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322 week 6 Flashcards

1
Q

Q01. 漢醫學(한의학)에서 ‘痰(담)’이라고 하는 것은 呼吸(호흡)과 消化器道(소화기도)는 물론 筋肉(근육), 皮膚(피부), 다른 身體(신체) 組織(조직) 등에 生理的(생리적)으로 積滯(적체)된 두터운 津液(진액)을 말한다. ( )

A

F 병리적으로
漢醫學(한의학)에서 ‘痰(담)’이라고 하는 것은 呼吸(호흡)과 消化器道(소화기도)는 물론 筋肉(근육), 皮膚(피부), 다른 身體(신체) 組織(조직) 등에 病理的(병리적)으로 積滯(적체)된 두터운 津液(진액)을 말한다. 肺(폐)는 貯痰之器(저담지기)이므로 身體(신체) 組織(조직) 化痰(화담)하는 대부분의 藥(약)은 肺(폐)에 作用(작용)한다. 그러므로 化痰藥(화담약)은 보통 止咳平喘藥(지해평천약)과 함께 說明(설명)된다. 脾(비)는 生痰之器(생담지기)이므로 滲濕健脾(삼습건비)하는 藥(약)들을 祛痰(거담)하는 方劑(방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重要(중요)한 것은 漢醫學(한의학)에서의 痰(담)의 意味(의미)가 肺(폐)에 痰(담)(좁게 얘기하면, 가래의 有無(유무)에만 局限(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則(즉) 痰(담)은 종종 癲癎(전간), 驚風(경풍), 瘰癧(나력), 癭瘤(영류), 일부 慢性(만성) 皮膚(피부) 疾患(질환) 등의 多樣(다양)한 病證(병증)을 包含(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 癲癎(전간) : 경련(痙攣)ㆍ의식(意識) 장애(障礙) 등(等)의 발작(發作)을 계속(繼續) 되풀이하는 질환(疾患)
  • 驚風(경풍) : 어린애들의 경련(痙攣)을 일컫는 말.
  • 瘰癧(나력) : 목 부분(部分)의 임파선(淋巴腺) 만성(慢性) 종창(腫脹)
  • 癭瘤(영류) : 병적으로 불거져 나온 살덩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Q02. 다음 중 폐에 담이 적체되면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      )
咳嗽(해수) 
喘息(천식)
惡心(오심) 
胸悶感(흉민감) 
脇痛(협통)
A

오심
肺(폐)에 痰(담)이 積滯(적체)되면, 咳嗽(해수), 喘息(천식), 胸悶感(흉민감), 脇痛(협통) 등이 나타난다. 治療(치료) 原則(원칙)은 開肺化痰(개폐화담)이며, 除痰止咳(제담지해)하는 藥(약)을 使用(사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Q03. 다음 중 위에 담이 적체되면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       )
惡心(오심)
嘔吐(구토)
食慾喪失(식욕상실)
上腹脹滿(상복창만)
癭瘤(영류)
A

영류

胃(위)에 痰(담)이 積滯(적체)되면, 惡心(오심), 嘔吐(구토), 食慾喪失(식욕상실), 上腹脹滿(상복창만), 가끔 同伴(동반)하는 咳嗽(해수) 등이 나타난다. 治療(치료) 原則(원칙)은 和胃化痰(화위화담)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Q04. 다음 중 담이 경락에 조체 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      ,        )
瘰癧(나력) 
惡心(오심)
嘔吐(구토)
食慾喪失(식욕상실)
癭瘤(영류):혹. 병적(病的)으로 불거져 나온 살덩이.
A

痰(담)이 經絡(경락)에 阻滯(조체)되면, 다양한 病證(병증)이 發生(발생)하는데 痰火(담화)에 해당하는 瘰癧(나력:목 부분(部分)의 임파선(淋巴腺) 만성(慢性) 종창(腫脹). 결핵성(結核性)의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두 가지로 구별(區別)함.), 癭瘤(영류) 등을 包含(포함)한다.

現代(현대) 醫學的(의학적)으로 보면, 이러한 病證(병증)은 慢性(만성) 림프腺腫(선종)과 單純性(단순성) 甲狀腺腫(갑상선종)의 範圍(범위)에 屬(속)한다. 治療(치료) 原則(원칙)은 軟堅消痰(연견소담)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Q05. 다음 중 담탁이 심규를 폐색한 경우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      )
中風(중풍)
食慾喪失(식욕상실)
昏睡(혼수)
牙關緊閉(아관긴폐) 
四肢抽搐(사지추축)
A

痰濁(담탁)이 心竅(심규)를 閉塞(폐색)하면, 中風(중풍), 昏睡(혼수), 牙關緊閉(아관긴폐), 四肢抽搐(사지추축) 등의 腦血管(뇌혈관) 障害(장해)와 特定(특정)한 發作(발작) 疾患(질환) 같은 것과 關係(관계)가 있는 病症(병증)을 일으킨다. 治療(치료) 原則(원칙)은 散風祛痰(산풍거담)이다. 藥理學的(약리학적) 觀點(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藥(약)들은 鎭靜(진정), 抗痙攣(항경련), 祛痰(거담)하는 性質(성질)을 가지고 있다.
일부 化痰(화담)하는 藥(약)들은 强(강)하게 肺(폐)를 刺戟(자극)하는 祛痰劑(거담제)이다. 그러므로 喀血(객혈) 患者(환자)에게 使用(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麻疹(마진) 初期(초기)에 咳嗽(해수)를 同伴(동반)할 때는 가볍게 肺氣(폐기)를 消散(소산)하는 藥(약)이 主藥(주약)이 되므로, 止咳藥(지해약)을 - 특히, 性質(성질)이 溫(온)하고 澁(삽)한 것을 - 使用(사용)해서는 안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溫化寒痰藥(온화한담약)이란?

A

溫化寒痰藥(온화한담약)이란 주로 性質(성질)이 따뜻해서 寒痰(한담)과 濕痰(습담)을 治療(치료)한다. 一般的(일반적)으로 性質(성질)이 强力(강력)하고 有毒(유독)하다. 그러므로 제대로 法製(법제)했는지 確認(확인)하는 注意(주의)가 要望(요망)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온화한담약(溫化寒痰藥)의 종류?

