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322 Week 7 Flashcards

1
Q
Q01. 다음 중 약을 만들 때, 火(화)를 쓰는 방법이 잘 못 연결된 것은? (     ) 
煆(하)라는 것은 뜨거운 것으로 약을 데우는 것이다.
炮(포)라는 것은 안과 밖을 구분해서 따로 구워서 쓰는 것이다.
炙(자)라는 것은 잘라서 불 위에 놓고 조금씩 구워서 쓰는 것이다.
炒(초)라는 것은 팬 같은 곳에 볶는 것을 말한다.
A

약에서 火(화)를 쓰는 것은 煆(하), 炮(포), 炙(자), 炒(초)가 있다.
• 煆(하)라는 것은 뜨거운 것으로 약을 데우는 것이다. 데울 하
• 炮(포)라는 것은 통째로 구워서 쓰는 것이다. 통째로 구울 포
• 炙(자)라는 것은 잘라서 불 위에 놓고 조금씩 구워서 쓰는 것이다.
• 炒(초)라는 것은 팬 같은 곳에 볶는 것을 말한다.

광물성 약재에 煆(하)라는 말이 많다. 돌 위에다 놓고 뜨거운 불로 달달 데워서 광물성의 조열한 성질을 완화시킬 때 煆(하)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Q02. 다음 중 돌 위에다 놓고 뜨거운 불로 달달 데워서 광물성의 조열한 성질을 완화시킬 때에 사용하는 방법은? (      )
煆(하)
炮(포)
炙(자)
炒(초)
A

광물성 약재에 煆(하)라는 말이 많다. 돌 위에다 놓고 뜨거운 불로 달달 데워서 광물성의 조열한 성질을 완화시킬 때 煆(하)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Q03. 다음 중 약을 만들 때 水(수)로 제조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
漬(지)
泡(포)
洗(세)
煆(하)
A

水(수)로 제조하는 경우는 漬(지), 泡(포), 洗(세)가 있다.
• 漬(지): 담글 지
- 漬(지)의 경우는 물 속에 오래 담가 놓는 것이다. 담근 후에 쓰는게
漬(지)해서 쓰는 것이다.
예) 염교는 대부분 인경을 초지(식초에 담근 식품)로 이용되며
중국에서는 초지(酢漬), 당초지(糖酢漬), 밀지(密漬)로 해서 사용한다.
• 泡(포)의 경우는 넣어서 거품이 보글보글 날 때까지 담가 두었다가 사하는 것이 泡(포)해서 쓰는 것이다.
• 洗(세)의 경우는 술로 씻거나 물로 씻어서 하는 것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Q04. 다음 중 약을 만들 때 水火(수화)를 같이 쓰는 제조법이 아닌 것은?  (      )
蒸(증)
煮(자)
煎(전)
泡(포)
A

水火(수화)를 같이 쓰는 제조법의 경우는 蒸(증), 煮(자)나 煎(전)
• 蒸(증)의 경우는 찌는 것을 말한다.
• 煮(자)나 煎(전)은 똑같은 말이다. 물에 넣고 끊이는 것이다.
감기약 같은 경우는 빨리 달여 먹어야 한다. 30분-1시간 달여서 먹어도 된다.
몸 속 깊은데 작용하려고 만든 약은 천천히 오래 달여야 안에 스며들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Q05. 다음 중 약 먹는 방법이 잘 못 된 것은? (      )
병이 흉격 위에 있을 때는 먼저 밥을 먹고 약을 먹는다.
병이 심복 아래에 있을 때는 먼저 약을 먹고 난 다음에 밥을 먹는다.
병이 팔다리, 손끝이나 혈맥, 피부 이런 곳에 있으면 공복에 먹는다. 
골수염이나 뼈가 시리는 경우에는 공복에 먹는다.
A

약 먹는 법
병이 흉격 위에 있을 때는 먼저 밥을 먹고 약을 먹는다.
- 얼굴에 병이 있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목이 아프거나 이럴 때는 식후 30분, 1시간
이후에 먹인다.
병이 심복 아래에 있을 때는 먼저 약을 먹고 난 다음에 밥을 먹는 것이다.
- 예) 신허로 육미지황탕을 먹는다면 식전 30분이나 1시간에 먹어야 한다.
약을 먼저 먹이면 음식의 하강하는 기운에 힘입어서 약력을 끌고 내려간다.
예) 만약에 무릎이 아프다면 식전에 약을 먹게 한다.
병이 팔다리, 손끝이나 혈맥, 피부 이런 곳에 있으면 공복에 먹는다.
- 빈속에 약을 먹으면 어디 걸리는 게 없으니까 팔다리, 혈맥으로 소통이 잘 된다.
병이 손가락에 있다고 한다면, 약을 공복에 먹어야 한다.

아침에 일어나서 공복에 약을 먹는 게 팔다리, 사지나 혈맥에 병이 있을 때 제일 좋은 것이다.
골수염이나 뼈가 시리는 경우에는 밥을 잔뜩 배부르게 먹고 그 후에 약을 먹인다.
- 약기운이 음식에 섞여서 천천히 골수까지 스며들어가게 한다.
골수에 병이 있는 경우 약을 하루 중에 한 번 먹여야 할 때, 어느 때가 제일 좋냐?
- 밤에 잠들기 전에 먹인다. 그 때에는 약기운이 몸 안으로 깊숙히 들어간다.
- 본초강목-병의 위치에 따라 약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

병이 아래에 있는 사람은 천천히 한꺼번에 많이 사용한다.
조금씩 약을 먹는 것은 위를 자양하고 치료하는 작용이 있고, 많이 먹는 것은 아래를 아주 세게 보하는 기능이 있다.
허리병을 고칠 때는 약물을 많이 무겁게 해서 식전에 먹이고, 상부에 병이 있을 때는 조금씩 가볍게 해서 식후에 먹인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

A

淸化熱痰藥(청화열담약)이란 주로 性質(성질)이 차서 痰熱(담열)과 燥痰(조담)을 治療(치료)한다. 咳嗽(해수) 외에도 痰熱(담열)로 생긴 瘰癧(나력), 癭瘤(영류), 驚風(경풍) 등도 治療(치료)한다. 現代(현대) 醫學的(의학적) 觀點(관점)에서 보면, 祛痰(거담), 鎭咳(진해), 抗炎(항염), 鎭靜(진정)하는 性質(성질)을 가지고 있다.

• 瘰癧(나력) : 목 부분(部分)의 임파선(淋巴腺) 만성(慢性) 종창(腫脹).
결핵성(結核性)의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두 가지로 구별(區別)함.
• 癭瘤(영류) : 혹. 병적으로 불거져 나온 살덩이
• 驚風(경풍) : 어린애들의 경련(痙攣)을 일컫는 말.
• 鎭咳(진해) : 기침을 멎게 함
• 抗炎(항염) : 염증을 억제하거나 없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

A
  1. 前胡(전호)
  2. 川貝母(천패모)
  3. 浙貝母(절패모)
  4. 栝樓(괄루)(瓜蔞(과루)
    瓜蔞皮(과루피)
  5. 栝樓仁(괄루인)(瓜蔞仁)(과루인)
  6. 天花粉(천화분)(瓜蔞根)(과루근)
  7. 竹茹(죽여)
  8. 海藻(해조)(바닷말)
  9. 天竹黃(천죽황)
  10. 竹瀝(죽력)
  11. 浮海石(부해석)
  12. 海蛤殼(해합각)
  13. 昆布(곤포)
  14. 胖大海(반대해)
  15. 猴棗(후조)
  16. 澤漆(택칠)
  17. 黃藥子(황약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Q06.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전호
천패모
죽여
후조
택칠
A

전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Q07. 다음 중 전호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苦 
辛 
微寒 
有毒
A
  1. 前胡(전호) 바디나물 및 흰꽃바디나물의 根(근)
    • 性味 : 苦 辛 微寒
    • 歸經 : 肺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Q08. 다음 중 전호의 효능과 주치는? (      ,       )   
降氣祛痰(강기거담)
降逆氣(강역기)
止痙(지경)
解表風熱(해표풍열)
散結消脹(산결소창)
A

