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췌장, 당뇨 Flashcards
당뇨 기준
공복 혈당치
식후 2시간 혈당치
당화혈색소
126mg/dL 이상
200mg/dL 이상
6.5% 이상
초속효성 인슐린
insulin lispro
insulin aspart
insulin glulisine
중간형/지속형 인슐린
NPH(neutral protamine Hagedorn) 인슐린
insulin glargine
insulin determir
Afrezza
흡입용 인슐린 사노피 재조합 regular insulin 건조시킨 분발제제 기침, 폐 문제 판매 중단
tolbutamide
1세대 sulfonylurea (K+ 통로 차단제)
반감기 짧음
간에서 불황성화 -> 노인환자, 신기능 장애 환자에 상대적으로 안전
sulfisoxazole(sulfonamide 계 항균약), phenylbutazone(관절통 치료약), 칸디다증 치료 경구용 azole계 항진균약 복용자 : tolbutamide 혈중 농도 증가(간대사 억제) -> 지속적 저혈당 부작용
chlorpropamide
1세대 sulfonylurea (K+ 통로 차단제)
아침 단회 투여
지속적인 저혈당이 빈번한 노인환자에게 금기
알코올 섭취후 출혈성 홍조
바소프레신 분비 작용에 영향 -> 저나트륨혈증
이제 임상에서 거의 사용 안함
tolazamide
1세대 sulfonylurea (K+ 통로 차단제)
효력은 chlorpropamide와 유사, 작용지속시간은 더 짧음
느리게 흡수되어 몇시간 동안은 효과 나타나지 않음
이제 임상에서 거의 사용 안함
acetohexamide
1세대 sulfonylurea (K+ 통로 차단제)
미국에서 더 이상 시판 안함
이제 임상에서 거의 사용 안함
1세대 sulfonylurea 계 약물
tolbutamide
chlorpropamide
tolazamide
acetohexamide
2세대 sulfonylurea 계 약물
glyburide(=glyben clamide)
glipizide
glimepiride
gliclazide
tolbutamide 보다 100-200 더 큰 효력 -> 저혈당 위험할 수 있는 심혈관게질환 화노자나 노인 환자 주의
glyburide
2세대 sulfonylurea (K+ 통로 차단제)
저혈당 유발 위험성 제외하면 유해반응 거의 없음
알콜 섭취 수 홍조 드물게 보임(disulfiram 반응)
간 기능 장애, 신기능 부전 환자에게 금기
glipizide
2세대 sulfonylurea (K+ 통로 차단제)
효력 더 높은 약물 중 반감기 가장 짧음
아침식사 30분 전 투약(음식물과 투여시 흡수 지연)
간기능 장애환자 사용 금기
더 낮은 효력, 더 짧은 지속시간 -> 노인환자에게 glyburide 보다 선호
glimepiride
2세대 sulfonylurea (K+ 통로 차단제)
하루 한 번 단독 또는 인슐린과 병합해 사용
sulfonylurea 계 중 가장 낮은 용량으로 작용 나타냄
gliclazide
2세대 sulfonylurea (K+ 통로 차단제)
미국에서 시판 안됨
한국에서는 사용 중
repaglinide
sulfonylurea Rc. 결합(K+ 통로 차단제)
(최초의) meglitinide 유사 약물
작용 발현 빠름(1시간 이내 최고 농도, 효과) -> 식후 혈당 변동폭 조절 시 사용, 식사 바로 직전 복용
작용 지속시간 4-7시간
단독요법 또는 biguanide 계 약물과 병합요법으로 허가
신기능 장애환자, 노인환자에 사용 가능
mitiglinide
sulfonylurea Rc. 결합(K+ 통로 차단제)
meglitinide 유사 약물
미국 시판 안되고
일본 사용 허가
한국 시판
repaglinide와 유사한 임상효과
nateglinide
sulfonylurea Rc. 결합(K+ 통로 차단제)
D-phenylalanine 유도체
식전 복용, 식후 혈당상승 감소
단독 또는 인슐린 분비촉진약 아닌 다른 경구 제제(ex. metformin)와 병합시 효과적
신기능 장애 환자, 노인환자에게 사용 가능
간 CYP2C9, 3A4에 의해 대사, 반감기 1시간
경구투여 후 20분 이내 흡수, 1시간 내 최고농도
지속시간 4시간
유해반응 : 저혈당
repaglinide vs.
