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약 Flashcards
기체는 통증을 유발하므로 이기약은 일반적으로 지통의 효과가 있다.
TRUE
FALSE
Correct answer
TRUE
만약 기체가 허증(비기허)을 동반한다면 소도약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TRUE
FALSE
理氣藥의 임상 활용
單獨으로는 잘 使用하지 않으며, 病證의 性質에 따라 다른 本草들과
結合하여 使用
비위기체 by 한습은 이기약 + 온리거한약, 溫燥한 다른藥
기체 + 식체는 이기약 + 소도약(消導藥) 기체 + 식체
허증 + 기체는 이기약 + 건비익기약(健脾益氣藥) 허증
이기약은 단독으로 잘 사용하지 않으며 병증의 성질에 따라 다른 본초들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TRUE
FALSE
理氣藥의 임상 활용
單獨으로는 잘 使用하지 않으며, 病證의 性質에 따라 다른 本草들과
結合하여 使用
비위기체 by 한습은 이기약 + 온리거한약, 溫燥한 다른藥
기체 + 식체는 이기약 + 소도약(消導藥) 기체 + 식체
허증 + 기체는 이기약 + 건비익기약(健脾益氣藥) 허증
이기약은 각종 장부의 기체 및 기역 증상을 치료한다.
TRUE
FALSE
True
이기약의 일반적인 성미는 辛,燥,溫,香(신, 조, 온, 향)이다.
TRUE
FALSE
理氣藥 개요
장부기체를 통하게 하는데 사용: 행기, 순기, 파기, 강기
※ 양방적 관점의 기체: 조직 활동의 손상 또는 장애
→ 기체는 통증을 유발 (不通即痛)
성미 : 辛,燥,溫,香
귀경 : 脾, 胃, 肺, 肝
주의사항: 기허, 음허자 장복 신용
대부분 휘발성으로 15分 이상 전탕 X
이기약은 대부분 휘발성이므로 15분이상 끓이지 않는다.
TRUE
FALSE
理氣藥 개요
장부기체를 통하게 하는데 사용: 행기, 순기, 파기, 강기
※ 양방적 관점의 기체: 조직 활동의 손상 또는 장애
→ 기체는 통증을 유발 (不通即痛)
성미 : 辛,燥,溫,香
귀경 : 脾, 胃, 肺, 肝
주의사항: 기허, 음허자 장복 신용
대부분 휘발성으로 15分 이상 전탕 X
이기약은 주로 경맥의 기체를 다스린다.
TRUE
FALSE
FALSE
理氣藥 개요
장부기체를 통하게 하는데 사용: 행기, 순기, 파기, 강기
※ 양방적 관점의 기체: 조직 활동의 손상 또는 장애
→ 기체는 통증을 유발 (不通即痛)
성미 : 辛,燥,溫,香
귀경 : 脾, 胃, 肺, 肝
주의사항: 기허, 음허자 장복 신용
대부분 휘발성으로 15分 이상 전탕 X
귤홍의 거담력과 조향성( 燥香性)은 진피보다 더 강하지만, 和中力(화중력)과 理脾胃力(이비위력)은 진피보다 약하다.
TRUE
FALSE
TRUE
이기약은 일반적으로 기허자나 음허자에 신용한다
TRUE
FALSE
TRUE
理氣藥 개요
장부기체를 통하게 하는데 사용: 행기, 순기, 파기, 강기
※ 양방적 관점의 기체: 조직 활동의 손상 또는 장애
→ 기체는 통증을 유발 (不通即痛)
성미 : 辛,燥,溫,香
귀경 : 脾, 胃, 肺, 肝
주의사항: 기허, 음허자 장복 신용
대부분 휘발성으로 15分 이상 전탕 X
침향의 알맞은 용량 및 전탕법은?
1-1.5g, 후하
폐의 선발, 숙강 기능의 이상으로 오는 폐기체에 이기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기약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일반적인 페기체 및 기역의 증상들을 나열하세요.
해수, 천식, 호흡곤란, 흉민감
향부의 귀경을 모두 쓰세요.
간, 삼초, 담
간의 소설 기능의 이상으로 오는 간기울결에 이기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기약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일반적인 간기체의 증상들을 나열하세요.
