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혈 거어약 2 Flashcards
다음 중 거풍 효능으로 코막힘, 풍습관절통, 풍습으로 인한 부종 및 풍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본초는?
월계화
계혈등
호장
노로통
혈갈
노로통
아출의 성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세요.
甘(감)
辛(신)
苦(고)
溫(온)
寒(한)
신고온
다음 중 간양상항으로 인한 현훈 두통에 사용하는 본초는?
삼릉
유향
몰약
우슬
왕불유행
우슬
다음 중 성(性)이 평(平)하지 않은 본초는?
삼릉
유향
몰약
우슬
왕불유행
유향
우슬의 용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1.5 g
1.5-3 g
3-9 g
6-15 g
4.5-9 g
Other:
6-15 g
우슬의 보간신(補肝腎) 효능을 높이기 위한 수치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생용한다.
술에 찐다.
그냥 볶는다.
식초에 담갔다 볶는다.
소금물에 담갔다 볶는다.
술에 찐다.
다음 중 최근에 소화관 상부에 출혈이 있을 때 지혈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본초는?
월계화
계혈등
호장
노로통
혈갈
혈갈
다음 중 消積止痛(소적지통) 효능이 있어서 식체를 치료하며 특히 소아감적 치료에 효과적인 것은?
삼릉
아출
몰약
우슬
왕불유행
아출
다음 중 활락 서근 효능으로 중풍으로 인한 사지 마비감에 가장 적합한 본초는?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계혈등
다음 중 상대적인 활혈거어력의 강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행혈 < 거어 < 화어 < 파어 < 화혈
화혈 < 행혈 < 거어 < 화어 < 파어
거어 < 화어 < 파어 < 화혈 < 행혈
화어 < 파어 < 화혈 < 행혈 < 거어
파어 < 화혈 < 행혈 < 거어 < 화어
화혈 < 행혈 < 거어 < 화어 < 파어
다음 중 활혈 거어 작용과 동시에 지혈 작용이 있는 본초는?
월계화
계혈등
호장
노로통
혈갈
혈갈
다음 본초 중 특별히 위(胃)가 허약한 자에게 내복을 신용해야하는 것은?
삼릉
아출
몰약
우슬
왕불유행
몰약
다음 중 유향의 효능이 아닌 것은?
活血行氣(활혈행기)
舒筋活絡止痛(서근활락지통)
消腫生肌(소종생기)
창양치유촉진
引血下行降火(인혈하행강화)
引血下行降火(인혈하행강화)
다음 중 인혈하행(引熱下行) 하는 본초를 모두 고르면?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우슬
호장
다음 중 신경(腎經)으로 귀경하는 본초는?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우슬
다음 중 호장의 주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습열황달
대장 내 울열에 의한 변비
풍습비증
화상
경부림프절 부종
경부림프절 부종
다음 중 우슬의 효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活血祛瘀(활혈거어)
滋補肝腎(자보간신)
强筋骨利關節(강근골이관절)
淸下焦濕熱(청하초습열)
活洛舒筋(활락서근)
活洛舒筋(활락서근)
다음 중 심경(心經)으로 귀경하지 않는 본초는?
삼릉
유향
몰약
계혈등
혈갈
삼릉
다음 중 활혈 기능 뿐만아니라 보혈하며 서근 활락 효능이 있어 혈허를 동반한 노인성 풍담비증에 가장 적합한 본초는?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계혈등
다음 중 활혈하면서도 지혈 효능이 있는 본초가 아닌 것은?
오령지
소목
능소화
혈갈
포황
능소화
다음 중 삼릉, 몰약, 우슬, 왕불유행, 노로통의 공통 성질은?
微寒(미한)
平(평)
凉(량)
溫(온)
微溫(미온)
平(평)
다음 중 위경(胃經)으로 귀경하는 본초는?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왕불유행
다음 중 상초에 혈열망행으로 코피와 잇몸에 출혈이 있혈을 때 인혈하행하며 상초의 화를 끌어내릴 수 있는 본초는?
삼릉
유향
몰약
우슬
왕불유행
우슬
다음 중 심포로 귀경하며 성질이 약간 차서 혈분열로 인한 피부 가려움증에 좋은 본초는?
오령지
소목
능소화
혈갈
수질
능소화
다음 중 전탕 시 포전해야 하는 것은?
오령지
소목
능소화
혈갈
수질
Correct answer
오령지
다음 중 유향의 효능으로 보기에 어려운 것은?
孕婦(잉부)
출혈 경향이 있는 자
혈전 용해제를 복용하고 있는 자
음허자(홍설, 설건, 구건)
월경양소
월경양소
다음 중 간, 방광(肝, 膀胱)으로 귀경하며 성미가 함, 고, 평, 미독(鹹 苦 平 微毒)인 것은?
