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단어 Flashcards

1
Q

drooling

A

침을 흘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CVA

A

cerebral-vascular accident 뇌혈관장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LTB

A

laryngo-tracheal bronchitis 후두기관성 기관지염

-Croup 증후군 중 하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Thyroidectomy

A

갑상선제거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tingling

A

얼얼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pancreatitis

A

췌장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diaphoresis

A

발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restless

A

가만히 못있는 ,안절부절하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PEFR

A

peak expiratory flow 최고날숨유속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Epiglottitis

A

급성후두개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chest retraction

A

가슴 움츠리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Glucoma

A

녹내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Tracheostomy

A

기관절개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ORIF

A

open reduction & internal fixation

전위골절을 체내고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fat embolism

A

지방 색전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portal hypertension

A

문맥압 항진

간경변이나 문맥협착-> 소화관에서 간으로 가던 혈액차단-> 간기능저하, 소화장애, 심기능저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petechiae

A

점상출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ALS

A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 축삭경화증. (motor neuron이 선택적, 진행성으로 변성,소실되어 심각한 근위축과 근력저하가 진행되는 원인불명 di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contusion

A

타박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emphysema

A

폐기종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Trachea deviation

A

긴장성 기흉, 무기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tracotomy

A

개흉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endocarditis

A

심내막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angina

A

협심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MI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26
pericarditis
심낭염
27
TURP
transurethral resction of prostate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28
AAA
abdominal aortic aneurysm 복부대동맥류
29
aneurysm
동맥류
30
pericarditis
심낭염
31
JVD
jugular venous distention 경정맥확장
32
pulsus paradoxus
기이맥 . 심낭이라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LV,RV가 서로 | 부피를 많이 차지하려고 경쟁하는 현상.
33
lobectomy
폐엽 절제술
34
adenocarcinoma
샘암종. 샘(선, gland)의 분비세포에서 기원하는 암.
35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관상동맥 우회술. | 관상동맥(심장동맥, coronary artery) 협착부에 환자 본인에게서 채취한 정상 혈관을 연결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혈류량의 회복을 꾀하는 수술
