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단백질 합성 저해제(T, E, C, C, S, O) Flashcards
tetracycline 작용 기질
박테리아 리보솜 30s 가역적 결합 -> aminoacyl t RNA 결합 방해
정균작용
tetracycline 적용 균주
특정 무산소균
그람양성균
그람 음성균
ex) 리케치아 클라미디아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일부 스피로헤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위, 십이지장 궤양
야생토끼병, 브루셀라증 (다른 항생제 병용)
여드름, 악화된 기관지염, 지역감염성 폐렴, 라임병
세균성 위장염, 요로감염에는 내성때문에 사용 안함
Vibrio cholerae (유행중에는 내성 있음) Acne Chlamydia (임균에는 내성때문에 사용 안함) Ureaplasma Urealyticum Mycoplasma pneumoniae Borrelia burgdorferi(lyme disease) Rickettsia Tularemia
tetracycline 내성 기전
능동 수송 펌프
테트라사이클린이 리보솜에 결합하는 거 방해하는 단백질 생성
효소에 의한 테트라사이클린 불활성화
경구 흡수율 좋은 tetracycline
95-100%
doxycycline
minocycline
경구 흡수가 거의 안 돼 반드시 정맥 투여해야하는 테트라사이클린 계 항생제
tigecycline
리케차 감염 1차 선택약
tetraycycline
수막알균 보균상태를 근절하는 데 쓰는 테트라사이클린계
minocycline
부작용, 내성 때문에 rifampin 선호
세뇨관에서 ADH 억제 -> 항이뇨호르몬 또는 일부 종양에 의한 유사 펩티드의 부적절한 분비 치료에 사용하는 테트라사이클린 계
demeclocycline
첫번째로 임상에 사용되는 glycylcycline으로 테트라 사이클린 내성균주에 사용하는 항생제
tigecycline
테트라사이클린 유해작용
과민반응은 드물고 대부분 직접적인 독성작용과 미생물 군주 변화에 의해 일어남
위장관계 :
직접 자극 -> 오심, 구토, 설사
=> 음식물, carboxymethylcellulose와 함께 투여하거나 약용량을 줄이거나 중단함으로써 조절
(금속 킬레이션 하므로 우유, 제산제, 황산제일철은 함께 경구투여 하지 않음)
장 내 세균총 변화->장 기능 장애, 항문가려움증, 질 또는 구강 칸디다증, C.difficile 결장염
뼈 구조와 치아 :
칼슘과 결합 -> 뼈와 치아에 침착
태아에도 침착
=> 임산부, 8세 미만 소아 금기
기타 :
간기능 손상
신세뇨관 산증, 신장손상으로 인한 질소저류(시판안함)
어지럼증, 현기증, 구역, 구토
전신 투여시 햇빛이나 uv에 과민반응 보이는 테트라사이클린계
demeclocycine
erythromycin 구조
macrolide 고리
desosamine 당
cladinose 당
macrolide 계 약물
erytrhomycin
clarithromycin
azithromycin
ketolide
erythromycin 작용기전
50s ribosomal RNA 결합
정균성, 고농도에서 살균성
erythromycin 내성 기전
세포막 투과 감소
능동 유출
esterase 생산 -> macrolide 가수분해
methylase로 리보솜 결합부위 변형
erythromycin 제제
장용성 제제 (위산 파괴)
음식물은 흡수 방해
가장 잘 흡수되는 경구 제제 erythromycin
erythromycin propionyl ester의 lauryl 염(erythromycin estolate)
흡수되면 뇌와 뇌척수액 제외하고 넓게 분포
태반통과해 태아에게 전달되기도 함(특히 estolate 염) -> 임산부는 다른 erythromycin 또는 페니실린계, 세파계 사용
erythromycin 임상용도
corynebacterium 감염증(디프테리아, 패혈증)
호흡기, 신생아, 안구
생식기 클라미디아 감염증, 지역감염성 폐렴 1차 선택약
erythromycin 유해작용
식욕부진, 구역, 구토, 설사
위장관계 불내성 -> 사용 중단
(clarithromycin은 위장관 불내성 잘 일으키지 않음)
과민반응으로 급성담즙정체간염 유발하는 항생제
erythromycin estoltate
담즙염에 사용할 수 없는 항생제
erythromycine
CYP 450 불활성화 시키는 macrolide
erythromycin
clarithromycin
약물상호작용: 테오필린 와파린 사이클로스포린 메틸프레드니솔론
DYP 450 불활성화 시키지 않는 macrolide
azithromycin
erythromycin에 methyl기 첨가해 만든 약물로 erythromycin에 비해 산 안정성 증가하고 경구 흡수 향상된 항생제
