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혈약 Flashcards

1
Q

지혈약은 일반적으로 원인과 관계없이 單獨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TRUE
FALSE

A

FALSE

出血 原因에 따른 止血藥의 臨床 活用

지혈약은 單獨으로는 잘 使用 하지 않고 반드시 출혈의 원인에 따라 그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약들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한다.

8

혈열망행성 출혈 • 지혈약 + 청열량혈약(靑熱凉血藥)

음허양항성 출혈 • 지혈약 + 보음약, 잠양약(潛陽藥)

비기허 출혈 • 지혈약 + 보비기약(補脾氣藥)

어혈성 출혈 • 지혈약 +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외상 출혈 • 수렴 지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측백엽은 차가운 성질 때문에 열증출혈에 적합하나 따뜻한 본초와 배합하면 한증에도 사용할 수 있다.

TRUE
FALSE

A

True

凉血止血(량혈지혈)

Cools the blood and
stops bleeding

*차가운 성질 때문에 열
증출혈에 적합하나 따뜻
한 본초와 배합하면 한증
에도 사용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지혈약을 쓸 때 고삽력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태워서 탄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TRUE
FALSE

A

止血藥 개요

체내.외 출혈을 제지 하는 약물: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
:토혈, 뉵혈, 해혈, 변혈(장출혈,치질), 혈뇨, 혈한, 월경과다, 자궁출혈, 외상 등

 귀경 : 대부분 肝經에 들어간다.
 지혈약은 대부분 태워서 사용 (초, 탄) → tannin 성분 발생, 꺼끌 꺼끌한
성분 발생: 고삽, 수삽 효능 (bind, astringe, restrain)
Definition of astringe: to bind together : cause (tissue) to draw together : constrict, compres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보통 어혈은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없다.

TRUE
FALSE

A

出血 原因에 따른 止血藥의 臨床 活用

지혈약은 單獨으로는 잘 使用 하지 않고 반드시 출혈의 원인에 따라 그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약들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한다.

혈열망행성 출혈 • 지혈약 + 청열량혈약(靑熱凉血藥)

음허양항성 출혈 • 지혈약 + 보음약, 잠양약(潛陽藥)

비기허 출혈 • 지혈약 + 보비기약(補脾氣藥)

어혈성 출혈 • 지혈약 +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외상 출혈 • 수렴 지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인체내 각종 혈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이혈약(理血藥) 에는 지혈약, 활혈거어약, 보혈약 등이 있다.

TRUE
FALSE

A

이혈약
출혈 - 지혈약
혈어 - 활혈거어약
혈허 - 보혈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지혈약이 주로 다스리는 혈액 방면의 문제는 혈허이다.

TRUE
FALS

A

이혈약
출혈 - 지혈약
혈어 - 활혈거어약
혈허 - 보혈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혈열로 인한 출혈에 지혈약을 쓰고자 할 때 보통 보음약을 배합하여 사용하면 좋다.

TRUE
FALSE

A

出血 原因에 따른 止血藥의 臨床 活用

지혈약은 單獨으로는 잘 使用 하지 않고 반드시 출혈의 원인에 따라 그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약들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한다.

혈열망행성 출혈 • 지혈약 + 청열량혈약(靑熱凉血藥)

음허양항성 출혈 • 지혈약 + 보음약, 잠양약(潛陽藥)

비기허 출혈 • 지혈약 + 보비기약(補脾氣藥)

어혈성 출혈 • 지혈약 +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외상 출혈 • 수렴 지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지혈약은 대부분 심경(心經) 에 들어간다.

TRUE
FALSE

A

止血藥 개요

체내.외 출혈을 제지 하는 약물: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
:토혈, 뉵혈, 해혈, 변혈(장출혈,치질), 혈뇨, 혈한, 월경과다, 자궁출혈, 외상 등

 귀경 : 대부분 肝經에 들어간다.
 지혈약은 대부분 태워서 사용 (초, 탄) → tannin 성분 발생, 꺼끌 꺼끌한
성분 발생: 고삽, 수삽 효능 (bind, astringe, restrai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지혈약이지만 활혈, 거어 작용이 있는 약들을 모두 찾아 써보세요.