36
PCP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주폐포자충 폐렴
37
SOB
Short Of Breath 호흡촉박
38
pneumonectomy
폐절제술
39
cramping
경련
40
IDDM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인슐린 의존성 당뇨
41
hypophysectomy
뇌하수체 절제술
42
poliuria
다뇨증
43
oliguria
핍뇨
44
HA
1. hepatitis A A형간염 | 2. habitual abortion 습관유산. 유산을 3번 이상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45
craniotomy
개두술
46
SCI
spinal cord injury 척수손상
47
MG
myasthenia gravis 중증 근무력증
48
ileostomy
회장루
49
K 정상치
3. 5-5.5 | 6. 0 이상 = 우선순위
50
cystoscopy
방광경검사
51
BUN 정상수치
7-20 | 36이상= 우선순위
52
U/C
1. unclear 확실치않음 | 2. urine culture
53
gastroenteritis
위장염
54
colostomy
장루
55
mastectomy
유방 절제술
56
PEG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경피적내시경위조루술. 내시경을 이용하여, 복벽과 위에 누공을 조성하는 수술로, 점적주입을 하지 않아도 영양공급이 가능
57
Cr 정상수치
07-1.2 | 2.0 이상= 우선순위
58
SCA
Subclavian artery 쇄골하동맥 Sickle cell anemia 겸상적혈구 빈혈 Superior cerebral artery 상소뇌동맥 Sudden cardiac arrest 급성심정지
59
nephrotomy
신절개술. 결석이 신우~ 신배에 걸쳐서 존재할 때
60
Cr 정상치
0.6-1.2
61
PLT 정상수치
15만-35만 정상 2만이하=우선순위 혈소판이 지나치게 증가된 경우 종양, 골수증식성질환,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등과 이외에도 다양한 원인 혈소판이 지나치게 감소된 경우는 거대적아구성빈혈, 백혈병, 감염, 항암치료, 백혈병, 특발성혈소판감소증 등
62
sunken
움푹 들어간
63
Cystic fibrosis
낭성 섬유증 . 낭성 섬유증은 유전자에 결함 질환. 주로 폐와 소화기관에 영향. 기관지 안 점액 분비선에 영향을 주어 진하고 끈적끈적한 점액-> 기도 폐쇄와 기관지의 만성적 폐쇄, 염증을 유발. 또한 음식물을 분해하고 흡수하는 췌장 소화효소의 분비를 방해하여 소화를 어렵게 하고 영양분의 흡수에 장애.
64
MS
Mitral stenosis 승모판 협착증 Multiple sclerosis 다발성 경화증 Meniere's syndrome 메니에르 증후군
65
MG
myasthenia gravis 중증 근무력증 근육을 움직이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수용체가 자가항체에 의해 장애를 받는 자가면역질환, 초기에는 안검하수(눈꺼풀처짐, blepharoptosis), 복시(겹보임, diplopia) 등의 증상
66
BKA
Below knee amputation 무릎밑절단
67
AKA
Above knee amputation 무릎위절단
68
SFP
Spinal fluid pressure 척수액압
69
PTU
propylthiouracil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제
70
Synthyroid
신지로이드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복용하는 약의 상품명이며, 성분명은 티록신(Levothyroxine)
71
Amniophylline
적응증 : COPD, Asthma, Infant Apnea 작용기전: 기관지 평활근의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cAMP)의 증가와 Norepinephrine분비에 의해 기관지 확장효과 ​• bronchodilation & pul.artery 이완 => pul. blood flow와 vital capacity 증가 ​• positive inotropic & chronotropic effect ​• 간 대사 & 신장 배설 ​• 매우 좁은 therapeutic range...
72
Terbutaline
기관지확장제
73
glomerulonephritis
사구체신염
74
pernicious
치명적인
75
Angina pectoris
협심증 |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76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
77
cholecystitis
담낭염 담관의 폐쇄에 따른 이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생기는 염증성 질환
78
Cretinism
