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3 Flashcards

1
Q

l. 간양상항과 간화상염의 공통증상은 무엇인가 ?
1)번조, 급조이노, 이명, 이농, 두통, 현훈, 불면, 붉은 설변, 현맥
2)번조, 급조이노 이명, 목적종통. 눈의 작열감, 두통, 현훈, 불면, 붉은 설변, 현맥
3)번조, 급조이노, 이명, 눈의 팽창감, 안구건조, 두통, 불면, 붉은 설변, 현맥
4)번조, 급조이노, 구고, 출혈. 편두통, 갈증, 불면, 다몽, 붉은 설변, 현맥

A

답: 1
2번은 목정종통은 간화
간양상항은 눈은 빨갈수 있으나, 혈관 때문에. 그러나 열은 없다.
3번은 간양상항, 간음허에서 오는 것이니까
4번은 간화.
편두통은 둘다 가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흉중의 열감 갈증, 구설생창, 소변단적, 혈뇨, 소변삽통, 설침이 붉고 부어있으며 좌측 촌부맥이 현삭 또는 홍삭하다. 가장 적절한 진단은 ?
    1)간화상염 2) 소장실열 3) 심화항성 4) 방광습열
A

답: 2
심화가 소장까지 내려갔다
소변삽통은 심화에서 안나온다
설첨이 붉었다는건 심화를 말한다
소변삽통이 있으니까 현맥이 나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다음 중 간화범폐 증상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 *
    1)해수, 천식, 흉통, 황담, 혈담, 구고, 갈증, 소변단적, 변건, 설홍황니태, 맥현긴삭
    2)해수, 천식, 빠른 호흡, 황담, 구고. 급조이노. 두통, 현훈. 목적, 맥현활
    3)번조, 급조이노. 이명, 눈의 팽창감, 안구건조, 두통, 불면, 붉은 설변, 현맥
    4)해천. 비익선동. 황담. 갈증. 소변단적, 흉협창만, 구고, 설홍황태, 맥현삭
A

답: 2
구고
3번은 간양상항
4번은 열사옹폐. 열사옹폐에서 구고가 나을 수 있따. 2번과 감별잘해야 한다
줄친걸로 감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소장기통의 증상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
    1) 고환이 아래로 처지는 것 같다. 고환추창통, 장명, 실기 후 호전, 맥침현긴
    2) 고환추창통, 고환수축통, 소복창만, 따뜻하면 호전, 백활테, 침현지
    3) 하복부의 창만 및 소복견인통, 고환냉통, 자궁수축통, 담백설, 젖은 설, 맥침현지
    4) 고환추창 및 수축통, 소복창만, 따뜻하면 호전, 소복급통이 요배까지, 백활태, 침현지
A

답: 1
장명은 소장의 상견증상.
기체니까 방귀끼면 좋아지고
맥침현긴. 현긴은 통증
고환추창은 한체간맥과 소장기통밖에 없다.
간담습열엔 고환에 염증이고.
2번은 한체간맥. 고환추창통은 같은데 한체도 기체, 소장기체도 기체. 창통은 기체.
수축은 한증. 그러니까 한체간맥에만 나오고…
따뜻하면 호전은 한첸간맥막 나온다. 침현지의 지도 한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34세 여인, 복권에 당첨된 후 너무 좋아 웃음이 그치지 않았으며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어느 장부의 문제인가 ?
    1)심 2) 간 3) 비 4) 신
A

답: 1
심주신의 상태는 웃음
사촌이 논사서 배가 아픈 것도 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1. 50세 여성 환자, 더운 지방을 여행한 후 머리가 어지럽고, 잠이 잘 안 오며 꿈이 많아졌다.
    뚜렷한 이유도 없이 안절부절 하며, 근심, 걱정이 심해졌다. 입이 건조하고 밤에 심계가 심하다.
    원인은 ?*
    1)심화 2) 심음허 3) 심혈허 4) 서사의 심포 역전
A

어지럽고는 무시. 다 나오니까.
이유없이 안절부절은 음허!!!
입이 건조, 음허.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45세 여인, 남편과 사별 후 하루하루가 너무 슬프다. 약간만 움직여도 땀이 난다. 피로가
    심하고 면색은 창백하다. 설은 담백하고 양쪽 촌맥이 다 약했다. 적당한 진단은 ?
    1) 비기허, 폐기허 2) 심기허, 폐기허 3) 폐기허, 신기허 4) 심기허, 신기허
A

약간만 움직여도 땀이 난다. 기허
피로가 심하고 면색창백도 기허
양촌맥은 심폐가 약한거니까
슬픔은 폐기를 소모. 그래서 심기를 소모.
답: 2
슬픔은 폐기를 손상하니까… 초상집에 있는 사람이 모두 얼굴이 하얗다.
폐는 또 눈물.
웃는 것으로 화극금으로 슬픔이 없어진다.
피로의 1순위는 비기허인데
나머지를 보면 비기허가 주가 아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38세 남성, 근심, 걱정이 많은 편이다. 운동할 때면 특히 호흡이 가쁘며 심장 주변의
    불편감이 통증이 있곤 한다. 손톱이 청자색이고 손이 차다. 맥은 껄끄럽고, 느리고 불규칙하게
    멎곤 했다. 진단은 ? *
    1) 심기허 2) 심양허 3) 심혈어 4) 심혈허로 인한 심혈어
A

운동할 때 호흡이 가쁘며: 기단
심장쪽이 아프다.
손톱이 청자색이고 손이 차다.
심혈어가 답.
몸이 차다니까, 심양허로 인한 심어혈. 답: 3
혈허가 틀렸다. 그래서 4번이 아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총체적인 기탈은 대부분 무엇의 탈증이 원인인가 ?
    1)비의 곡기 2) 폐의 종기 3) 심의 영기 4) 신중정기(賢中精氣, 신양, 신음)
A

답: 4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42세 여성 환자, 출산 후 근심, 걱정이 많고 쉽게 잘 놀란다. 잠들기 전에 가슴이 두근거려
    잠들기가 불편하다. 맥은 껄끄럽고 설은 약간 건조했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기허 3) 심양허 4) 심혈
A

잠들기 전에 불편한건
혈허나 음허
낮에는 기허 양허 습
심혈허가 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산후 우울증, 정신착란의 원인은 ?
    1)심혈허 2) 간기울결 3) 간혈허 4) 심혈어
A

답: 1
귀비탕 가감해서 먹이면 정상이 됨.
산후 우울증으로 애기가 이상하게 보이기도 하기 때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여성이 최근 들어 불면, 다몽, 근심, 걱정, 건망, 지력감퇴, 잘 놀란다. 원인은 ? *
    1)간혈부족 2) 심혈부족 3) 심음부족 4) 담허
A