nateglinide
매 식사 전 경구용량
0.25-4mg / 60-120mg
반감기 : 1시간
작용지속시간 : 4-7시간 / 4시간
metformin
미국에서 시판되는 유일한 biguanide 계 약물
간, 근육 및 지방 조직 작용
AMPK 활성화 -> 간 포도당 생성 감소
식후&공복 시 고혈당 감소
혈당정상화
포도당신합서과정 차단 -> 간 젖산 대사 손상
신기능 부전환자 : 젖산산증 위험 증가
제2형 당뇨병 1차 선택약
인슐린 보존성 약물(인슐린 요구량 감소)
체중 증가나 저혈당 유발하지 않음
위장관계 부작용(지속 설사시 사용중단), 젖산산증(가끔)
thiazolidinedione 계 약물
간, 근육 및 지방 조직 작용
인슐린 저항성 감소
PPARγ 리간드
유전자 발현 조절
- 지방과 포도당 대사
- GLUT1, 4 발현 증가
- 유리 지방산 수치 감소 - 인슐린 신호전달
- 지방세포에서 adiponectin 분비 증가, resistin 분비 감소 => 인슐린 저항성 감소 - 지방세포 등 조직 분화
- 지방전구세포 -> 지방세포 증가
TZD + metformin : 저혈당 유발하지 않는 장점 있음
pioglitazone
TZD계(PPAγ 리간드)
복용후 2시간 이내 흡수
담즙산 결합체 병용 -> 흡수 감소
CYP2C8, CYP3A4에 의해 활성대사체로 대사 (estrogen 함유 경구피임약 BA 영향 -> 추가적 피임방법 권장)
1일 1회 복용
제 2형 당뇨병
단독요법 또는
metformin, sulfonylurea 계, 인슐린과 병합사용 허가
rosiglitazone
TZD계(PPAγ 리간드)
신속하게 흡수
제 2형 당뇨병 치료
단독요법
biguanide 계, sulfonylurea 계와 2중 요법
biguanide, sulfonylurea, insulin과 4중 병합요법
α-glucosidase 억제약
acarbose
miglitol
전분, 이당류 소화 흡수 지연
acarbose
miglitol
미국 시판
(voglibose : 한국, 일본, 인도)
glucoamylase, α-amylase, sucrase 억제약
acarbose는 사당류로 거의 흡수 안됨
miglitol은 포도당 유사 구조로 흡수되고 대사되지 않고 신장에서 제거되므로 신부전환자에게 금기
공기참, 설사, 복통 (탄수화물->지방 발효때문) : 계속 사용시 감소 (공장, 회장 α-glucosidase 발현 유도, 원위소장 포도당 흡수 증가)
sulfonylurea 병용시 저혈당 가능
단독요법, biguanide 병항요법은 괜찮
저혈당은 설탕 아닌 포도당(dextrose)로 치료!