A

포항, 전초, 우절

우절은 거어 작용이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백모근의 귀경을 모두 나열하세요.

A

폐, 위, 소장, 방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출혈을 유발하는 원인을 모두 쓰세요.

A

혈열, 음허양항, 비기어, 어혈, 외상

혈열망행성 출혈, 음허양항성 출혈, 비기허 출혈, 어혈성 출혈, 외상출혈

出血 原因에 따른 止血藥의 臨床 活用

지혈약은 單獨으로는 잘 使用 하지 않고 반드시 출혈의 원인에 따라 그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약들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한다.

혈열망행성 출혈 • 지혈약 + 청열량혈약(靑熱凉血藥)

음허양항성 출혈 • 지혈약 + 보음약, 잠양약(潛陽藥)

비기허 출혈 • 지혈약 + 보비기약(補脾氣藥)

어혈성 출혈 • 지혈약 +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외상 출혈 • 수렴 지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대계의 효능을 모두 나열하세요.

A

凉血止血(량혈지혈)
Cools the blood and
stops bleeding

消腫生肌 治瘡瘍
(소종생기 치창양)
Reduces swelling and
generates flesh at sores

利膽治黃(이담치황)
Benefits the Gallbladder
and reduces jaundice

치고혈압
Treats hypertension
최근

대계 大薊 Da Ji Cirsii japonici Herba sive Radix

엉겅퀴 전초, large thistle, Japanese cirsium, Japanese thistle
국화과 (Asteraceae)
꽃필 때 지상부를 베어 벌레먹거나 누렇게 색이 변한 잎을 다듬어버리고 그늘에서 말린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지유의 귀경을 모두 나열하세요.

A

肝 大腸 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지혈약 중 혈뇨를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약을 모두 찾아 써보세요.

A

대계, 측백엽, 백모근, 선학초, 백급, 소계, 연방, 삼칠, 포항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다음 중 포황의 효능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면?

消腫止痛(소종지통)
止血(지혈)
活血祛瘀(활혈거어)
利尿(이뇨)
凉血(량혈)
A

지혈, 활혈거어, 이뇨

性(성)
PROPERTIES

味(미)
TASTES

甘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心 脾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지혈, 거어, 이뇨
stops bleeding, removes blood stasis, promotes urination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 愼用: 생용하면 자궁 수축 유발
TOXICITY
산제 제작 과정에서 접촉성 앨러지 피부 반응 가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다음 중 방광으로 귀경하는 본초는?

측백엽
괴미
지유
백모근
포황
A

백모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모든 지혈약의 공통 귀경은?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대계의 맛을 모두 고르면?

酸(산)
苦(고)
甘(감)
辛(신)
鹹(함)
A

性(성)
PROPERTIES

味(미)
TASTES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脾 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량혈, 지혈, 소종
cools the blood, stops bleeding, reduces swelling

用量(용량)
DOSAGE

9-15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열증에 사용. 비위허한에 禁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다음 중 신미(辛味)가 있는 본초로 묶인 것은?

삼칠, 지유
포황, 애엽
대계, 괴미
측백엽, 선학초
천초, 백모근
A

포황, 애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외상으로 인해 근건이 손상되고 출혈이 있으며 전신 근육통이 있을 때 지혈을 위해 삼칠을 사용하고자 한다. 동반하는 증상들을 치료하기 위해 추가로 배합할 수 있는 본초들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달군 용골, 오배자
유향, 몰약, 사향, 빙편
백모근, 대황
사물탕
향부, 감초
A

근건손상으로 인한 전신 근육

통: +향부, 甘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수삽하는 효능이 강해 적절한 본초와 배합하면 한열허실 모든 종류의 출혈에 두루 사용하는 선학초의 성미로 옳은 것은

고삽평
신고온
감한
고삽미한
고량
A

고삽평

性(성)
PROPERTIES

味(미)
TASTES

苦 澁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肺 肝 脾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고삽 수렴 지혈
binds and inhibits bleeding

用量(용량)
DOSAGE

6-12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고삽하는 성질 때문에 만성 설사에는 적합하나 외감사기로
인한 급성 실증에는 적합지 않다.
*TOXICITY*
부작용은 드물지만 오심, 구토, 현훈, 식은 땀 등 가견.
때로 흉민, 호흡곤란, 심계, 식은 땀, 불안증 등이 가견
피부 소양증, 두드러기, 앨러지성 천식 등도 보고된 바 있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대계의 귀경을 모두 고르면?