근심걱정은 제외.
건망은 1순위가 심혈허
여기에 음허증상이 나오면 심음허.
근데 없으니까 심혈허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51 세 여자, 손발의 순환장애를 가지고 있다. 정신이 깜빡깜빡 하며 잘 기억이 나지
    않으며
    어지럽기도 하며 또한 손발이 자주 저린다. 밤에 주로 심계가 심해지며 불면이 있다. 가끔
    머리 꼭대기에도 통증이 온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간혈허 3) 심음허 4) 간심음허
A

건망: 심혈허.
손발이 저린다 간혈허
밤에 주로 심계: 심혈허나 음허
머리꼭때기 통증; 간
답: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50세 여자, 밤에 화장실에 가려고 일어나면, 잠옷이 땀으로 젖어있다. 가슴도 두근거리고
    허리도 아프다. 주로 밤에 얼굴이 화끈 거린다. 알맞은 진단은 ?
    1)심신음허 2) 심간혈허 3) 간신음허 4) 심신양허
A

도한. 음허. 잠옷이…여기까지.
가슴이 두근. 심
답: 1
밤이나 오후에 얼굴이 화끈 이것도 음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잠들기 힘드나 일단 잘 들면 숙면을 취한다. 건망, 손톱색이 창백하다. 원인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심기허 4) 담허
A

잠들기 힘드나…
답: 1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잠들기는 불편하지 않고 잠을 자는 도중에 자꾸 깬다. 원인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간음허 4) 신음허
A

답: 4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잠들기 힘들고 잠들어도 자주 깬다. 밤새 내내 계속되는 꿈이 수면을 방해한다. 또는 잠을
    밤새 내내 잘 수 없다. 원인은 ? *
    1)심혈허 2) 심음허 3) 심양허 4) 심기허
A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쉽게 놀란다. 기억력이 감퇴되는 것 같다, 움직이면 땀이 난다. 심계, 피로가 심하다.
    원인은? *
    1)심헐허 2) 심음허 3) 심양허 4) 심기허
A

건망: 혈허
움직이면 땀이 난다: 기허
피로가 심하다 기허
1번 4번 둘중 하나인데
건망은 심혈허가 일순위.
중의진단학은 모든 심장엔 건망이 들어가 있다. 심양허에도 있고…
건망을 빼고 모두 기허면 기허를 답으로 해야 한다.
답: 4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45 세 여성, 가슴이 두근거리며 머리가 어지럽다. 잠도 잘 오지 않으며 꿈이 많다. 조그만
    일에도 잘 놀라며, 늘 근심과 걱정이 심하다. 가슴에 열이 나며 마음이 조마조마하며, 잠을
    자다가 자주 일어나곤 한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담허 4) 간혈허
A

가슴두근: 심장 / 잠이 오지 않으며: 이걸로 모른다.
가슴에서 열이 나며: 음허열
마음이 조마조마…잠을 자다가
심음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45세 여성 환자, 잠들기가 힘들며 근심, 걱정이 많다. 설첨이 홍색이며 약간 부어있으며
    설체에는 홍반점이 있다. 중앙의 깊은 열문이 설첨까지 이어지고 박락태가 보인다. 맥은 촌맥이
    부(浮)했고, 척맥이 약간 약했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간신음허 4) 간화
A

잠들기 힘들며: 심혈허
설첨이 홍색: 열증
홍반점: 열증
설첨까지 이어지고… 이것도 심장
박락태니까 음허
그래서 심음허가 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심계, 면색광백, 자한, 잠을 자고 싶은데 잠이 들기 어렵다. 건망, 설담백윤태. 원인은 ? *
    1)심양허 2) 신음허 3) 심음허 4) 심혈허
A

잠을 자고 싶은데 들기 어렵다: 심혈허
건망ㄷ, 자한.. 면색광백..
백윤태, 윤기있는 태가 있으니까 양허.
1
설이나 전체 종합을 ㅂ ㅘ야 한다.
심혈허로 가면 광백이 안맞는다.광백은 양허의 전형적인 것. 혹 기허.
18, 21은 참고로 볼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60세여성, 오랜 근심, 걱정, 가슴이 두근두근하며 자꾸 불안하다. 입이 마르고 설이 붉다.
    혀에 생긴 궤란의 테두리가 백색이다. 원인은 ? *
    1)심화항성 2) 심음허 3) 신음허 4) 심혈허
A

심음허
궤란의 테두리가 백색 또는 담홍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구고, 자꾸 짜증, 충동질, 면적, 소변적, 갈증, 설홍, 설첨이 더 붉고, 홍반점, 후황태, 중앙
    열문이 설첨까지 이어져 있다. 원인은?
    1)심음허 2) 심화 3) 간화 4) 간화범폐
A

심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잠을 자다가 자주 일어나며, 꿈에 불을 자주 보거나 날아다니는 꿈이 수면을 방해한다.
    구고, 면적, 짜증, 혈뇨, 심계가 있다. 원인은 ?
    1)심화 2) 간화상염 3) 심음허 4) 심신불교
A

자주일어나며: 음허같은데…
꿈에 불을 자주 보면… 실증.
구고도 실증
혈뇨: 심음허엔 안나온다.
그래서 답이 심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1. 34세 여성 환자, 심한 불안감과 함께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한다. 걱정과 근심이 많고
    가슴도 두근두근 하며, 우측의 안광통이 심하며, 통증이 있을 때면 바늘로 찌르거나 칼로 베는
    듯한 느낌이 전해온다. 월경 전에 번조감이 오며 월경은 규칙이 없다. 월경의 양은 많은
    편이고, 색은 어둡다. 맥은 기타 줄을 당기는 듯 긴장되어 있으면서 약했고, 설은 짙은 홍색에
    설변과 설첨에 어반이 있었으며 설첨이 더 붉고 태는 황태이다. 진단은 ? *
    1)간화로 인한 간양상항 심간의 어혈 2)심어혈로 인한 간양상항
    3)간기울결로 인한 간양상항 4)심간어혈로 인한 간양상항
A

