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 Flashcards
집단상담자: 코틀러의 GT 인간적 자질, 유머의 치유적 효과
‘자심있는 공자새유
나 개타창”
자발적인 모범 심리적 에너지 공감적 이해 자기수용 새로운 경험 추구 유머감각 -공유된 경험구축, 금기시 된 주제 큰 저항x다룸 -치유적 양념: 통찰 촉진, 긴장감소*심리 중압감벗어남 개방적 태도 타인 복지에 대한 관심 창의성
얄롬과 레스트의 치료적 요인
희정이가 교보문고에서 사모하는 대인이에게 응 난 정화가 싫어.
희망감 정화 이타주의 교정적 가족의 재현 보편성 사회적 기술 학습 모방학습 대인관계 학습 집단 응집력 정화 실존적 요인
차단하기를 사용하는 상황을 3가지 이상
- 사실적 이야기를 늘어놓을 때
- 집단의 초점을 옮기려고 할 때
- 회기 종결이 다가왔을 때
- 비밀을 누설되려고 할 때
집단기초: 집단상담 장단점
장점
- 다양한 대인관계, 상호작용 경험
- 동시에 여러명 상담: 경제적
- 상담 참여에 대한 부담 적음
- 새로운 행동연습: 현실검증
단점
▶️비밀보장의 한계
-파기 가능성 집단원 전체 확대, 집단 밖의 일 통제x
▶️집단상담자 전문성 한계
-전문성 낮을 경우, 파괴적 결과 초래
▶️집단압력의 가능성
-when: 신뢰관계 구축 전, 집단원 다수와 다른 이질적
배경 가진 집단원
▶️개인 초점 제한성
▶️집단 장면 자체의 중독성
집단기초: 학교 집단상담의 유형
- 예방집단
- 발달과업 고려, 사전에 계획된 프로그램, 문제발생 방지 - 사후처치집단
- 흔히 겪는 문제 해결 조력 - 지지집단
- 상황변화/생활사건 인한 심리적 위기: 정서적 지지
- 동질집단 운영: 집단의 효율성 극대화, 민감주제O
- 기대효과: 보편성
집단기초: 학교 집단상담의 유형- 사후처치집단, 지지집단 비교(초점, 개입)
사후처치집단
- 초점: 대다수 학생이 겪는 문제
- 개입: 문제의 교정
지지집단
- 초점: 좀 더 개인적 문제
- 개입: 대처능력 강화
집단의 기초: 학교집단 상담vs 성인 집단상담 (진행방식, 지시성, 회기요약, 직면성, 목표지향성)
학교집단상담
- 구조화/반구조화
- 지시적
- 이전 회기 상세 요약
- 직면보단 공감적 이해, 수용
- 목표지향성: 성인집단보다🔻
- 성숙도: 낮은 성숙도
집단 종류: 성장집단 기본 가정
- 안전한 분위기, 지금-여기에서 생각*감정 교류
- 자신의 참모습 발견, 생각감정행동의 변화
- 인간적 성장에 이른다.
