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322 Week 2 Flashcards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차전자
2) 금전초
3) 적소두
4) 동규자
5) 인진호
1) 차전자
다음 중 차전자의 성미는?
1) 甘
2) 苦
3) 淡
4) 平
5) 寒
1) 甘 & 5) 寒
다음 중 차전자의 귀경이 아닌 것은?
1) 膀胱
2) 肝
3) 肺
4) 腎
5) 心
5) 心
다음 중 차전자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1) 利水淸熱
2) 利尿堅便
3) 明目
4) 利乳房
5) 祛痰止咳
4) 利乳房
다음 중 처전자의 주의사항 및 금기 중에서 금해야 하는 경우는?
1) 陽氣虧虛
2) 孕婦
3) 腎虛遺精
4) 過勞
(2 ) 孕婦(잉부) 禁
다음 중 차전자의 주요 약대가 잘 못 연결되어 있는 것은?
1) 澤瀉(택사) - 부종 복창 소변불리 2) 牛膝(우슬) - 간신허로 인한 시력저하(백내장) 3) 海金沙(해금사), 梔子(치자) - 열림/ 석림 4) 蒼朮(창출) - 습열/ 비허로 인한 대하 5) 白朮(백출), 薏苡仁(의이인) - 비허/ 서습열로 인한 소변 양이 줄면서 오는 설사
2) 牛膝(우슬) - 신허부종 , 熟地黃(숙지황),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 간신허로 인한 시력저하(백내장)
다음 중 차전자의 주요 약대가 잘 못 연결되어 있는 것은?
1) 海金沙(해금사), 梔子(치자) – 목적종통 2) 熟地黃(숙지황),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 간신허로 인한 시력저하(백내장) 3) 黃芩(황금), 龍膽草(용담초), 菊花(국화) - 열림/ 석림 4) 百部(백부) - 소아만성해수 + 半夏(반하), 陳皮(진피) 다담 5) 답 없음
( 1, 3) 海金沙(해금사), 梔子(치자) - 열림/ 석림 黃芩(황금), 龍膽草(용담초), 菊花(국화) - 목적종통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차전자
2) 동규자
3) 택사
4) 적소두
5) 의이인
2) 동규자
다음 중 동규자의 귀경이 아닌 것은?
1) 膀胱
2) 大腸
3) 小腸
4) 胃
4) 胃
다음중 동규자의 효능 및 주치가 아닌 것은?
1) 利尿通淋
2) 利乳房
3) 潤腸通便
4) 祛風濕
( 4 ) 祛風濕은 동규자의 효능이 아니다.
다음 중 동규자의 주의 사항 및 금기가 맞는 것은?
1) 脾虛泄瀉 愼用
2) 孕婦 愼用
3) 腎虛遺精 愼用
4) 眩暈/心悸 愼用
( 2 ) 脾虛泄瀉 禁
파일에서 이렇게 답이 적혀 있는데 1번인지 2 번인지 확인 필요. Week 2 11 번 문제.
다음 중 동규자의 주요 약대가 잘 못 연결된 것은?
1) 茯苓(복령) - 산후부종, 소변불리
2) 車前子(차전자), 金沙藤(금사등) – 석림
3) 木通(목통) – 장조변비
4) 砂仁(사인) - 기체로 인한 유즙부전, 유방종통
5) 王不留行(왕불유행) - 혈어로 인한 유즙부전, 유방종통
( 3) 木通(목통) – 소아임증 , 火麻仁(화마인) – 장조변비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복령
2) 저령
3) 비해
4) 통초
5) 목통
3) 비해
다음 중 비해의 성미는?
1) 甘
2) 鹹
3) 苦
4) 淡
5) 寒
3) 苦
다음 중 비해의 귀경이 아닌 것은?
1) 방광
2) 담
3) 간
4) 위
2) 담
다음 중 비해의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分淸泌濁
2) 祛風濕
3) 解筋肉
4) 淸皮膚濕熱
5) 답없음
5) 답없음
다음 중 비해의 사용할 때 주의사항 및 금기인 것은?