• 效能과 主治
1) 降氣祛痰(강기거담) - 肺熱(폐열) 咳嗽喘息(해수천식)
- 전호는 강기화담의 작용을 한다. 항상 상백피, 패모, 행인 등과 같이
쓰며, 천해담점흉비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즉 전호산과 같은 것이다.
2) 解表風熱(해표풍열) – 外感風寒證(외감풍한증)에도 使用(사용)한다.
- 전호는 신산고강하므로 선산풍열의 효능이 있어 외감으로 인한 풍열,
특히 울폐하여 초래된 해수에 대단히 효과가 좋다. 항상 박하, 우방자,
길경과 같이 사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Q09. 다음 중 전호와 상외 약재는? (       )
오두
여로
감초
인삼
A

藜蘆(여로)와 相畏(상외)

두 가지의 약을 배합하여 쓸 때, 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독성이나 강렬한 성질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Q10. 다음 중 전호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桑白皮(상백피), 貝母(패모) - 폐열  
    2) 白前(백전) - 외감해수  
    3) 桔梗(길경), 薄荷(박하) - 외감풍열 
    4) 厚朴(후박) - 담으로 온 해수 복창
A

• 주요 약대

	        1) 桑白皮(상백피), 貝母(패모) - 폐열  
            2) 白前(백전) - 외감해수  
            3) 桔梗(길경), 薄荷(박하) - 외감풍열 

      • 用量	4.5-9g 
      • 참고
           其功長于下氣(기공장우하기) 氣下則(기하즉) 火降痰降(화강담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Q11.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전호
천패모
과루
후조
택칠
A

천패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Q12. 다음 중 천패모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苦 
甘 
微寒
有毒
A
  • 性味 : 苦 辛 微寒

* 歸經 : 肺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Q13. 다음 중 천패모의 귀경은? (      )
肺
肝 
脾 
膽 
心
A
  • 性味 : 苦 辛 微寒

* 歸經 : 肺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Q14. 다음 중 천패모의 효능과 주치는? (        ,         )
淸熱化痰(청열화담)
淸熱散結(청열산결)
燥濕祛痰(조습거담)
散經絡風痰(산경락풍담)
止痙(지경)
A

• 效能과 主治
1) 降氣祛痰(강기거담) - 肺熱(폐열) 咳嗽喘息(해수천식)
- 전호는 강기화담의 작용을 한다. 항상 상백피, 패모, 행인 등과 같이
쓰며, 천해담점흉비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즉 전호산과 같은 것이다.
2) 解表風熱(해표풍열) – 外感風寒證(외감풍한증)에도 使用(사용)한다.
- 전호는 신산고강하므로 선산풍열의 효능이 있어 외감으로 인한 풍열,
특히 울폐하여 초래된 해수에 대단히 효과가 좋다. 항상 박하, 우방자,
길경과 같이 사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Q15. 다음 중 천패모의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한습담으로 오는 해수
열습담으로 오는 해수
조담으로 오는 해수
폐조열로 오는 해수
비허로 오는 해수
A

1) 寒濕痰(한습담)으로 오는 咳嗽(해수)에는 效果(효과) 없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Q16. 다음 중 천패모의 상반 약재는?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生薑(생강)
A

2) 相反(상반) 烏頭(오두), 相畏(상외) 秦艽(진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Q17. 다음 중 천패모의 상외 약재는?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生薑(생강) 
秦艽(진교)
A

2) 相反(상반) 烏頭(오두), 相畏(상외) 秦艽(진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Q18. 다음 중 천패모의 주요 약대가 잘못된 것은? ( )

       1) 知母(지모) - 폐음허화동  
       2) 杏仁(행인) - 해수 천식 다담  
       3) 枇杷葉(비파엽), 麥門冬(맥문동), 玉竹(옥죽) - 만성 해수
       4) 遠志(원지), 茯苓(복령), 瓜蔞(과루) - 흉비  
       5) 浙貝母(절패모)-  습답조체
A

• 주요 약대
1) 知母(지모) - 폐음허화동
2) 杏仁(행인) - 해수 천식 다담
3) 枇杷葉(비파엽), 麥門冬(맥문동), 玉竹(옥죽) - 만성 해수
4) 遠志(원지), 茯苓(복령), 瓜蔞(과루) - 흉비
5) 浙貝母(절패모) - 나력 옹종
• 用量 3-12g, 1-1.5g(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Q19. 절패모는 보음(補陰) 작용으로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한다. ( )

A

• 참고
川貝母(천패모) - 潤肺化痰止咳(윤폐화담지해), 治陰虛(치음허)/ 肺燥咳嗽(폐조해수)
折貝母(절패모) - 淸火散結(청화산결), 治風熱(치풍열)/ 痰火鬱結咳嗽(담화울결해수)

           천패모는 차갑고 단맛을 띠는데, 절패모는 차가우나 쓴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패모는 보음(補陰) 작용으로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하고,
           절패모는 청열(淸熱) 작용으로 뭉친 것을 풀어주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즉, 내상(內傷) 허증(虛證)에는 천패모를, 외감(外感) 실증(實證)에는 절패모를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절패모이다. 패모는
           성질이 차가운 관계로 습담(濕痰)이나 한담(寒痰)으로 인한 기침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Q20. 천패모는 청열(淸熱) 작용으로 뭉친 것을 풀어주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 )

A

• 참고
川貝母(천패모) - 潤肺化痰止咳(윤폐화담지해), 治陰虛(치음허)/ 肺燥咳嗽(폐조해수)
折貝母(절패모) - 淸火散結(청화산결), 治風熱(치풍열)/ 痰火鬱結咳嗽(담화울결해수)

           천패모는 차갑고 단맛을 띠는데, 절패모는 차가우나 쓴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패모는 보음(補陰) 작용으로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하고,
           절패모는 청열(淸熱) 작용으로 뭉친 것을 풀어주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즉, 내상(內傷) 허증(虛證)에는 천패모를, 외감(外感) 실증(實證)에는 절패모를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절패모이다. 패모는
           성질이 차가운 관계로 습담(濕痰)이나 한담(寒痰)으로 인한 기침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Q21. 내상(內傷) 허증(虛證)에는 절패모를, 외감(外感) 실증(實證)에는 천패모를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 ( )

A

• 참고
川貝母(천패모) - 潤肺化痰止咳(윤폐화담지해), 治陰虛(치음허)/ 肺燥咳嗽(폐조해수)
折貝母(절패모) - 淸火散結(청화산결), 治風熱(치풍열)/ 痰火鬱結咳嗽(담화울결해수)

           천패모는 차갑고 단맛을 띠는데, 절패모는 차가우나 쓴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패모는 보음(補陰) 작용으로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열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하고,
           절패모는 청열(淸熱) 작용으로 뭉친 것을 풀어주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즉, 내상(內傷) 허증(虛證)에는 천패모를, 외감(外感) 실증(實證)에는 절패모를 쓰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절패모이다. 패모는
           성질이 차가운 관계로 습담(濕痰)이나 한담(寒痰)으로 인한 기침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川貝母(천패모)

A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패모는 뭉쳐진 기운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한다.
패모는 조한 것을 윤택하게 하고 담을 잘 사그라들게 한다. 패모는 순한 약이다.
- 어린아이들이나 허약한 사람들이 자꾸 가래를 뱉는 경우에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감기 끝 무렵에 허증이고 음증인 사람은 삼소음에 패모를 사용한다.
생지황과 백합과 패모를 같이 쓰면 피를 쏟아낼 때 진정을 시키면서 가라앉힌다.
후박과 함께 쓰면 하강시키면서 진정시킨다.
혈담이 있거나 만성해수 이런데는 보음약과 같이 사용한다.
주의! 한습한 성질의 담이 성할 때 패모를 쓰면 안된다.

패모는 윤조화담 시키는 작용이 있다.
폐가 손상되어서 목이 아프고 가래가 많은 기침을 하면서 객혈하는 사람들(음허한 사람들)
- 백합고금환(생지황, 숙지황, 맥문동, 백합, 백작약, 당귀, 패모, 생감초, 현삼, 길경)
- 밤에 담배를 많이 피우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이나 땅 밑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처방이다.

