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리 거한약 Flashcards
온리거한약은 그 뜨겁고 건조한 성질 때문에 상음, 상진을 유발하기 쉬우므로 장복 및 과복을 삼가야한다.
TRUE
FALSE
TRUE
온리거한약은 대부분 따뜻하거나 뜨거운 성질로서 주로 비양과 신양을 따뜻하게 하기에 보양약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약에 따라 온리거한의 효능보다 보양의 효능이 더 강한 약들도 있다.
TRUE
FALSE
FALSE
온리 거한약 (溫裏祛寒藥)은 양허로 인한 리허한증이나 외감한사가 직접 장부에 침입하여 발생하는 내한(內寒)을 치료한다.
TRUE
FALSE
TRUE
온리거한약은 대부분 추동력이 매우 강력하므로 무조건 잉부에게는 금용한다.
TRUE
FALSE
FALSE
온리거한약이 치료하는 내한증은 모든 오장과 관련이 있다.
TRUE
FALSE
TRUE
진한가열증의 일반 증상 및 특징을 간단히 설명하세요.
신열(身熱), 면홍(面紅), 구갈(口渴), 맥대(脈大) 등이 있어 흡사 열증(熱證)인 것 같지만 신열(身熱)하되 반대로 옷이나 이불을 자꾸 덮으려고 하고, 구갈희열음(口渴喜熱飮), 맥대이무력(脈大而無力), 사지궐랭(四肢厥冷), 요청(尿淸), 변당(便溏), 설담(舌淡), 태백(苔白)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 병의 본질이 한증(寒證)임을 알 수 있다.
심양허의 일반 증상을 나열하세요.
심계, 흉통, 흉민(불편감), 자한, 결맥, 침약맥, 안색창백
리실한증은 주로 어떤 장부 관련 증상이 나타나는가?
주로 비위 증상 동반, 소화기계 이상
기탈망양증의 증상을 나열하세요.
사지궐냉, 외한, 수양변, 소변청장, 맥침미
심한 경우 다한, 궐역, 혼미, 맥미욕절
온리거한약 치료하는 리허한증(양허)과 주로 관련된 장부는?
심, 비, 신
온리거한약 중 뜨겁고 독이 있으며 맵고 심, 신, 비로 들어가는 본초는?
오수유
건강
부자
천오
정향
부자
한습조체로 비장이 습사를 받아 비양허로 권태 무력한 경우에 치료 효과를 위해 온리거한약과 함께 배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약은?
백출
세신
복령
의이인
후박
세신
극심한 양허증으로 오한, 사지냉증이 있고, 소화가 안된 음식들을 설사하고 맥이 끊어질 듯이 약한 증상에 가장 좋은 본초의 조합은?
부자, 건강
육두구, 호초
건강, 목향
육계, 필발
육계, 오수유
부자, 건강
다음 중 맵고 쓰고 뜨거우며 약간이 독이 있으며 온중 산한, 행기 지통, 강역기 지구, 온비지사, 거한습의 효능이 있는 본초는?
오수유
건강
부자
천오
정향
오수유
전탕 시 30-60 분 동안 선전하여 독성을 완화시켜야하는 본초들의 조합은?
육계, 부자
오수유, 천오
초오, 육계
부자, 천오
천오, 화초
부자, 천오
오수유의 용량으로 적합한 것은?
1-3g
1.5-4.5 g
3-6 g
6-9 g
9-15 g
1.5-4.5 g
다음 중 오두와 함께 배합했을 때 독성이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본초는?
선학초
삼칠
백급
포황
감초
백급
다음 중 오심구토를 동반한 편두통과 한체간맥 한산증에 가장 좋은 본초는?
오수유
건강
부자
천오
정향
오수유
화초와 상오관계에 있는 본초는?
관동화
과루
부자
방풍
감초
과루
부자 복용 후 혀의 마비감, 어지럼증, 경련, 의식 혼미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경우 이를 해독하기에 가장 적합한 본초는?
반하
생강
녹두
진피
과루
녹두
소회향에 대한 설명이다. 적합하지 않은 것은?
성미는 辛, 熱
귀경은 간, 신, 비, 위
음허화왕에 금용
산한, 온간신, 지통하는 효능으로 대표적인 주치가 한산증이다.
간경과 하초를 따뜻하게 해서 순환을 촉진한다.
성미는 辛, 熱
부자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심 신 비로 귀경하며 소음병의 요약이라 불리운다.
회양구역하는 효능으로 망양증을 치료한다.
산한온경지통의 효능으로 풍한습 비증에 탁월하다.
음허증, 열증, 잉부에 매우 신용한다.
심양을 도와 혈맥을 통하게 하여 혈액순환 개선한다.
음허증, 열증, 잉부에 매우 신용한다.
온리거한약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오후조열, 수족번열, 도한, 맥세삭
복냉통, 설사, 맥침
안면창백, 흉통, 심계, 결맥
사지궐랭, 오한, 맥침미
요슬냉통, 양위, 불임, 맥침지
오후조열, 수족번열, 도한, 맥세삭
다음 중 독성이 있는 약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부자
호초
화초
오수유
천오
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