우측 안광통은 간양상항.
간양상항 때문에 어혈. 바늘로 찌르거나…
월경전 번조감은 기체. 또는 기체어혈
월경의 규칙 없다: 기체
양은 많은 편은 열
색이 어두운 것도 어혈이나 심한 열
맥은 기타줄: 현맥설은 짙은 홍색: 열증
설변과 설첨에 어반: 어혈
설변이니까 간.
설첨은 더 붉고 태는 황태. 황태는 열.
4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1. 67세 여성 환자, 남편과 이혼을 한 후 오랜 동안 전중과 광증이 번갈아 발작되었다.
    전증이 을 때면, 인생의 낙이 없어지며, 자꾸 우울해지며, 어쩔 때는 갑자기 혼절하기도 한다.
    광증이 을 때에는 가끔 입이 쓰기도 하며, 대변이 잘 나오지 않아 화장실에 오래 앉아 있기도
    하며, 지나가는 사람에게 심한 욕설을 행하기도 했다. 그녀는 3 일 째 잠을 자고 있지 않다고
    하며, 미칠 것 같다고 호소했다. 맥은 현삭하였으며 설은 전체적으로 붉고, 특히 설첨이 부어
    있었다. 또한 누런 혓바늘이 많이 발견되었고 중앙에 열문이 설첨까지 연결되어 있었다.
    진단은?*
    1)장조증 2) 담화요심 3) 간담실열 4) 위장담화
A

입이 쓰며: 심화
담화요심 담미심규가 왔다 갔따.
기를 다 쓰면 담미심규로 간다.
담화요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1. 담화요심, 담미심규, 위장담화의 근본 원인은 ?
    1)비기허 2) 심기허 3) 심화 4) 담화
A

비기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1. 45세 여성, 정신이상과 잦은 흥분을 한다고 한다. 가끔 미칠 듯이 날 뛰며, 정신이 모호할
    때도 있다고 한다. 가끔 구토할 때면 약간의 담이 나오기도 하며, 갈증은 심한 편은 아니라고
    한다. 대변을 본 후에는 항문에 작열감이 있으며. 광증이 있을 때는 잠을 안자고 밤을 세운
    적도 있다고 한다. 설태는 후황니 했고 맥은 침실 했다. 진단은 ? *
    1)담울담요 2) 장조중 3) 위장담화 4) 담미심규
A

29번과 비교
변증에선 정신병이 나을 수 있는 것이 3가지. 담미심규, 담화요심, 위장담화 여기서만 나온다.
위장담화. 구토할 때 담이 나오고… 담이 있으니까 미갈.
위화는 쉽게 대장으로 내려간다.
담화요심에선 항문 작열감을 말을 안한다.
맥침실은 양명부증, 대승기탕이나 식체나 위화에 나온다.
위장담화도 양명부증.
담화요심은 절대 맥침실이 안나온다
답: 위장담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1. 45 세 여성, 정신이상이 있고 잦은 흥분을 한다. 가끔 미칠 듯이 날 뛰며, 정신이 모호할
    때도 있다. 오심구토를 하며 변보기가 힘들며, 얼굴은 늘 홍색이다. 광증이 있을 때는 가슴이
    뛰며 잠이 오지 않아 밤새 내내 잠을 안잔 적도 많다. 설은 후황니 했고 누런 혓바늘이
    보였으며, 설첨이 더 붉고, 설첨에는 약간의 홍반점이 있었다. 진단은 ? *
    1)담울담요 2) 담화요심 3) 위장담화 4) 담미심규
A

담화요심
오심구토가지곤 구별이 안된다.
가슴이 뛰며… 담화요심은 심계가 있따.
불면은 둘다 나오고
설첨이 더 붉고, 홍반점… 심화증상이 담화요심에 나온다.
그래서 위장담화랑 구별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1. 37세 여성 환자, 10 대 시절에 정신적인 문제가 있어 양방병원에서 진단한 결과
    조울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적이 있었다. 광증이 유발될 때는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지나가는
    행인에게 막말을 해대기도 했고, 또래 친구들을 마구 때리기도 했으며, 까닭 없이 웃기
    시작하면 참기도 힘들었다. 광증 발작 후 몇 년 동안은 별 증상 없이 지나가다 최근 갑자기
    정신이 흐릿해지고 마음이 우울해지면서, 피로와 함께 오심구토가 동반되기 시작했다. 밖에
    나가기를 싫어하며, 병원에도 오기 싫어했는데 겨우 가족들이 이끌고 왔다. 설은 붉고 태는
    두꺼운 누런 태였으며, 보기에도 진득거리게 보였다. 설첨이 특히 부어 있었으며 약간의 어반도
    보였다. 진단은 ? *
    1)심장의 어혈로 인한 담화요심 2)담화로 인한 담미심규
    3)심화로 인한 담미심규 4)위장담화
A

첨에 광증이 있다가, 몇년 지나가고 마음이 우울해지며…
광증에서 음증으로 돌아갔다.
담화요심에서 담미심규로 넘어가고 있는 것.
담미심규로 백프로로 안나온 것.
2번이 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1. 심음허 환자에게 금하는 치료법은 ?
    1)부항 2) 뜸 3) 거궐에 0.3-0.8 직자한다 4) 피부침
A


뭔 음허든 음허는 뜸이 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1. 50세 남자, 얼굴전체가 붉고 눈도 빨갛다. 매사에 충동적이며 짙은 소변을 본다. 불면,
    혈뇨, 구설생창이 있고 잠을 거를 때는 아침에 입이 쓰지만, 숙면 후에는 그렇지 않다. 원인은
    ?
    1)심화 2) 간화 3) 심음허 4) 간양상항
A

얼굴전체가 붉다 실열
혈뇨, 구설생창…
심화
간화 : 수면과 관계없이 하루종일 구고가 있다.
심화 : 이른아침에만 생김, 숙면 후에는 없음(수면과 밀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1. 35 세 남성 환자, 가슴에서 열이 나며 잠이 잘 안온다. 꿈도 많아지며, 자꾸 대변도
    건조해지며, 소변도 점점 진해지는 것 같다. 부부 관계시 발기가 지속되어 생식기에 통증이
    있을 때도 있다. 코피도 자주난다. 진단은 ?
    1)신음허 허화 2) 간화 3) 심화 4) 간음허
A

간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4
Q
  1. 심양폭탈 환자에게 금하는 치료법은 ? *
    1) 15분 유침한다 2) 뜸 3) 족삼리에 자침한다 4) 처방약에 부자를 추가한다
A

양허때 족삼리…
심양폭탈이 기탈. 사역탕 쓰면 된다.
침 놓으면 안된다.
답: 1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5
Q
  1. 55세 남자, 가슴이 뛰고 호흡이 가쁘며, 면색이 어두워지고, 구순이 푸르며 보라색이 돈다.
    활동 후에는 땀이 많이 나오며 피로도 심해진다. 진단은 ? *
    1)심기허 2) 심양허 3) 심혈어 4) 심혈허
A