흉민감, 협통, 식욕상실, 우울, 번조, 산통, 월경부조, 유방창통
단향을 금용해야 하는 경우는? 모두 쓰세요.
화(열) 또는 심한 음허
비의 운화 기능 또는 위의 수납 기능의 이상으로 오는 비위 기체에 이기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기약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일반적인 비위 기체의 증상들을 나열하세요.
상복창통, 트림, Gas, 탄산, 오심, 구토, 설사/변비, 식욕상실
다음 중 청피 사용 시 증상에 따른 올바른 배합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간위불화: + 柴胡(시호), 鬱金(울금) 만약 여기에 간비종대가 있다면 + 鱉甲(별갑), 丹蔘(단삼) 간기 울결로 인한 유옹: + 王不留行(왕불유행), 蒲公英(포공영) 식체로 인한 위완통: + 山楂(산사), 麥芽(맥아), 神麯(신곡) 한체간맥: + 香附(향부), 王不留行(왕불유행), 丹蔘(단삼) 담음해수: + 白芥子(백개자)
한체간맥: 烏藥, 高良薑, 木香
(천태오약산)
청피 靑皮 Qing Pi Citri Reticulatae Viride Pericarpium
性(성)
PROPERTIES
溫
味(미)
TASTES
辛 苦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膽 肝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疏肝(소간), 破氣滯(파기체), 散結消滯(산결소체), 화위(和胃)
directs downward, dredges the Liver, breaks up qi
stagnation and clumping, harmonizes the Stomach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기허에 신용
오약의 귀경이 아닌 것은?
방광 신 폐 비 간
간
오약 烏藥 Wu Yao Linderae Radix
오약 Copyright© reserved Hyo Jeong Kang 92 4
性(성)
PROPERTIES
溫
味(미)
TASTES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膀胱 腎 肺 脾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순기 산한 지통
smooths the flow of qi, disperses cold, alleviates pain
用量(용량)
DOSAGE
3 – 9 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심한 氣血兩虛와 內熱에 禁用
TOXICITY
장복, 과량 금/
Long-term administration and overdosage should both be avoided.
다음 중 대복피의 귀경이 아닌 것은?
심 소장 대장 비 위
심
대복피 大腹皮 Da Fu Pi Arecae Pericarpium
대복피 7 Copyright© reserved Hyo Jeong Kang 65
性(성)
PROPERTIES
微溫
味(미)
TASTES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大腸 小腸 脾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下氣(하기), 소체, 소종
directs qi downward, disperses formless qi obstruction, reduces edema
用量(용량)
DOSAGE
4.5 -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에 愼用(신용)
TOXICITY
Allergic reactions: 두드러기 급성복통 설사 등 가견
다음 중 침향과 성미가 같은 본초는?
대복피 오약 천련자 향부 진피
진피
온향신고
단향도 같음
다음 중 침향의 효능이 아닌 것은?
行氣止痛(행기지통) 降逆氣理中(강역기이중) 助腎納氣(조신납기) 溫脾腎(온비신) 健脾防滯(건비방체)
답: 건비방체
침향 沈香 Chen Xiang Aquilariae Lignum resinatum
침향 Copyright© reserved Hyo Jeong Kang 99 5
性(성)
PROPERTIES
溫 香
味(미)
TASTES
辛 苦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腎 脾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온비신 강역기 조신납기
warms the Spleen and Kidneys, directs rebellious qi downward, assists
the Kidneys in grasping the qi
用量(용량)
DOSAGE
1 – 1.5 g
탕전 시 후하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氣陷, 음허 火動 愼用
TOXICITY
경구 복용시 오심, 장명, 설사 가견
산제는 피부와 눈 접촉으로 인한 앨러지 반응 조심
다음은 지실과 지각에 대한 비교이다. 옳은 것은?
지실이 지각에 비해 허약자에 더 적합하다. 변비에 더 적합한 약은 지실이다. 지각은 지실에 비해 신체 하부에 더 작용한다. 신체 상부에 더 작용하여 이흉격(利胸膈) 기능이 좋은 약은 지실이다. 지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기보다 혈에 더 잘용하며 장위(腸胃)에 더 이로운 약은 지각이다.