clarithromycin
투약 횟수
erythromycin vs. clarithromycin
clarithromycin이 자주 투약하지 않아도 됨
하루 4번 vs. 2번
clarithromycin 항균 범위
erythromycin과 비슷하나 mycobacterium avium 에는 효과 더 좋음
나병균, 톡소포자충, 인플루엔자균에도 효과 나타냄
azithromycin 항균범위
erythromycin, clarithromycin에 비해 포도알균과 사슬알균에 효과가 조금 적으나 H. influenzae에 효과 더 좋음
Azithromycin의 erythromycin, clarithromycin과의 약동학적 차이
조직(뇌척수액 제외)과 대식세포에 매우 잘 침투해 혈중농도의 10-100배 넘는 농도 보임 -> 천천히 조직으로부터 유출되어 약 3일의 반감기 가짐
=> 하루 1번 투여, 치료기간 단축
cladinose 당 대신 3-keto group이 대체된 macrolide로 다른 macrolide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에 감수성을 보이는 항생제계열
ketolides
telithromycin
telithromycin 임상용도
제한된 경우에만 사용
미국은 지역감염성 세균성 페렴에만 이용
telithromycin
간염, 간기능부전 유발해 지역 감염성 세균성 폐렴 제외한 다른 호흡기 감염에는 사용 안함
clindamycin 작용 기전
ertythromycin이 결합하는 박테리아 리보솜 50s 부위랑 같은 부위 결합 -> 초기복합체 형성과 aminoacyl translocation 방해
clindamycin 내성
대체적으로 macrolide 와 교차 내성
리보솜 수용체 부위 돌연변이
methylase(지속형) -> 수용체 변형
효소에 의한 불활성화
clindamycin 임상용도
사슬알균, 포도알균에 의한 피부, 연조직 감염
MRSA의 지역감염성 균주에 효과
심한 페니실린 알레르기 있는 판막성 심장질환의 치과치료시 심내막염 예방
무산소균 감염
cindamycin 유해작용
설사, 구역, 피부발진
간기능장애, 중성구 감소증
C. difficile에 의한 설사와 결장염
streptogramin 병용 요법
quinupristin(s.g B) : dalfopristin(s.g A) = 30 : 70
50s 에 결합해 교차내성 보이는 항생제
macrolide
clindamycin
streptogramin
streptogramin 임상용도
포도알균
VRE
streptogramin 유해작용
주사부위 통증
관절통-근육통 증후군
streptogramin 약물 동력학
신부전, 복막투석, 혈액투석 시 용량 조절 할 필요 없음
간기능부전 환자는 일상 용량 견디지 못할 수 있음
CYP3A4 억제
chloramphencol 작용기전
50s 가역적으로 결합
정균성 항생제
chloramphenicol 항균 범위
산소성 및 무산소성 그람 양성균, 음성균 모두 작용
리케차 o
클라미디아 x
chloramphenicol 내성
chloramphenicol acetyltransferase
chloramphenicol 복약 용량, 횟수
50-100mg/kg/d 를 하루에 4번 나누어 투여
생후 1주일 안된 신생아나 미숙아는 chloramphenicol 잘 제거하지 못하므로 용량을 25mg/kg/d로 줄임
chloramphenicol 임상 용도
발진티푸스, 록키산 홍반열 같은 심한 리케차 감염
페니실린 과민반응 보이는 환자 세균성 수막염 치료시
눈 감염 치료에 국소적으로 사용
(과립성 결막염-트라코마, 결막염, 다래끼, 안검염, 각막궤양, 각막염, 누낭염)
chloramphenicol 유해작용
구역, 구토, 설사 (성인)
정상 미생물총 변화 -> 구강 또는 질 칸디다증
용량 의존적 빈혈, 개체 특이적(용량 무관) 재생불량 빈혈
gray baby syndrome :
cardio vascular collpase, 청색증, 구토, 무기력, 체온저화, 회색변화, 쇼크
linezolid 작용기전
50s 리보솜 23s rRNA 결합 -> 리보솜 복합체 형성 방해
oxazolidinone
linezolid 내성
23s rRNA 결합부위 돌연변이
교차내성 없음
linezolid 항균범위
대체로 정균성
사슬알균에는 살균성
결핵균
VRE
병원내 감염 폐렴
지역감염성 폐렴
감수성 있는 그람양성세균에 의한 합병증이 동반되었거나 그렇지 않은 피부 및 연조직 감염
linezolid 투여 경로
경구 투여 후 BA 100%
SSRI 병용시 세로토닌 증후군 발생하는 항생제
linezolid
linezolid 유해작용
혈액학적독성
(혈소판 감소증, 빈혈, 중성구 감소증)
시신경병증, 말초신경병증, 젖산산증
SSRI 병용시 세로토닌 증후군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