크레틴병 크레틴병은 선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 태아기부터 갑상선의 형성부전이나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갑상선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지능저하 및 성장발달 지연 . 그러나 생후 1개월 이내 바로 진단하여 갑상선 호르몬 보충 요법을 시행하면 정상적인 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79
Crohn disease
크론병 | 원인불명인 위장계통의 만성 육아종성 염증성 질환
80
Cystitis
방광염
81
acid ash
산성식이(酸性食餌). 요(尿)의 산성화를 촉진하는 식사로서 고기, 생선, 계란, 곡류 등
82
alkaline ash
알칼리성 식이
83
decubitus ulcer
욕창
84
Diverticulitis
게실염 대장의 벽에 생긴 게실 내에 장의 내용물이 고여 발생하는 염증
85
Diverticulosis
곁주머니증 위장관이나 방광 등 빈 공간이 있는 장기 벽의 일부가 주머니 같이 돌출되어 나와 있는 상태. 염증이 있는 경우를 곁주머니염, 또는 게실염이라고 한다.
86
hepatic encephalopathy
간성혼수
87
Hirschsprung dis
히르슈슈프룽병. 장의 연동운동(꿈틀운동, peristaltic movement)을 담당하는 신경절세포가 결여되어 만성변비로 인해 대장이 확장되는 선천성 질환
88
hyperparathyroidism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 PTH의 과잉분비가 원발성으로 일어나는 것 * 속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 혈중 칼슘의 저하에 대한 반응으로 PTH의 증가가 나타나는 것
89
Phosphorus
90
Saturated fat
포화지방
91
가와사키병
가와사키병은 4세 이하의 영유아에게서 발생하는 급성 열성 발진증이다. 전신의 계통적 혈관염이 주된 병태. 가와사키병에서 꼭 알아두어야 하는 핵심 ① 소아, 특히 영유아의 질환 ② 증상(진단기준 항목)은 전부 기억 ③ 심장동맥에 혈관염이 생겼을 경우, 심근경색, 심장동맥자루 파열이 일어난다. ④ 치료는 아스피린 또는 γ–globulin 제제이며, 부신겉질스테로이드제는 금기이다.
92
Pancreatitis
췌장염
93
Peptic ulcer
소화성궤양 | 소화기관의 점막이 헐어서 점막 아래 부분까지 드러나는 질환.
94
Phenylketonuria
페닐케톤뇨증 단백질 속에 함유되어 있는 페닐알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결핍되->체내에 페닐알라닌이 축적->경련 및 발달장애를 일으키는 상염색체성 유전 대사 질환 생존, 성장 및 발달에는 반드시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페닐알라닌 농도를 2~6mg/dL로 유지하면서 다른 단백질 결핍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만큼 단백질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페닐알라닌 공급이 부족해도 발육 장애, 빈혈, 저단백혈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신생아 시기부터 저 페닐알라닌 특수분유와 일반 분유를 알맞게 섞어 먹이며, 이후 아이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식사 제한을 약간 느슨하게 할 수는 있으나 완전히 중단해서는 안 된다.
95
Renal colic
신장산통 신동맥혈전 혹은 해리(解離), 신경색(腎梗塞), 신내실질장애, 집합관계 중의 결석통과, 신정맥혈전 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산통.
96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위내시경
97
Bronchoscopy
기관지내시경 위내시경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훨씬 가는 기관지 내시경을 사용. 국소 마취된 입이나 코를 통하여 기도로 삽입-> 기관과 기관지를 관찰한다. 관찰 후 필요하면 병변으로 의심되는 부분을 떼어내어 조직검사나 세척술을 시행한다.
98
Parethesia
손발저림 감각없음 =numbness
99
cerebral angiography
뇌혈관 조영검사 뇌혈관 조영검사는 뇌혈관 속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여 뇌혈관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법. 하지의 대퇴동맥 혹은 상지의 요골동맥으로 도관(카테터)을 넣고 뇌혈관에 위치시킨 후 적절한 양의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수 초간 연속적으로 X선 촬영을 하면 뇌혈관이 진하게 잘 보인다.
100
MUGA