1) 氣虛子 禁
2) 陽虛子 禁
3) 無濕子 禁
4) 腎陰虛 禁
5) 濕熱子 禁
4) 腎陰虛 禁
다음 중 비해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1) 石菖蒲(석창포), 車前子(차전자), 黃柏(황백) - 소변빈삭, 고림, 대하 2) 益智仁(익지인), 烏藥(오약) – 양허로 인한 소변빈삭, 뇨실금(유뇨) 3) 威靈仙(위령선) - 풍습비 + 桂枝(계지), 附子(부자) 한습 + 秦艽(진교), 薏苡仁(의이인) 습열 4) 牛膝(우슬) - 황달 5) 黃柏(황백), 薏苡仁(의이인) - 습열성 피부병
( 4 ) 牛膝(우슬) - 풍습비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비해
2) 통초
3) 금전초
4) 택사
5) 편축
다음 중 금전초의 성미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甘
2) 淡
3) 微寒
4) 平
3) 微寒
다음 중 금전초의 귀경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膀胱
2) 膽
3) 腎
4) 小腸
5) 肝
4) 小腸
다음 중 금전초의 효능 및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利尿通淋
2) 瀉腎火
3) 淸肝膽濕熱
4) 解毒消腫
5) 排石
2) 瀉腎火
이수삼습약 중에서 過量(과량)을 長服(장복)하면 眩暈(현훈)/ 心悸(심계)의 위험이 있는 본초는?
1) 택사
2) 적소두
3) 금전초
4) 복령
5) 저령
3) 금전초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金錢草
2) 冬瓜仁
3) 薏苡仁
4) 燈心草
5) 赤小豆
5) 赤小豆
다음 중 적소두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甘
2) 酸
3) 平
4) 鹹
4) 鹹
다음 중 적소두의 효능과 주치가 잘못된 것은?
1) 淸熱利尿
2) 祛瘀消腫
3) 淸濕熱
4) 解火毒
5) 瀉腎火
5) 瀉腎火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택사
2) 동과인
3) 인진호
4) 금전초
5) 편축
1) 택사
다음 중 인진호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苦
2) 辛
3) 凉
4) 甘
4) 甘
다음 중 인진호의 귀경이 아닌 것은?
1) 肝
2) 脾
3) 膽
4) 胃
5) 腎
5) 腎
다음 중 인진호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1) 淸肝膽濕熱
2) 解黃疸
3) 淸熱解表
4) 利水瀉膀胱熱
4) 利水瀉膀胱熱
다음 중 인진호의 주요 약대가 잘 못 된 것은?
1) 梔子(치자), 大黃(대황) – 습열황달
2) 乾薑(건강), 附子(부자), 茯苓(복령) – 열습황달
3) 厚朴(후박) – 황달/ 서습열이 보이는 중초조탁
4) 滑石(활석) - 서열/ 온병으로 인한 황달, 임증
2) 乾薑(건강), 附子(부자), 茯苓(복령) – 열습황달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통초
2) 목통
3) 광방기
4) 저령
5) 구맥
3) 광방기
다음 중 목방기의 주치가 아닌 것은?
1) 風濕熱痺證
2) 浮腫
3) 喘息
4) 脚氣
5) 耳鳴
5) 耳鳴
다음 중 목방기 사용시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1) 黃芪(황기) - 관절통, 부종
2) 威靈仙(위령선) - 풍습비
3) 薏苡仁(의이인) – 한습비
4) 黨蔘(당삼), 桂枝(계지) - 부종, 신중감, 호흡곤란, 천식
(3) 薏苡仁(의이인) - 습열비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금전초
2) 반변련
3) 석위
4) 옥미수
5) 택사
2) 반변련
이 본초는 양혈해독 효능이 있어, 독사에 물린데, 전갈 등에 쏘이거나 물린데, 疔瘡(정창) 초기의 종독 등에 쓰인다. 이 본초는 무엇인가?
1) 금전초
2) 옥미수
3) 반변련
4) 복령
5) 택사
3) 반변련
다음 중 옥미수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1) 利尿(이뇨) 2) 利膽退黃(이담퇴황) 3) 消渴病(소갈증) 4) 風濕熱痺證(풍습열비증)
4) 風濕熱痺證(풍습열비증)
다음 이수삼습약 중에서 잉부 금하는 본초는?
1) 목통
2) 구맥
3) 차전자
4) 광방기
5) 한방기
(1 목통, 2 구맥, 3 차전자)
다음 중 음허자에게 신용해서 사용해야 하는 본초가 아닌 것은?
1) 광방기
2) 한방기
3) 비해
4) 목통
5) 의이인
(3, 5 ) 비해/의이인
비해 신음허 금, 의이인 잉부 신용
다음 중 성미가 다른 것은?
1) 목통
2) 동과인
3) 차전자
4) 동규자
(1) 목통
다른 것은 감한, 목통은 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