간
심
비
폐
신
A

간비심

性(성)
PROPERTIES

味(미)
TASTES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脾 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량혈, 지혈, 소종
cools the blood, stops bleeding, reduces swelling

用量(용량)
DOSAGE

9-15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열증에 사용. 비위허한에 禁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한습으로 고질적인 피부 소양증이 있는 환자에게 애엽을 전탕하여 세척제로 사용하려고 한다. 함께 배합하여 사용하면 가장 좋은 본초는?

건강
향부
오수유
지부자, 백선피
아교
A

지부자, 백선피

제습지양(제습지양)
Eliminates dampness and
stops itching

고질적인 습에 의한 다양한
피부병변, 소양증(가려움증)
전탕하여 세척(외용)
decocted and applied as an external
wash for a variety of skin problems
marked by dampness and itching.

 한습에 의한 각종 피부 소
양증: +지부자, 백선피

애엽 艾葉 Ai Ye Artemisiae argyi Folium

性(성)
PROPERTIES

味(미)
TASTES

苦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脾 肝 腎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산한습 지통(한증) 지혈 안태
dispels cold-dampness, stops pain due to cold, stops bleeding, calms the
fetus during pregnancy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음허열에 愼用
*TOXICITY* - 반드시 초탄하여 사용
과복시 구건, 오심, 구토, 상복불편감, 설사, 현훈 가견, 애엽유를 대
체하면 부작용을 줄임. 과량 사용(20-30g) 시 복용 30분 후에 인후건
조, 오심, 구토 후 전신 무력, 현훈 이명 진전, 반복적인 과용은 경련
추휵, 간비대 황달 사망 가견, 과대량은 출혈, 유산 유발 가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다음 지혈약 중 생용하면 자궁을 수축을 유발하여 잉부에 신용해야 하는 약은?