심장기능 영상 검사(MUGA, Multigated Blood Pool Scan) 심실 심박출 기능의 정량적 분석 및 심실의 국소 벽운동을 평가합니다. 검사 전 1차 주사(환원제)를 정맥 주사하고 20분 후 방사성 동위원소를 2차 주사. 심전도를 붙이고 바로 누운 자세로 촬영. 전체 검사는 약 1시간 정도 소요. 그러나 부정맥이 있는 경우는 검사시간이 좀 더 소요.
101
AICD
체내삽입자동세동제거기(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102
Claustrophovia
폐쇄공포증
103
thallium stress test
트레드밀 검사
104
Pap smear
자궁경부암 검사 cervical cancer screening test 아주 과거(1920년대) 그리스 의학자인 파파니콜로(Papanikolaou)가 개발한 진단법으로 세포를 슬라이드에 도말염색하여 자궁경부암 여부를 판독하는것입니다. 이 방식은 사실 정확도가 57~58% 로써 60%가 채 안되는 검사방식입니다. 따라서 검진은 자주 받아 보셔야 하며 적어도 1~2년에 한번씩은 꼭 받아 보셔야합니다. 자궁경부암검진의 최신진단법으로 Thin prep(액상자궁경부세포진검사)가 있지만 이는 불행히도 공단에서 무료로 해주지 않습니다. Thin prep의 경우 정확도가 80%정도로 PAP보다 정확도가 휠신 높습니다.
105
chorionic villi
융모막검사 엄마의 배를 통해서 바늘을 찔러서 태반의 세포를 채취하는 것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검사 시기가 양수검사 보다 한달 이상 빠르기 때문에 일찍 태아의 염색체 이상을 알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정상일 경우 일찍 안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융모막검사를 받게 되는 가장 흔한 이유가 바로 태아의 후경부투명대(NT, 일명 "목두께")가 증가한 경우입니다. NT가 두꺼울 경우 태아의 염색체 이상의 위험도가 많이 증가합니다. 현재 산부인과 교과서로 사용되는 Williams라는 책에는 NT가 3-4mm 이상일 경우 융모막검사나 양수검사를 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106
amniocentesis
양수검사 산모는 배를 노출한 상태로 똑바로 눕는다. 초음파로 태아의 이상이나 검사에 적당한 부위를 보고, 피부를 소독한 뒤 가늘고 긴 바늘을 산모 배에 직접 찔러 양수를 뽑아낸다. 대개 한 번의 시술로 끝나고 통증이 심하지 않기 때문에 마취는 시행하지 않는다.
107
AFP
α-fetoprotein 알파태아단백질. 태아의 혈청에 함유된 당단백질로, 간 계통의 종양표지자(tumor marker)이다.
108
Spina bifida
척추 이분증은 선천성 기형의 하나로 척주(spinal column)의 특정 뼈가 불완전하게 닫혀있어 척수의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특징
109
PKU
Phenylketonuria 페닐케톤뇨증. 혈중 페닐알라닌 농도가 상승하고 뇌의 발달이 장애를 받는 상염색체열성의 선천성 대사이상증으로, 선별검사를 통해 쉽게 발견되며 저페닐알라닌식사가 효과적이다
110
Barium enema
바륨관장 대장질환 확진에 가장 유용한 것으로 저농도의 바륨을 800~1, 000㎖ 주입하여 충만상을 촬영한다. 그 후 바륨을 배출시킨 후 촬영을 하고 이어서 공기를 주입하여 잔존바륨이 벽에 부착하고 있는 상황하에 신전상황(伸展狀況), 점막의 상태 등을 확진코자 하는 법이다. 고농도 바륨을 그대로 사용하여 장내벽과 미세구조를 진단하는 법이 현재 널리 행하여 지고 있다.
111
intestine
장, 창자
112
Lumbar puncture
요추천자 신경계통 질환을 진단하는 데 필요한 척수액을 얻거나 약제를 척수강에 주입하기 위해 허리뼈 사이에서 긴 바늘을 거미막밑 공간으로 찔러 넣는 것 진단질환: 세균성 뇌수막염,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그외 뇌수막염, 뇌염, 뇌사르코이드증, 지주막하 출혈, 원인 불명의 뇌압 상승, 뇌압 감소로 인한 두통, 다발성 경화증, 길랑 바레 증후군
113
Schilling test
실링검사, 쉴링시험 비타민 B12의 위장흡수에 대한..악성빈혈 감별진단 일정량의 방사성 비타민 B12를 경구투여하고, 포화량의 비방사성 비타민 B12를 피하에 주사한다. 24시간 이상 배출된 요에서 방사성의 %를 측정한다.
114
bland diet
무자극식 조섬유질을 아주 적은 양 갖는 식사로 장을 자극하지 않고 진정시키고, 위액분비를 자극하는 조미료, 카페인, 알코올을 제외한 치료식 소화성궤양, 게실염, 궤양성 대장염같은 위장관 장애에 처방함.
115
gallbladder dis
담낭질환
116
devout
독실한
117
STI
sexually transmittered infection 성매개감염
118
postmortem
사후의
119
yin yang
음양 오행설..이런거
120
Delegate
