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322 Week 7 Flashcards
Q01. 다음 중 약을 만들 때, 火(화)를 쓰는 방법이 잘 못 연결된 것은? ( ) 煆(하)라는 것은 뜨거운 것으로 약을 데우는 것이다. 炮(포)라는 것은 안과 밖을 구분해서 따로 구워서 쓰는 것이다. 炙(자)라는 것은 잘라서 불 위에 놓고 조금씩 구워서 쓰는 것이다. 炒(초)라는 것은 팬 같은 곳에 볶는 것을 말한다.
약에서 火(화)를 쓰는 것은 煆(하), 炮(포), 炙(자), 炒(초)가 있다.
• 煆(하)라는 것은 뜨거운 것으로 약을 데우는 것이다. 데울 하
• 炮(포)라는 것은 통째로 구워서 쓰는 것이다. 통째로 구울 포
• 炙(자)라는 것은 잘라서 불 위에 놓고 조금씩 구워서 쓰는 것이다.
• 炒(초)라는 것은 팬 같은 곳에 볶는 것을 말한다.
광물성 약재에 煆(하)라는 말이 많다. 돌 위에다 놓고 뜨거운 불로 달달 데워서 광물성의 조열한 성질을 완화시킬 때 煆(하)한다.
Q02. 다음 중 돌 위에다 놓고 뜨거운 불로 달달 데워서 광물성의 조열한 성질을 완화시킬 때에 사용하는 방법은? ( ) 煆(하) 炮(포) 炙(자) 炒(초)
광물성 약재에 煆(하)라는 말이 많다. 돌 위에다 놓고 뜨거운 불로 달달 데워서 광물성의 조열한 성질을 완화시킬 때 煆(하)한다.
Q03. 다음 중 약을 만들 때 水(수)로 제조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 漬(지) 泡(포) 洗(세) 煆(하)
水(수)로 제조하는 경우는 漬(지), 泡(포), 洗(세)가 있다.
• 漬(지): 담글 지
- 漬(지)의 경우는 물 속에 오래 담가 놓는 것이다. 담근 후에 쓰는게
漬(지)해서 쓰는 것이다.
예) 염교는 대부분 인경을 초지(식초에 담근 식품)로 이용되며
중국에서는 초지(酢漬), 당초지(糖酢漬), 밀지(密漬)로 해서 사용한다.
• 泡(포)의 경우는 넣어서 거품이 보글보글 날 때까지 담가 두었다가 사하는 것이 泡(포)해서 쓰는 것이다.
• 洗(세)의 경우는 술로 씻거나 물로 씻어서 하는 것이다.
Q04. 다음 중 약을 만들 때 水火(수화)를 같이 쓰는 제조법이 아닌 것은? ( ) 蒸(증) 煮(자) 煎(전) 泡(포)
水火(수화)를 같이 쓰는 제조법의 경우는 蒸(증), 煮(자)나 煎(전)
• 蒸(증)의 경우는 찌는 것을 말한다.
• 煮(자)나 煎(전)은 똑같은 말이다. 물에 넣고 끊이는 것이다.
감기약 같은 경우는 빨리 달여 먹어야 한다. 30분-1시간 달여서 먹어도 된다.
몸 속 깊은데 작용하려고 만든 약은 천천히 오래 달여야 안에 스며들 수 있다.
Q05. 다음 중 약 먹는 방법이 잘 못 된 것은? ( ) 병이 흉격 위에 있을 때는 먼저 밥을 먹고 약을 먹는다. 병이 심복 아래에 있을 때는 먼저 약을 먹고 난 다음에 밥을 먹는다. 병이 팔다리, 손끝이나 혈맥, 피부 이런 곳에 있으면 공복에 먹는다. 골수염이나 뼈가 시리는 경우에는 공복에 먹는다.
약 먹는 법
병이 흉격 위에 있을 때는 먼저 밥을 먹고 약을 먹는다.
- 얼굴에 병이 있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목이 아프거나 이럴 때는 식후 30분, 1시간
이후에 먹인다.
병이 심복 아래에 있을 때는 먼저 약을 먹고 난 다음에 밥을 먹는 것이다.
- 예) 신허로 육미지황탕을 먹는다면 식전 30분이나 1시간에 먹어야 한다.