포황
애엽
선학초
지유
괴미
A

포황 蒲黃 Pu Huang Typhae Pollen

性(성)
PROPERTIES

味(미)
TASTES

甘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心 脾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지혈, 거어, 이뇨
stops bleeding, removes blood stasis, promotes urination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 愼用: 생용하면 자궁 수축 유발
TOXICITY
산제 제작 과정에서 접촉성 앨러지 피부 반응 가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지유의 맛을 모두 고르면? ``` 酸(산) 苦(고) 甘(감) 辛(신) 鹹(함) ```
고산 지유 地楡 Di Yu Sanguisorbae Radix 性(성) PROPERTIES 微寒 味(미) TASTES 苦 酸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大腸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량혈, 지혈, 해독, 고삽 cools the blood, stops bleeding, resolves toxicity, restrains and inhibits 用量(용량) DOSAGE 9-15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비위허한에 愼用 *TOXICITY* 화상 부위가 넓으면 외용 금지: 탄닌 흡수로 독성 간염 유발 가능
26
다음 중 애엽의 효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 溫宮止血(온궁지혈) 安胎(안태) 散寒止痛(산한지통) 除濕止痒(제습지양) 止瀉治痢(지사치리 ```
溫宮止血(온궁지혈) 安胎(안태) Warms the Womb and stops bleeding Calms the fetus 散寒止痛(산한지통) Disperses cold and alleviates pain 제습지양(제습지양) Eliminates dampness and stops itching
27
다음 중 백모근의 효능이 아닌 것은? ``` 凉血止血(량혈지혈) 淸熱利尿(청열이뇨) 淸肺熱(청폐열) 淸胃熱(청위열) 促進回復火傷(촉진 회복 화상) ```
凉血止血(량혈지혈) Cools the blood and stops bleeding 淸熱利尿(청열이뇨) Clears heat and promotes urination 淸肺胃熱 (청폐위열)
28
대계의 주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옹종, 창양, 부종 등에 외용, 생용한다. 관절비증 간열을 동반한 고혈압 습열황달 혈열망행으로 인한 혈뇨 ```
관절비증 ``` 血熱妄行 인한 出血: 뉵혈, 토혈, 혈뇨, 자궁출혈 등 특히 토혈, 해혈 치료에 효과적 Chaotic movement of hot blood: nosebleed, vomiting blood, blood in the urine or stool, or uterine bleeding, especially effective in alleviating vomiting or coughing of blood. ``` ``` 옹종, 창양, 부종에 외용: 生用 topically for carbuncles, sores, and swellings. For this purpose, the fresh herb is preferred. ``` 습열황달 jaundice, especially due to damp- heat. 고혈압 특히 간열 동반 hypertension, especially when accompanied by signs of Liver heat.
29
다음 지혈약 중 溫宮止血(온궁지혈) 安胎(안태) 효능이 있어 임산부에게 유산징조가 있어 출혈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본초는? ``` 삼칠 포황 측백엽 괴미 애엽 ```
애엽 溫宮止血(온궁지혈) 安胎(안태) Warms the Womb and stops bleeding Calms the fetus ``` 虛寒: 月經 出血이 繼續 되는 것과 子宮 出血 prolonged menstrual bleeding and uterine bleeding due to cold from deficiency. ``` ``` 유산징조: 태동불안, 하복통, 질출혈 restless fetus, lower abdominal pain, and vaginal bleeding, as in threatened miscarriage ```
30
다음 지혈약 중 각종 출혈에 사용하나 특히 폐위의 열성으로 인한 코피나 토혈에 아주 효과적이며 만성 출혈에도 다른 본초와 배합하여 두루 쓰이며 안전한 약은? ``` 소계 백급 혈여탄 종려피 우절 ```
우절 藕節 Ou Jie Nelumbinis Nodus rhizomatis 止血(지혈) 고삽하지만 동시에 거 어 작용이 있다. 각종 출혈: 주로 肺胃熱盛으 로 인한 吐血과 咳血, 뉵혈 만성출혈에 다른 본초와 배 합하여 두루 사용
31
다음 중 지유의 性(성, PROPERTIES)에 해당하는 것은? ``` 微寒(미한) 寒(한) 凉(량) 溫(온) 微溫(미온) ```