위임. sterile skills (dressing change 같은거) to the RN, LPN -스킬이 필요 없는 stable client는 nursing assistant한테 위임가능 -대부분의 critical client는 RN이 assign -퇴원하는 환자들(discharge)은 마지막으로 RN이 중재해야된다. -LPN(licensed practical nurse)이 IV theraphy, foley, feeding tube, 모니터 할 수 있고, restraint apply할 수 있다. -assessment, teach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evaluation, unstable 환자들은 위임될 수 없다. unlicensed assitive personnel에게.
121
Weight
dehydration의 최고의 지표다.
122
Gravida
outcome에 상관없이 여자가 임신한 횟수다.
123
Para
viability(생존)에 도달된 임신 수를 말한다. fetus거나 stiilborn이거나 상관없이. futus는 20주 이상된걸 말함.
124
Lochia rubra
적색오로. 분만 직후(산후1-3일) 거의 혈액만으로 된 질분비물. 서있거나 수유활동시 증가. | pure blood. 신선한 냄새
125
Lochia serosa
장액성오로. 분만 4~9일 후에 볼 수 있는 장액성 질분비물. 분홍 OR 갈색. 신선한냄새, 혈괴없음.
126
Lochia alba
백색오로. 산욕 말기(산후 7-10일쯤)의 질분비물, 혈액량 감소 백혈구 증가. 노랑, 흰색, 혈괴없음.
127
불났을때, RACE
R- remove the patient A-activte the alarm C-attempt to contatin the fire by closing the door. E-extinguish the fire if it can be done safety.
128
Veracity
진실성, health provider랑 Pt 관계에서 필수적인 요소.
129
Beneficence
환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선행을 행하고, 공평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
130
Nonmaleficence
무해성의 원칙. 환자에게 고통이나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이나 활동을 하지 않는 것.
131
Projection
투사.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이나 생각을 외부 세계로 옮겨놓는 정신 과정. 방어적 과정, 자신의 흥미와 욕망들이 다른 사람에게 속한 것처럼 지각되거나 자신의 심리적 경험이 실제 현실인 것처럼 지각되는 현상.
132
Sublimation
승화. 본능적 욕구나 참기 어려운 충동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형태로 바꿔쓰는 방어기제. | 승화는 다른 방어기제와는 달리 욕구를 비난하거나 반대하지 않으며 억압하지 않고 발산하도록 허용한다. 다만 도덕적으로 어긋나지 않는 방법으로 충족시킨다.
133
Repression
하나의 관념이 의식으로부터 제거되는 무의식적 방어 과정. 이 억압된 관념 안에는 문제가 될 수 있는 본능적 욕동 파생물과 그것의 충동적 힘이 포함. 과흥분, 불안, 갈등 등의 고통스런 정서를 자극할 수 있다.
134
OC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강박장애. 강박장애는 강박 및 관련 장애의 하나, 강박적 사고(obsession) 및 강박 행동(compulsion)이 특징. 환자들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어떤 생각이나 충동, 장면이 침투적이고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강박 사고를 경험하며, 강박 사고나 완고하게 따르는 규칙에 따라 일어나는 반복적인 행동 또는 심리 내적인 행위인 강박 행동을 보인다.
135
EPS
기저핵 일부 또는 전부가 손상-> 수의운동장애(dyskinesia)와 근경직(muscle rigidity)을 포함한 근긴장도와 자세의 이상(disturbance of posture and muscle tone)의 두 종류의 운동장애가 일어난다. #수의운동장애 ① 자신의 의도와 관계없이 일어나는 불수의적 운동인 tremor, athetosis(무정위운동증), 무도병(chorea), 발리즘(ballism) 등 ② 마비(paralysis)는 없는데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으로 운동의 시작이 안되거나 느려지는 운동감소증(hypokinesia), 운동불능증(akinesia), 운동완서(bradykinesia)등, #근긴장도(muscle tone) 이상 : 근긴장항진(hypertonia,근경직[muscle rigidity])과 근긴장감소(hypotonia).
136
Hypervigilance
(=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과잉각성. 위험을 감지하는 감각이 극도로 발달 된 상태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극심한 스트레스(정신적 외상)를 경험하고 나서 발생하는 심리적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