구순청자
활동후 땀이 나오고… 기허, 양허.
심장에서 구순청자는 심양허, 심혈어조 두군데서만 나온다.
입술만 나오면 어혈이 아닐 수도 있다.
나머지 증상은 양허증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6
Q
  1. 52세 여성,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리며, 늘 흉민 스러우며, 자주 통증이 동반된다. 통증은
    왼팔 내측이나 어깨 등으로 방사되기도 하며 추우면 심해진다. 진단은 ? *
    1) 심기허 2) 심양허 3) 심혈어 4) 심혈허
A

두근: 심계, 심장
흉민: 기순환이 안되고 있따.
방사통이 있다: 심혈어조.
3
심혈어조의 큰 원인이 심양허. 그래서 추우면 심해진다.
심혈어조는 심양허를 끼고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7
Q
  1. 52 세 남자, 최근 들어 입술과 손톱에 청색중이 나타났다. 손발이 차며, 가슴이 두근거린
    다. 추울 때면 흉통이 심해진다. 맥상은 현맥이다. 진단은 ? *
    1) 심양허 2) 한체간맥 3) 심혈어 4) 심양폭탈
A

손톱까지 나타나면 무조건 어혈.
입술만 나오면 어혈이 아닐 수도 있다.
그래서 3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8
Q
  1. 77세 남성 환자 잠을 잘 못자고 나면 입이 쓸 때가 있고, 변도 건조한 편이다. 가슴에
    열이 날 때면 가슴이 늘 조이는 것 같은 느낌이 나고 움직이면 더욱 심해진다. 설은 붉고
    보라색을 띠고 있었다. 진단은?
    1)심화에 기인한 심혈어 2)심음허 3)심양허에 기인한 심혈어 4)기체에 의한 심혈어
A

심화. 입이 쓰다.
협심증: 가슴이 조이는 것 같다
움직이면 심해진다: 기허
근데 열이 난다, 가슴에서.
심화로 어혈이 생긴 것.
1
심혈어조의 가장큰 원인이 심양허.
심혈어조는 독단적으로 생기지 않는다.
심양허가 원인이 가장크고, 심화, 심기허, 심혈에서도 나온다.
심혈어조: 심양허«심화, 심기허, 심혈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9
Q
  1. 심혈어를 양방으로 진단하면 가장 근접한 것은 ?
    1)협심증 2) 갑상선 기능항진 3) 고지혈중 4) 죽상동맥 경화증
A

협심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0
Q
  1. 56세 남성, 가슴이 두근 거리며 왼팔 내측, 어깨로 방사통이 있다. 추우면 가슴이 조여드는
    느낌이 심해지고 입술과 손톱에 청색증이 있다. 이 병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
    1)심기허 2) 심양허 3) 심혈허 4) 심화
A

어깨로 방사통이 있다가지가 심혈어조
심양허에서 왔으니까..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1
Q
  1. 45세 남성, 심계, 기단 (with inability to lie down), 우울감, 불안, 안절부절, 흉부의
    압박감, 흉부의 자통이 등 (upper back) 또는 어깨로 방사, 추우면 악화되는 (aggravated)
    통증, 열에 의해 완화되는 (alleviated) 통증, 담 (expectoration of phlegm), 신중감 (a feeling
    of heaviness), 말하기를 싫어함, 차가운 손, 한숨, 입술과 손톱, 얼굴이 자색(purple) 등의
    증상이 있다, 원인은 ?
    1)심맥비조 (Heart vessel obstructed) 2)심혈어 3)심양허 4)담미심규
A

41는 중의진단에서 뽑은거라 삼각형.
흉부의 자통이 등, 어꺠로 방사…
열에 의해 완화: 심양허까지는 어혈이 나왔다고 볼 수 있다.
담, 가래가 나왔다.
참고로 보는 문제.
1
심맥비조. 습담이 심장의 기울을 방해한 것.
관상동맥경화가 담에서 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2
Q
  1. 40세 여성, 심계, 흉부의 창만과 압박감, 우울감, 인후가 메이는 듯한 느낌 (a slight
    feeling of lump in the throat), 가벼운 기단, 한숨 (sighing), 식욕감소, 지냉, 입술이 가벼운
    자색 (purple), 면색창백 둥의 증상이 있다. 원인은 ?*
    1)간기울결 2) 심비양허 3) 심양허 4) 심기울결 (Heart Qi Stagnation)
A

매핵기는 무조건 간기울결로 나왔었는데 심기울결에도 나왔따.
답: 4
심기울결이 심기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3
Q
  1. 다음 중 허실협잡의 임상표현을 갖는 것은 ? *
    1)담미심규 2) 심맥비조 3) 심기울결 4) 심혈어
A

4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4
Q
  1. 55세 여성 환자 머리가 어지럽고 불면이 심하며, 건망증이 있다. 머리가 묵직하고 터질 것
    같고 가슴도 두근두근하다. 진단은 ? *
    1) 심음허 2) 간양상항 3) 간신음허 4) 간화
A

간양상항
머리가 묵직하고 터질것 같다.
건망은 신허에서도 나을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5
Q
  1. 55세 남성 환자 머리가 어지럽고 잠이 잘 안오며 가끔 건망증도 심해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또한 요즘 들어 가슴도 두근두근 해지며 오후가 되면 흉부열감이 심해진다. 잡지에
    있는 여성 사진만 보아도, 정액이 나오기도 한다. 그는 늦게 한의학 공부를 시작했는데 집중이
    안되어 공부를 포기하고 싶다고 했으며 만성결막염도 앓고 있었다. 진단은 ?
    1)심화 2) 간화 3) 심신불교 4) 신음허
A

건망증은 심장이 일순위지만 신허에서도 나온다.
두근 두근이니까 심장때문에 건망
오후가 되면 흉부열감이니까 심음허
심신불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6
Q
  1. 50 세 여성 환자, 갑상선 종대로 진단을 받았다. 식사 후 구토를 하며 탄산이 넘어오며
    변당과 피로도 심해 졌다고 하며, 기분도 들쭉날쭉하고 우울한 느낌 때문에 인생이 재미가
    없다고 한다. 특히 월경이 시작 될 때가 되면 우울증이 심해진다. 배에서는 소리가 나며 속이
    메스껍고 구토를 한다. 유방창통이 심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은데 정상이라고 했다. 설색은
    정상이나 설변이 약간 보랏빛을 띠고 있었다. 진단은 ? *
    1)간어혈+식체 2)간기울결 3)간기범비 4)간기범위
A