집단의 종류: 과업집단의 개념, 리더, 특징, 리더 과업
개념: 특정과업 완수 위한 목적의 집단
GT: 리더 또는 팀장
특징: 의식수준의 행동강조, 집단 역동을 활용하여 어떤 결과를 성공적 추출할지에 관심
리더의 임무: 지속적 과업수행, 상호작용 촉진
집단의 종류: 자조집단 리더, 운영방식, 특징
리더: 특정 문제를 이미 겪었거나, 극복한 사람이 ㄷ차례로 돌아가며 +
운영방식: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특정 문제중심
특징
- 어려움 공개, 필요한 정보 공유: 응집력쉽게 높아짐
- 지지, 격려의 힘입어 변화 체험▶️미래 희망 되찾음
집단의 유형: 지지집단 개념, 운영방식, 리더 역할
개념: 지지와 격려가 필요한 공통 관심사가 있는 사람들을 위함
운영방식: 자신의 경험에 대한 T/F 나누며, 관심사에 대해 지지/격려 주고 받음
리더역할
- 지지* 격려 기반으로 서로 F 나누도록 독려
- 사적 경험 초점: 자기개방 기반 진솔한 상호작용
집단의 종류(ASGW)
과제실행집단
- 국가나 조직에서 많이 사용
- 초점: 명시된 목표 성취
심리교육집단
- 집단안에서 C,F,B 개발하는 것 중점
- 초점: 교육적 결핍, 심리적 장애 예방
상담집단
- 일상적 문제, 대인관계 문제 해결조력
- 초점: 직업, 개인, 사회적 성장
치료집단
-심층, 심리적 측면 재조정
집단 형태에 따른 분류: 구조화 집단의 특징, 장단점
특징: 사전에 설정된 목표 달성 위한 구체적 활동으로 구성, 달성 위해 정해진 계획 절차로 진행
장점: 목표 달성에 걸리는 시간, 비용 절약
단점: 비구조화 집단에 비해 깊은 집단경험x
집단 형태에 따른 분류: 비구조화 집단 특징, 장단점
특징: 사전에 정해진 활동X, 개인 경험과 관심 토대로 상호작용
장점: 구조화에 비해 폭넓은 자기탐색
단점: GC 상호작용 촉진시킬 수O GT의 높은 자질 요구
집단형태에 따른 분류: 동질집단 특징, 장단점
동질집단: 인구통계학적 배경 유사
장점
- 조기에 응집력 높아짐
- 참석률 높고, 갈등 적음
단점
-깊이가 다소 피상적, 표면적 수준 : 치료집단 비효과적
집단형태에 따른 분류: 이질집단 특징, 장단점
특징: 인구통계학적 배경 다름
장점
- 갈등 유발가능성 높음: 역동적 상호작용 촉진, 개인의 성장과 문제해결 증진에 효과적
- 현실생활과 비슷, 현실검증의 기회
단점
-GT: 상호작용의 역동, 갈등 충분히 다룰 수 있어야 함.
집단형태에 따른 분류: 집중집단/ 분산집단 특징,
집중집단
- 일정기간 집중적으로 실시
- 심도깊은 통찰, 역동적 상호작용 활발
- 대표적: 마라톤 집단
분산집단
- 보통 주 1회
- 나머지 1주일간 배운것 숙고, 적용하고 실천O
집단작업, 집단 역동의 개념과 차원
집단작업: 집단원의 목표 달성 돕기 위해 GT 집단역동 촉진, 전문적 역량 실행
- 집단과정
- 집단내용
집단역동: 집단원 간, 집단원-GT 간 상호작요에서 발생하는 힘
- 심리내적 수준
- 대인 간 수준
- 전체로서의 집단 수준
집단역동 다루기: 전체로서의 집단역동 다루기 위해 하는 질문
- 집단원 간, 집단원과 GT, 집단 안밖의 경계가 분명
- 집단 규범 존재하는가
- 집단상담자 리더쉽: 적극적? 우호적? 개방적?
집단역동: 영향요소 8가지
집단원 배경, 집단목적의 명료성, 집단 크기, 집단회기 길이, 모임장소, 모임 빈도수, 모임시간, 집단참여동기
집단역동: 영향요소 - 집단의 크기에 따른 특징
큰 경우
- 개인에게 주어지는 시간 적음
- 자기개방 주저, 응집력 저하
- 상호작용이 산만해짐ㄸ
작은 경우
-참여에 부담: 위축*소극적 태도
집단역동: 영향요소- 적절한 모임장소
접근 용이 방음이 잘 되는지 편안*안락: 안락의자x, 동일한 의자 탁자사용: 구조화된 활동 할 때에만 좌석배열: 몸 돌리지 않고 전체와 대면하는 원형이 굿
집단역동: 영향요소 - 탁자 사용을 평소에 피하는 것이 좋은 이유
구성원의 시선 가로막아, 행동관찰x, 역동적 상호작용 저해
집단역동: 영향요소- 모임 빈도 수에 따른 특징
너무 자주
-이전 회기 성찰*과제를 일상에 적용할 시간이 충분하지x
너무 먼 간격
-회기 간 연결성 약화, 다시 만날 때 생소한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