약을 먼저 먹이면 음식의 하강하는 기운에 힘입어서 약력을 끌고 내려간다.
예) 만약에 무릎이 아프다면 식전에 약을 먹게 한다.
병이 팔다리, 손끝이나 혈맥, 피부 이런 곳에 있으면 공복에 먹는다.
- 빈속에 약을 먹으면 어디 걸리는 게 없으니까 팔다리, 혈맥으로 소통이 잘 된다.
병이 손가락에 있다고 한다면, 약을 공복에 먹어야 한다.
아침에 일어나서 공복에 약을 먹는 게 팔다리, 사지나 혈맥에 병이 있을 때 제일 좋은 것이다.
골수염이나 뼈가 시리는 경우에는 밥을 잔뜩 배부르게 먹고 그 후에 약을 먹인다.
- 약기운이 음식에 섞여서 천천히 골수까지 스며들어가게 한다.
골수에 병이 있는 경우 약을 하루 중에 한 번 먹여야 할 때, 어느 때가 제일 좋냐?
- 밤에 잠들기 전에 먹인다. 그 때에는 약기운이 몸 안으로 깊숙히 들어간다.
- 본초강목-병의 위치에 따라 약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
병이 아래에 있는 사람은 천천히 한꺼번에 많이 사용한다.
조금씩 약을 먹는 것은 위를 자양하고 치료하는 작용이 있고, 많이 먹는 것은 아래를 아주 세게 보하는 기능이 있다.
허리병을 고칠 때는 약물을 많이 무겁게 해서 식전에 먹이고, 상부에 병이 있을 때는 조금씩 가볍게 해서 식후에 먹인다.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
淸化熱痰藥(청화열담약)이란 주로 性質(성질)이 차서 痰熱(담열)과 燥痰(조담)을 治療(치료)한다. 咳嗽(해수) 외에도 痰熱(담열)로 생긴 瘰癧(나력), 癭瘤(영류), 驚風(경풍) 등도 治療(치료)한다. 現代(현대) 醫學的(의학적) 觀點(관점)에서 보면, 祛痰(거담), 鎭咳(진해), 抗炎(항염), 鎭靜(진정)하는 性質(성질)을 가지고 있다.
• 瘰癧(나력) : 목 부분(部分)의 임파선(淋巴腺) 만성(慢性) 종창(腫脹).
결핵성(結核性)의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두 가지로 구별(區別)함.
• 癭瘤(영류) : 혹. 병적으로 불거져 나온 살덩이
• 驚風(경풍) : 어린애들의 경련(痙攣)을 일컫는 말.
• 鎭咳(진해) : 기침을 멎게 함
• 抗炎(항염) : 염증을 억제하거나 없앰.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
- 前胡(전호)
- 川貝母(천패모)
- 浙貝母(절패모)
- 栝樓(괄루)(瓜蔞(과루)
瓜蔞皮(과루피) - 栝樓仁(괄루인)(瓜蔞仁)(과루인)
- 天花粉(천화분)(瓜蔞根)(과루근)
- 竹茹(죽여)
- 海藻(해조)(바닷말)
- 天竹黃(천죽황)
- 竹瀝(죽력)
- 浮海石(부해석)
- 海蛤殼(해합각)
- 昆布(곤포)
- 胖大海(반대해)
- 猴棗(후조)
- 澤漆(택칠)
- 黃藥子(황약자)
Q06.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전호 천패모 죽여 후조 택칠
전호
Q07. 다음 중 전호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苦 辛 微寒 有毒
- 前胡(전호) 바디나물 및 흰꽃바디나물의 根(근)
• 性味 : 苦 辛 微寒
• 歸經 : 肺
Q08. 다음 중 전호의 효능과 주치는? ( , ) 降氣祛痰(강기거담) 降逆氣(강역기) 止痙(지경) 解表風熱(해표풍열) 散結消脹(산결소창)
• 效能과 主治
1) 降氣祛痰(강기거담) - 肺熱(폐열) 咳嗽喘息(해수천식)
- 전호는 강기화담의 작용을 한다. 항상 상백피, 패모, 행인 등과 같이
쓰며, 천해담점흉비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즉 전호산과 같은 것이다.