미한 지유 地楡 Di Yu Sanguisorbae Radix 오이풀 뿌리, sanguisorba, burnet-bloodwort root, 장미과 (Rosaceae) 봄철에 싹이 돋으려 할 때 또는 가을철에 지상부가 시든 뒤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씻어서 말리거나 신선할 때 절편하여 말린다. 性(성) PROPERTIES 微寒 味(미) TASTES 苦 酸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大腸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량혈, 지혈, 해독, 고삽 cools the blood, stops bleeding, resolves toxicity, restrains and inhibits 用量(용량) DOSAGE 9-15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비위허한에 愼用 *TOXICITY* 화상 부위가 넓으면 외용 금지: 탄닌 흡수로 독성 간염 유발 가능
32
방광습열로 인한 림증에 혈뇨를 보인다. 이때 지혈을 위해 포황을 쓰고자 할 때 추가 배합하기에 가장 적합한 약은? ``` 오령지 익모초, 당귀 소계, 백모근 해표초 용골, 애엽 ```
소계, 백모근 止血(이뇨지혈) Promotes urination and stops bleeding 熱淋 hot painful urinary dribbling  방광습열로 인한 임증: 소계, 백모근
33
다음 중 지혈약이 일반적으로 치료하는 범위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려운 것은? ``` 토혈 뉵혈 혈종 혈뇨 월경과다 ```
혈종 止血藥 개요 체내.외 출혈을 제지 하는 약물: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 :토혈, 뉵혈, 해혈, 변혈(장출혈,치질), 혈뇨, 혈한, 월경과다, 자궁출혈, 외상 등  귀경 : 대부분 肝經에 들어간다.  지혈약은 대부분 태워서 사용 (초, 탄) → tannin 성분 발생, 꺼끌 꺼끌한 성분 발생: 고삽, 수삽 효능 (bind, astringe, restrain)
34
다음 지혈약 중 凉血止血(량혈지혈)의 효능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약은? ``` 천초 대계 지유 괴미 애엽 ```
애엽 艾葉 Ai Ye Artemisiae argyi Folium 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산한습 지통(한증) 지혈 안태 dispels cold-dampness, stops pain due to cold, stops bleeding, calms the fetus during pregnancy
35
다음 중 폐로 귀경하는 본초는? ``` 측백엽 포황 대계 지유 천초 ```
측백엽
36
비위허한에 금용 또는 신용해야할 약이 아닌 것은? ``` 천초 지유 대계 백모근 삼칠 ```
삼칠은 잉부신용 비위허한 금용 : 대계 비위허한 신용: 천초, 지유, 백모금
37
다음 중 산미(酸味)가 있는 본초는? ``` 삼칠 포황 대계 지유 천초 ```
지유는 미한고산
38
다음 중 삽미(澁味)가 있는 본초로 묶인 것은? ``` 삼칠, 애엽 포황, 지유 대계, 괴미 측백엽, 선학초 천초, 백모근 ```
측백엽, 선학초
39
천초는 차가운 성질로 량혈지혈과 활혈거어의 효능이 있어 혈열망행 인한 출혈이나 어혈로 인한 통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다음 중 천초의 주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혈열망행에 의한 자궁출혈 혈열로 인한 뉵혈 혈열로 인한 적리(혈리) 혈어로 인한 관절통 간열을 동반한 고혈압 ```
간혈을 동반한 고혈압 血熱妄行 인한 出血 토혈, 뉵혈, 해혈, 혈변, 자궁출혈 등 Any bleeding due to chaotic movement of hot blood Vomiting blood, nosebleed, coughing of blood, blood in the urine, blood in the stool, uterine bleeding 血瘀로 인한 통증: 胸脇痛, 오로미진, 외상 통, 관절통, 옹종 초기 ``` Pain d/t blood stasis: chest and flank pain, retained lochia, pain from trauma, joint pain, or the early stages of carbuncles ```
40
다음 중 그 성질이 온(溫)한 본초로만 묶인 것은? ``` 삼칠, 애엽 포황, 선학초 대계, 괴미 지유, 측백엽 천초, 백모근 ```
삼칠, 애엽
41
다음 중 삼칠의 지혈 효능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 량혈지혈 수삽지혈 화담지혈 화어지혈 이상 모두 ```
化瘀止血(화어지혈) Stops bleeding and transforms blood stasis *止血하면서 血瘀를 일으키지 않기에 두루 使用 內外傷 出血: 토혈, 뉵혈, 혈뇨, 혈변 등 internal and external bleeding: vomiting blood, nosebleed, and blood in the urine or stool
