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322 Week 1 Flashcards

1
Q

이수삼습약이란 통리수도하며, 삼설수습할 수 있는 약물을 이수삼습약이라고 한다. (True or False)

A

Tru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Q02. 다음 중 이수삼습약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이수삼습약은 체내에 축척되어 있던 수습이 소변으로 배설될 수 있다.
2) 이수삼습약의 일부 약물들은 청리습열의 작용을 겸한다.
3) 이수삼습약은 소변불리에만 사용할 수 있다.
4) 이수삼습약은 수종, 임병, 담음, 습창 등의 수습병증에 사용한다.
5) 담을 삼설할 수 있고 이수삼습에 치우치는 것을 일반적으로 담삼이습약이라고 한다.

A

3) 이수삼습약은 소변불리에만 사용할 수 있다.

꼭 소변 불리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님. 소변자리에도 사용 가능

소변자리[ 小便自利 ]
이뇨제(利尿劑)를 쓰지 않아도 소변이 정상적으로 잘 나오는 병증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다음중 이수삼습약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감(甘)
2) 담(淡)
3) 평(平)
4) 미한(微寒)
5) 미열(微熱)

A

5) 미열(微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True or False)

약초의 효능을 말하기 전에 틀이 되는 근거가 있는데 이를 기미론이라 부른다.

A

Tru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酸한 맛은 신 맛이다. (T/F)

A

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苦한 맛은 단 맛이다. (T/F)

A

False. 고한 맛은 쓴 맛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甘한 맛은 쓴 맛이다. (T/F)

A

False. 감한 맛은 단 맛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辛한 맛은 매운 맛이다. (T/F)

A

Tru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鹹한 맛은 신 맛이다. (T/F)

A

False. 함한 맛은 짠맛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다음 중 신 맛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수렴 작용을 한다.
2) 유기산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3) 설사를 멈추게 한다.
4) 부패를 방지하고 갈증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5) 답 없음

A

5) 답 없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단 맛은 허약함을 보충하고, 자양과 강장 그리고 완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T/F)

A

Tru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다음 중 매운 맛의 효과(역할)가(이) 아닌 것은?

1) 발산
2) 지사
3) 진통
4) 발한
5) 흥분

A

( 2 ) 지사. 매운 맛에는 지사의 효과는 없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다음 중 짠 맛의 효과(역할)가(이) 아닌 것은?

1) 설사를 유도
2) 딱딱한 걸 부드럽게 한다.
3) 해열작용
4) 진정작용
5) 답없음

A

5) 답없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다음 중 이수삼습약을 응용할 때 잘못 된 것은?

1) 수종취기(水腫驟起)의 경우 표증이 있는 사람은 선폐발한약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2) 수종일구(水腫日久)로 인한 비신음허자는 비신온보약을 배합하여 쓰도록 한다.
3) 습열교정자(濕熱交蒸子)는 청열사화약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4) 열상혈락(熱傷血絡)하여 요혈이 이는 사람은 양혈지혈약을 배합하여 쓰도록 한다.
5) 이수삼습약을 잘못 사용하면 기를 손상되기 쉬우므로 기허자는 신중히 사용하도록 한다.

A

5) 이수삼습약을 잘못 사용하면 기를 손상되기 쉬우므로 기허자는 신중히 사용하도록 한다. 음을 손상하기 쉬우므로, 음허자 신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 다음 중 쓴 맛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진통, 진정의 역할을 한다.
2) 쓴 맛은 우선 혀를 내밀게 한다.
3) 성분으로 보면 알칼로이드나 배당체 혹은 사포닌에 해당한다.
4) 거담, 소염의 역할을 한다.
5) 답 없음

A

5) 답 없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복령
2) 저령
3) 택사
4) 활석
5) 의이인

A

1) 복령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다음 중 복령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甘
2) 苦
3) 淡
4) 平

A

2) 苦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다음 중 복령의 귀경이 아닌 것은? ( 1 )

1) 肝
2) 肺
3) 脾
4) 心

A

1) 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다음 중 복령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1) 利水滲濕
2) 健脾和中焦
3) 健脾化痰
4) 寧心安神
5) 利水瀉膀胱熱

A

( 5 ) 利水瀉膀胱熱-저령의 주치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복령을 사용할 때 상외(相畏)의 약재가 아닌 것은?