오령지
소목
능소화
혈갈
수질
수질
다음 중 상초에서는 유즙 분비를 촉진하고 하초에서는 월경을 원활하게 통하게 하며 소종하는 효능으로 유방과 고환이 붓고 아플 때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본초는?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왕불유행
다음 중 생강과에 속하는 본초가 아닌 것은?
강황
삼릉
아출
울금
이상 모두 생강과에 속한다.
삼릉
다음 중 消腫生肌(소종생기) 효능이 있어 어혈로 인해 치유가 어려운 만성 창양에 사용하면 가장 좋은 배합은?
도인, 홍화
단삼, 적작
삼릉, 아출
유향, 몰약
울금, 강황
유향, 몰약
다음 중 강력하고 신속한 활혈 작용으로 산후 어혈에 의해 유즙 분비가 잘 되지 않을 때 분비를 촉진하려면 다음 중 어떤 본초를 사용하는가?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왕불유행
삼릉은 혈어로 인한 복부 종괴 뿐 아니라 식체로 인한 심한 복창통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식체로 인한 통증에 배합하기에 가장 적당하지 않은 본초는?
+목향
+빈랑
+청피
+ 신곡
+당귀
당귀
왕불유행의 성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세요.
甘(감)
辛(신)
苦(고)
平(평)
微寒(미한)
고평
다음 중 궤양 표면을 보호하여 괴사를 방지하며 생기 작용이 있어 오래도록 치유되지 않는 만성 궤양에 좋은 본초는?
월계화
계혈등
호장
노로통
혈갈
혈갈
아출, 삼릉, 유향, 몰약, 우슬이 공통적으로 가진 성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세요.
甘(감)
辛(신)
苦(고)
溫(온)
微寒(미한)
고
다음 중 오령지의 주치가 아닌 것은?
위완통
만성 궤양
산후 오로 정체
소아감적
비만(痞滿)
만성궤양
다음 중 앨러지성 비염에 창이자, 신이화 등과 함께 사용하면 효과적인 본초는?
월계화
계혈등
호장
노로통
혈갈
노로통
다음 중 삼릉과 아출의 효능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活血行氣(활혈행기)
破瘀行氣止痛(파어행기지통)
舒筋活絡止痛(서근활락지통)
消腫生肌(소종생기)
창양치유촉진
破瘀行氣止痛(파어행기지통)
다음 중 유향과 성미가 같은 본초는?
삼릉
아출
몰약
우슬
왕불유행
아출
호장의 귀경을 모두 고르면?
간
담
폐
심
비
간담폐
다음 중 활혈 소종하며 지혈 효능이 있어서 분만 후 과다 출혈로 어지럽고 심하면 호흡 곤란까지 올 때 사용할 수 있는 본초는?
오령지
소목
능소화
혈갈
포항
소목
다음 중 혈어로 인한 외상통, 풍한습 비증으로 인한 관절통, 치은염이나 구내염 및 새살을 돋게 하므로 만성으로 치유가 어려운 궤양 등에 가장 좋은 본초를 고르면?
삼릉
유향
몰약
우슬
왕불유행
유향
다음 중 소종하면서 해독하는 효능이 있어서 경부림프종이나 연주창을 치료하는 본초는?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월계화
다음 활혈거어약 중 폐열 해수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본초는?
삼릉
유향
몰약
계혈등
호장
호장
다음 중 습열하주로 인해 무릎이 붓고 빨갛고 통증이 있을 때 우슬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 때 치료 효과를 위해 배합하기에 가장 좋은 본초는?
+황백, 창출
+당귀, 황금
+구등, 상기생
+유향, 몰약
+금전초
+황백, 창출
다음 중 활혈거어약임에도 산미(酸味)가 있어 강근골(强筋骨) 및 보간( 補肝 ) 효과가 있는 본초는?
아출
삼릉
능소화
우슬
호장
우슬
40대 건장한 남성이 최근에 간종대 진단을 받았다. 치료를 위해 아출을 사용하려고 할 때 다음 중 배합하면 가장 좋은 본초는?
삼릉
유향
몰약
우슬
왕불유행
삼릉
60대의 여성 암 환자가 Chemotherapy를 진행 중이다. 항암 치료로 인해 혈어와 혈허의 증상을 동시에 보이고 있을 때 숙지황, 백작, 당귀 등과 함께 사용하여 보혈하면서 활혈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본초는?
우슬
왕불유행
계혈등
월계화
호장
계혈등
다음 활혈거어약 중 습열황달에 인진호와 함께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본초는?
삼릉
유향
몰약
계혈등
호장
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