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말의 유래] Flashcards

1
Q

맞장구치다

A

마주 서서 장구를 치다 [상대방 의견에 동의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어처구니없다

A

맷돌 손잡이 어처구니가 없다 [예상하지도 못한 일이 일어나서 황당하다]

✅ “Абсурдний, безглуздий, неймовірний, несподіваний (у негативному сенсі)”
✅ “Бути шокованим через нереальну ситуацію”

📖 Детальний розбір:
어처구니 – це слово старокорейського походження, яке означає “логічне пояснення, здоровий глузд”.
없다 – “немає”.
📌 Отже, 어처구니없다 буквально означає “не вистачає здорового глузду” або “щось настільки абсурдне, що важко повірити”.

📌 Коли використовується?
🔹 Коли ситуація здається нереально абсурдною
✅ “이런 일이 벌어지다니 어처구니없어!”
→ “Яка безглузда ситуація! (Я в шоці, що таке сталося!)”

🔹 Коли щось настільки несправедливе, що навіть немає слів
✅ “그가 거짓말을 하고도 뻔뻔하게 행동하는 게 어처구니없어.”
→ “Я просто в шоці, як він може так безсоромно поводитися після брехні.”

🔹 Коли хтось робить щось настільки дивне, що важко повірити
✅ “사장이 갑자기 회사를 그만둔다니 어처구니없네.”
→ “Шеф раптово покидає компанію? Просто неймовірно!”

📌 Можливі синоніми
황당하다 → “абсурдний, безглуздий”
말도 안 되다 → “це навіть не має сенсу”
기막히다 → “аж дух перехоплює (від здивування)”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고무신을 거꾸로 신다

A

바람이 나다
= 군화 거꾸로 신지 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땡땡이치다 = 수업을 째다

A

прогулювати урок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쏘다

A

한턱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남의 떡이 커 보인다

A

в сусідів трава зеленіш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등장 밑이 어둡다

A

під свічником темно (найочевидніше буває найменш помітни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소 잃고 외양간(хлів) 고친다

A

після бійки кулаками не махают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

A

хто був нічим забув як став кимос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A

навіть майстер може помилятися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관용어의 유래

A

походження ідіом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시치미를 떼다

A

자기가 하고도 하지 않은 척하거나 알고 있으면서도 모르는 척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네모

A

квадрат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꼬리

A

хвостик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A

сокіл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가리키다

A

вказуват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사냥

A

охот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달다

A

вішат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떼다

A

відклеювати, відламуват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담기다

A

бути наповненим
(작성, 마음, 생각이 담겨 있다; 추억이 담겨 있는 장소)
이 길에는 나의 어릴 적 추억이 담겨 있어 이곳을 걸어가면 부모님 생각이 난다.

21
Q

숨어 있다

A

ховатися
그의 작품에는 영화보다 더 재미있는 이야기가 숨어 있다

22
Q

반영되다

A

відображатися; ставати яскравіше, світліше
이번 행사에는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었다

23
Q

에 바탕을 두다

A

базуватися, грунтуватися на чомусь
문학에 나타나는 삶은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현실과 가깝게 느껴진다

24
Q

체하다

A

мати незваріння

25
Q

을/를 토대로

A

(토대하다 основуватися)
이 건물은 현대적인 건물 같지만 사실 전통 디자인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26
Q

사정

A

обставини

27
Q

유래되다

A

походити, брати початок
“마라톤”은 승리의 소식을 전하기 위해 쉬지 않고 달렸던 한 병사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28
Q

어미

A

закінчення

29
Q

조사

A

частинка

30
Q

신화

A

міф
신화란 신이나 영웅의 이야기이다. 그중 건국 신화는 나라의 기원, 시조. 건국 등을 신성화한 이야기를 말한다. 한국의 건국 신화인 단군 신화는 한국 최초의 국가릉 세운 단군의 이야기이다. 여러 개의 이야기로 내용이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이야기에는 특별한 의미가 담겨져 있다.

31
Q

건국

A

заснування країни
건국 신화

32
Q

정의하다

A

давати визначення
정의하기 - 어떤 대상에 대해 설명한 때에난 상세하게 (детальний) 설명하기에 앞서 (перед цим) 그 대상의 개념에 (концепція,уявлення) 대해 간결하고 (стисло) 정확하게 알려 주어야 한다

33
Q

•~을/를 ~(이)라고 한다

A

각 민족 사이에 전승되어 오는 신화, 전설, 민담 등을 설화라고 한다

34
Q

~은/는 ~을/를 일컫는다

A

민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일컫는다.

35
Q

~은/는 ~을/를 뜻한다[의미한다]

A

전설은 옛날부터 민간에서 전해오는 이야기를 뜻한다[의미한다.

36
Q

.~(이)란 ~을/를 말한다

A

건국 신화란 나라의 기원, 시조, 건국 등을 신성화한 이야기를 말한다.

37
Q

~(이)란 ~(이)다

A

신화란 신이나 영웅의 이야기이다.

38
Q

흔히

A

часто,зазвичай

39
Q

마주서다

A

стояти навпроти, стояти один перед одним

40
Q

하필

A

“чому саме…?”, “чому ж саме в цей момент…?” (виражає невдоволення або розчарування ситуацією).
🔹 Приклад:

하필 오늘 비가 오네… (Чому ж саме сьогодні йде дощ? 😞)

하필 그때 전화가 왔다. (Чому ж саме тоді подзвонили?)

41
Q

일방적

A

односторонній

42
Q

들키다

A

бути спійманим, викритим на чомусь.
🔹 Приклад:

그는 몰래 간식을 먹다가 엄마에게 들켰다.
(Він потайки їв перекус і був спійманий мамою.)

43
Q

A

вид,тип,рід

44
Q

A

хитрість, кмітливість

45
Q

부리다

A

показувати,проявляти

46
Q

일행

A

супутники, група людей, які разом подорожують або діют

47
Q

뒤똥거리다

A

хитатися, човгати, невпевнено ходити

48
Q

권총

A

пістолет.
🔹 Приклад:

경찰은 범인의 권총을 압수했다.
(Поліція конфіскувала пістолет злочинця.)

49
Q

차다

A

залежно від контексту може означати:

Носити (на собі, наприклад, годинник, пояс, пістолет)
🔹 시계를 찼다. (Надів годинник.)

Відштовхувати, вдаряти ногою
🔹 공을 세게 찼다. (Сильно вдарив м’яч.)

Бути повним, заповненим
🔹 컵이 물로 차 있다. (Чашка наповнена водою.)

Кидати когось (у стосунках)
🔹 여자친구가 나를 찼다. (Дівчина мене кину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