이모산(二母散)
이 처방은 새벽에 기침을 심하게 하고, 담(痰)이 성하여 숨이 찬 데 쓴다.
패모·지모 각 40그램, 파두 10알
이 약들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그램씩 생강 3쪽과 함께 잠잘 무렵에 잘 씹어서
따뜻한 물로 먹는다.

패모산(貝母散)
이 처방은 폐열로 기침을 하고, 가래가 나오면서 입 안이 마르고, 목이 쉬며
열이 나는 데 쓴다. 또는 오랜 기침에 쓴다.
행인 12그램, 관동화 8그램, 지모 6그램, 패모·상백피·오미자·감초 각 4그램, 생강 3쪽
이 약들을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Q22. 다음 중 절패모의 성미는? (      ,       )
苦 
甘 
微寒
寒
A
  1. 浙貝母(절패모)
    • 性味 : 苦 寒 川貝母(천패모) 苦 甘 微寒
    • 歸經 : 肺 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Q23. 다음 중 절패모의 귀경은? (       ,        )
肝 
肺 
心
胃
腎
A
  1. 浙貝母(절패모)
    • 性味 : 苦 寒 川貝母(천패모) 苦 甘 微寒
    • 歸經 : 肺 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Q24. 다음 중 절패모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連翹(연교), 牛蒡子(우방자) - 외감풍열 해수  
    2) 玄蔘(현삼), 牡蠣(모려), 夏枯草(하고초) - 담화나력  
    3) 海螵蛸(해표초) – 상복통 탄산
    4) 金銀花(금은화), 蒲公英(포공영), 菊花(국화) - 옹종창양 초기에 최고  
    5) 薏苡仁(의이인), 冬瓜仁(동과인), 魚腥草(어성초) – 유옹
A

• 주요 약대
1) 連翹(연교), 牛蒡子(우방자) - 외감풍열 해수
2) 玄蔘(현삼), 牡蠣(모려), 夏枯草(하고초) - 담화나력
3) 海螵蛸(해표초) – 상복통 탄산
4) 金銀花(금은화), 蒲公英(포공영), 菊花(국화) - 옹종창양 초기에 최고
5) 薏苡仁(의이인), 冬瓜仁(동과인), 魚腥草(어성초) – 폐옹
• 用量 3-9g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浙貝母(절패모)

A

절패모는 천패모에 비해서 조성이 강하다.
심한 위궤양이나 출혈성 위염
- 오패산(오적골, 절패모) + 황련해독탕 + 대황을 소량으로 산제로 사용
- 3-4일 정도만 사용해도 효과 좋다.
- 보통 일주일 ~ 보름 사용하면 아무 심한 위궤양이라도 치료 가능하다.
- 양방약은 재발하지만, 이 약은 재발하지 않는다.
만성해수나 임파선염에도 많이 사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Q25.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전호
천패모
과루
후조
택칠
A

과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Q26. 다음 중 과루의 성미는?  (       ,         )
甘 
苦 
辛
寒 
微溫
A

• 性味 : 甘 寒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Q27. 다음 중 과루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肺
肝 
大腸
心
A

• 歸經 : 肺 大腸 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Q28. 다음 중 과루의 효능과 주치는? (        ,        )
淸熱化痰熱(청열화담열)
開胸散結(개흉산결)
祛風濕(거풍습) 
通經絡(통경락) 
治太陰頭痛(치태음두통)
A

• 效能과 主治
1) 淸熱化痰熱(청열화담열) - 熱症咳嗽(열증해수)로 痰(담)이 두텁고 잘 뱉어지지 않을 때
- 과루는 감, 한하고 윤하여 청폐윤조에 효과가 좋다. 희석조담을 다스릴 경우에는
지모와 절패 등의 청혜설열, 화담지해약의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한다. 만약 담열내결,
해담황조, 흉민하고 대변불창한 경우에는 본 약재에 과루인, 황금, 담낭성, 지실 등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즉 청기화담환과 같은 것이다.
2) 開胸散結(개흉산결) - 胸部氣滯(흉부기체), 胸痺(흉비), 肺癰(폐옹), 乳癰(유옹)
- 과루는 폐와 위의 열을 제거하고 화담할 수 있기 때문에 흉격비색을 통창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루해백반하탕과 선비화담약을 함께 섞어서 쓰면
흉비부득와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소함흉탕과 반하와 황련을 함께 배합하여
사용하면 담열결흉, 흉협비만, 안지즉통을 치료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옛
사람들이 흉비를 치료한 임상경험에 근거하여 과루를 사용하여 관심병 치료에
일정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Q29. 다음 중 과루의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는? (       ,        )
비위허한 금
음허해수 금
한담 금
습담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脾胃虛寒(비위허한) 寒痰(한담) 濕痰(습담) 에 禁(금)
  	       2) 相反(상반) 烏頭(오두), 相惡(상오) 乾薑(건강), 相畏(상외) 牛膝(우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4
Q
Q30. 다음 중 과루의 상반 약재는?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生薑(생강) 
秦艽(진교)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脾胃虛寒(비위허한) 寒痰(한담) 濕痰(습담) 에 禁(금)
  	       2) 相反(상반) 烏頭(오두), 相惡(상오) 乾薑(건강), 相畏(상외) 牛膝(우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5
Q
Q31. 다음 중 과루의 상오 약재는?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生薑(생강) 
秦艽(진교)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脾胃虛寒(비위허한) 寒痰(한담) 濕痰(습담) 에 禁(금)
  	       2) 相反(상반) 烏頭(오두), 相惡(상오) 乾薑(건강), 相畏(상외) 牛膝(우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6
Q
Q32. 다음 중 과루의 상외 약재는 ?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牛膝(우슬) 
秦艽(진교)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脾胃虛寒(비위허한) 寒痰(한담) 濕痰(습담) 에 禁(금)
  	       2) 相反(상반) 烏頭(오두), 相惡(상오) 乾薑(건강), 相畏(상외) 牛膝(우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7
Q

Q33. 다음 중 과루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浙貝母(절패모), 桔梗(길경), 陳皮(진피) - 풍열해수  
  2) 薤白(해백), 半夏(반하) - 흉비  
  3) 蒲公英(포공영), 乳香(유향) - 유옹초기
  4) 蒼朮(창출) - 근육경련강직
A

• 주요 약대
1) 浙貝母(절패모), 桔梗(길경), 陳皮(진피) - 풍열해수
2) 薤白(해백), 半夏(반하) - 흉비
3) 蒲公英(포공영), 乳香(유향) - 유옹초기
• 用量 9-30g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8
Q

Q34.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과루피
과루인
전호
천패모
절패모
A

과루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9
Q
Q35. 다음 중 과루인의 성미로 옳은 것은? (       ,         )
甘 
寒 
苦
溫
A
  1. 栝樓仁(괄루인)(瓜蔞仁(과루인)) 하늘[눌]타리의 여문 씨
    • 性味 : 甘 寒
    • 歸經 : 肺 大腸 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0
Q
Q36. 다음 중 과루인의 귀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肺 
大腸 
胃 
肝
A
  1. 栝樓仁(괄루인)(瓜蔞仁(과루인)) 하늘[눌]타리의 여문 씨
    • 性味 : 甘 寒
    • 歸經 : 肺 大腸 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1
Q
Q37. 다음 중 과루인의 효능 및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       )
淸化痰熱(청화담열)
寬胸(관흉)
潤腸(윤장)
止痛(지통)
A

• 效能과 主治
1) 淸化痰熱(청화담열) - 痰熱咳嗽(담열해수)
2) 寬胸(관흉) - 胸部(흉부)에 痰(담)이 積滯(적체)
3) 潤腸(윤장) - 腸燥便秘(장조변비) + 肺熱(폐열)
- 윤장통변의 효능이 있어 장조변비에 쓰이는데 과루인과 화마인, 울이인, 지곡
등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4) 瘡瘍(창양)의 回復(회복)을 促進(촉진) – 乳癰(유옹), 化膿(화농)이 안 된
瘡瘍(창양)에 輔助藥(보조약)으로 使用(사용)
- 전과루는 유옹종통에 쓰이며 언제나 포공엽, 유향, 몰약 등과 함께 사용한다.