1) 진피
2) 지유
3) 진교
4) 별갑

A

1) 진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다음 중 복령의 주요 약대가 잘 못 연결되어 있는 것은?

1) 澤瀉 - 고림
2) 半夏 - 거담 지오심구토
3) 木香 - 습체 설사, 장명
4) 甘草 - 심비양허(심계, 단기, 면종)
5) 酸棗仁, 遠志, 五味子 - 심계 불면

A

(1 ) 澤瀉 - 습체임증 + 桂枝, 白朮 습이 내결되서 온 부종, 신중감, 임증, 심번 , 車前子 - 고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저령
2) 복령피
3) 택사
4) 활석
5) 의이인

A

2) 복령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다음 중 오피산의 구성이 아닌 것은?

1) 생강피
2) 상백피
3) 진피
4) 복령피
5) 오가피

A

( 5 ) 오가피가 아니고, 대복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복령
2) 저령
3) 활석
4) 등심초
5) 구맥

A

2) 저령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 다음 중 저령의 성미가 아닌 것은? ( 2 )

1) 甘
2) 鹹
3) 淡
4) 微凉

A

2) 鹹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다음 중 저령의 귀경이 아닌 것은?

1) 腎
2) 膀胱
3) 脾
4) 心

A

4) 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복령의 이수 작용은 저령보다 강하다. (T/F)

A

False. 저령> 복령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저령의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陰虛子 禁
2) 無濕子 禁
3) 多濕子 禁
4) 血虛子 禁

A

2) 無濕子 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저령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1) 茯苓 - 설사 부종 뇨소 임증  
    2) 大腹皮 - 부종 복창 소변불리 
    3) 木通, 滑石 - 열증이 있는 임증 혈뇨 복창
    4) 甘草 – 하초습열
A

( 4 ) 甘草 – 하초습열

(1), (2), (3) 3가지 밖에 없다. 동규자(冬葵子) – 하초습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복령
2) 저령
3) 활석
4) 통초
5) 목통

A

3) 활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다음 중 활석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甘
2) 鹹
3) 淡
4) 寒

A

2) 鹹

32
Q

다음 중 활석의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利水瀉膀胱熱
2) 淸熱解暑
3) 습진(濕疹)에 外用
4) 小便으로 祛濕熱
5) 답없음

A

5) 답없음

33
Q

다음 중 孕婦 愼用 약재는 무엇인가?

1) 활석
2) 복령
3) 저령
4) 동과인
5) 등심초

A

1) 활석

34
Q

다음 중 활석의 주의사항 중 禁 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脾氣虛
2) 遺精
3) 津虧
4) 尿量過多
5) 孕婦

A

( 5 ) 잉부(孕婦) 신용(愼用)

35
Q

. 다음 중 활석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1) 동규자(冬葵子) – 하초습열
   2) 茯苓, 薏苡仁 – 습열설사  
   3) 甘草 - 서열  
   4) 黃柏, 명반(明礬) - 습진에 외용
   5) 답없음
A

5) 답없음

36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복령
2) 통초
3) 지부자
4) 의이인
5) 편축

A

4) 의이인

37
Q

다음 중 의이인의 성미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甘
2) 淡
3) 微寒
4) 苦

A

4) 苦

38
Q

다음 중 의이인의 귀경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脾
2) 肺
3) 腎
4) 小腸

A

4) 小腸

39
Q

다음 중 의이인의 효능 및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利尿滲濕
2) 健脾止瀉
3) 淸熱排膿
4) 祛風濕
5) 답없음

A

5) 답없음

40
Q

다음 중 잉부(孕婦) 신용(愼用) 해야 하는 본초가 아닌 것은?

1) 滑石
2) 瞿麥
3) 通草
4) 薏苡仁
5) 木通

A

( 2, 5 ) 구맥, 목통은 금해야 하는 약

2) 瞿麥
5) 木通

41
Q

다음 중 족저 사마귀 치료의 주치가 있는 본초는?

1) 木通
2) 茯苓
3) 薏苡仁
4) 燈心草
5) 滑石

A

3) 薏苡仁

42
Q

다음 중 의이인의 주요 약대가 잘못된 것은?