답: 변비에 더 적합한 약은 지실이다.
지각은 지실에 비해 허약자에 더 적합하다.
지실은 지각에 비해 신체 하부에 더 작용한다.
신체 상부에 더 작용하여 이흉격 기능이 좋은 약은 지각이다.
지각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기보다 혈에 더 작용하며 장위에 더 이로운 약은 지실이다.
Cf. 지실과 비교 : 지실(強) > 지각(弱)
지각: 虛/ 弱者에 適合/ 지실: 便秘에 더 適合
枳殼主高主氣利胸膈 枳實主下主血利腸胃
지각주고주기이흉격 지실주하주혈이장위
단향은 행기 지통하는 효능이 있어 기체로 인한 흉통에 효과적이다. 특히 심기 울체에 의한 관상동맥 질환에 치료 효과를 증강하기 위해 배합할 수 있는 본초로 가장 좋은 것은?
\+丹蔘(단삼), 砂仁(사인) \+木香(목향), 丁香(정향) \+香附(향부) 가루낸 茯苓(복령)과 橘紅(귤홍)을 人蔘(인삼) 달인 물과 함께 복용 \+ 延胡索(연호색)
+丹蔘(단삼), 砂仁(사인단향
檀香 Tan Xiang Santali albi Lignum
性(성)
PROPERTIES
溫 香
味(미)
TASTES
辛 苦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肺 脾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이흉격 지통
Unblocks qi stagnation in the chest, stops pain, settles belching and
nausea
用量(용량)
DOSAGE
2 – 5 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화(열)/ 심한 陰虛 禁用
다음 중 비위 기체로 의한 오심, 구토, 트림, 복부창만감 등에 가장 적합한 본초는?
진피 반하 창출 복령 답없음
답: 진피
진피 陳皮 Chen Pi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性(성)
PROPERTIES
溫 香
味(미)
TASTES
辛 苦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肺 脾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行氣燥濕(행기조습)
promotes the flow of qi, dries dampness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실열에 신용
기허 또는 음허로 인한 건해(乾咳)에 부적합
장복 시 원기가 상함
다음 중 지실 사용시의 주의 사항으로 옳은 것은?
비위 허약에 금용 잉부 신용 혈허 신용 음허 금용 기허 신용
답: 잉부신용
지실 枳實 Zhi Shi Aurantii Fructus immaturus
性(성)
PROPERTIES
微寒
味(미)
TASTES
苦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大腸 脾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破氣(파기), 祛痞(거비)
promotes the flow of qi, unblocks plugs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 脾胃虛弱(비위허약)에 愼用(신용)
이기약인 천련자를 생지황과 구기자와 함께 쓸 수 있는 주치에 해당하는 것은?
간울화열 상복통 간울화열 월경통 간기체 및 신음허에 의한 흉협통과 구갈 한산증 장내 기생충으로 인한 통증
Correct answer
간기체 및 신음허에 의한 흉협통과 구갈
오약의 주의 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심한 기혈양허에는 신용한다. 내열에는 금용한다. 장복하지 않는다. 과량 복용을 피한다. 답이 없음
Correct answer
심한 기혈양허에는 신용한다가 아니라 금용한다.
性(성)
PROPERTIES
溫
味(미)
TASTES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膀胱 腎 肺 脾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순기 산한 지통
smooths the flow of qi, disperses cold, alleviates pain
用量(용량)
DOSAGE
3 – 9 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심한 氣血兩虛와 內熱에 禁用
TOXICITY
장복, 과량 금/
Long-term administration and overdosage should both be avoided.
다음 지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대변 정체를 동반하는 消化不良(소화불량)에 지각과 함께 사용할 때 효과가 증강된다.
기체 담적으로 인한 흉부와 상복부의 심하비만에 사용할 수 있다.
대황과 함께 사용하면 식체 및 기체로 인한 복부창통과 열로 인한 변비를 치료할 수 있다.
기체 어혈로 인한 복통에 백출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지실이 포함된 대표적 방제로 대승기탕, 소승기탕 등이 있다.
Correct answer
기체 어혈로 인한 복통에 백출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백출이 아니라 백작(약)이다.