A
  1. 半夏(반하)
  2. 天南星(천남성)
  3. 旋覆花(선복화)(夏菊(하국)
  4. 白前(백전)
  5. 白芥子(백개자)
  6. 桔梗(길경)
  7. 白附子(백부자)
  8. 皂角(조각) = 皂莢(조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Q06.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반하
천남성
의이인
백개자
백전
A

반하

끼무릇의 덩이줄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Q07. 다음 중 반하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辛 
溫 
苦 
有毒
A

• 性味 : 辛 溫 有毒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Q08. 다음 중 반하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肺 
脾 
胃
腎
A

• 歸經 : 肺 脾 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Q09. 다음 중 반하의 효능과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       )   
燥濕化痰(조습화담) 
降逆氣(강역기)
止痙(지경)
和胃止嘔(화위지구)
散結消脹(산결소창)
A

1) 燥濕化痰(조습화담) 降逆氣(강역기) - 脾濕(비습)이 原因(원인)인 寒痰阻肺(한담조폐)
반하는 溫燥(온조)한 성질이 있어 조습하고 화담할 수 있으며, 또한 지해의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습담을 치료하는 요약으로 본 약재에 진피와 복령을 배합하여 조습화담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예컨대, 담을 치료하는 요방인 이진탕과 같은것이다. 한상을 겸하고 담이 많으며 청희한 경우에는 온폐화음하는 약물인 세신, 건강을 배합하는 것이 좋고, 만약 열상이 있고 담이 농후하며 황색인 경우에는청열화담약과 함께 쓰도록 한다. 예컨대 황금, 지모, 과루 등이다

2) 和胃止嘔(화위지구) - 胃內痰濕(위내담습)
- 반하는 조습하여 화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역하여 화위할 수도 있다. 본
약재는 한음구토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으므로 생강과 함께 쓴다. 즉
소반하탕과 같은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병증의 구토에 쓸 수 있다. 예컨대
대반하탕은 인삼, 백밀과 배합한 것으로 위허로 인한 구토를 치료하며, 위열로 인한
구토는 황련, 죽여 등 청위의 약물과 함께 쓸 수 있다. 임신으로 인한 구토에는 소경,
사인 등 이기안태, 화위지구약과 배합하여 쓸 수 있다. 3) 散結消脹(산결소창) - 瘰癧(나력) 癭瘤(영류) 心下痞滿(심하비만)
- 반하는 신산소비, 화담산결의 효능이 있다. 담열에 황련, 과루를 배합한다.
예컨대 소함흉탕과 같은 것이다. 기울담결, 인중에 이물이 걸린 듯한 매핵기증,
열상이 없는 환자를 치료할 때에는 후박, 소엽, 복령 등의 약재와 함께 쓴다. 예컨대
반하후박탕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영류담핵을 치료할 때에는 곤포, 해조, 절패 등
연견산결약과 함께 쓸 수 있다. 이 약으로는 옹저로 인해 등에 생겨나는 종처와
유창을 치료할 수 있는데, [주후방]에서는 생반하를 가루내어 계란의 흰자위로
반죽하여 환부에 바른다고 하였다.

3) 散結消脹(산결소창) - 瘰癧(나력) 癭瘤(영류) 心下痞滿(심하비만)
- 반하는 신산소비, 화담산결의 효능이 있다. 담열에 황련, 과루를 배합한다.
예컨대 소함흉탕과 같은 것이다. 기울담결, 인중에 이물이 걸린 듯한 매핵기증,
열상이 없는 환자를 치료할 때에는 후박, 소엽, 복령 등의 약재와 함께 쓴다. 예컨대
반하후박탕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영류담핵을 치료할 때에는 곤포, 해조, 절패 등
연견산결약과 함께 쓸 수 있다. 이 약으로는 옹저로 인해 등에 생겨나는 종처와
유창을 치료할 수 있는데, [주후방]에서는 생반하를 가루내어 계란의 흰자위로
반죽하여 환부에 바른다고 하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Q10. 다음 중 반하의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는? (      )
出血(출혈) 禁
陰虛咳嗽(음허해수) 愼用
津虧(진휴) 禁
熱證(열증) 愼用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出血(출혈), 陰虛咳嗽(음허해수)/ 津虧(진휴) 禁, 熱證(열증) 愼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Q11. 다음 중 반하의 상반 약재는? (      )
오매
인삼
오두
남성
A

2) 相反(상반) 烏頭(오두)

       • 屬한 方劑
           小柴胡湯(소시호탕),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蘇子降氣湯(소자강기탕), 定喘湯(정천탕), 溫經湯(온경탕), 保和丸(보화환),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二陳湯(이진탕), 溫膽湯(온담탕),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Q12. 다음 중 반하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陳皮(진피) – 위기불화/ 습담 또는 비기허에서 오는 해수, 흉민감  
    2) 黃連(황련) - 위내 한열호결    
    3) 黃芩(황금) – 담열해수 오심구토  
    4) 瓜蔞(과루) - 담열불면
    5) 厚朴(후박) - 담으로 온 해수 복창
A
• 주요 약대
	         1) 陳皮(진피) - 위기불화(胃氣不和)/ 습담 또는 비기허에서 오는 해수, 흉민감  
                2) 黃連(황련) - 위내 한열호결    
                3) 黃芩(황금) – 담열해수 오심구토  
                4) 瓜蔞(과루) - 담열조체로 온 흉창감 해수
     	         5) 厚朴(후박) - 담으로 온 해수 복창  
                 6) 夏枯草(하고초) - 담열불면  
                7) 浙貝母(절패모)- 나력 담습해수
             • 用量	4.5-12g

위기불화
[ 胃氣不和 ]

달리 위불화(胃不和)라고도 부름. 위기(胃氣)가 고르지 못한 것. 위(胃)의 소화 기능이 장애된 것을 말한다. 위에 열사(熱邪)나 한사(寒邪)가 침입하거나 옴식물에 체하는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위양(胃陽)이나 위기(胃氣) · 위음(胃陰)을 상하면 생긴다. 위기불화되면 음식을 먹고 싶은 생각이 없어지고 먹으면 헛배가 불러오르면서 트적지근하고 메스꺼우며 변비 또는 설사가 나는 등 소화 장애 증상이 나타난다. 위기를 고르게 하는 방법으로 평위산(平胃散)을 가감하여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기불화 [胃氣不和]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半夏(반하) 끼무릇의 덩이줄기 의 참고사항

A

半夏(반하)의 三禁(삼금) : 汗家(한가), 血家(혈가), 渴家(갈가)

熱痰(열담)에 黃芩(황금)을 佐(좌)하고, 風痰(풍담)에 南星(남성)을 佐(좌)하고, 寒痰(한담)에 乾薑(건강)을 佐(좌)하고, 痰痞(담비)에 陳皮(진피), 白朮(백출)로서 佐(좌)한다. 이렇듯 佐(좌)에 따라 藥效(약효)가 相異(상이)해지는 것이다.

孕婦(잉부)가 半夏(반하)를 忌(기)하는 것은 그 津液(진액)을 燥(조)함이다. 그리고 少陽人(소양인) 體質(체질)에 있어서는 반드시 落胎(낙태)하니 注意(주의)를 要(요)한다.