42
Q
Q38. 다음 중 과루인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頻尿(빈뇨) 禁
脾虛寒(비허한) 禁
胃虛寒(위허한) 禁
泄瀉(설사) 禁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乾薑(건강) 牛膝(우슬) 烏頭(오두)와 使用(사용)하지 않는다.
           2) 脾(비)/ 胃(위)虛寒(허한) 泄瀉(설사) 禁
43
Q

Q39. 다음 중 과루인의 주요 약대 연결이 잘못된 것은? ( )
半夏(반하), 黃連(황련) - 해수 흉통 객담불리 + 柴胡(시호), 黃芩(황금) - 열이 심할 때
半夏(반하), 薤白(해백) – 흉비
火麻仁(화마인), 桃仁(도인), 柏子仁(백자인) - 담열내조에서 온 변비 구건 구갈
魚腥草(어성초), 桔梗(길경) - 폐옹 5) 穿山甲(천산갑), 金銀花(긍은화) – 유옹
蒲公英(포공영) – 유옹

A

• 주요 약대
1) 半夏(반하), 黃連(황련) - 해수 흉통 객담불리 + 柴胡(시호), 黃芩(황금) - 열이 심할 때
2) 半夏(반하), 薤白(해백) – 흉비
3) 火麻仁(화마인), 桃仁(도인), 柏子仁(백자인) - 담열내조에서 온 변비 구건 구갈
4) 魚腥草(어성초), 桔梗(길경) - 폐옹 5) 穿山甲(천산갑), 金銀花(긍은화) – 유옹
6) 蒲公英(포공영) – 장옹
• 用量 9-12g

44
Q

瓜蔞(과루)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A

하늘타리
열매를 과루, 씨를 과루인, 뿌리를 천화분이라고 한다. 하늘타리 뿌리를 천과분이라고 했는데, 사람들이 천화분이라고 해서 천화분이 되었다.
간의 燥(조)를 潤(윤)하게 해서 간의 逆(역)을 평하게 해준다.
- 肝燥(간조)를 윤하게 한다는 것은 폐금을 윤하게 해서 금이 목을 제압해서
난동하지 않게 해서 풍열이 성하지 않게 해주게 되는 것이다.
- 폐열로 인한 해수, 흉비, 결흉, 폐위로 인한 해역, 기침하면서 피가 나올 때
소갈, 황달, 변비, 종기 나는 것 이런 모든 것에 과루가 사용이 된다.
🡪 소함흉탕(황련, 과루인, 반하)
🡪 반하로 노폐물을 빼고 과루로 윤폐화담 시키면서 산결하고 황련으로
습열을 치는 원리이다.
동의보감 처방 중 [소조중탕]
- 소함흉탕(황련, 과루, 반하) + 감초, 생강
- 감초로 중심력을 세우고, 생강으로 더 소통시켜주는데 위기를 더 활발하게
해준다. 조담은 과루를 많이 써서 제거하고 습담은 반하를 쓰고, 화는
황련으로 치는 원리다.
동의보감에 보면 상격, 흉곽에 있는 열담으로 오는 모든 병에는 [이중활담탕]을 사용한다.
이중활담탕(백출, 백작약, 인삼, 백복령, 반하, 과루인, 진피, 천문동, 맥아(초), 황금(주초), 향부자(초), 항련(강즙초), 길경, 지실, 감초)금궤요략을 보면 흉비에 사용하는 [과루해백백주탕]
- 과루실, 해백, 백주
- 천식, 해수, 가래, 흉복통에 촌구맥이 沈遲(침지)할 때 사용한다.
- 촌구맥이 침지하다고 하는 것은 침체성으로 흉곽에 양기가 소통이 안되어서
노폐물이 적체된 것이다. 이럴 때, 해백하고, 백주를 사용하는데, 독한 술로
올려서 해백이 양기를 소통시키고, 흉곽에 맺힌 찌꺼기를 과루인으로
제거한다.
- 허준의 동의보감을 보면 허준은 과루인만 사용했다. 왜냐하면 과루인의 작용이 과루의 작용중에서 가장 큰 것을 알았기 때문에 그렇게 사용한 것이다.
예) 이중활담탕, 소조중탕
흉비로 인하여 잘 누울 수도 없고, 신통(앞에서 등까지 당기고 아플때
- 과루해백반하탕(과루실, 해백, 반하, 백주)
속이 차고, 속이 미식거리고, 잘 토하는 사람에게는 과루인을 사용할 때 조심해야 한다.
- 과루인은 냄새가 지독하다.
- 번열이 심한 사람에게 과루를 사용해야 한다. 덥고 탁하면 찌꺼기가 많이
생긴다. 밀가루 음식, 치킨, 막걸리를 많이 먹는 사람은 속에 찌꺼기가 낄
확률이 높다. 이런 사람들에게 과루인을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많다.

45
Q

Q40.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

과루
과루인
과루근
천화분
절패모
A

천화분

46
Q
Q41. 다음 중 천화분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辛 
苦 
微甘 
寒
A

• 性味 : 苦 微甘 寒

47
Q
Q42. 다음 중 천화분의 귀경은? (      ,        )
肺 
肝 
腎 
脾 
胃
A

• 歸經 : 肺 胃

48
Q
Q43. 다음 중 천화분의 효능 및 주치가 아닌 것은? (       )
瀉火生津(사화생진)
淸瀉肺熱(청사폐열)
解毒排膿(해독배농)
化痰潤肺(화담윤폐)
諸藥引上(제약인상)
A

•效能과 主治
1) 淸瀉肺熱(청사폐열) 化痰潤肺(화담윤폐) - 痰熱(담열)로 인한 燥症(조증)
- 폐열로 인한 해수 혹은 조해담조 및 해혈 등에 쓰인다. 천화분은
청설폐열의 작용으로 격상의 열을 하강시키고, 폐조를 자윤할 수 있다.
흔히 패모, 상백피, 길경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예컨대
사건두령탕과 같은 것이다.

            	  2) 瀉火生津(사화생진) - 消渴病(소갈증)
                  - 열병의 열사가 진액을 손상시켜 초래된 구건설조, 번갈,  및 소갈증으로
                    인한 구갈다음을 치료한다. 천화분은 위열을 청할 수 있으며, 강심화,
                    생진지갈의 작용이 있다. 노근, 백모근, 맥문동 들을 배합하여 열병의
                    번갈증에 사용한다. 갈근, 오미자 , 지모 등을 배합하여 소갈증을
                    다스리는데, 이는 옥액탕과 같은 것이다.      3) 解毒排膿(해독배농)(乳癰(유옹))
                 - 옹종창양, 열독이 왕성한 증상, 적종통 등에 쓰인다. 천화분은 내복이나
                   외용시에 모두 청열사화, 배농산종의 효능이 있다. 대개 금은화, 패모,
                   조각자 등과 배합하여 내복하면 내부의 종독을 없앨 수 있는데 예컨대
                   내소산에 있다.
49
Q
Q44. 다음 중 천화분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
비위허한으로 인한 설사자 금
습열자  금
잉부 금
한습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脾胃虛寒(비위허한)으로 因(인)한 泄瀉者(설사자)와 孕婦(잉부) 禁
• 屬한 方劑
貝母瓜蔞散(패모과루산)

50
Q

Q45. 다음 중 천화분의 주요 약대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

    1) 貝母(패모), 桑白皮(상백피), 桔梗(길경) - 담열해수  
    2) 知母(지모), 葛根(갈근), 五味子(오미자) - 소갈병  
    3) 蘆根(노근), 白茅根(백모근) – 풍열인후종통
    4) 穿山甲(천산갑), 皂角(조각), 金銀花(금은화) - 유옹/ 장옹  
    5) 沙蔘(사삼), 麥門冬(맥문동), 生地黃(생지황) – 위열상음
A