42
다음 지혈약 중 성미가 고삽평으로 고삽하는 효능이 매우 강하여 어혈로 인한 출혈에 반드시 활혈약과 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본초는? ``` 소계 백급 혈여탄 종려피 우절 ```
종려피 棕櫚皮 Zong Lu Pi Trachycarpi Petiolus ``` 종려피 4 Copyright© reserved Hyo Jeong Kang 83 性(성) PROPERTIES 平 味(미) TASTES 苦 澁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大腸 肺 用量(용량) DOSAGE 3-9g (일반 용량), 1-1.5g(산제로 경구 복용 시)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 매우 고삽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혈어가 있을 때는 반드시 활혈약과 배합하여 사용
43
다음 중 凉血止血(량혈지혈)하는 효능으로 대장 습열에 의한 출혈증상에 사용되며, 淸肝(청간)하는 효능으로 간열에 의한 목적, 두통, 현훈에 사용할 수 있는 본초는? ``` 측백엽 괴미 지유 백모근 포황 ```
괴미 槐米 Huai Mi Sophorae Flos irnmaturus 血止血(량혈지혈) Cools the blood and stops bleeding 대장 濕熱 로 인한 出血: 출혈성 치질, 혈리 등 객혈, 뉵혈, 자궁출혈에 도 사용
44
다음 본초 중 각종 출혈 증상에 두루 사용되며 특히 혈열에 의한 잇몸 출혈, 코피를 멎게 하는데 좋고, 지해거담 작용이 있어 폐열로 인한 담중대혈에 쓰이며, 경미한 화상에 산제로 사용하여 화상의 회복을 촉진하고 탈모치료에도 사용되어지는 약은? ``` 측백엽 괴미 지유 백모근 포황 ```
측백엽 側柏葉 Ce Bai Ye Platycladi Cacumen 凉血止血(량혈지혈) Cools the blood and stops bleeding *차가운 성질 때문에 열 증출혈에 적합하나 따뜻 한 본초와 배합하면 한증 에도 사용할 수 있다. ``` 각종 출혈에 두루 사용: 토혈, 잇몸(치은)출혈, 해 혈, 혈변, 혈뇨, 혈리, 자 궁출혈 등 widely used for various bleeding disorders including vomiting blood, bleeding gums, coughing of blood, blood in the stool or urine, bloody dysenteric disorder, and uterine bleeding ```
45
다음 중 삼칠을 산제 또는 환제로 사용할 때 가장 적합한 용량은? ``` 1-1.5g 1.5-3g 3-6g 3-9g 9-15g ```
1-1.5g (성) PROPERTIES 溫 味(미) TASTES 甘 微苦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지혈, 화어, 소종지통 stops bleeding without causing blood stasis, transforms blood stasis, reduces swelling and stops pain 用量(용량) DOSAGE 3-9g (탕제), 1-1.5g (환제, 산제) 심한 출혈에는 증량: up to 3-6 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 愼用 *TOXICITY* 소량(1.5-3g) 으로 오심, 반복적인 구토, 출혈경향, 뉵혈, 잇몸 출혈, 월경과다 가견/ 식도염 가견/ 대량(5g)으로 중등도 2도 AV block (심 질환) 가견/ 앨러지성 피부 발진 가견
46
애기 부들의 화분을 약용부위로 사용하는 본초로서 습지에 서식하며 지혈, 거어, 이뇨 작용이 있고 성질이 평한 약은? ``` 삼칠 포황 천초 괴미 대계 ```
포황 蒲黃 Pu Huang Typhae Pollen (성) PROPERTIES 平 味(미) TASTES 甘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心 脾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지혈, 거어, 이뇨 stops bleeding, removes blood stasis, promotes urination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 愼用: 생용하면 자궁 수축 유발 *TOXICITY* 산제 제작 과정에서 접촉성 앨러지 피부 반응 가견
47
체내외 각종 출혈을 제지 하는 약물로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되는 약물 분류군은? ``` 보혈약 활혈약 거어약 지혈약 경우에 따라, 원인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
지혈약
48
다음 지혈약 중 수삽지혈 효능이 좋아 외상 출혈에 국소적으로 사용하며, 내상 출혈에는 특히 폐위출혈에 주로 쓰이고, 소종 생기하여 만성 궤양이나 창양, 피부가 갈라지고 튼데 사용할 수 있는 본초는? ``` 소계 백급 혈여탄 종려피 우절 ```