그러나 姙娠嘔吐不止(임신구토부지)에 禁忌藥(금기약)이라 하여 此藥(차약)을
用(용)하지 않는 것은 錯誤(착오)이다. 무릇, 姙娠(임신)은 天賦(천부)의
生理的(생리적) 機能(기능)이다. 仲景(중경)이 人蔘半夏丸(인삼반하환)을 用(용)하여
姙娠嘔吐不止(임신구토부지)를 治(치)하였으니 이것은 이런 病症(변증)이 있으면
이런 藥(약)을 用(용)하고 禁忌(금기)를 不拘(불구)한 것이다. 內經(내경)에
“有故無損(유고무손)”은 이런 것을 指(지)한 것이다. 만일 小心投藥(소심투약)하려면
半夏(반하)를 數次湯泡(수차탕포)하여 用(용)하는 것도 하나의 方法(방법)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반하의 4가지 효능

開 宣 滑 降 (개 선 활 강)

A

1) 開(개)
- 반하는 무엇인가 막힌 것을 열어주는 작용이 강하다.
- 십이지(十二支) = 지지(地支) 자(子)-쥐, 축(丑)-소, 인(寅)-호랑이, 묘(卯)-토끼,
진(辰)-용, 사(巳)-뱀, 오(午)-말, 미(未)-양, 신(申)-원숭이, 유(酉)-닭, 술(戌)-개,
해(亥)-돼지
수정: 화(병, 정) 🡪 화(사, 오)
- 토( 진(辰), 술(戌), 축(丑), 미(未))
- 계절이 들어오는 첫머리에는 모두 土가 있다.
(巳午未(사오미), 申酉戌(신유개), 亥子丑(해자축))
- 토라는 것은 항상 사방의 문이 된다.
- 반하도 脾胃(비위)의 토로 들어가서 잘 열어 주는 작용을 한다.
2) 宣(선) : 베풀선 펼칠 선
- 뭉친 것을 쫙 펼쳐지게 한다. 펼쳐져서 흩어지게 하는 작용이 아주 강하다.
3) 滑(활)
- 滑(활) 하므로 노폐물 같은 것을 끌어내려 하강시킨다.
- 반하가 몸을 조하게 한다. 🡪 몸에 있는 습을 흩어지게 하고 그것을 쭉 내리고 빼는 작용이
매우 강해서 습이 싹 없어지니까 조하다고 하는 것이다. - 습이 있어야 담이 생기는데, 습을 다 빼버리니까 담이 생길 여지가 없다.
- [상한론] 습을 제거해야 하거나 구토가 많은 사람은 반하를 가하고, 담이 많은 사람은
복령을 가하라
① 痰(담)을 치는 작용 : 복령 > 반하
② 濁飮(탁음)이나 濕(습)을 제거하는 작용 : 복령 < 반하 - 痰(담)이라는게 어떻게 생기나(조건)?
① 습이 성해야만 담이 된다.
② 습이 오래되고
③ 거기에 열이 가해진다거나, 汚濁(오탁)한 것, 혈액 찌꺼기 같은 것이 머물러
줘야지 담이 되는 것이다.
→ 담이 생성되기까지의 노폐물을 쏵 없애주는 약이 반하다.
4) 降(강)
- 반하는 몹시 활하고 밑으로 끌어내리는 작용, 즉 降泄(강설)작용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습탁한 것이 몸에 많아 병증을 일으킬 때 쓸 수 있다.
- 土(토)에 升降(승강)이 안되서 자꾸 구토하거나 음이 성해지고 거기다가 열이 가해져서
담음이 성해지게 될 때 사용하는 것이 반하이다.
- 습을 끌고 활강을 하므로 충역하는 것을 아래로 끄집어 내리면서 탁음을 밑으로
끌어내리는 것이 반하다.

• 심하에 가수분이 많아지면 ‘출렁출렁’ 하면서 배에서 ‘꾸륵꾸륵’ 소리가 난다.
🡪 이것은 습과 음의 상태이다. 이 습과 음이 성해지면서 승강이 안되니까 답답해진 것이다.
🡪 이 답답함을 끄집어 내리는 주방이 반하사심탕이다.
🡪 반하사심탕(반하, 황금, 건강, 자감초, 인삼, 황련, 대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Q13. 담을 치는 작용은 복령이 반하 보다 더 좋다. ( )

A
  • 습이 있어야 담이 생기는데, 습을 다 빼버리니까 담이 생길 여지가 없다.
    - [상한론] 습을 제거해야 하거나 구토가 많은 사람은 반하를 가하고, 담이 많은 사람은
    복령을 가하라
    ① 痰(담)을 치는 작용 : 복령 > 반하
    ② 濁飮(탁음)이나 濕(습)을 제거하는 작용 : 복령 < 반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Q14. 탁음이나 습을 제거하는 작용은 반하가 더 우수하다. ( )

A
  • 습이 있어야 담이 생기는데, 습을 다 빼버리니까 담이 생길 여지가 없다.
    - [상한론] 습을 제거해야 하거나 구토가 많은 사람은 반하를 가하고, 담이 많은 사람은
    복령을 가하라
    ① 痰(담)을 치는 작용 : 복령 > 반하
    ② 濁飮(탁음)이나 濕(습)을 제거하는 작용 : 복령 < 반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Q15. 다음 중 여러 종류의 담을 치료할 때 연결이 잘못된 것은? (       ) 
노담 - 대황, 반하
열담 – 황련, 황금
습담 – 창출,백출
한담 – 건강, 부자
풍담 – 후박
A

• 老痰(노담) : 오래된 담이 있는 사람은 담이 아교처럼 끈적 끈적하다. 🡪 대황으로 식히면서, 풀어지게 하는 반하를 같이 사용한다. 과루인을 같이 사용해도 좋다.
• 熱痰(열담) : 담의 색깔이 누렇다. 🡪 황련, 황금을 같이 사용한다.
• 濕痰(습담) : 담의 색깔이 희다. 🡪 창출, 백출하고 같이 사용한다.
• 寒痰(한담) : 담이 맑다. 🡪 건강, 부자와 같이 사용한다.
• 風痰(풍담) : 중풍, 졸도를 일으킴. 담이 형성이 되고, 습이 성해져서 담이 규를 막아서 오는 증상들
. 🡪 반하, 牛膽(우담) + 남성, 죽력, 생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기타 반하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

A

• 지음이 많이 쌓여 자꾸 어지럽고 토할 때?
🡪 영감오미강신가반하탕(복령, 감초, 세신, 건강, 오미자, 반하)
• 咳逆(해역:횡격막(橫膈膜ㆍ橫隔膜)이 갑자기 줄어지고 목구멍이 막히어 숨을 들이쉬는 소리가 나는 병(病). 위병(胃病). 히스테리 따위로 인(因)하여 생김.)하면서 상기하고 눈이 빠질 듯 하고 맥이 부대한 경우
🡪 월비가반하탕(마황, 석고, 생강, 대조, 감초, 반하)
- 마황으로 표까지 올리면서 석고로 끄집어 내리는 것이다. 그러면서 체내에 가수분이 형성이 되는 것을 반하가 제거해 주는 것이다. • 항상 목에 뭔가가 걸린 것 같을 때(매핵기)
🡪 반하후박탕(반하, 후박, 복령, 생강, (자)소엽)
- 여자들은 기가 울하게 되면 그곳으로 가수분이 몰리고 뭔가가 뭉쳐진 것은 느낌이 들고, 자꾸 침체되고, 항상 목에 뭔가가 걸린 것 같은 느낌이 있을 때
• 양허로 인해 가수분이 몰려 있어서 심하계, 가슴이 두근두근할 때
🡪 반하마황탕(반하, 마황)
- 양허로 인해 토가 습해지니까 양으로 올라갈 힘이 약해진다. 그러면 마황으로 표를 열어 놓고 올리면서 체내 가수분을 빼면 가수분이 뭉쳐 있던 것이 제거 되니까 심하계가 없어지는 것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Q16. 다음 중 반하를 법제를 할 때, 연결이 잘못된 것은? (       )
청반하 – 백반
강반하 – 생강과 백반
법반하 – 감초와 석회
흑반하 – 흑두
A

반하의 법제
1) 청반하
조습(燥濕), 화담(化痰) 작용이 강화되어 담다해천(痰多咳喘) 등에 이용됨 잡질을 제거한 반하를 8% 백반 용액에 건심이 없고 맛을 보아 약간 혀가 저릴 정도로 담구어 둔 후 꺼내어 말린다. 반하 100kg에 백반 20kg을 사용한다.