• 주요 약대
1) 貝母(패모), 桑白皮(상백피), 桔梗(길경) - 담열해수
2) 知母(지모), 葛根(갈근), 五味子(오미자) - 소갈병
3) 蘆根(노근), 白茅根(백모근) - 열병상진
4) 穿山甲(천산갑), 皂角(조각), 金銀花(금은화) - 유옹/ 장옹
5) 沙蔘(사삼), 麥門冬(맥문동), 生地黃(생지황) – 위열상음
• 用量 9-15g

51
Q

天花粉(천화분)(瓜蔞根)(과루근) 하늘[눌]타리의 뿌리

• 참고

A

天花粉(천화분)(瓜蔞根)(과루근) 하늘[눌]타리의 뿌리
• 참고
古方(고방)에는 瓜蔞(과루)를 全用(전용)하였으나 後世(후세)에는 仁(인)과 果實(과실)을 分(분)하여 各用(각용)하게 되었는데 모두 治痰潤肺(치담윤폐)한다. 胸中(흉중)에 痰(담)이 있는 者(자)는 곧 肺(폐)가 大逼(대핍)을 받아 그 下降(하강)의 令(영)을 失(실)함인데, 瓜蔞(과루)의 甘緩潤下(감완윤하)의 功(공)을 得(득)하면 痰(담)이 스스로 降(강)하여 그 治嗽(치수)의 要藥(요약)됨이 마땅하다. 또한 能(능)히 胸中(흉중)의 垢膩(구니)와 鬱熱(울열)을 洗滌(세척)하여 消渴(소갈)을 治(치)하는 聖藥(성약)이 된다. 瓜蔞(과루)의 根實(근실)이 모두 潤肺治痰(윤폐치담) 하지만 그 仁(인)은 胸中痰火(흉중담화)를 淸(청)하고 潤腸滌穢(윤장척예)의 功(공)이 巨大(거대)하고, 그 根(근)은 時熱大渴(시열대갈)과 癰瘡腫毒(옹창종독)을 治(치)하는 功(공)이 巨大하고, 瓜蔞皮(과루피)는 潤腸消痰(윤장소담)을 竝行(병행)하나 그 功(공)이 비교적 緩(완)할 뿐이다 무릇 治痰劑(치담제)로는 宣(선)이 있고, 下(하)가 있고, 消(소)가 있고, 攻(공)이 있고, 潤(윤)이 있는데, 瓜蔞(과루)는 潤劑(윤제)다. 그러나 潤中(윤중)에도 또한 區別(구별)이 있으니 瓜蔞(과루)는 淸(청)하고 潤(윤)하며, 蘇子(소자)는 溫(온)하고 潤(윤)하며, 蘿菔子(나복자)는 消(소)하고 潤(윤)하며, 麥門冬(맥문동)은 補(보)하고 潤(윤)하며, 牛蒡子(우방자)와 杏仁(행인)은 散(산)하고 潤(윤)하는 것이다.

무릇 草木(초목)의 根(근)은 그 性(성)이 上升(상승)하고 子實(자실)은 性(성)이 다시 下降(하강)하니 이것은 物(물)의 理致(이치)이다. 瓜蔞(과루)가 蔓延結實(만연결실) 하면 根粉(근분)이 盡消(진소)하고 結實(결실)이 旣成(기성)하면 根(근)이 다시 生粉(생분)한다. 그러므로 天花粉(천화분)은 能(능)히 陰液(음액)을 啓(계)하여 上(상)으로 心肺(심폐)에 滋(자)하고, 瓜蔞實(과루실)은 다시 能(능)히 心肺(심폐)의 氣(기)를 導(도)하여 下行(하행)한다.

천화분은 과루의 뿌리
천화분은 위폐로 들어가서 청열윤조, 생진지갈, 비농소종 등의 작용을 한다.
• 폐를 청열시키기 때문에 폐열로 인한 해수에 아주 좋다.
• 위와 폐에 있는 화열을 잘 사한다.
• 위와 폐에 있는 화열을 잘 사는 약에는 또 무엇이 있을까?
- 맥문동(土, 金을 자윤하면서 폐열을 잘 식힌다.)
• 천화분, 맥문동, 천문동은 서로 비슷한 약이다. 자윤하는 능력이 좋고,
폐열을 식히는 능력이 좋다.
- 천문동은 아주 물꼬를 대듯이 식히고, 금수하강을 시키는데 강하고
- 맥문동은 토금을 부드럽게 윤하게 하면서 심화를 같이 꺼주면서 흉곽을
윤하게 해주는 아주 부드러운 약이다.
- 천화분은 위장부터 시작해서 토금의 화열을 내려주면서 조한 것을
메꾸면서 하강 시켜준다.

천화분은 위폐경에 들어간다.
맥문동은 심혈관계라든지 폐로 들어가서 부드럽게 자윤할 때에는 맥문동을 선호하는 편이다.
온병으로 인해 휴유증으로 구갈이 심하고 건조할 때는 천문동을 다량으로 사용한다.
토금의 화열을 시기하는 작용이 석고와 같이 작용하면서 식히면서 바로 자윤하는 기능이 되기에 좋기 때문에 천화분을 당뇨에 많이 사용한다.

52
Q

Q46.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천패모
죽여
전호
택칠
후조
A

죽여

53
Q
Q47. 다음 중 죽여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
辛 
甘 
微寒 
溫 
苦
A
  1. 竹茹(죽여) 솜대(참대, 왕대)의 속껍질
    • 性味 : 甘 微寒
    • 歸經 : 肺 膽 胃
54
Q
Q48. 다음 중 죽여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
肝 
脾 
肺 
膽 
胃
A
  1. 竹茹(죽여) 솜대(참대, 왕대)의 속껍질
    • 性味 : 甘 微寒
    • 歸經 : 肺 膽 胃
55
Q
Q49. 다음 중 죽여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淸化痰熱(청화담열)
淸熱止嘔(청열지구)
祛風止痙(거풍지경)
凉血止血(양혈지혈)
A

• 效能과 主治
1) 淸化痰熱(청화담열) - 肺熱咳嗽(폐열해수)
- 죽여는 청화열담, 청열제번의 효능이 있다. 열담해수를 치료할 때에는 본 약재에
황금과 과루를 배합하여 사용하며, 담화협담, 범폐요심으로 인한 흉민담다,
심번실면, 경계 등의 증후를 치료할 때에는 진피, 복령, 반하, 지실 등과 배합한
온담탕을 사용한다.2) 淸熱止嘔(청열지구) – 胃熱(위열)로 苦酸物(고산물)을 嘔吐(구토)할 때,
姙娠惡阻(임신오조)
- 죽여는 위열을 청제하고 구토를 멎게하는데 좋으며, 황련과 같이 쓸 수 있다.
담열호결, 번민구역을 치료할 때에는 진피, 반하와 배합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황련귤피죽여반하탕과 같은 것이다. 위허로 인한 열로 구토하는 경우에는
익기화위의 효능이 있는 진피, 생강, 인삼과 함께 배합하여 사용한다.
3) 凉血止血(양혈지혈) - 衄血(뉵혈) 吐血(토혈)

56
Q
Q50. 다음 중 죽여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은? (       ,        )
위한으로 인한 오심구토 금
한증식체로 인한 오심구토 금
기허로 인한 식욕부진 금
음허로 인한 변비 금
A

注意事項 및 禁忌

胃寒(위한)/ 寒症食滯(한증식체)로 因(인)한 惡心嘔吐(오심구토) 禁

57
Q

Q51. 다음 중 죽여의 주요 약대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

    1) 瓜蔞(과루), 黃芩(황금) - 폐열해수  
    2) 半夏(반하), 枳實(지실) - 온담탕증  
    3) 黨蔘(당삼), 甘草(감초) – 위기허에서 온 애역과 열증
    4) 蘆根(노근) – 지구력 강화 
    5) 陳皮(진피), 生薑(생강), 人蔘(인삼) - 위허열 구토
A