백급 白芨 Bai Ji Bletillae Rhizoma 效能 (효능) Actions 主治 (주치) Indications 配伍 (배오) Combinations 收澁止血(수삽지혈) 肺胃出血(吐血, 咳血, 衄血) 외상출혈에 국소적 적용 消腫生肌(소종생기) :궤양치유촉진 창양, 궤양, 갈라진 피부, 慢性, 頑固한 潰瘍과 瘡瘍, 피부가 튼데
49
다음 지혈약 중 폐와 위로 귀경하여 코피 또는 토혈 등 폐와 위의 열로 인한 출혈에 사용할 수 있는 본초끼리 묶인 것은? ``` 선학초, 삼칠 지유, 괴미 백급, 백모근 지유, 백모근 측백엽, 애엽 ```
백급, 백모근
50
지혈약이지만 설사를 멎게하여 만성 설사를 치료하며 피가 보이는 이질(혈리, 적리)을 낫게하고 살충작용이 있어 트리코모나스 질염에 외용가능한 본초는? ``` 선학초 측백엽 지유 백모근 대계 ```
선학초 仙鶴草 Xian He Cao Agrimoniae Herba ``` 각종 출혈에 광범위하게 사용: 토혈, 해혈, 뉵혈, 치은출혈, 혈뇨, 자궁출 혈 등 widely used for various types of bleeding such as vomiting blood, coughing blood, nosebleed, bleeding gums, blood in the urine, or uterine bleeding ``` 慢性 痢疾, 설사에 使用 chronic problems 트리코모나스 膣炎(질염): 외용 寸蟲(촌충), 학질 trichomonas vaginitis and tapeworm, malarial disorders
51
포황의 귀경을 모두 고르면? ``` 간 심 비 폐 신 ```
간심비 포황 蒲黃 Pu Huang Typhae Pollen 포황 2 Copyright© reserved Hyo Jeong Kang 16 性(성) PROPERTIES 平 味(미) TASTES 甘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心 脾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지혈, 거어, 이뇨 stops bleeding, removes blood stasis, promotes urination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 愼用: 생용하면 자궁 수축 유발 *TOXICITY* 산제 제작 과정에서 접촉성 앨러지 피부 반응 가견
52
혈열상충으로 인한 선홍색의 코피를 흘리며 소변에도 피를 보이는 경우 측백엽을 쓰고자 한다. 같이 배합하여 사용하면 가장 좋은 본초는? ``` 생지황 소계, 대계 애엽, 건강 당삼, 당귀 포황 ```
소계, 대계
53
다음 중 금과도 바꾸지 않는다고 할만큼 귀한 지혈약으로, 그 성미가 감, 미고, 온으로 지혈하면서도 혈어를 일으키지 않아 각종 내외상 출혈에 두루 사용되며, 소종지통 효능이 있어 외상에 산제로 적용하면 지혈 효과가 높은 것은? ``` 삼칠 포황 천초 괴미 대계 ```
삼칠
54
다음 중 그 성질이 평(平)한 본초로만 묶인 것은? ``` 삼칠, 애엽 포황, 선학초 대계, 괴미 지유, 측백엽 천초, 백모근 ```
포항, 선학초
55
다음 중 그 성질이 량(凉)한 본초로만 묶인 것은? ``` 삼칠, 애엽 포황, 선학초 대계, 괴미 지유, 측백엽 천초, 백모근 ```
대계, 괴미
56
다음 중 대계의 性(성, PROPERTIES)에 해당하는 것은? ``` 微寒(미한) 寒(한) 凉(량) 溫(온) 微溫(미온) ```
량 대계 大薊 Da Ji Cirsii japonici Herba sive Radix 性(성) PROPERTIES 凉 味(미) TASTES 甘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肝 脾 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량혈, 지혈, 소종 cools the blood, stops bleeding, reduces swelling 用量(용량) DOSAGE 9-15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열증에 사용. 비위허한에 禁用
57
다음 지혈약 중 연방과 같은 식물에서 유래하는 것은? ``` 소계 백급 혈여탄 종려피 우절 ```
우절
58
다음 중 미한(微寒)한 성질의 본초로만 묶인 것은? ``` 삼칠, 애엽 포황, 선학초 대계, 괴미 지유, 측백엽 천초, 백모근 ```
지유, 측백엽
59
따뜻한 성질로 산한, 온궁 지혈하는 애엽의 성미로 맞는 것은? ``` 고삽온 신고온 감온 고온 감산온 ```
신고온 애엽 艾葉 Ai Ye Artemisiae argyi Folium 性(성) PROPERTIES 溫 味(미) TASTES 苦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脾 肝 腎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산한습 지통(한증) 지혈 안태 dispels cold-dampness, stops pain due to cold, stops bleeding, calms the fetus during pregnancy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 음허열에 愼用 *TOXICITY* - 반드시 초탄하여 사용 과복시 구건, 오심, 구토, 상복불편감, 설사, 현훈 가견, 애엽유를 대 체하면 부작용을 줄임. 과량 사용(20-30g) 시 복용 30분 후에 인후건 조, 오심, 구토 후 전신 무력, 현훈 이명 진전, 반복적인 과용은 경련 추휵, 간비대 황달 사망 가견, 과대량은 출혈, 유산 유발 가능 ```
