34
가네 학습의 인지처리과정
1. 학습을 위한 준비: 주의집중/기대(목표알리기)/ 작동기억을 통해 재생(선행학습의 재생 자극하기) 2. 정보의 획득과 수행 3. 재생과 전이
35
메릴의 내용요소제시이론
1. 미시적 교수설계이론(1시간) 2. 인지적 영역의 학습목표를 가르치는 방법에 주안점 3. 처방적 수업설계 모형: 구체적인 교수처방 구성 -수행.내용 행렬표 내용유형: 사실,개념,절차,원리 수해수준:기억,활용,발견
36
메릴의 구인전시이론 교수방법
1차 제시형: 학습하기 위해 반드시 제시되어야만 하는 수업 형태 설명/질문-일반성/사례 2차제시형:부가적 자료제시 방식 과정제시형:어떤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은가 -학습자 통제
37
라이겔루스의 정교화이론
효과적,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교과내용의 조직방법과 제시에 대한 원리와 기법을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는 거시적 교수설계이론 - 단순 복잡의 계열: 교과내용의 계열화를 위한 기본원리로 중시 - 줌렌즈의 방법: 개요제시, 학습내용 학습, 요약과 종합
38
라이겔루스의 정교화이론 교수전략
1. 정교화된 계열화 2. 선수학습요소의 계열화 3. 요약자의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