탄산이 넘어오면 위기상역
변당은 비.
비위에 이상이 있다.
우울한것은 정지방면.
월경전: 간기울결
장명이 있고, 위기상역.
설변이 약간 보랏빛. 그리고 빨갈 수 있따.
2
간기범비나 범위는 유방이나 자궁 문제가 절대 안나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7
Q
  1. 50세 여성, 한숨이 자꾸 나오고 우울하다. 감정 변화가 심하며 신트림이 자꾸나온다.
    월경을 하기 전에 유방창통이 심하고, 월경할 때가 되면 자꾸 긴장이 되곤 한다. 최근에는
    음식의 변화가 없는데도 자꾸 설사를 한다. 진단은 ?
    1) 간기울결 2) 간기범위 3) 간기범비 4) 간혈허
A

감정변화… 여기까진 정지방면.
유방창통: 간기울결
답: 간기울결
간기범비, 간기범위에는 유방창통이나 자궁 문제가 나오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8
Q
  1. 34세 여성, 경련성 위완통 및 복통을 호소한다. 소화불량, 트림, 복부창만, 오심구토, 작은
    조각변이 나오면서 변비와, 설사가 교대된다. 맥은 현맥, 설은 붉고(특히 설변) 황태가 있었다.
    진단은 ?
    1) 간기울결, 간기범위 2) 간기울결, 대장습열 3) 간화, 간기범비 4) 간화, 대장열
A

위완통 나오면 위.
변비, 설사 교대는 간기범비나 간기울결
설변이 붉고 황태.
1
붉고 황태가 잇었으면 간기울결에서 울이화화되는 과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9
Q
  1. 35세 여성, 월경전의 유방창통, 심한 월경통(특히 월경을 하는 도중에 심하다), 월경시
    어두운 색의 혈괴, 묽은 백대하, 몸이 무겁고 가라앉는 느낌이 있고 어지럽다. 추위를 싫어하고
    눈에 이물감을 호소한다. 환자의 맥은 침삽, 설은 청자색, 반대설, 태는 약간의 니태가 있다.
    진단은?*
    1)간기체, 비기하함, 비양허 2) 간기체, 간혈어, 비위습열
    3)간기체, 신양허, 비기하함 4) 간기체, 간혈어, 비양허
A

유방창통: 간기울결
월경 도중에 심하다: 한증, 열증, 또는 기체어혈 일순위가 한증.
그러나 열증이나 기체어혈에서도 나온다.
어혈 때문에 어두운 색.
묽은 백대하: 한증
가라앉는 느낌: 하함
추위: 한증
침삽: 이증한증, 어혈
청자색은 한증 + 어혈
니태: 습담이 적게 있거나 생기는 중
4
비양허에서 묽은 백대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0
Q
  1. 43세 여성 환자, 월경을 시작하기 전에 머리가 아프며, 암색혈괴가 나온다. 복진을 해보니
    자궁 안에 징적이 있었다. 며철 전부터 목이 붓고 아프기 시작했다. 맥은 깊고 줄같이
    탱탱하였으며, 설은 붉은 보라색을 띠고 있었으며 뻣뻣하였다. 진단은 ? *
    1)간기울결 2) 간혈허 3) 간혈어 4) 간화
A

기체
암색혈괴: 어혈
기체에서어혈까지 갔다.
징적: 어혈이나 담음이니까 어혈. 앞에서 어혈이니까.
현맥, 침현.
보라색 혀: 열에서 어혈이 온 것.
간화에서 어혈이 온 것.
목이 아픈 것도 간화에서 온 것.
간혈어가 답
애들 편도선염이 있는 애들은 간화때문에 생기는 것.
시호청간탕
편도염 체질이 개선이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1
Q
  1. 40 세 여성, 쉽게 화를 내며 이명, 편두통이 있다. 얼굴은 붉고, 눈도 빨간 편이다. 불면이
    있고 꿈도 많다. 월경량이 많고 소변이 단적하다. 진단은 ? *
    1)간양상항 2) 간화 3) 간혈허 4) 간음허
A

쉽게 화를 내며: 간
이명은 간에서도 나온다
간화상염.
용담상화탕
간양상항엔 천마구등음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2
Q
  1. 생후 11개월 된 여자 아이가 병원에 방문하기 전 3 일 동안 원인을 알 수 없는 고열이
    났으며, 3일 째 끝나는 날 추축과 함께 경기를 일으켰다. 설은 뻣뻣하고 두껍고 누런 태가
    있다. 진단은 ?
    1)간화상염 2) 열극생풍 3) 간양화풍 4) 간양상항
A

그대로 나왔던 문제
열극생풍
애들 뇌막염. 뇌막염은 풍열에서 온다.
위기영혈로는 혈분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3
Q
  1. 가슴이 벌렁거리며, 갈증을 호소하는 40 대 남성 환자가 내원하였다. 복통이 심하며
    소변은
    누렇고, 가끔 피가 섞여 나온다. 설색은 붉고 혀에 궤양이 있고, 태는 누렇다. 인후에도 통증이
    있고, 귀도 잘 안들린다고 했다. 진단은 ? *
    1) 심화 2) 소장실열 3) 간담습열 4) 담낭습열
A

소변이 누렇고 혈뇨.
심장에 화가 있다. 붉고 혀에 궤양.
심화에는 복통도 없고 귀도 안들리는 것이 없다.
심화가 소장으로 내려간 것.
소장실열
소장경은 귀로 가니까. 소장실열에 이농이 나을 수 있다

54
Q
  1. 40세 여성 환자, 갑자기 가슴이 두근두근 하며 땀이 심하게 난다. 호흡이 짧아지기
    시작하면서 입술에 청색증이 보였고 신지가 흐릿하면서 쓰러졌다. 진단은 ?
    1)심혈어 2) 심양허 3) 심양폭탈 4) 신양허
55
Q
  1. 50세 남자, 평소 지나친 성관계를 가졌다. 병원에 방문하기 전 날, 갑자기 인사불성이
    되면서, 입이 한쪽으로 돌아가며, 말을 하기가 힘들었다. 어지러움이 심하고 오른쪽 다리에
    마비가 오기 시작 했다. 진단은 ? *
    1)간양상항 2) 간양화풍 3) 열극생풍 4) 음허동풍
A

음허동풍은 혈허동풍에선 반신마비가 안나온다
음허 뿌라스 손발이 떠는 것이 음허동풍
혈허생풍은 혈허 뿌라스 가벼운 진전.
반신마비가 온 것은 간양화풍.
답: 2
열극생풍은 애들 경기