60
다음 중 소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성미는 감한 간경 심경에 귀경한다. 적정 용량은 9-30g 비위허한, 변당, 설사에 신용한다. 해독소옹 효능이 있어 열독에 의한 각종 창양에 사용한다. ```
성미는 감한
61
위궤양으로 복통이 있고 암적색의 어두운 혈변을 보이는 환자에게 선학초를 사용하려고 한다. 같이 배합하면 가장 좋은 본초는? ``` 생지황 측백엽 해표초 백모근 우절 ```
 위통(중초) 동반하는 붕루, 암 | 적색 혈변(위궤양): +海螵蛸
62
습열황달에 대계를 사용하고자 한다. 같이 사용하면 가장 좋은 본초는? ``` 인진호 하고초 희렴초 금은화 지유 ```
利膽治黃(이담치황) Benefits the Gallbladder and reduces jaundice 습열황달 jaundice, especially due to damp- heat.  습열황달: +인진호, 호장
63
백모근의 맛을 모두 고르면? ``` 酸(산) 苦(고) 甘(감) 辛(신) 鹹(함) ```
64
다음 중 한(寒)한 성질의 본초로만 묶인 것은? ``` 삼칠, 애엽 포황, 선학초 대계, 괴미 지유, 측백엽 천초, 백모근 ```
지유, 측백엽 | 천초, 백모근
65
량혈지혈하며 청열생기하는 이 본초는 오이풀의 뿌리로서 화상 부위의 진물을 수렴하고 없애기 때문에 화상 치유를 촉진하고 지통하는데 사용된다. 이 본초는? ``` 대계 소계 지유 백급 선학초 ```
지유 地楡 Di Yu Sanguisorbae Radix 오이풀 뿌리, sanguisorba, burnet-bloodwort root, 장미과 (Rosaceae) 봄철에 싹이 돋으려 할 때 또는 가을철에 지상부가 시든 뒤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씻어서 말리거나 신선할 때 절편하여 말린다.
66
다음 중 본초 사용시의 주의사항으로 허증에 반드시 적절한 본초를 배합하여 사용해야하는 약은 ? ``` 측백엽 괴미 지유 백모근 포황 ```
측백엽
67
다음 중 신미(辛味)가 있는 본초로 묶인 것은? ``` 삼칠, 지유 포황, 애엽 대계, 괴미 측백엽, 선학초 천초, 백모근 ```
포항, 애엽
68
다음 중 지혈약을 사용하게 되는 출혈의 원인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 혈열 비기허 어혈 외상 양허 ```
양허 出血 原因에 따른 止血藥의 臨床 活用 지혈약은 單獨으로는 잘 使用 하지 않고 반드시 출혈의 원인에 따라 그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약들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한다. 혈열망행성 출혈 • 지혈약 + 청열량혈약(靑熱凉血藥) 음허양항성 출혈 • 지혈약 + 보음약, 잠양약(潛陽藥) 비기허 출혈 • 지혈약 + 보비기약(補脾氣藥) 어혈성 출혈 • 지혈약 +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외상 출혈 • 수렴 지혈
69
다음 중 천초의 주의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장복 禁(금) 음허화에 신용 잉부에 금용 비위허한에 신용 혈허(血少)에 신용 ```
잉부의 금용 천초 茜草 Qian Cao Rubiae Radix 性(성) PROPERTIES 寒 味(미) TASTES 苦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心 肝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량혈, 지혈, 거어 cools the blood, stops bleeding, removes blood stasis 用量(용량) DOSAGE 9-15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비위허한, 혈허(血少), 음허화에 愼用, 장복 禁 *TOXICITY* 연구에 의하면 돌연변이원 또는 발암물질 함유, 단기간만 사용
70
다음 중 천초의 일반 용량은? ``` 1-1.5g 1.5-3g 3-6g 3-9g 9-15g ```
9-15g 茜草 Qian Cao Rubiae Radix 性(성) PROPERTIES 寒 味(미) TASTES 苦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心 肝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량혈, 지혈, 거어 cools the blood, stops bleeding, removes blood stasis 用量(용량) DOSAGE 9-15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비위허한, 혈허(血少), 음허화에 愼用, 장복 禁 *TOXICITY* 연구에 의하면 돌연변이원 또는 발암물질 함유, 단기간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