위장관게 부작용, 혈당강하 효과 상당 -> 미국은 드물게 처방
incretin effect
포도당 경구 투여가 정맥 주입보다 insulin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남
경구 포도당 -> GLP1, GIP 유도 -> 인슐린 증가
GLP-1
제2형 당뇨병 환자 사용
혈당 증가시 인슐린 분비 증가
혈당 정상시 분비 증가 덜함
=> sulfonylurea 계 약물보다 저혈당 유발 위험 낮음
Exenatide
GLP-1 수용체 효능약
metformin / metformin + sulfonylurea 요법으로 혈당조절 불충분한 2형 단뇨병환자 위한 보조 주사제로 허가
고정된 용량 펜으로 제공
피하주사
유해반응 : 오심, 고역가 항체 생성
liraglutide
GLP-1 수용체 효능약
피하주사
용해성
fatty acid-acylated GLP1-1 유사체
식이요법, 운동으로 혈당조절 불충분하여 metformin, sulfonylurea, thiazolidinedione 계 약물 치료 받고 있는 제 2형 당뇨병
오심, 구토
albiglutide
GLP-1 수용체 효능약
사람 알부민에 융합된 사람 GLP-1 이량체
피하주사(자가투여 펜)
반감기 5일 -> 주 1회 요법
4-5주 투여후 steady state 도달
체중감소는 exenatide와 liraglutide에 비해 덜 나타남
오심, 홍반
dulaglutide
GLP-1 수용체 효능약
피하주사
오심, 설사, 구토
GLP-1 수용체 효능약 4가지
Exenatide
Liraglutide
Albiglutide
Dulaglutide
단점
- 경구투여 안됨
- 췌장염 위험성 증가(복통 지속시 병원!!)
sitagliptin
DPP-4 억제약
(Dipeptidyl peptidase-4 : GLP-1 분해 효소)
1일 1회, 경구투여
HbA1c 0.5-1% 감소
(1% : 30mg/dL)
신기능장애 환자는 용량 줄이기
코인두염, 상기도 감염, 두통, 급성 췌장염, 심각한 알레르기 및 과민반응
saxagliptin
DPP-4 억제약
(Dipeptidyl peptidase-4 : GLP-1 분해 효소)
0.4-0.9% HbA1c 감소
용량 조절 권장 상황 :
신기능 장애 환자
CYP3A4/5 저해약 병용시
감염 발생 증가, 두통 및 과민반응
linagliptin
DPP-4 억제약
(Dipeptidyl peptidase-4 : GLP-1 분해 효소)
HbA1c 0.4-0.6% 감소
주로 담즙 배설 -> 신부전 환자 용량 조절 필요 없음
코인두염, 과민반응, 국소적 피부 박리, 기관지 과다반응, 췌장염 위험성 증가
vildagliptin
DPP-4 억제약
(Dipeptidyl peptidase-4 : GLP-1 분해 효소)
0.5-1% HbA1c 감소
유럽 사용
4가지 경구용 DDP-4 억제약
sitagliptin
saxagliptin
linagiptin
alogliptin
vidagliptin
canagliflozin
SGLT-2 억제약
(sodium glucose co transporter)
당뇨에 대한 역치 낮춤
0.6-1% HbA1c 감소
크지 않은 체중감소
LDL 콜레스테롤 증가
dapagliflozin
SGLT-2 억제약
(sodium glucose co transporter)
0.5-0.8% HbA1c 감소
유방암, 방광암 발병율 높음
empagliflozin
SGLT-2 억제약
(sodium glucose co transporter)
0.5-0.7% HbA1c 감소
크지 않은 체중감소
LDD 콜레스테롤 증가
SGLT-2 억제약
sodium glucose co transporter
canagliflozin
dapagliflozin
empagliflozin
당뇨 유도해 제 2형 당뇨병의 혈당 낮춤
만성신장질환 환자에서는 효능 감소
신기능 저하시 사용금기
생식기감염, 요로감염 증가
삼투성이뇨-> 혈관내 용적 감소, 저혈압
pramlintide
인슐린 치료로 효과 달성 못한 제 1형, 2형 당뇨병
IAPP 유사체
식사 직전 피하주사
별도 주사기 사용(인슐린과 혼합 안됨)
제 1형 당뇨환자에게 효과적(식후 고혈당 문제 있는)
제 2형 당뇨병환자에게는 유용하지 않음(GLP-1 효능약 사용)