56
Q
  1. 50세 여성, 평상시 머리가 어지럽고, 불면이 심했다. 7주일 전부터 사지의 마목감이 있고,
    안면에 경련이 오기 시작했다. 머리도 좌우로 흔들거린다고 한다. 설(몸)이 삐뚤어져 있고 맥은
    껄끄러웠다. 진단은 ? *
    1) 간혈어 2) 혈허생풍 3) 음허동풍 4) 간양화풍
A

외사설에
혈허 + 가벼운 진전
혈허생풍
사물탕에 평간식풍약 가감. 구등, 석결명

57
Q
  1. 55 세 남자, 협륵부 창통, 발열, 소변적을 호소한다. 가끔 입이 쓰다고 하며, 식욕부진,
    오심구토, 황대하가 있다. 진단은 ? *
    1)간기범위 2) 간기범비 3) 간화 4) 간담습열
A

간에 열이 있다.
입이 쓴거까진 간화로 갈 수 있다.
황대하.
간담습열의 황달, 오심구토, 복부창만
간화는 소화 잘 된다.
간담습열에 용담사간탕’
답: 4

58
Q
  1. 간담습열과 간화상염 환자에게서 볼 수 있는 공통적인 임상표현은 ? *
    1) 외음부 소양 2) 구갈불욕음 3) 황달 4) 구고
A

구고
1,2,3은 간담습열에서 나온다.
2번은 모든 습열
황달은 간담비의 습

59
Q
  1. 55세 여성 환자 하루 종일 입이 쓰고 소화력이 떨어진다. 변은 대체로 무른 편이나 종잡을
    수 없다. 소변은 늘 누렇고 약간의 냄새가 있으며, 갈증이 나도 물을 마시지 않는다. 밥맛도
    없고 얼굴이 점점 누렇게 되고 있다. 한열왕래가 있고 맥이 빠르다. 진단은 ? *
    1)비위의 습열 2) 간담습열 3) 소양증 4) 방광습열
A

하루종일 입이 쓰고: 간화
간담습열로 가고 있다.
간담습열이 답.
담낭에 열이 있으면 한열왕래가 나을 수 있다. 소양병 아니더라도.

60
Q
  1. 55세 여성,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변은 무른 편이고 소변은 누렇고 역겨운 냄새가 난다.
    갈증이 나도 물을 잘 마시지 않고 속이 메쓰꺼워 가끔 구토를 한다. 식욕이 점점 없어지고,
    면색이 점점 누렇게 되는 것 같다. 원인은 ?
    1)비위의 습열 2) 간담습열 3) 소양증 4) 담낭습열
A

구토, 소화가 안되니까… 위
답: 1

61
Q
  1. 추운 겨울 날 등산을 다녀온 이후로 소복이 자주 당기는 것 같은 느낌이 나며 고환이
    아프다고 내원하였다. 맥은 침현지했다. 진단은 ?
    1)소장기통 2) 한체간맥 3) 신양허 4) 소장허한
A

한증
답: 2

62
Q
  1. 45 세 남성, 어제 저녁 부인과 심하게 싸우고 난 후 밥맛도 없고 복부가 창만하면서,
    배에서는 소리가 나고 개스가 차는 것 같다고 하며, 고환도 아프다고 한다. 방귀를 뀌고 증상이
    개선된다. 진단은 ?
    1)간기체 2) 간기범비 3) 소장기통 4) 한체간맥
A

답: 3
방귀는 소장이 주관한다
그래서 소장기통은 간기체에서도 많이 오니까

63
Q
  1. 어제 저녁에 야채를 많이 먹고 난 후 갑자기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가득한 것 같고
    배에서는 소리가 나고 구토를 심하게 하며, 대변이 나오지 않는다. 설태는 희고 두꺼웠고 맥은
    침현했다. 진단은 ?
    1)소장기통 2) 소장기폐색 3) 한사범위 4) 비양허
A

야채: 한사
장명은 소장의 상견증상.
소장폐색돼니까 대장쪽은 똥이 안나오고…
소장폐색.
급수충사돌기염과 양방꺼랑 비슷하다

64
Q
  1. 40세 여성, 머리가 어지럽고 양 쪽 눈이 전부 건조하며 빡빡한 느낌이 난다고 한다.
    월경량이 계속 줄어들고 사지가 자주 저린다. 진단은 ? *
    1)간혈허 2) 혈허생풍 3) 간음허 4) 음허동풍
A

안구건조는 일순위가 간음허.
간음허 없으면 간혈허
간음허는 간혈허가 오니까.
답: 3
일순위가 간음허니까. 안구건조는

65
Q
  1. 38세 여자, 건망증이 있다고 하였다. 항상 피로가 심하고 손발이 저리며 머리카락도
    건조하다. 대변은 약간 마른 변이며 맥은 껄끄럽고 가늘었다. 진단은 ?
    1)간음허 2) 간혈어 3) 간혈허 4) 혈허생풍
A

건망증: 심장. 근ㄷ 지문에 심장이 없다.
손발이 저리면 간혈허
머리카락 건조도 간혈허
대변이 마른:
껄끄럽고 가는건 간혈허.
목불생화로 인한 건망증
심간혈허가 제일 정확한데
답: 3

66
Q
  1. 35세 여자, 18세 때부터 늘 두통으로 고생하였다. 두통은 우측 관자놀이에서 시작하며
    우측 안광까지 이어지며 콕콕 쑤시듯이 아프다. 두통이 나을 때면 같이 구역질도 나오며
    시야도 흐릿해지며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다. 6개월 째 잠을 잘 못자고 있다. 월경량은 적은
    펀이며 항상 피곤해 한다. 또한 머리카락도 점점 건조해지는 것 같다고 했다. 알맞은 진단은?
    1)간양상항+간혈허 2) 간양상항+간음허 3) 간양상항+간혈어 4) 간양상항+간기체
A

간양상항 두통. 쑤시듯이 아프다가 간양상항.
간기상역도 구역질이 나온다. 위장이 아니다.
시야가 흐릿, 간혈허.
간양상항 간혈허

67
Q
  1. 간양상항의 임상표현과 가장 거리가 먼 증상은 ?
    1)번조, 급조이노 2) 이명, 이농 3) 두통, 현훈 4) 불면, 설변이 붉다 5) 소변출혈
A

간양상항은 변소증상은 없다.
답: 5

68
Q
  1. 간혈과 밀접한 경락은 ?
    1)엄맥, 충맥 2) 신경, 임맥 3) 신경, 음교맥 4) 임맥, 대맥
A

임맥, 충맥

69
Q
  1. 설변이 오렌지색이다. 원인은 ?
    1)간양상항 2) 간혈허 3) 간헐어 4) 간기울결
70
Q
  1. 환자가 편두통, 눈 주위와 측두부의 고동치는 통증, 어지러움, 이명. 이농, 심계, 건망이
    있다. 원인은 ?*
    1)간혈허 2) 간양상항 3) 간화 4) 심간혈허
A