2) 강반하
강역지구(降逆止嘔) 작용이 증강되어 반위(反胃), 매핵기(梅核氣) 등에 이용함 반하를 물에 담구어 건심이 없도록 한다. 생강을 넣어 달여 생강탕을 만든 후 백반을 넣는다. 이 생강백반탕에 반하를 넣어 삶는데 물이 거의 스며들 때까지 푹 삶은 후 꺼내어 건조한다.
반하 100Kg, 생강 25kg, 백반 12.5kg 사용한다.

3) 법반하
조습화담(燥濕化痰) 작용이 증강되어 담다해천(痰多咳喘), 풍담현훈(風痰眩暈), 담궐두통(痰厥頭痛)에 사용한다. 반하를 물에 담구어 건심이 없도록 한다. 감초를 달인 물에 석회수를 혼합하고 건심이 물에 담구어진 반하를 넣어 하루에 2-3회 물을 바꾸어 주면서 담구어 둔다. 꺼내보아 단면이 황색이고 혀가 약간 아릴 때까지 작업하며, pH는 항상 12를 맞추어 준다.
반하 100kg, 감초 15kg, 생석회 10kg 사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왜 반하를 법제를 하는가?

A

반하 독은 구강 같은 점막조직을 주로 자극한다. 심하면 조직 괴사도 초래한다. 그러나 생강즙에 하룻밤 정도 담가서 불린 다음 그늘에 말리면 그 독성이 없어진다. 여기에 백반을 소량 넣는다. 생강을 도와서 반하의 독을 제거하고 담(痰)을 없애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이를 강반하(薑半夏)라고 한다.
반하는 독성이 있는 한약재로 포제를 하면 약성이 더욱 좋아진다.
반하의 포제법은 여러 가지인데 대표적으로 보료와 법제법에 따라 청반하, 강반하, 법반하로 나뉜다. 청반하는 백반으로, 강반하는 생강과 백반으로, 법반하는 감초와 석회로 법제하는 방법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Q17. 강반하는 강역지구의 작용이 증강되어 반위, 매핵기 등에 이용한다. ( )

A

2) 강반하
강역지구(降逆止嘔) 작용이 증강되어 반위(反胃), 매핵기(梅核氣) 등에 이용함
반하를 물에 담구어 건심이 없도록 한다. 생강을 넣어 달여 생강탕을 만든 후 백반을 넣는다.
이 생강백반탕에 반하를 넣어 삶는데 물이 거의 스며들 때까지 푹 삶은 후 꺼내어 건조한다.
반하 100Kg, 생강 25kg, 백반 12.5kg 사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Q18. 청반하는 조습, 화담 작용이 강화되어 담다해천 등에 이용한다. ( )

A

1) 청반하
조습(燥濕), 화담(化痰) 작용이 강화되어 담다해천(痰多咳喘) 등에 이용됨
잡질을 제거한 반하를 8% 백반 용액에 건심이 없고 맛을 보아 약간 혀가 저릴 정도로
담구어 둔 후 꺼내어 말린다. 반하 100kg에 백반 20kg을 사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Q19. 약의 제형 중 구를 쓸 경우 중에서 병이 하초 밑에 있는 경우에는 구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A
丸(구)를 쓸 경우
• 하초, 밑에 있는 병에 쓸 때에는 구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 위로 갈수록 작게 사용한다. 
• 약을 구로 만들 때도 간신의 부위인 아래쪽으로 쓸 때에는 구의 크기를 크게하고, 중초에 쓸 때에는 중간크기, 상초로 올라가는 것이나, 머리나 눈병에 작용하도록 구를 만들 때는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것이다. 
• 독성이 있는 대극 같은 약을 환으로 먹으려면 소량으로 먹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Q20. 약성을 아래로 보내고 싶은 경우 주초를 한다. ( )

A

머리나 피부에 병이 있어서 약을 위로 올리거나 표피로 보내고 싶은 경우
🡪 주초를 한다.
아래쪽으로 보내고 싶은 경우
🡪 소금물에 담가 놓는다든지, 소금물로 씻어서 하강시키는 기운을 불어넣는다.
승강을 이롭게 하고, 경락으로 잘 퍼지게 하기 위해서는
🡪 약을 가루로 곱게 빻아서 탕으로 끓이면 된다.
높은 곳으로 올리려고 할 때는 술에 넣어서 끓이고, 중초에 습을 제거하면서 돌릴 때는 생강즙에 넣어서 끓이고, 원기를 보할 때는 대추 달인 물에 약을 끓이면 좋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Q21. 약의 기운을 발산하고 싶을 때는 薑(강)으로 製(제)한다. ( )

A

약을 제조할 때 술을 같이 쓰는 경우는 뭔가를 끌어 올리려고 하는 것이다.
🡪 머리 꼭대기, 팔, 표피의 부위로 뭔가를 끌어올리려고 할 때는 술에 볶던지(炒(초)), 沈(침)을 하는 것이다.
약의 기운을 발산하고 싶을 때는 薑(강)으로 製(제), 즉 만드는 것이다.
鹽(염)으로 製(제), 즉 만드는 것은 신으로 달리게 해서 딱딱한 것을 부드럽게 하는 의미가 있다.
뭔가 굳어서 딱딱한 게 있을 때는 鹽(염)에다가 볶거나 담궈 놓는다는지, 鹽(염)으로 씻어서 사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Q22. 약을 간으로 주입시켜서 통증을 완화하고 진정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은? (      )
우유에서 제조
醋炒(초초)로 제조
童便(동변)으로 제조
蜜灸(밀구)로 제조
心(심)을 제거
A

醋(식초 초)
醋炒(초초)하는 것 많다. 醋(초)에 제조를 하는 것은 간으로 주입시켜서 통증을 완화하고 진정시킬 때 炒(초)를 한다.
열성을 제거하면서 하강시킬 때는 童便(동변)으로 제조한다.
쌀뜨물로 제조하는 것은 백출, 창출과 같이 건조한 약제들을 쌀뜨물에 넣어서 제조하는데 그렇게 하면 습을 제거하면서도 너무 건조해지는 조성을 제거하여 중초를 化(화)하게 할 수 있다.
우유에서 제조하게 되면 苦燥(고조)한 것을 부드럽고 윤택하게 하면서 혈을 생한다.
蜜炒(밀초), 蜜灸(밀구)
🡪 꿀로서 제조하는 것은 단 것으로 약성을 천천히 작용하게 하면서 원기를 보익하기 위함이다.
감초탕에서 하는 것
🡪 해독하고, 화평하게 하기 위해서다. 모든 약 중에서 제일 해독을 잘하는 것이 감초다.
心(심)을 제거하는 것
🡪 煩(번)을 제거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보리껍질이나 밀껍질 같은 것으로 수치하는 것
🡪 혹독한 성질을 억압해서 上膈(상격)을 상하지 않기 위해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Q23.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진교
천남성
반하
백부자
길경
A