다음 중 지실의 귀경이 아닌 것은?
신 대장 비 위 답 없음
신
性(성)
PROPERTIES
微寒
味(미)
TASTES
苦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大腸 脾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破氣(파기), 祛痞(거비)
promotes the flow of qi, unblocks plugs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 脾胃虛弱(비위허약)에 愼用(신용)
다음 중 대복피의 성미에 해당하는 것은?
감(甘) 고(苦) 신(辛) 온(溫) 향(香)
신
性(성)
PROPERTIES
微溫
味(미)
TASTES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大腸 小腸 脾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下氣(하기), 소체, 소종
directs qi downward, disperses formless qi obstruction, reduces edema
用量(용량)
DOSAGE
4.5 -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에 愼用(신용)
TOXICITY
Allergic reactions: 두드러기 급성복통 설사 등 가견
다음 중 같은 식물로 짝지어진 것은?
대복피, 빈랑 청피, 진피 지실, 지각 All of the above None of the above
All of the above
다음 중 건비력이 가장 좋은 것은?
귤백 귤홍 진피 귤핵 모두 같다.
귤백
건비력: 귤백>진피>귤홍 vs. 화담력: 귤백<진피<귤홍
다음 중 회충, 촌충 등 기생충으로 인한 복통을 치료하며 두피 질환에 산제로 외용하면 효과가 있는 본초는?
오약 단향 침향 대복피 천련자
천련자
性(성)
PROPERTIES
寒 微毒
味(미)
TASTES
苦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膀胱 肝 小腸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청열 조기 지통
Cools heat, regulates the qi, stops pain
用量(용량)
DOSAGE
4.5 – 9 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비위허한에 禁用
*TOXICITY* 과량 금, Side effect - 신경계: 두통, 시력저하, 복시, 정성, 호 흡곤란, 진전경련, 사지마비, 전신무력/ 소화계: 오심, 구토, 복통, 설사, 황달 ,독성간염/ 순환계:부정맥, 심근손상, 코피, 혈변, 혈뇨, 저혈압 쇼크
다음 중 지실의 효능으로 보기에 어려운 것은?
破氣滯消積(파기체소적) 化痰祛痞滿(화담거비만) 擧陷(거함) 升壓(승압) 疏肝理氣(소간이기)
疏肝理氣(소간이기)
性(성)
PROPERTIES
微寒
味(미)
TASTES
苦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大腸 脾 胃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破氣(파기), 祛痞(거비)
promotes the flow of qi, unblocks plugs
用量(용량)
DOSAGE
3-9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孕婦(잉부), 脾胃虛弱(비위허약)에 愼用(신용)
다음 중 이기약에 속한다고 보기에 어려운 것은?
대복피 복령피 지실 향부 오약
복령피
오약의 성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면?
감(甘) 신(辛) 고(苦) 온(溫) 한(寒)
신온
性(성)
PROPERTIES
溫
味(미)
TASTES
辛
歸經(귀경)
CHANNELS ENTERED
膀胱 腎 肺 脾
核心性質(핵심성질)
KEY CHARACTERISTIC
순기 산한 지통
smooths the flow of qi, disperses cold, alleviates pain
用量(용량)
DOSAGE
3 – 9 g
注意事項 및 禁忌
(주의사항 및 금기)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심한 氣血兩虛와 內熱에 禁用
TOXICITY
장복, 과량 금/
Long-term administration and overdosage should both be avoided.
다음 중 지각의 효능으로 가장 적합한 표현은?
破氣滯消積(파기체소적) 行氣消脹壓(행기소창압) 疏肝理氣(소간이기) 理氣調中(이기조중) 燥濕化痰(조습화담)
行氣消脹壓(행기소창압)
다음 중 지각의 귀경이 아닌 것은?
대장
비
위
간
답 없음
간
이기약은 주로 장부의 기체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한다. 기체로 인한 병리적 증상이 주로 일어나는 주요 장부로만 묶여진 것은?