   1) 冬瓜皮 - 습체로 인한 뇨소, 부종 
   2) 茯苓, 白朮 - 풍습통  
   3) 노근(蘆根), 冬瓜仁, 桃仁 - 폐옹 
   4) 敗醬草, 牧丹皮 - 장옹
   5) 瓜蔞仁, 桃仁 - 장옹초기(습 + 어혈)
A

( 2 ) 茯苓, 白朮-풍습통 - 비허설사, 麻黃, 행인(杏仁), 甘草 – 풍습통

43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木通
2) 冬瓜仁
3) 薏苡仁
4) 燈心草
5) 滑石

A

2) 冬瓜仁

44
Q

다음 중 동과인의 귀경이 아닌 것은? (5)

1) 肺
2) 大腸
3) 胃
4) 小腸
5) 心

A

5) 心

45
Q

다음 중 동과인의 효능과 주치가 잘못된 것은?

1) 淸熱祛痰
2) 促進排膿
3) 淸熱瀉濕
4) 祛風濕

A

(4) 청열거담, 촉진배농, 청열사습은 동과인의 주치가 맞다. 거풍습은 동과인의 주치가 아님

46
Q

동과인은 한습 및 변당자에게는 신용하여 사용한다. (T/F)

A

True

47
Q

다음 중 동과인의 약대가 잘못 된 것은?

1) 길경(桔梗), 어성초(魚腥草), 金銀花 - 폐옹열담 
2) 大黃, 牧丹皮 - 장옹 
3) 黃柏, 비해(萆薢) – 습열대하
4) 牛膝, 紅花 – 부종
A

( 4) 牛膝, 紅花 – 부종

목통의 약대에서, 牛膝, 紅花 - 혈어경폐

48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저령
2) 동과인
3) 통초
4) 목통
5) 편축

A

4) 목통

49
Q

다음 중 목통의 귀경이 아닌 것은?

1) 膀胱
2) 心
3) 小腸
4) 胃

A

4) 胃

50
Q

다음 중 목통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1) 利水
2) 瀉心小腸熱
3) 通乳
4) 通血脈
5) 利水瀉膀胱熱

A

( 5 ) 利水 瀉心小腸熱, 通乳(통유) 通血脈(통혈맥)

51
Q

과량 사용시 급성으로 신기능 부전이 보고된 본초는?

1) 복령
2) 저령
3) 목통
4) 동과인
5) 의이인

A

3) 목통

52
Q

다음 중 목통의 주요 약대가 잘 못 된 것은?

   1) 車前子 - 부종, 임증(심소장열)  
   2) 淡竹葉, 生地黃 - 심화상염  
   3) 茯苓, 猪苓 – 유즙분비부전에 복용
    4) 黃芪, 當歸 - 기허 유즙분비부전  
    5) 牛膝, 紅花 - 혈어경폐
A

( 3 ) 茯苓, 猪苓- 부종, 猪足, 穿山甲 - 유즙분비부전에 복용

53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통초
2) 목통
3) 방기
4) 저령
5) 구맥

A

1) 통초

54
Q

다음 중 통초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1) 苦
2) 甘
3) 淡
4) 微寒

A

1) 苦

55
Q

다음 중 통초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은?

1) 孕婦子
2) 氣虛子
3) 陰虛子
4) 濕熱子

A

4) 濕熱子

56
Q

다음 중 등심초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甘
2) 淡
3) 微寒
4) 微熱

A

4) 微熱

57
Q

여러 임증 중에서 등심초를 사용하는 경우는?

1) 石淋
2) 氣淋
3) 膏淋
4) 勞淋
5) 熱淋

A

5) 熱淋

58
Q

다음 중 구맥의 귀경이 아닌 것은?

1) 膀胱
2) 心
3) 小腸
4) 大腸

A

4) 大腸

59
Q

다음 중 구맥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1) 淸濕熱
2) 利尿通淋
3) 祛瘀
4) 通便
5) 殺蟲止痒

A

( 5) 殺蟲止痒(살충지양)은 구맥의 효능이 아님

60
Q

다음 중 5가지의 임증 중 특히 구맥을 사용하는 경우는?