천남성

천남성의 덩이줄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Q24. 다음 중 천남성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苦 
辛 
溫 
有毒
甘
A

• 性味 : 苦 辛 溫 有毒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Q25. 다음 중 천남성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肺
肝 
脾 
膽
A

• 歸經 : 肺 肝 脾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Q26. 다음 중 천남성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燥濕祛痰(조습거담)
散經絡風痰(산경락풍담)
止痙(지경)
消腫止痛(소종지통)
淸虛熱(청허열)
A

• 效能과 主治
1) 燥濕祛痰(조습거담) - 頑固(완고)한 痰(담)으로 인한 咳嗽(해수)
胸部脹悶感(흉부창민감)
- 천남성은 조습화담하는 효능이 있으며, 온조의 성질은 반하보다 훨씬낫다. 진피, 반하, 복령, 지실 등과 함께 배합하여 담습옹체로 인한해수, 痰多稀薄(담다희박) , 태니, 흉민, 등의 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 예컨대, 도담탕과 같은 것이다. 폐열해수, 각담황조에 속하 증상에는 황금, 과루 등 청열화담약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散經絡風痰(산경락풍담) 止痙(지경) : 경련을 멈추다
風痰阻滯經絡(풍담조체경락)
- 천남성은 거풍지경의 효능이 있어 반하, 천마 등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옥호환과 같은 것이다. 풍담이 경락에 머물러 있음으로 해서
야기된 수족완마, 반신불수, 구안와사 등의 병증에는 반하, 백부자,
천오 등과 배합하여 쓸 수 있다. 즉 청주백환자와 같은 것이다.
파상풍을 치료할 때에는 본 약재에 방풍, 백지, 천마 등을 배합하여 쓸
수 있다. 파상풍을 치료할 때에는 본 약재에 방풍, 백지, 천마 등을
배합하여 쓸 수 있다. 예컨대 옥진산과 같은 것이다.
3) 消腫止痛(소종지통) - 癰腫疔毒(옹종정독)에 外用(외용)
- 생남성을 환부에 바르면 산결소종지통할 수 있으며, 옹저담핵종통도
치료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항종류작용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주로 자궁경암에 쓰인다.

  • 癰腫疔毒(옹종정독) : 옹종(廱腫)과 정독(疔毒)을 함께 이르는 용어임
  • 옹종(廱腫) : 기혈(氣血)이 사독(邪毒)을 받아 옹색(壅塞)하여 통하지 않음으로써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종창(腫脹)의 증상
  • 정독(疔毒) : 정창(疔瘡)이 중해지고 악화되는 것
33
Q
Q27. 다음 중 천남성의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은? (       )
頻尿(빈뇨) 禁
陰虛(음허) 禁
燥痰(조담) 禁
肺燥熱(폐조열) 禁
孕婦(잉부) 禁
A

天南星(천남성) 천남성의 덩이줄기
• 注意事項 및 禁忌
1) 陰虛(음허), 燥痰(조담), 肺燥熱(폐조열), 孕婦(잉부) 禁
2) 相畏(상외) 附子(부자) 乾薑(건강) 生薑(생강)

34
Q
Q28. 다음 중 천남성의 상외가 아닌 것은? (      )
附子(부자) 
烏頭(오두) 
乾薑(건강) 
生薑(생강)
A

天南星(천남성) 천남성의 덩이줄기
• 注意事項 및 禁忌
1) 陰虛(음허), 燥痰(조담), 肺燥熱(폐조열), 孕婦(잉부) 禁
2) 相畏(상외) 附子(부자) 乾薑(건강) 生薑(생강)

35
Q

Q29. 다음 중 천남성의 주요 약대가 잘못 연결된 것은? ( )

       1) 半夏(반하), 陳皮(진피), 枳實(지실) – 습답조체  
        2) 黃芩(황금), 瓜蔞(과루) – 폐열해수 
        3) 天麻(천마) – 풍담상역/ 발작 경련   
        4) 蒼朮(창출)- 중초보습  
        5) 白附子(백부자), 羌活(강활), 白芷(백지) - 풍담조체경락(구안와사, 근육경련)
A

• 주요 약대
1) 半夏(반하), 陳皮(진피), 枳實(지실) – 습답조체
2) 黃芩(황금), 瓜蔞(과루) – 폐열해수
3) 天麻(천마) – 풍담상역/ 발작 경련 4) 蒼朮(창출)- 풍습비증
5) 白附子(백부자), 羌活(강활), 白芷(백지) - 풍담조체경락(구안와사, 근육경련)
• 用量 4.5-9g(製用), 0.3-1g(生用으로 丸(환), 散劑時(산제시)

36
Q

Q30. 남성은 거습담 위주로 사용을 하고, 반하는 거풍습 위주로 사용을 한다. ( )

A

南星(남성)과 半夏(반하)가 함께 治痰(치담)하는 要藥(요약)이 되지만,
다만 半夏(반하)는 濕痰(습담)을 治(치)하고 南星(남성)은 風痰(풍담)을
治(치)하는 것이다. 半夏(반하)가 辛(신)하되 守(수)하고 南星(남성)이
辛(신)하되 守(수)하지 않는 것은, 南星(남성)의 性(성)이 半夏(반하)보다
烈(열)하기 때문이다.
1) 조습하고, 2) 풍담을 제거하고, 3) 진경하고, 4) 해울한다.

습을 잘 제거하는 기능이 반하와 비슷하다.
      - 반하는 습담을 잘 제거하고, 성격이 남성에 비해 좀 완만하다. 주로
             위장이나 소화기 계통 내부, 이부로 들어간다.  
      - 남성은 풍담을 잘 제거한다. 성격이 아주 급속하다. 경락의 풍의 울체를
             많이 푼다. 
 남성
거풍담 위주
급속
경락에 입하여 표부에 작용

반하
거습담 위주
완만
위장에 입하여 이부에 작용

37
Q

Q31. 남성은 경락에 입하여 표부에 작용을 하고, 반하는 위장에 입하여 이부에 작용한다. ( )

A

1) 조습하고, 2) 풍담을 제거하고, 3) 진경하고, 4) 해울한다.

습을 잘 제거하는 기능이 반하와 비슷하다.
      - 반하는 습담을 잘 제거하고, 성격이 남성에 비해 좀 완만하다. 주로
             위장이나 소화기 계통 내부, 이부로 들어간다.  
      - 남성은 풍담을 잘 제거한다. 성격이 아주 급속하다. 경락의 풍의 울체를
             많이 푼다. 
 남성
거풍담 위주
급속
경락에 입하여 표부에 작용

반하
거습담 위주
완만
위장에 입하여 이부에 작용

천남성은 구안와사나 피부의 감각마비에 많이 사용된다.
🡪 몸에 기가 뭉쳤거나 적취가 있거나 종창이 있거나 담이 성해 두면마비가
있을 때, 반신불수, 전간, 마비 같은 증상에 많이 쓴다.
🡪 남성이 너무 조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우담에 넣어서 쓰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되면 해울도 잘하면서 너무 조하지 않게 하고, 전간이 있을 때는
牛膽南星(우담남성)을 많이 사용한다.
🡪 두면마비에 사용할 때에는 표로 이끌어서 경락으로 잘 반산 시켜야 하므로
강즙초를 하는게 좋다.