2) 解表風熱(해표풍열) – 外感風寒證(외감풍한증)에도 使用(사용)한다.
- 전호는 신산고강하므로 선산풍열의 효능이 있어 외감으로 인한 풍열,
특히 울폐하여 초래된 해수에 대단히 효과가 좋다. 항상 박하, 우방자,
길경과 같이 사용한다.
Q09. 다음 중 전호와 상외 약재는? ( ) 오두 여로 감초 인삼
藜蘆(여로)와 相畏(상외)
두 가지의 약을 배합하여 쓸 때, 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독성이나 강렬한 성질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일.
Q10. 다음 중 전호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桑白皮(상백피), 貝母(패모) - 폐열 2) 白前(백전) - 외감해수 3) 桔梗(길경), 薄荷(박하) - 외감풍열 4) 厚朴(후박) - 담으로 온 해수 복창
• 주요 약대
1) 桑白皮(상백피), 貝母(패모) - 폐열 2) 白前(백전) - 외감해수 3) 桔梗(길경), 薄荷(박하) - 외감풍열 • 用量 4.5-9g • 참고 其功長于下氣(기공장우하기) 氣下則(기하즉) 火降痰降(화강담강)
Q11.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전호 천패모 과루 후조 택칠
천패모
Q12. 다음 중 천패모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苦 甘 微寒 有毒
- 性味 : 苦 辛 微寒
* 歸經 : 肺
Q13. 다음 중 천패모의 귀경은? ( ) 肺 肝 脾 膽 心
- 性味 : 苦 辛 微寒
* 歸經 : 肺
Q14. 다음 중 천패모의 효능과 주치는? ( , ) 淸熱化痰(청열화담) 淸熱散結(청열산결) 燥濕祛痰(조습거담) 散經絡風痰(산경락풍담) 止痙(지경)
• 效能과 主治
1) 降氣祛痰(강기거담) - 肺熱(폐열) 咳嗽喘息(해수천식)
- 전호는 강기화담의 작용을 한다. 항상 상백피, 패모, 행인 등과 같이
쓰며, 천해담점흉비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즉 전호산과 같은 것이다.
2) 解表風熱(해표풍열) – 外感風寒證(외감풍한증)에도 使用(사용)한다.
- 전호는 신산고강하므로 선산풍열의 효능이 있어 외감으로 인한 풍열,
특히 울폐하여 초래된 해수에 대단히 효과가 좋다. 항상 박하, 우방자,
길경과 같이 사용한다.
Q15. 다음 중 천패모의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한습담으로 오는 해수 열습담으로 오는 해수 조담으로 오는 해수 폐조열로 오는 해수 비허로 오는 해수
1) 寒濕痰(한습담)으로 오는 咳嗽(해수)에는 效果(효과) 없다.
Q16. 다음 중 천패모의 상반 약재는?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生薑(생강)
2) 相反(상반) 烏頭(오두), 相畏(상외) 秦艽(진교)
Q17. 다음 중 천패모의 상외 약재는?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生薑(생강) 秦艽(진교)
2) 相反(상반) 烏頭(오두), 相畏(상외) 秦艽(진교)
Q18. 다음 중 천패모의 주요 약대가 잘못된 것은? ( )
1) 知母(지모) - 폐음허화동 2) 杏仁(행인) - 해수 천식 다담 3) 枇杷葉(비파엽), 麥門冬(맥문동), 玉竹(옥죽) - 만성 해수 4) 遠志(원지), 茯苓(복령), 瓜蔞(과루) - 흉비 5) 浙貝母(절패모)- 습답조체
• 주요 약대
1) 知母(지모) - 폐음허화동
2) 杏仁(행인) - 해수 천식 다담
3) 枇杷葉(비파엽), 麥門冬(맥문동), 玉竹(옥죽) - 만성 해수
4) 遠志(원지), 茯苓(복령), 瓜蔞(과루) - 흉비
5) 浙貝母(절패모) - 나력 옹종
• 用量 3-12g, 1-1.5g(산)
Q19. 절패모는 보음(補陰) 작용으로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한다. ( )
• 참고
川貝母(천패모) - 潤肺化痰止咳(윤폐화담지해), 治陰虛(치음허)/ 肺燥咳嗽(폐조해수)
折貝母(절패모) - 淸火散結(청화산결), 治風熱(치풍열)/ 痰火鬱結咳嗽(담화울결해수)
천패모는 차갑고 단맛을 띠는데, 절패모는 차가우나 쓴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패모는 보음(補陰) 작용으로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하고, 절패모는 청열(淸熱) 작용으로 뭉친 것을 풀어주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즉, 내상(內傷) 허증(虛證)에는 천패모를, 외감(外感) 실증(實證)에는 절패모를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절패모이다. 패모는 성질이 차가운 관계로 습담(濕痰)이나 한담(寒痰)으로 인한 기침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Q20. 천패모는 청열(淸熱) 작용으로 뭉친 것을 풀어주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 )