• 屬한 方劑
橘皮竹茹湯(귤피죽여탕), 溫膽湯(온담탕)
• 주요 약대
1) 瓜蔞(과루), 黃芩(황금) - 폐열해수 2) 半夏(반하), 枳實(지실) - 온담탕증
3) 黨蔘(당삼), 甘草(감초) – 위기허에서 온 애역과 열증
4) 蘆根(노근) – 열병상진 5) 陳皮(진피), 生薑(생강), 人蔘(인삼) - 위허열 구토
6) 薑汁(강즙) - 지구력 강화
• 用量 4.5-9g

58
Q

竹茹(죽여)

A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대나무 껍질을 쫙 벗기고 안에 푸른 것을 긁어서 쓰는 것이 죽여다.
죽여는 가볍기 때문에 輕可去實(경가거실)의 의미가 있다.
- 가벼운 것은 실한 것을 제거한다. 그리고 서늘하기 때문에 열을 식힌다.
- 감한하기 때문에 피를 맑히면서 열을 제거한다.
- 죽여는 열로 인한 담을 제거하면서 울체된 것을 풀어준다. 담열로 속이
미식거리고 잠잘 때 편하지 못하고, 놀라서 간질 기운 같은 것이 있거나
성생활로 인한 피로 같은 것을 잘 치료해 준다.
죽여는 우리 몸 깊숙이까지 들어가서 담이 엉키고 열로 인해 뭔가 뭉쳐져 있는 것을 잘 없앤다. 잘 없애면서 식힌다. 금궤요략의 [죽피대환] (죽여, 석고, 계지, 감초, 갱미, 대조)
• 산후에 허번, 嘔逆(구역) 이럴 때 사용
• 죽여로 열담을 식히고 석고로 번열하는 것을 하강하는 기전으로 바꾸고 계지,
감초로 혈분을 제대로 돌게하고 갱미로 진액을 보충해주면서 비토를
보해준다. 대조를 가루내서 대추 살을 쪄서 이걸로 환을 만드는 것은 영분을
잘 안정시키는 의미이다.
속에 열담이 있으면서 자꾸 미식거리고 잠도 잘 못자고 불안하고 토하고 딸꾹질하고 하는 사람이 있으면 죽여를 반드시 써라.
중풍이 올 확률이 있는 사람은 죽여를 차로 먹든지 죽력하고 생강즙을 하루에 한 잔씩 먹으면 좋다. 기름진 음식은 피한다.

59
Q

Q52.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천패모
죽여
전호
해조
후조
A

해조

60
Q
Q53. 다음 중 해조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甘
苦 
咸 
寒
A

海藻(해조)(바닷말) 양서채 및 해호자의 乾燥(건조)된 全草(전초)
• 性味 : 苦 咸 寒
• 歸經 : 肝 腎 肺 胃

61
Q
Q54. 다음 중 해조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淸熱消痰結(청열소담결)-
利尿消腫(이뇨소종)
凉血止血(양혈지혈)
治疝痛(치산통)
A

• 效能과 主治
1) 淸熱消痰結(청열소담결)- 癭瘤(영류) 瘰癧(나력)
- 해조는 소담연견산결의 효능이 있다. 영류를 치료할 때에는 본 약재에 곤포,
패모, 청피 등을 배합한 해조옥호탕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나력을 치료할
경우에는 하고초, 연교, 현삼 등과 함께 사용한다. 예컨대 내소나력환과 같은
것이다. 이 밖에 고환종대를 치료하는 데도 쓸수 있다.
2) 利尿消腫(이뇨소종) - 脚氣(각기) 浮腫(부종)에 輔助藥(보조약)
- 이수퇴종의 효능이 있어 각기부종과 수종을 다스리는데, 이뇨제와 함께 쓸 수
있다.
3) 治疝痛(치산통)

62
Q
Q55. 다음 중 해조의 상반 약재는?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甘草(감초) 
秦艽(진교)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脾(비)/ 胃虛寒(위허한) 禁
            2) 相反(상반) 甘草(감초)
63
Q
Q56. 다음 중 해조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비위허한  금
한증식체로 인한 오심구토 금
기허로 인한 식욕부진 금
음허로 인한 변비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脾(비)/ 胃虛寒(위허한) 禁
            2) 相反(상반) 甘草(감초)
64
Q

Q57. 다음 중 해조의 주요약대가 잘못된 것은? ( )

    1) 僵蠶(강잠), 夏枯草(하고초), 玄蔘(현삼) – 갑상선종 나력 
    2) 甘草(감초) – 갑상선종 나력
    3) 水栗(수율) – 규폐증(음허, 다담 등) – 돌, 모래 등의 먼지 흡입이 원인
    4) 薏苡仁(의이인), 冬瓜仁(동과인), 魚腥草(어성초) – 유옹
A

• 주요 약대
1) 僵蠶(강잠), 夏枯草(하고초), 玄蔘(현삼) – 갑상선종 나력
2) 甘草(감초) – 갑상선종 나력
3) 水栗(수율) – 규폐증(음허, 다담 등) – 돌, 모래 등의 먼지 흡입이 원인
• 用量 4.5-15g

65
Q

Q58.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천패모
죽여
천죽황
해조
후조
A

천죽황

66
Q
Q60. 다음 중 천죽황의 성미는? (       ,       )
甘
苦 
咸 
寒
A
  1. 天竹黃(천죽황)(CA 시험 범위가 아님)
    : 청피죽 등의 간내의 분비액이 건조응결을 거쳐 이루어진 괴상물
    • 性味 : 甘 寒
    • 歸經 : 膽 心 肝
67
Q
Q61. 다음 중 천죽황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肝 
膽 
心 
肺
A
  1. 天竹黃(천죽황)(CA 시험 범위가 아님)
    : 청피죽 등의 간내의 분비액이 건조응결을 거쳐 이루어진 괴상물
    • 性味 : 甘 寒
    • 歸經 : 膽 心 肝
68
Q
Q62. 다음 중 천죽황의 효능과 주치가 맞는 것은? (       ,       )
淸化痰熱(청화담열)
利尿消腫(이뇨소종)
凉血止血(양혈지혈)
淸心定驚(청심정경)
治疝痛(치산통)
A

• 效能과 主治
1) 淸化痰熱(청화담열)
- 천죽황은 청화열담, 정경식풍의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담열경축을
다스릴 경우에는 본 약재에 담남성, 주사, 백강잠 등을 배합하여 쓴다.
2) 淸心定驚(청심정경)
• 用量 3-9g

69
Q
Q63. 다음 중 죽력의 성미는? (      ,       )
甘 
大寒 
苦 
辛
微寒
A
  1. 竹瀝(죽력)(CA 시험 범위가 아님)
    • 性味 : 甘 大寒
    • 歸經 : 心 肺 胃
70
Q
Q64. 다음 중 죽력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
肝 
膽 
心 
肺 
胃
A
  1. 竹瀝(죽력)(CA 시험 범위가 아님)
    • 性味 : 甘 大寒
    • 歸經 : 心 肺 胃
71
Q
Q65. 다음 중 죽력의 효능 및 주치는? (        ,        ,         )
淸熱化痰(청열화담)
瀉火生津(사화생진)
化痰熱止咳(화담열지해)
解毒排膿(해독배농)
貫通經絡(관통경락)
A

• 效能과 主治
1) 淸熱化痰(청열화담) 貫通經絡(관통경락)
- 죽력은 열해담조에 대한 효과가 탁월하며, 담열몸폐청규의 여러 병증에 쓰인다.
폐열담옹, 해역흉민 외에도 중풍담미, 경간전광 등의 모든 병증을 치료할 수
있는데, 단독으로 사용해도 효과가 있다. [천금방]에서는 중풍구름을 치료할 때
본 약재에 생강즙을 넣어 복용한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유행성 B형 뇌염과
유뇌와 고열, 담미, 구토를 치료할 때 죽력을 자주 복용하고 있으며, 폐열담옹을
치료할 때에는 과루와 비파엽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2) 化痰熱止咳(화담열지해)
• 注意事項 및 禁忌
寒症咳嗽(한증해수), 脾虛便溏(비허변당) 禁
• 用量 30-60g