38
Q

Q32.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위령선
선복화
독활
천남성
반하
A
  1. 旋覆花(선복화)(夏菊(하국) 金沸草(금비초)의 꽃
    • 性味 : 苦 辛 微溫
    • 歸經 : 肝 肺 脾 胃
    • 效能과 主治
39
Q
Q33. 다음 중 선복화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辛 
苦
微溫
咸
A
  1. 旋覆花(선복화)(夏菊(하국) 金沸草(금비초)의 꽃
    • 性味 : 苦 辛 微溫
    • 歸經 : 肝 肺 脾 胃
    • 效能과 主治
40
Q
Q34. 다음 중 선복화의 귀경이 아닌 은? (      )
肝 
肺 
脾 
胃
腎
A
  1. 旋覆花(선복화)(夏菊(하국) 金沸草(금비초)의 꽃
    • 性味 : 苦 辛 微溫
    • 歸經 : 肝 肺 脾 胃
41
Q
Q35. 다음 중 선복화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引導降氣(인도강기)
祛痰(거담)
通經絡止痛(통경락지통)
止嘔降逆(지구강역)
A

1) 引導降氣(인도강기) 祛痰(거담) - 痰(담)이 積滯(적체)되고 氣(기)가
逆上(역상)할 때 좋다.
- 선복화는 소담행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를 내리는 작용을
한다. 한담해천에 쓰이는데 표증을 겸한 경우에는 본 약재에 생강,
반하, 세신 등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금불초산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담열해천의 실증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약재에
길경, 상백피, 대황 등을 배합하여 쓴다. 예컨대 선복화탕 같은 것이다.
2) 止嘔降逆(지구강역) - 脾胃虛寒(비위허한)/ 脾濕(비습)으로 인한
嘔吐(구토)/ 呃逆(애역)
- 선복화는 강기지구의 작용을 한다. 예컨대 선복대자탕은 비위기허,
담습상역으로 인한 구토애기, 심하비만의 증후를 치료하는데, 이는
본 약재에 대자석, 반하, 생강, 인삼 등의 약재를 배합한 것이다.

소담행수消痰行水 - 담(痰)을 없애고 수(水)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42
Q
Q36. 다음 중 선복화의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허증 신용
음허증 금
양허증 금
무습증 신용
A

• 注意事項 및 禁忌

虛證(허증) 愼用

43
Q

Q37. 다음 중 선복화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半夏(반하), 細辛(세신) - 한담해수  
    2) 桔梗(길경), 桑白皮(상백피), 大黃(대황) - 담열해수
    3) 代赭石(대자석), 人蔘(인삼) - 비위허한에서 온 구토 애역  
    4) 牛膝(우슬) – 풍습비로 인한 상지관절통
A

• 주요 약대
1) 半夏(반하), 細辛(세신) - 한담해수
2) 桔梗(길경), 桑白皮(상백피), 大黃(대황) - 담열해수
3) 代赭石(대자석), 人蔘(인삼) - 비위허한에서 온 구토 애역
4) 半夏(반하) - 담음으로 인한 구토 해수
• 用量 3-12g
• 참고
花名(화명)을 旋覆(선복)(下氣化痰(하기화담))이라 한 것은 花(화)가
圓(원)하여 覆下(복하)함이요, 草名(초명)을 金沸草(금비초)
(逐水導濕(축수도 )라 한 것은 水露(수로)의 精粹(정수)를 얻어
肺金(폐금)의 熱沸(열비)를 淸(청)하기 때문이다.

44
Q

Q38.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백전
선복화
독활
천남성
반하
A

白前(백전) 백전의 뿌리
• 性味 : 辛 甘 微溫
• 歸經 : 肺

45
Q
Q39. 다음 중 백전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苦 
辛
 甘 
微溫
A

白前(백전) 백전의 뿌리
• 性味 : 辛 甘 微溫
• 歸經 : 肺

46
Q
Q40. 다음 중 백전의 귀경은? (      )
肝 
肺
心
脾 
腎
A

白前(백전) 백전의 뿌리
• 性味 : 辛 甘 微溫
• 歸經 : 肺

47
Q
Q41. 다음 중 백전의 효능과 주치는? (       )
祛風濕(거풍습) 
通經絡(통경락) 
治太陰頭痛(치태음두통)
治皮膚瘙痒(치피부소양)
降氣祛痰(강기거담)
A

降氣祛痰(강기거담) - 肺氣鬱滯(폐기울체)에 좋은데, 咳嗽(해수),
多痰(다담), 痰鳴(담명)에 使用(사용)한다.
- 백전은 성질이 미온하고 조열하지 않으며, 거담에 좋을 뿐만 아니라 강기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偏寒子(편한자)의 경우 본 약재에 자완, 반하 등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偏熱子(편열자)의 경우에게는 상백피, 지골피 등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외감풍한으로 인한 해수를 치료할 때에는 형개, 길경, 진피 등과 배합한 지수산으로
다스릴 수 있다. 예컨대 해천부종, 후중담명 등 실증을 치료할 때에는 자완, 대극
등과 같이 쓸 수 있다. 즉 백전탕과 같은 것이다.

48
Q
Q42. 다음 중 백전의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
기허해수 금
음허해수 금
양허 금
신불납기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氣虛咳嗽(기허해수), 腎不納氣(신불납기) 禁

49
Q

Q43. 다음 중 백전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紫菀(자완), 半夏(반하) - 습담조폐  
    2) 桑白皮(상백피) - 만성해수 
    3) 百部(백부) - 폐로해수(혈담)
    4) 桔梗(길경), 荊芥(형개) - 외감풍한 해수유담  
    5) 蒼朮(창출) - 근육경련강직
A

• 주요 약대
1) 紫菀(자완), 半夏(반하) - 습담조폐
2) 桑白皮(상백피) - 만성해수 3) 百部(백부) - 폐로해수(혈담)
4) 桔梗(길경), 荊芥(형개) - 외감풍한 해수유담
5) 蒼朮(창출) - 습으로 인한 부종
• 用量 3-9g

50
Q

Q44.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해풍등
백전
백개자
길경
천남성
A

白芥子(백개자) 겨자 및 갓의 成熟(성숙)한 種子(종자)
• 性味 : 辛 溫
• 歸經 : 肺

51
Q
Q45. 다음 중 백개자의 성미로 옳은 것은? (       ,         )
辛 
甘 
苦
溫
A

白芥子(백개자) 겨자 및 갓의 成熟(성숙)한 種子(종자)
• 性味 : 辛 溫
• 歸經 : 肺

52
Q
Q46. 다음 중 백개자의 귀경으로 맞는 것은? (       )
肺 
肝  
腎 
脾 
胃
A

白芥子(백개자) 겨자 및 갓의 成熟(성숙)한 種子(종자)
• 性味 : 辛 溫
• 歸經 : 肺

53
Q
Q47. 다음 중 백개자의 효능 및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       )
溫肺(온폐) 
理氣(이기) 
消食(소식)
散結(산결) 
止痛(지통)
A

1) 溫肺(온폐) 理氣(이기) 祛痰(거담) - 慢性(만성) 寒痰積滯(한담적체)에
使用(사용)한다.
- 백개자는 신산이기, 온폐거담의 효능이 있다. 해수담다청희를
치료하는데 소자와 내복자를 함께 쓴다. 즉 삼자양친탕과 같은
것이다. 담음이 흉격에 정체되어 생긴 흉만협통에 속하는 증상들은
본 약재에 감수, 대극 등을 배합한 공연단을 사용하면 거담축음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것으로 삼출성흉막염을 치료하는데, 흉강적액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2) 散結(산결) 消腫(소종) 止痛(지통) - 寒痰阻滯經絡(한담조체경락)
- 백개자는 경락의 담을 제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이기산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백개자자산은 본 약재에 목별자, 몰약, 계심, 목향 등을
배합하여 만든 산제로 담체경락, 견비지체동통마비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양화탕은 담습유주, 음저종독을 치료하는데, 이는 본 약재에 녹각교,
육계, 포강, 숙지황 등을 배합한 것으로 온양통체, 소담, 산결의 효능이 있다.