1) 石淋
2) 氣淋
3) 膏淋
4) 勞淋
5) 血淋

A

5) 血淋

61
Q

다음 중 구맥의 相惡(상오) 본초는?

1) 桑螵蛸(상표초)
2) 海金沙(해금사)
3) 木通(목통)
4) 丹蔘(단삼)
5) 白茅根(백모근)

A

1) 桑螵蛸(상표초)

62
Q

. 다음 중 지부자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甘
2) 苦
3) 寒
4) 鹹

A

4) 鹹

63
Q

이수삼습약 중 이 본초는 祛濕止痒(거습지양)의 효과가 있어 濕性(습성) 皮膚病(피부병)에 사용하는데, 특히 濕疹(습진)이나 疥癬(개선)에 좋은데 가려움증에 特效(특효)인 본초는 무엇인가?

1) 구맥
2) 지부자
3) 통초
4) 저령
5) 등심초

A

2) 지부자

64
Q

다음 중 지부자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1) 猪苓, 通草, 瞿麥(구맥) - 방광습열  
         2) 苦蔘 - 습열로 인한 피부병  
         3) 蛇床子(사상자) - 소양에 세용
         4) 生地黃, 白鮮皮 - 습열/ 풍열로 인한 습진, 소양
         5) 車前子 – 음부소양
A

5) 車前子 – 음부소양

瞿麥(구맥), 車前子 – 하초습열, 석림

65
Q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석위
2) 구맥
3) 등심초
4) 저령
5) 통초

A

1) 석위

66
Q

다음 중 석위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苦
2) 甘
3) 鹹
4) 微寒

A

3) 鹹

67
Q

다음 중 석위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1) 淸濕熱通淋
2) 淸熱止血
3) 淸肺祛痰止咳
4) 寧心安神

A

(4) 寧心安神(영심안신)의 효과는 없다.

68
Q

다음 중 석위의 주요 약대가 잘못된 것은?

1) 瞿麥(구맥), 滑石 - 하초습열로 인한 임증 + 冬葵子(동규자) 뇨혈
2) 蒲黃(포황) - 뇨혈자통
3) 地楡(지유) – 보비, 보위
4) 檳榔(빈랑) - 폐에 담열로 인한 해수천식(둘을 가루로 해서 생강차로 복용)
5) 大棗(대조) – 백혈구감소증

A

( 3 ) 地楡(지유) - 폐열객혈

69
Q

이 본초는 殺蟲止痒(살충지양) 작용이 우수해서, 濕性(습성) 皮膚病(피부병) (白癬(백선))/ 寸蟲(촌충), 十二指腸蟲(십이지장충), 및 蟯蟲(요충)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본초는?

1) 구맥
2) 편축
3) 지부자
4) 목통
5) 석위

A

2) 편축

70
Q

다음 중 인제에 존재하는 비생리적인 액체가 아닌 것은?

1) 담(疲)
2) 연(涎)
3) 음(飮)
4) 혈(血)

A

4) 혈(血)

71
Q

인체인체에 존재하는 비생리적인 액체 중에서 기혈의 통로인 포락(包絡)에 숨었다가 기를 따라 폐로 들어가 차 있다가 기침할 때 나오는 것을 연이라 한다. (T/F)

A

False. 담에 대한 설명이다.

72
Q

인체에 존재하는 비생리적인 액체 중에서 비(脾)에 뭉쳐 있다가 기를 따라 위쪽으로 넘쳐서 입가로 흘러나오는 것을 담이라 한다. (T/F)

A

False. 연에 대한 설명이다.

73
Q

인체에 존재하는 비생리적인 액체 중에서 위부(胃府)에서 생겨서 토할 때 나오는 물질을 담이라 한다. (T/F)

A

False. 음에 대한 설명이다.

74
Q

담은 진액이 열을 받아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걸쭉하면서 탁하다. (T/F)

A

True

75
Q

음은 마신 물이 잘 퍼지지 못해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맑은 빛을 띤다. (T/F)

A

True

76
Q

복신은 寧心安神(영심안신) 능력은 산조인 보다도 더 강하다. (T/F)

A

False. 산조인이 복신보다 더 강하다.

77
Q

다음 중 지부자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본초는?

1) 석위
2) 해표초
3) 등심초
4) 저령
5) 답없음

A

2) 해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