72
Q
Q66. 다음 중 죽력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
한증해수 금
비허변당 금
기허로 인한 식욕부진 금
음허로 인한 변비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寒症咳嗽(한증해수), 脾虛便溏(비허변당) 禁

73
Q

竹瀝(죽력)

A

죽력(竹瀝)이란? 죽력(竹瀝 : 대나무 기름)은 오로지 구규(九竅 : 인체의 있는 눈, 코, 귀, 입 등과 같은 9개의 구멍)에 작용하고, 경락을 뚫으므로 중풍의 요약(要藥)이 되고 익음양혈(益陰養血 : 음기를 더해주고 혈을 다스림)의 양품(良品 : 좋은 약품)이 된다.
무릇 중풍이 발생하여 경락사지(經絡四肢)와 피리막외(皮裏膜外 : 피부와 근막의 사이)에 담열옹체(痰熱壅滯 : 담과 열이 서로 엉켜서 막혀있는 상태)가 있는 것은 죽력이 아니면 통할 수 없으며, 기혈(氣血)이 운행될 수 없다.
대저 사람이 음허(陰虛)하면 화(火)가 왕성하여 진액(津液)이 졸아들게 되고 이것이 뭉쳐서 담(痰)이 되어 기도(氣道 : 기가 흐르는 통로)를 막게 되면 열(熱)이 극심(極甚)하여 풍(風)을 발생하게 되어 갑자기 졸도(卒倒)하거나 혹은 편비(偏痺 : 한쪽이 저림) 불인(不仁 : 팔다리가 마비됨)하게 된다. 죽력은 능히 경락(經絡)으로 작용하여 일체의 담결(痰結 : 담이 뭉쳐 있는 상태)를 해소하고 열을 제거한다.
그리하여 담(痰)과 열(熱)이 제거되면 기도(氣道)가 개통(開通)되고 경맥(經脈)이 유통(流通)되므로 중풍은 즉시 낫게 된다.
죽력의 효능! 동의보감에서는 죽력이 급성기 중풍, 가슴의 답답한 열감, 중풍으로 인한 언어장애 및 의식장애, 그리고 소갈(당뇨병)을 다스리고, 아울러 파상풍, 산후발열과 소아의 경기 등과 같은 일체의 위급한 질병을 다스린다고 하였다.
특히 중약대사전, 본초강목 등과 같은 한의약 전문서적에서는 죽력을 중풍으로 인한 의식장애, 언어장애 그리고 반신불수의 치료에 필수적인 약이라고 강조하고 있다.죽력에 대한 과학적 연구! 죽력에 대한 실험적 연구에 의하면, 죽력은 중추신경억제작용, 장관 및 혈관 평활근 이완작용과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력 만드는 방법! 신선한 대나무를 약 30-40cm로 잘라서 양끝의 마디를 제거하고 세로로 쪼개서 4등분한다. 쪼갠 대나무를 불위에 걸쳐놓고 화력을 가하면 대나무의 양쪽 끝에서 맑은 액체가 흘러내리게 된다.
이렇게 모은 죽력을 거름종이로 걸러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깨끗한 유리병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한다. 죽력 복용 법!! 죽력 20cc를 생강즙 3cc(강판에 갈아서 즙을 냄)와 함께 복용한다.
죽력이 차가운 성질의 약이므로 따뜻한 성질을 가진 생강즙으로 완화시킨다. 만약 한약을 복용할 경우에는 죽력 20cc를 한약에 타서 함께 복용하면 된다.

74
Q
Q67. 다음 중 부해석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淸肺熱(청폐열) 
祛痰熱(거담열)
凉血止血(양혈지혈)
軟堅散痰結(연견산담결) 
利尿(이뇨)
A
  1. 浮海石(부해석)(CA 시험 범위가 아님)
    • 부해석은 통칭: 1) 척돌태충의 마른골격(산호형태의 불규칙적인 괴상물)
    2) 화산에서 분출한 암장으로 형성된 다공상석괴로
    해유석이라고도 한다.
    • 性味 : 咸 寒
    • 歸經 : 肺
    • 效能과 主治
    1) 淸肺熱(청폐열) 祛痰熱(거담열)
    - 부해석은 청폐화담할 수 있고 열담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해합각과 함께 섞어 쓴다.
    - 폐열로 인한 구해 담중대혈인 경우에는 과루, 청대, 산치 등과 함께 사용한다.
    2) 軟堅散痰結(연견산담결)
    - 부해석은 청열화담, 연견산결의 효능이 있다. 모려, 절패모, 곤포, 해조 등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 부해석은 통칭: 1) 척돌태충의 마른골격(산호형태의 불규칙적인 괴상물)
    2) 화산에서 분출한 암장으로 형성된 다공상석괴로
    해유석이라고도 한다.
    • 效能과 主治
    3) 利尿(이뇨)
    - 부해석은 임증에도 쓸 수 있다. [직지방]에서는 사림소변삽통을
    치료하는데 이 약을 가루내어 생감초를 달인 탕과 함께 調服(조복)한다.
    • 注意事項 및 禁忌
    虛寒咳嗽(허한해수) 禁
    • 用量 6-15g
75
Q

Q68.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천패모
해합각
천죽황
해조
후조
A

해합각

76
Q
Q69. 다음 중 해합각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苦 
咸 
平
甘
A
  1. 海蛤殼(해합각)(CA 시험 범위가 아님) : 다종해합의 패각
    • 性味 : 苦 咸 平
    • 歸經 : 腎 肺 胃
77
Q
Q70. 다음 중 해합각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肝 
腎 
肺 
胃
A
  1. 海蛤殼(해합각)(CA 시험 범위가 아님) : 다종해합의 패각
    • 性味 : 苦 咸 平
    • 歸經 : 腎 肺 胃
78
Q
Q71. 다음 중 해합각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淸熱(청열)
恢復肺氣肅降(회복폐기숙강)
化痰(화담)
軟堅散結(연견산결)
淸心定驚(청심정경)
A

• 效能과 主治
1) 淸熱(청열) 恢復肺氣肅降(회복폐기숙강) 化痰(화담)
- 폐열담조, 해수기천 등의 병증에 쓰인다. 해합각은 청폐열하고 화조담의
작용을 한다. 열담천해를 치료할 경우에는 해부석, 백전, 상백피 등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담화울결, 흉협동통을 치료할 경우에는 청대, 치자,
과루 등과 배합하여 쓸 수 있다.
2) 軟堅散結(연견산결)
- 영류, 담핵 등의 병증에 쓰인다. 해합각은 연견산결의 효능이 있다. 해조,
곤포, 와릉자 등과 함께 섞어서 쓸 수 있는데 함화환과 같은 것이다.
3) 利尿祛濕(이뇨거습)
- 해합각은 이뇨작용도 하기 때문에 수기부종과 소변불리에 쓸 수 있다. 불에
태워 사용한다.
4) 煆海蛤殼(하해합각) – 治上腹痛(치상복통) 呑酸(탄산)
- 제산지통할 수 있기 때문에 위통범산에 쓸 수 있으며, 가루를 내어 환부에
바르면 염창을 아물게 할 수도 있다.

79
Q
Q72. 다음 중 해합각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기허의 한증에 금
음허의 열증에 금
무습에 금
혈허에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氣虛(기허)와 寒證(한증)에 禁
• 用量 6-15g

80
Q

Q73.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곤포
해합각
천죽황
해조
후조
A

곤포

81
Q
Q74. 다음 중 곤포의 성미는? (      ,       )
苦 
咸 
平
甘
寒
A
  1. 昆布(곤포)(CA 시험 범위가 아님) : 다시마. 갈조류 다시맛과의 하나
    • 性味 : 咸 寒
    • 歸經 : 肝 腎 胃
82
Q
Q75. 다음 중 곤포의 귀경은? (      ,       ,       )
肝 
腎 
肺 
胃
A
  1. 昆布(곤포)(CA 시험 범위가 아님) : 다시마. 갈조류 다시맛과의 하나
    • 性味 : 咸 寒
    • 歸經 : 肝 腎 胃
83
Q
Q76. 다음 중 곤포의 효능과 주치는? (       ,       )
消痰軟堅(소담연견) 
利尿消腫(이뇨소종)
淸熱(청열)
恢復肺氣肅降(회복폐기숙강)
淸心定驚(청심정경)
A

• 效能과 主治
1) 消痰軟堅(소담연견)
- 영류나력 등의 증후에 쓰인다. 곤포는 해조와 비슷한 소담연견의 효능이 있어
언제나 해조와 같이 쓰이는데 예컨대 곤포환과 같은 것이다. 즉 본 약재에 해조,
해합각 등을 배합하여 사용하면 영기, 흉격만색, 인후항경점조를 치료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것으로 갑상선종과 선종, 임파결결핵, 간경변 등을 치료하고 있다.