간양상항. 고동치는 통증

71
Q
  1. 45세 여자, 가슴이 번조해 지고, 속이 더부룩하고 복부창통과 함께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나온다. 진단은?*
    1)간기범비 2) 대장열, 간기체 3) 간기범위 4) 간화
A

45세.
간기범비
변비설사 교대는 간기범비는 일순위, 간기체

72
Q
  1. 간기범위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예상되는 설상은 ?*
    1)붉은 설변 혹 청색 2)붉은 설변 혹 담백
    3)붉은 설변 또는 오렌지색 4)붉은 설변 흑 망자
73
Q
  1. 55 세 남자, 직장에서 강제 퇴직 당한 후 호흡곤란, 천식이 오기 시작했다. 기침할 때면
    누런 담이 나오며, 갈증, 소변단적, 변비를 호소하며 때때로 어지럽다. 원인은 ?
    1)간화범폐 2) 폐열담 3) 담습조폐 4) 풍열
A

답: 1
고도의 스트레스를 받으면 정말 이렇게 된다.
간화범폐로 출혈(해혈)할 때 용담사간탕에 목단피 측백엽

74
Q
  1. 28세 여자, 최근 들어 기분이 자꾸 우울해지며, 협륵 및 소복창통과 함께, 식욕이 감소하고
    소화불량이 심해지기 시작했다. 또한 경부영유가 있고 속이 메스껍고 배가 항상 부풀어 있다.
    설변이 약간 자색이며 맥은 현했다. 진단은 ?*
    1)간기울결 2) 간어혈 3) 간기범위 4) 비습이 간기체를 유발했다
A

경부영유가 고이터. 목에 혹 난 것.
고이터는 간기체.
답: 1
비습하려면 무겁다, 두중감, 신중감, 니태가 나와야 하겠다.

75
Q
  1. 간기울결, 간어혈을 치료할 때 가장 적절치 못한 방법은 ?
    1)사법 2) 뜸 3) 태충, 내관을 자침 4) 피부침
A

기체니까 실증.
사법을 해야 하는데..
피부침도 스트레스에 많이 쓴다. 스트레스일 때 피부를 만지면 좋아지니까.
기체나 열증엔 뜸을 안쓴다.

76
Q
  1. 22 세 여성, 시력이 점점 감퇴되고 잦은 한숨을 쉰다. 쉽게 놀라며 겁이 많고 항상
    긴장되어 있는 듯하다. 설색은 담홍하고 맥은 약했다. 진단은 ? *
    1)간기울결 2) 담허 3) 간혈허 4) 간음허
A

한숨은 일순위는 기체 그다음이 담허.
답: 2
담즙은 간의 기혈의 나머지.
담허는 간혈허 증상을 동반한다.
실제 담허증상에 시력감퇴가 있다.
시력감퇴만 보고 간혈허로 보면 안된다

77
Q
  1. 33 세 여성, 식욕이 없고 배가 항상 부풀어 오르는 느낌이 있다. 소변이 단적하고 대변은
    변비 또는 변당이 나온다. 흉협부의 창통과 갈증이 있다. 진단은 ?*
    1)간기울결 2) 간담습열 3) 간기범비 4) 습열온비
A

식욕이 없고: 비
복창도 비
소변단적: 열증
흉협부 창통: 간
갈증: 열
간기울결은 일단 안된다.
간담습열에서 습이 우세하면 변당이 나오고 열이 우세하면 변비가 나오고.
간담습열은 주로 설사인데… 열이 우세하면 변비.
답: 2

78
Q
  1. 다음 중 간담습열환자를 침으로 치료할 때 보하면 가장 좋은 혈은 ?
    1)간수 2) 삼음교 3) 태백 4) 중완
A

삼음교, 태백, 중완이 건비조습하는 것. 습증에선 사법으로 쓰는데…
사음교는 사한다.
유일하게 보할 수 있는 혈은 중완만 보해라.
답: 4

79
Q
  1. 다음 중 진전, 고열, 경항강직 등의 열극생풍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사용하면 가장 좋은
    것은 ?
    1)부항 2) 사혈 3) 온침 4) 피내침
A

사혈
열을 빨리 빼야 한다

80
Q
  1. 다음 중 뜸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것은 ?
    1)신음허 2) 간혈허 3) 폐음허 4) 풍열범폐
A

모든 음허는 뜸이 안됨
간혈허. 격수에 뜸을 뜬다. 보혈

81
Q
  1. 다음 중 자침 후 뜸을 뜰 수 있는 것은 ?
    1) 풍한 2) 풍열 3) 위분중 4) 기분중
A

풍한
풍열은 아예 뜨면 안된다

82
Q
  1. 55 세 남자, 두훈, 이명, 두목창통, 면홍목적, 급조이노, 심계건망, 실면다몽, 요슬산연의
    증상이 있다. 설은 붉고 맥은 현유력하다. 다음 중 이 환자의 병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수불함목 2) 음허양항 3) 본허표실 4) 수숭화
A

변증은 간양상항.
수불함목도 맞고, 음허양항도 맞고
수승화가 아니다

83
Q
  1. 44세 여자, 늦게 공부를 시작 했다. 하루에 8시간 이상씩 공부를 한지 1년이 지났다. 그런
    데 최근에 오한이 자주 나며, 가끔 땀이 난다. 약간만 움직여도 피로를 잘 느끼며, 얼굴은
    담백하였다. 모발은 조잡하고 잘 갈라지는 편이다. 진단은 ?
    1)비기허 2) 폐기허 3) 신기허 4) 간혈허
A

폐기허
이렇게 공부하면 폐기허 온다.

84
Q
  1. 55세 남자, 평상시 퇴근 후 밤 늦게 과식을 한다. 식사가 항상 불규칙하며 식후 위장의
    팽만감이 있고 식욕이 별로 없는 편인데, 여행을 다녀 온 후부터 마른 기침이 나오기 시작했다.
    피부도 마른 것 같고 갈증이 있다. 목소리가 쉰 것 처럼 들리며 오른쪽 촌맥이 부하다. 설은
    건조하고 붉지 않다. 진단은 ?
    1) 위음허가 폐음허를 초래 2) 위음허가 폐조 (Lung dryness) 를 초래
    3) 폐조가 위음허를 초래 4) 폐음허가 위음허를 초래
A

저녁에 많이 먹으면 위음허.
마른기침이 나왔으니까 폐조.
음허증상이 없으니까.
답: 2
폐조는 설이 건조하고 붉지 않다.
음허는 붉다.
목소리가 쉰거는 폐조부터 음허까지 있따.