저혈당, 오심, 구토, 식욕부진
위 배출 늦춤 -> 흡수 지연 -> 저혈당 회복 문제
IAPP
islet amyloid polypeptide
인슐린 분비 과립에 존재하는 펩티드
인슐린과 함께 분비
인슐린 분비에 음성 피드백
글루카곤 분비 감소
미주신경 매개 위 배출 지연
중추 작용 -> 식욕 억제
pramlintide 적용증
인슐린 치료에도 식후 목표혈당 수치 도달 못한 1형, 2형 당뇨병
식후 고혈당 문제 있는 특정 1형 당뇨병환자에게 효과적이나 GLP-1 수용체 효능약 사용할 수 있는 2형 당뇨병환자에는 유용하지 않음
비만치료에도 사용
pramlitide 투여 경로
반드시 별도 주사로 식사 직전 피하주사(인슐린과 혼합 안됨)
20분 내 최고농도 도달, 작용지속시간 150분 안 넘음
pramlintide 유해반응
저혈당
(위 배출 늦추기 때문에 탄수화물 흡수 지연)
오심, 구토
식욕부진 등 위장관계 증상
담즙산 결합제 및 콜레스테롤 저하약으로 타 약물이나 식이, 운동으로 조절되지 않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 쓰는 약
colesevelam hydrochloride
colesevelam hydrochloride 유해반응
위장관계증상
(변비, 소화불량, 위창자내 공기참)
제 2형 당뇨병환자에 흔한 고중성지방혈증 악화시키기도 함
혈당강하 효과 있는 dopamine 효능약
bromocriptine
bromocriptine 유해반응
오심, 구토, 피로, 어지러움, 두통
제 2형 당뇨병 치료에서 병합요법 필요한 이유
베타세포 무게 감소 신체활동 감소 체지방체중 감소 딴 곳 지방침착 증가 => 치료반응 떨어짐
제 2형 당뇨병 치료 1차 선택약
metformin
제 2형 당뇨병 metformin 단독 요법 실패시 두번째 추가 약물
sulfonylurea 게 repaglinide nateglinide pioglitazone GLP-1 수용체 효능약 DPP-4 억제약 SGLT2 억제약 인슐린
두가지로 충분하지 않으면 세번째 추가
탄수화물 풍부한 식이 후에 고혈당을 보이는 환자에게 2차 선택약
식사전 단기 작용형 인슐린 분비 촉진약
제 2형 당뇨병 환자 중 심각한 인슐린 저항성 환자에 사용하는 이차 선택약
pioglitazone
제 2형 당뇨병 환자 중 체중증가가 심각한 문제인 환자에 사용하는 2차 선택약
GLP-1 수용체 효능약
DPP-4 억제약
SGLT2 억제약
insulin과 병용시 효과적인 당뇨병 약
metformin
insulin과 병용가능하나 체중증가와 말초부종이 커질 수 있는 당뇨병 약
pioglitazone
글루카곤 대사에 미치는 효과
GsPCR -> cAMP 증가 -> 글리코겐 분해, 포도당 신합성, 케톤생성 증가
즉각 반응 :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 사용해 혈당 높임
골격근 글리코겐에는 영향 없음
췌장 베타세포 : 인슐린 분비 촉진
크롬친화세포종 : 카테콜아민 분비 촉진
수질암종 세포 : 칼시토닌 분비 촉진
글루카곤 심장에 미치는 효과
cAMP -> 수축 촉진, 심박수 변동
베타수용체 기능 필요 없이 베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약과 매우 유사한 효과
글루카곤 평활근에 미치는 효과
고용량에서 장 이완(AC 기전 아님)
글루카곤 임상용도
심각한 저혈당:
제 1형 당뇨 환자가 무의식 상태로 경구 섭취 어렵고 포도당 정맥주사 어려운 상황에서 응급 치료
Glugagon Emergency Kit(재조합 글루카곤으로 비경구용-IV, IM, SC 1mg vial)
내분비진단:
내분비 장애 진단
제1형 당뇨환자 베타세포 분비예비력 평가 (글루카곤 1mg 정맥내 bolus 주사)
베타아드레날린성수용체 차단약 과량 투여:
심장 cAMP 생성 증가
심부전 치료에는 유용하지 않음
장의 방사선 검사:
장이완효과 -> X선 검사시 보조약
글루카곤 유해반응
일시적 오심, 구토
심각한 유해반응 없는 편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에게 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