54
Q
Q48. 다음 중 백개자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肺虛咳嗽(폐허해수) 禁
陰虛發熱(음허발열) 禁
皮膚過敏(피부과민) (外用(외용)) 禁
頻尿(빈뇨) 禁
A

• 注意事項 및 禁忌

肺虛咳嗽(폐허해수), 陰虛發熱(음허발열), 皮膚過敏(피부과민)(外用(외용)) 禁

55
Q
Q49. 다음 중 백개자의 주요 약대 연결이 잘못된 것은? (       )
蘇子(소자), 蘿菔子(나복자) - 삼자양친탕 
甘遂(감수), 大戟(대극) - 흉격에 담음  
肉桂(육계), 熟地黃(숙지황) - 음저
藿香, 砂仁 – 서열설사
A

• 주요 약대
1) 蘇子(소자), 蘿菔子(나복자) - 삼자양친탕
2) 甘遂(감수), 大戟(대극) - 흉격에 담음
3) 肉桂(육계), 熟地黃(숙지황) - 음저
• 用量 3-9g

56
Q

白芥子(백개자)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A

이기, 소중, 거담하는 약이다.
신온성이기 때문에 기관지 분비를 증가시켜서 거담하는 효과가 있다.
장기간 달이면 효과가 없다. 조금 달여서 써야 한다.
한담으로 다량의 묽은 객담이 있거나 해수, 흉협통이 있을 때 따뜻하게 폐를 돌게 해서 기를 이롭게 하여 붓기를 쫙 빼면서 담을 제거하는 것이다.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삼출성 늑막염 같은 것에 백개자를 쓰면 좋다.
한습성으로 오는 관절동통, 중풍의 후유증에도 백개자를 많이 쓴다. 죽력, 생강즙을 백개자와 같이 쓰면, 몸의 곳곳에 울체된 덧을 쫙 풀어서 내린다.
[진사탁] 선생님
- 먹어도 몸에 무리가 없이 수습을 쫙 빼서 소종거담한다" 삼자양친탕(백개자, 소자, 내(나)복자)
만성기관지염이 있을 때 사용한다.
🡪 기침이 나면서 담이 성하고 가슴이 차서 가슴이 벌떡거리고 잘 먹지
못하는 것을 비를 보양하여 식욕을 증진시키는 처방임

57
Q

Q50.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백전
백개자
길경
진교
반하
A

桔梗(길경) 도라지의 根

58
Q
Q51. 다음 중 길경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
辛 
甘
苦 
溫 
平
A

性味 : 苦 辛 平

59
Q
Q52. 다음 중 길경의 귀경은? (         )
肺 
肝 
腎 
脾 
胃
A

歸經 : 肺

60
Q
Q53. 다음 중 길경의 효능 및 주치가 아닌 것은? (       )
開宣肺氣祛痰(개선폐기거담)
排膿(배농)
利咽喉(이인후)
諸藥引上(제약인상)
답없음
A

1) 開宣肺氣祛痰(개선폐기거담) - 다른 藥(약)과 配合(배합)하여
風寒(풍한)과 風熱咳嗽(풍열해수) 모두에 使用(사용)한다.
- 길경은 신산고설하며, 그 효능은 폐기를 개선하고 흉격인후를 통창하게
하는 것으로 비교적 양호한 거담작용을 한다. 해수담다를 치료함에
있어서 폐한, 폐열을 불문하고 모두 응용할 수 있다. 예컨대 행소산은 본
약재에 행인, 소엽, 진피 등을 배합하여 만든 것인데 풍한해수에 쓰인다.
상국음은 본 약재에 상엽, 국화, 행인 등을 배합하여 만든 것으로서
풍열해수를 치료할 수 있다.
2) 排膿(배농) - 肺(폐)와 咽喉(인후)의 腫瘍(종양)
길경은 배농효능이 있다. 예컨대 길경탕은 감초와 배합한 것으로 배농에 쓸 수
있고, 길경백산은 패모, 파두 등과 배합한 것으로서 배농의 효혁이 아주 높다.
오늘날에는 대부분 어성초, 의인, 동과자 등을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3) 利咽喉(이인후) – 주로 風熱(풍열)로 인한 咽喉腫痛(인후종통), 失音(실음)
길경은 이인후의 효능이 있어서 인통음아의 경우에는 박하, 우방자, 선태
등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담조, 흉민불서를 치료할
때에는 지곡, 과루피 등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諸藥引上(제약인상)

61
Q
Q54. 다음 중 길경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객혈 금
혈허 금
기허 금
한습 금
A

注意事項 및 禁忌

1) 喀血(객혈) 禁

62
Q

Q55. 다음 중 길경의 상외 약초는? ( , )

      1) 인삼 
      2) 용담초
      3) 용안육
      4) 오두
      5) 황기
A

2) 相畏(상외) 龍膽草(용담초) 龍眼肉(용안육)

63
Q

Q56. 다음 중 길경의 주요 약대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

       1) 甘草(감초) - 풍열인후종통  
       2) 紫蘇葉(자소엽), 杏仁(행인) - 풍한해수  
       3) 桑葉(상엽), 菊花(국화) - 풍열해수  
       4) 半夏(반하) – 습담해수
       5) 瓜蔞仁(과루인), 薏苡仁(의이인) - 배농촉진
A

• 주요 약대
1) 甘草(감초) - 풍열인후종통
2) 紫蘇葉(자소엽), 杏仁(행인) - 풍한해수
3) 桑葉(상엽), 菊花(국화) - 풍열해수
4) 半夏(반하) – 습담해수
5) 瓜蔞仁(과루인), 薏苡仁(의이인) - 폐옹 6) 白芷(백지) - 배농촉진(궤양)
7) 貝母(패모), 巴豆(파두) - 배농촉진(미궤양)
• 用量 3-9g

64
Q

桔梗(길경)

도라지의 根

A

同甘草(동감초) 爲舟楫之劑(위주즙지제)
桔梗(길경)은 能(능)히 諸藥(제약)을 引(인)하고 上行(상행)할 뿐만 아니라 能(능)히 下氣(하기)하는데 그것은 肺(폐)로 入(입)하기 때문이며 肺金(폐금)이 令(령)을 얻으면 곧 濁氣(탁기)가 下行(하행)하기 때문이다.나무의 모든 뿌리는 밑으로 내려간다. 사람으로 얘기하면 어디로 가는가?
위로 올라간다. 사람은 머리를 하늘에 대고 있지만 나무는 머리가 땅속에 있고 팔 다리가 가지다. 열매는? 종자이다. 사람이랑 완전히 거꾸로 된 것이다.