84
Q
Q77. 다음 중 곤포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비위허한에  금
음허의 열증에 금
무습에 금
혈허에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脾(비)/ 胃虛寒(위허한) 禁
• 用量 4.5-15g

85
Q

Q78. 다음의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곤포
반대해
천죽황
해조
후조
A

반대해

86
Q
Q79. 다음 중 반대해의 성미는? (       ,       )
苦 
咸 
平
甘
寒
A
  1. 胖大海(반대해)(CA 시험 범위가 아님) : 반대해의 여문 종자
    • 性味 : 甘 寒
    • 歸經 : 大腸 肺
87
Q
Q80. 다음 중 반대해의 귀경은? (       ,        )
肝 
大腸 
腎 
肺 
胃
A
  1. 胖大海(반대해)(CA 시험 범위가 아님) : 반대해의 여문 종자
    • 性味 : 甘 寒
    • 歸經 : 大腸 肺
88
Q
Q81. 다음 중 반대해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淸宣肺氣(청선폐기)
利尿消腫(이뇨소종)
淸腸通便(청장통변)
發疹(발진)을 促進(촉진)
A

• 效能과 主治
1) 淸宣肺氣(청선폐기)
- 폐기폐울, 담열해수와 폐열로 인한 聲亞(성아) 등의 병증에 쓰인다.
2) 淸腸通便(청장통변)
- 열결변비로 야기된 두통, 목적, 가벼운 발열 등에 쓰인다. 단독으로 쓰면 즉시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가벼운 증상에만 적용될 뿐 중증의 경우에는 반드시
적절한 청열사하약을 함께 섞어 써야 한다.
3) 發疹(발진)을 促進(촉진)

89
Q

Q82. 다음의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곤포
반대해
천죽황
해조
후조
A

후조

90
Q
Q83. 다음 중 후조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甘
苦
咸 
寒
A
  1. 猴棗(후조)(CA 시험 범위가 아님)
    • 性味 : 苦 咸 寒
    • 歸經 : 膽 心 肝 肺
91
Q
Q84. 다음 중 후조의 귀경과 관련이 없는 것은? (      )
膽 
心 
肝 
肺 
腎
A
  1. 猴棗(후조)(CA 시험 범위가 아님)
    • 性味 : 苦 咸 寒
    • 歸經 : 膽 心 肝 肺
92
Q
Q85. 다음 중 후조의 효능과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      )
豁痰(활담) 
利尿消腫(이뇨소종)
定痙(정경) 
止喘(지천) 
淸熱解火毒(청열해화독)
A

• 效能과 主治
1) 豁痰(활담) 定痙(정경) 止喘(지천)
2) 淸熱解火毒(청열해화독)
• 用量 0.3-1g

93
Q

Q86. 다음의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곤포
반대해
택칠
해조
후조
A

택칠

94
Q
Q87. 다음 중 택칠의 성미과 관련이 없는 것은? (       )
辛 
苦 
甘
凉 
微毒
A
  1. 澤漆(택칠)(CA 시험 범위가 아님)
    • 性味 : 辛 苦 凉 微毒
    • 歸經 : 小腸 大腸 肺
95
Q
Q88. 다음 중 택칠의 귀경과 관련이 없는 것은? (      ,       )
肝 
小腸
大腸 
肺 
胃
A
  1. 澤漆(택칠)(CA 시험 범위가 아님)
    • 性味 : 辛 苦 凉 微毒
    • 歸經 : 小腸 大腸 肺
96
Q
Q89. 다음 중 택칠의 효능과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       )
化痰(화담) , 止咳(지해) 
治疝痛(치산통)
定喘(정천) 
化痰散結(화담산결)
利尿消腫 (이뇨소종)
A

• 效能과 主治
1) 化痰(화담) 止咳(지해) 定喘(정천)
- 폐열해수, 담음천해에 쓰인다. 택칠은 화담지해평천의 효능이 있다. 폐열을 치료할
때에는 왜지다, 어성초, 황금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택칠탕은 본 약재에 반하,
자원, 계지, 인삼 등을 배합하여 만든 것인데, 해수맥침을 치료한다.
2) 化痰散結(화담산결)
- 택칠은 나력에 쓰인다. 본 약재는 화담산결 작용을 하며,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내복 할 수 있다. 썩고 터져 누관이 형성된 사람은 고약을 가체에 발라 창구에 밀어
넣을 수 있다. 3) 利尿消腫 (이뇨소종)
- 대복수종, 사지면목부종에 쓰인다. 본 약재는 비교적 강한 이수소종 작용을 한다.
단독으로 쓰면 즉시 효과를 볼 수 있다. 예컨대 [성혜방]은 수기종만을 치료할 때
본 약재를 달여서 고약을 만들고 따뜻한 술과 함께 복용하며, 복방 응용시에는
백출, 택사 등 건비이습약과 배합하여 쓸 수 있다고 하였다.

97
Q
Q90. 다음 중 택칠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허약자에 신용
습열자에 신용
무습자에 신용
실열자에 신용
A

• 注意事項 및 禁忌
虛弱者(허약자)에 愼用
• 用量 3-15g

98
Q
Q92. 다음 중 황약자의 성미는? (       ,       )
辛 
苦 
平	
凉 
微毒
A
  1. 黃藥子(황약자)(CA 시험 범위가 아님)
    • 性味 : 苦 平
    • 歸經 : 心 肝 肺
99
Q
Q93. 다음 중 황약자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肝 
心 
肺 
胃
A
  1. 黃藥子(황약자)(CA 시험 범위가 아님)
    • 性味 : 苦 平
    • 歸經 : 心 肝 肺
100
Q
Q94. 다음 중 황약자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散結消積(산결소적)
淸腸通便(청장통변)
凉血止血(량혈지혈)   
解消腫毒(해소종독)
A

• 效能과 主治
1) 散結消積(산결소적)
- 황약자는 산결소영의 효능이 있어 영결을 다스린다. 단독으로 사요해도 즉효를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두문방]에서는 항하기영으로 치료하는 데 단독으로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또한 해조, 모려 등과 배합하여 같이 쓸 수 있는데 소영탕과
같은 것이다. 근래에 와서 여러 가지 갑상선종을 치료하는데 쓰이고 있다.
2) 凉血止血(량혈지혈)
- 황약자는 양혈지혈의 효능이 있어 혈열로 야기된 토혈, 육혈, 각혈 등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보통 포황, 종탄 등 다른 지혈약과 같이 쓴다. 또한 지해,
평천의 효능도 있기 때문에 각혈의 치료효과가 더욱 좋다. 따라서 해수, 기천,
백일해 등의 치료에도 쓸 수 있다. 3) 解消腫毒(해소종독)
- 황약자는 청열해독의 효능이 있어 창양종독, 인후종통과 독사에게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데 쓰인다. 단독으로 사용해도 즉시 효과를 볼 수 있다 복방은 언제나
다른 청열해독약과 같이 쓴다. 근래에는 이 약으로 갑상선, 식도, 위, 간, 직장의
여러 종양을 치료하는데 일정한 효과를 보고 있다. 보통 해조, 곤포, 백화사설초,
의이인, 산자고 등과 같이 쓰고 있다.
• 注意事項 및 禁忌
이미 潰瘍化(궤양화)된 癰腫(옹종)에 禁
• 用量 6-15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