간, 비, 심, 위 간, 비, 위, 신 폐, 비, 위, 신 폐, 비, 위, 간 심, 간, 폐, 위
폐, 비, 위, 간
다음 중 진피를 사용하기에 부적합하거나 신용해야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실열에 신용 기허로 인한 해수 음허로 인한 건해(乾咳) 습담으로 인한 해수 이상 모두 신용해야할 경우에 해당함
습담으로 인한 해수
다음 중 대복피의 효능은?
疏肝氣(소간기)
散結消滯(산결소체)
破氣滯(파기체)
利水消腫(이수소종)
利水消腫(이수소종)
다음 중 청피의 귀경으로 옳은 것은?
담 간 위 간 비 위 간 비 위 폐 담 간 비 담 간 폐
Correct answer
담 간 위
향부의 성미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平(평) 辛(신) 微苦(미고) 微甘(미감) 淡(담)
淡(담)
신양허로 인한 소변빈삭 또는 소아유뇨에 오약을 쓰고자할 때 배합하면 가장 좋은 것은?
\+益智仁(익지인), 山藥(산약) \+薤白(해백), 鬱金(울금) \+肉桂(육계) \+當歸(당귀), 香附(향부) \+麻黃(마황), 僵蠶(강잠)
+益智仁(익지인), 山藥(산약)
다음 중 지각의 性(성, PROPERTIES)에 해당하는 것은?
微寒(미한) 寒(한) 凉(량) 溫(온) 微溫(미온)
微寒(미한)
다음 중 단향의 귀경은?
肺 脾 胃 膽 肝 胃 大腸 脾 胃 腎 脾 胃 肝 三焦 膽
肺 脾 胃
이기약 중 삼초경에 귀경하는 본초는?
청피, 향부 향부, 목향 진피, 목향 진피, 지실 청피, 목향
향부, 목향
다음 중 천련자의 性(성, PROPERTIES)에 해당하는 것은?
微寒(미한) 寒(한) 凉(량) 溫(온) 微溫(미온)
寒(한)
다음 중 진피의 성미가 아닌 것은?
甘(감) 苦(고) 辛(신) 溫(온) 香(향)
甘(감)
다음 중 청피의 성미로 옳은 것은?
감 고 온 감 고 온 향 신 고 온 신 고 온 향 감 신 고 온
신 고 온
다음 중 소간(疏肝)하는 효능으로 간기울결에 의한 통증에 가장 좋은 본초는?
지실 지각 청피 진피 None of the above
청피
다음 중 지실의 성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감(甘) 고(苦) 신(辛) 미한(微寒) 답 없음
감
다음 중 이기약 중 월경부조, 통경 등 여성 관련 질환에 가장 좋은 본초는?
지실 향부 청피 진피 목향
향부
다음 중 맛이 쓰고 매우며 약간 찬 성질의 본초는?
지실 향부 청피 진피 대복피
지실
다음 중 진피의 효능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理氣調中(이기조중) 解胸膈(해흉격) 寧心安神(영심안신) 燥濕化痰(조습화담) 助防滯(조방체)
寧心安神(영심안신)
오약의 효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行氣止痛(행기지통) 順氣暢中(순기창중) 散寒止痛(산한지통) 溫腎(온신) 破氣滯消積(파기체소적)
破氣滯消積(파기체소적)
다음 중 화담 작용이 가장 좋은 것은?
귤백 귤홍 진피 귤핵 모두 같다.
Correct answer
귤홍
위하수, 탈장, 자궁 하수 등의 증상에 지실을 사용하고자 한다. 擧陷(거함) 작용을 강화하기 위해 배합하면 가장 좋은 약은?
\+보음약 \+보혈약 \+보기약 \+안신약 \+해표약
Correct answer
+보기약
다음 중 천련자의 효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疏肝氣解鬱 (소간기 해울) 淸熱(청열) 止痛(지통) 殺蟲(살충) 助腎納氣(조신납기)
Correct answer
助腎納氣(조신납기)
목향의 귀경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담 간 비 위 삼초
간
향부에 오약과 소회향을 배합하면 다음 중 어떤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가?