나무의 종자는 사람에게는 밑으로 들어가고 뿌리는 위로 들어가는 것이다.
길경은 폐기를 잘 이끌어서 위로 간다. 폐기로 올라가서 소통능력이 좋으니 흉곽을 잘 소통 시킨다.
폐의 풍열을 소통시키면서 없애고 흉곽이라는 것은 머리의 아래이기 때문에 이쪽을 소통시키려면 머리와 인후의 울체가 풀어지기 때문에 목이 아프거나 코가 막히거나 목 쪽으로 울한 것을 잘 치료하는 것은 흉을 잘 소통시키기 때문이다.

소통을 잘 시켜주면 폐의 원래 기능은 하강하는 기운이므로 폐기가 스스로 잘 하강하는 기전을 하게 해준다.
도라지가 하강시키는게 아니라 도라지 자체는 위로 올라가서 선폐하는 기능이 있어 잘 소통시키는데, 폐에 울체가 풀어지면서 금수하강으로 폐의 하기하는 기능이 좋아진다.

기가 소음으로 침체되어 상기가 되지 않고 올라가는 기가 약할 때 기를 위로 올려서 소통시키면서 배농시켜야 하는 경우
길경탕(길경, 감초)
🡪 기운이 위까지 상승이 안 되면서 배출을 잘 못하는 사람은 감초와 도라지를
가루 내어 먹으면 된다.

65
Q

Q57.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흑부자
백부자
백전
백개자
반하
A

白附子(백부자) (CA 시험 범위가 아님)

66
Q
Q58. 다음 중 백부자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辛 
甘 
溫 
有毒
苦
A

• 性味 : 辛 甘 溫 有毒

67
Q
Q59. 다음 중 백부자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肝 
脾 
胃
肺
A

• 歸經 : 肝 脾 胃

68
Q
Q60. 다음 중 백부자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燥濕化痰(조습화담) 
祛風止痙(거풍지경)
開鼻竅(개비규)
止痛(지통)
解毒散結(해독산결)
A

開鼻竅(개비규)

1) 燥濕化痰(조습화담) 祛風止痙(거풍지경)
- 백부자는 조습화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풍지경의 작용을 한다.
풍담옹성, 경련 혹은 구안와사를 치료할 때에는 본 약재에 천남성, 반하,
천마, 전갈 등을 배합하여 사용하며, 파상풍에는 천남성, 천마, 방풍 등을
배합하여 치료하는데 옥진산과 같은 것이다.
2) 祛風寒濕(거풍한습) 止痛(지통)
- 백부자는 거풍한습 지통 작용이 있어 편두통이 있는 경우에는 백지와 천궁
등을 함께 사용한다.
3) 解毒散結(해독산결)
- 백부자는 해독산결의 효능이 있어 독사에 물린 상처와 나력담핵의
치료에 쓰인다.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함에 있어서 본 약재를
단독으로 환부에 바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독해제약과
배합하여 환부에 바르거나 복용할 수 있다. 나력담핵을 치료함에
있어서도 신선한 것을 찧어서 환부에 바를 수 있다.

69
Q
Q61. 다음 중 백부자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
잉부 금
음허발열 금
기허 금
양허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孕婦(잉부), 陰虛發熱(음허발열) 禁
• 用量 1.5-6g

70
Q

白附子(백부자)

A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부자는 검은색이다. 이 흑부자는 열이 많아서 중하초 이런데 한습할 때 사용한다.
백부자는 대열하지 않고 신온성이다. 상초에 한습이라든지 풍담이 있을 때 백부자를 많이 쓴다.
풍담을 없앤다. 풍담이 우리 몸에 있으면 어깨가 결리고 상체에 신경통이 오고 안면마비, 두통 이런 것이 전부다 풍담으로 유발되는 것이다.
중풍담성이나 풍담으로 안면마비가 있을 때 백강잠, 전갈, 백부자를 같이 넣어서 사용한다.

71
Q

Q62.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조각
길경
백부자
백전

A

皂角(조각) = 皂莢(조협) (CA 시험 범위가 아님)

來源(내원)은 皂莢(조협)과 같다

72
Q
Q63. 다음 중 조각의 성미가 아닌 것는? (       )
辛
苦 
溫 
微毒
A

• 性味 : 辛 溫 微毒

73
Q
Q64. 다음 중 조각의 귀경은? (       ,         )
大腸 
肺 
膽 
腎 
脾
A

• 歸經 : 大腸 肺

74
Q
Q65. 다음 중 조각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祛痰(거담)
開竅醒神(개규성신) 
安神(안신)
散結消腫(산결소종)
通便驅蛔蟲(통변구회충)(坐藥(생약))
A

1) 祛痰(거담)
- 조협은 거담작용이 비교적 강하다. 예컨대 조협환은 본 약재를 꿀로
반죽하여 환을 지은 것이고, 조고탕을 복용하면 해역상기,
시시타탁부득면을 치료한다. 조담고는 조협을 달여서 고약을 만든
다음, 식초를 가하여 반하와 명반을 넣어 같이 끓이고, 시병과 함께
찧어 환을 만든 것인데, 흉중담결증에 사용한다. 최근에는 본 약재에
저담즙, 권삼 혹은 마황 등을 배합하여 만성기관지염, 해천흉민,
담점불역가축을 치료한다.
2) 開竅醒神(개규성신)
- 본 약재는 개규의 효능이 있다. 예컨대 통관산은 본 약재에 세신 등을
배합하여 가루낸 것인데, 취비치체함으로써 졸연혼궐, 인사불성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또한 중풍으로 아관긴폐의 증후가 있을 때에는 본
약재에 명반을 배합한 것을 가루내어 온수로 마셔서 토하도록 하는데,
이는 희연산과 같은 것이다.
3) 散結消腫(산결소종)
- 조협을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창종에 바르면 미궤자는 산결소종의
효과를 나타낸다.
4) 通便驅蛔蟲(통변구회충)(坐藥(생약))

75
Q
Q66. 다음 중 조각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는? (        )
孕婦(잉부)에 禁
氣虛(기허)에 禁
陰虛(음허)에 禁
喀血(객혈)에 禁
便祕(변비)에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孕婦(잉부), 氣/ 陰虛(음허), 喀血(객혈)에 禁하며, 過量則(과량시) 嘔吐(구토),
泄瀉(설사) 誘發(유발)
• 用量 0.6-1.5g

76
Q
Q67. 다음의 온화한담약 중에서 잉부 금인 약은? (       )
천남성
선복화
백전
백개자
길경
A

천남성

77
Q

8-2. 皂角(조각자) (CA 시험 범위가 아님)

A

來源(내원)은 皂莢(조협)과 같다.
• 性味 : 辛 溫 微毒
• 效能과 主治
- 조각자의 독으로써 배농하게 할 수 있고, 활혈소옹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어 초기 옹저창독 혹은 옹성불궤한 환자에게 적용한다.
- 외용시에는 적당량을 시고에 달여 환부에 바른다.

78
Q

수고 하셨어요.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