• 참고
川貝母(천패모) - 潤肺化痰止咳(윤폐화담지해), 治陰虛(치음허)/ 肺燥咳嗽(폐조해수)
折貝母(절패모) - 淸火散結(청화산결), 治風熱(치풍열)/ 痰火鬱結咳嗽(담화울결해수)
천패모는 차갑고 단맛을 띠는데, 절패모는 차가우나 쓴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패모는 보음(補陰) 작용으로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하고, 절패모는 청열(淸熱) 작용으로 뭉친 것을 풀어주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즉, 내상(內傷) 허증(虛證)에는 천패모를, 외감(外感) 실증(實證)에는 절패모를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절패모이다. 패모는 성질이 차가운 관계로 습담(濕痰)이나 한담(寒痰)으로 인한 기침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Q21. 내상(內傷) 허증(虛證)에는 절패모를, 외감(外感) 실증(實證)에는 천패모를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 ( )
• 참고
川貝母(천패모) - 潤肺化痰止咳(윤폐화담지해), 治陰虛(치음허)/ 肺燥咳嗽(폐조해수)
折貝母(절패모) - 淸火散結(청화산결), 治風熱(치풍열)/ 痰火鬱結咳嗽(담화울결해수)
천패모는 차갑고 단맛을 띠는데, 절패모는 차가우나 쓴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패모는 보음(補陰) 작용으로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하고, 절패모는 청열(淸熱) 작용으로 뭉친 것을 풀어주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즉, 내상(內傷) 허증(虛證)에는 천패모를, 외감(外感) 실증(實證)에는 절패모를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절패모이다. 패모는 성질이 차가운 관계로 습담(濕痰)이나 한담(寒痰)으로 인한 기침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川貝母(천패모)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패모는 뭉쳐진 기운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한다.
패모는 조한 것을 윤택하게 하고 담을 잘 사그라들게 한다. 패모는 순한 약이다.
- 어린아이들이나 허약한 사람들이 자꾸 가래를 뱉는 경우에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감기 끝 무렵에 허증이고 음증인 사람은 삼소음에 패모를 사용한다.
생지황과 백합과 패모를 같이 쓰면 피를 쏟아낼 때 진정을 시키면서 가라앉힌다.
후박과 함께 쓰면 하강시키면서 진정시킨다.
혈담이 있거나 만성해수 이런데는 보음약과 같이 사용한다.
주의! 한습한 성질의 담이 성할 때 패모를 쓰면 안된다.
패모는 윤조화담 시키는 작용이 있다.
폐가 손상되어서 목이 아프고 가래가 많은 기침을 하면서 객혈하는 사람들(음허한 사람들)
- 백합고금환(생지황, 숙지황, 맥문동, 백합, 백작약, 당귀, 패모, 생감초, 현삼, 길경)
- 밤에 담배를 많이 피우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이나 땅 밑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처방이다.
이모산(二母散)
이 처방은 새벽에 기침을 심하게 하고, 담(痰)이 성하여 숨이 찬 데 쓴다.
패모·지모 각 40그램, 파두 10알
이 약들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그램씩 생강 3쪽과 함께 잠잘 무렵에 잘 씹어서
따뜻한 물로 먹는다.
패모산(貝母散)
이 처방은 폐열로 기침을 하고, 가래가 나오면서 입 안이 마르고, 목이 쉬며
열이 나는 데 쓴다. 또는 오랜 기침에 쓴다.
행인 12그램, 관동화 8그램, 지모 6그램, 패모·상백피·오미자·감초 각 4그램, 생강 3쪽
이 약들을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