흉협창통 간비불화로 소화불량, 복통, 설사, 구토 한체간맥 산통 외감 비색, 복부창만 월경 중에 보이는 유방의 멍울
한체간맥 산통
다음 중 단향의 성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감(甘) 고(苦) 신(辛) 온(溫) 향(香)
감
다음 중 청피의 효능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疏肝氣(소간기)
散結消滯(산결소체)
破氣滯(파기체)
利水消腫(이수소종)
利水消腫(이수소종)
기체 어혈로 인한 월경부조, 월경통에 배합하여 사용하면 가장 좋은 약은?
\+當歸(당귀), 川芎(천궁) \+ 柴胡(시호), 瓜蔞(과루), 橘葉(귤엽) \+ 木香(목향), 佛手(불수) \+烏藥(오약), 小茴香(소회향) \+蒼朮(창출)
+當歸(당귀), 川芎(천궁)
다음 중 비위 기체 증상 완화를 위해 이기조중의 목적으로 진피를 사용할 때 증상에 따른 올바른 배합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복창만통: + 枳殼(지각), 木香(목향) 비위한습: + 厚朴(후박), 蒼朮(창출) 간기울결: + 生薑(생강) 담열구토: + 竹茹(죽여), 黃連(황련) 간비불화로 인한 장명, 복통, 설사: + 白朮(벡출), 防風(방풍)
간기울결: + 生薑(생강)
목향의 효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行氣止痛(행기지통) 調理腸氣滯(조리장기체) 化痰祛痞滿(화담거비만) 健脾防滯(건비방체) 消食積(소식적)
化痰祛痞滿(화담거비만)
다음 중 보약의 자니약 성질의 소화를 도와 식체를 방지하는 효능이 있어 보약에 일반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본초들로 묶여진 것은?
청피, 지실, 대복피 진피, 향부, 목향 진피, 사인, 목향 진피, 지실, 목향 청피, 사인, 목향
Correct answer
진피, 사인, 목향
다음 중 천련자의 귀경이 아닌 것은?
방광 간 비 소장 위
비
다음 중 천련자 사용시 주의사항은?
상진 신용 음허 화동 신용 비위허한 및 과량 금용 혈허 신용 습열자 신용
비위허한 및 과량 금용
다음 중 목향 사용 시 신용해야 할 증상은?
혈허 습열 기체 음허 상진 어혈
음허 상진
다음 중 향부 사용 시 주의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氣虛無滯(기허무체) 에 금용 陰虛(음허)발열에 금용 血熱(혈열)에 금용 血虛(혈허)에 금용 이상 모두 주의사항에 해당한다.
Correct answer
血虛(혈허)에 금용
다음 중 폐경으로 들어가는 본초는?
지실 지각 청피 진피 None of the above
Correct answer
진피
다음 중 이기약 중 이수소종 효과가 있어 부종을 동반한 복부 창만 또는 각기에 좋은 본초는?
지실 향부 대복피 침향 목향
Correct answer
대복피
목향의 성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르면?
감(甘) 신(辛) 고(苦) 온(溫) 함(鹹)
감
함
다음 중 진피의 귀경이 아닌 것은?
간
폐
비
위
간
다음 중 침향의 귀경은?
肺 脾 胃 膽 肝 胃 大腸 脾 胃 腎 脾 胃 肝 三焦 膽
腎 脾 胃
다음 중 습담 기체로 인한 복부팽만에 대복피를 사용하고자 할 때 추가할 수 있는 본초로 가장 좋은 것은?
다음 중 습담 기체로 인한 복부팽만에 대복피를 사용하고자 할 때 추가할 수 있는 본초로 가장 좋은 것은?
*
1/1
+厚朴(후박), 陳皮(진피)
\+白朮(백출) \+茯苓(복령) \+茯苓皮(복령피), 生薑皮(생강피) \+ 升麻(승마) \+白朮(백출) \+茯苓(복령) \+茯苓皮(복령피), 生薑皮(생강피) \+ 升麻(승마)
+厚朴(후박), 陳皮(진피)
향부의 효능을 높이기 위해 약물을 수치할 때 식초에 담근 후 볶으면 다음 중 어떤 작용을 강화하는가?
보혈, 입혈 월경통, 통증에 지통 윤조, 입혈 행기, 행경 화담
Correct answer
월경통, 통증에 지통
다음 중 삼초 기분의 요약이라 불리우는 본초는?
목향 침향 단향 향부 진피
Correct answer
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