85
Q
  1. 60 세 여성, 최근 들어 기침을 자주한다. 가끔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하며, 입도 자주
    건조해진다. 설은 홍하고 박락태가 있었다. 설첨 뒤 열문은 건조하며 맥은 빨랐다. 가장
    적절한 진단은 ? *
    폐음허 폐조 신음허 폐신음허
A

폐음허 100프로

86
Q
  1. 55 세 남자, 갑자기 얼굴에 부종이 생겼다. 소변은 맑고 기침을 한다. 면색은 윤택한
    편이고, 바람을 싫어한다. 호흡하기가 곤란하며 가끔 발열이 나기도 한다. 알맞은 진단은 ? *
    1)풍한, 부긴백 2) 풍수범폐, 부활맥 3) 신불납기, 침약맥 4) 신양허, 침약맥
A

호흡곤란: 폐기조체
풍.
오풍발열
풍수
범폐
답: 2

87
Q
  1. 풍수범폐에서 안면부종, 뇨소(소변량이 줄어듬)의 원인은 ? *
    1)풍한습사가 폐와 위기를 폐색하여 수액이 아래로 하달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2)풍한사가 폐의 통조수도 실조 장애를 일으킨 것이 원인이다
    3)풍한습사가 폐와 영기를 폐색하여 혈액이 아래로 하달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4)풍한습사가 폐와 종기를 폐색하여 통조수도 실조 장애를 일으킨 것이 원인이다
A

폐와 위기르르 폐색.
숙강이 안된것.
통조수도를 방해한 것.
답: 1

88
Q
  1. 만성기침을 호소하는 환자가 있다. 기침할 때 나오는 담은 백색이며 양이 많은 편이다.
    가슴이 답답하고 막힌 것 같으며 누우면 불편하다. 목에서는 가래 끓은 소리가 나며
    호흡하기가 힘이 든다. 바람을 싫어하며, 발열이 나기도 한다. 맥은 부(浮)하고 가늘고 약했다.
    알맞은 진단은 ? *
    1)풍한속폐 2) 담습조폐 3) 풍습범표 4) 풍수범폐
A

불능평화
백색이며 양이 많은 것이 습담
후중담명은 습담이나 담음이 제일 많고 여기저기 많다. 이걸로 결정안됨
습담이 폐기조체. 호흡하기 힘듬
풍습은 부종.
3,4번은 부종.
습담조폐가 답
2

89
Q
  1. 흡연을 10 년 째 하고 있는 남성 환자 심한 기침을 하며 녹색의 담이 나온다. 호흡이 점점
    짧아지는 느낌이 있으며 가슴이 흉민 스럽다. 가래에서는 악취가 나고 입이 건조하다. 진단은 ?
    *
    1)습담조폐 2) 간화범폐 3) 담열온폐 4) 한사객폐
A

담열온폐

90
Q
  1. 습담조폐를 치료할 때 보법을 사용할 수 있는 혈은 ?
    1)내관, 폐수 2) 열결, 폐수 3) 내관, 전중 4) 비수, 중완
A

중완
답: 4

91
Q

91번. 폐의 담음의 치료 방법이 가장 적절한 것은? *
1)척택, 족삼리, 수분은 사법, 중완, 태연, 폐수 전중은 보법, 뜸 사용 가능
2)척택, 족삼리, 수분은 보법, 중완, 태연, 폐수 전중은 보법, 뜸 사용 가능
3)척택, 족삼리, 수분은 사법, 중완, 태연, 폐수 전중은 보법, 뜸 사용 불가
4)척택, 족삼리, 수분은 보법, 중완, 태연, 폐수 전중은 보법, 뜸 사용 가능

A

일단 물 빼고…
답: 1

92
Q
  1. 호흡곤란, 기침이 심하다. 인후에서 소리가 심하게 나며, 백색의 포말 같은 묽은 담이 자주
    나온다. 추위를 잘 타고 공포를 느낄 때면 기침을 한다. 진단은? *
    1)습담조폐 2) 음정우폐 3) 풍한+습담조폐 4) 폐기허+습담
A

후중담명
포말은 담음. 또는 풍담.
추위: 한증
공포느낄 때 기침. 온도가 내려가서 기침을 더한다.
답: 2
담음조폐=음정우폐
폐에 물찬거.

93
Q
  1. 음정우폐증이 있는 환자의 설상은 ?
    1)담백색의 설, 두껍고 찐득한 흰태 2)담백색의 설, 태가 앓고 적다
    3)청자색의 설, 두껍고 찐득한 황태 4)담백색의 설, 태가 앓고 건조하다
94
Q
  1. 자한, 담백한 얼굴, 말하기를 싫어하고 힘이 없다. 기침을 하면 청회한 담액이 나온다.
    추위를 싫어하며 감기에 자주 걸린다. 진단은 ? *
    1)습담조폐 2) 폐기허 3) 비기허 4) 풍한
A

폐기허
옥병풍산. 폐기허로 감기 잘 걸리리 때

95
Q
  1. 56 세 남자 기침을 심하게 한다. 누우면 불편하고, 흉민 스럽다. 가슴도 두근두근하며
    하지에 부종이 있다. 거품이 섞인 가래가 나오며 가래의 양이 많다. 진단은 ?
    1) 신음허로 수기능폐 2) 담음조폐 3) 폐기허 4) 풍수범폐
A

불능평와
포말성가래
담음조폐가 답

96
Q
  1. 44세 남자, 스키장에 다녀온 후 기침이 갑자기 나오기 시작했다. 가래의 색은 희고 몸이
    자꾸 춥다고 한다. 설은 담백하고 맥은 느리고 완만했다. 진단은 ? *
    1)풍한속폐 2) 음정우폐 3) 한사객폐 4) 풍습범표
A

한사객페
풍한은 오한발열이 나와야 한다. 맥부도 나와야 하고

97
Q
  1. 36세 남자, 밥맛이 없고 소화력이 떨어진다. 면색은 담백하고, 사지가 무력하며, 변당이
    있다. 복부에 부종이 있고 갈증이 없다. 맥은 느리고 약했다. 진단은 ? *
    1) 비기허 2) 비양허 3) 소장허한 4) 신양허
A

사지무력: 비기허
비양허가 답.
갈증이 없다는 기허에 안나온다. 이건 한증.
이중환증

98
Q
  1. 36세 남자, 복통이 있고 소변이 많이 나온다. 배에서는 꾸르륙 꾸르룩 소리가 난다. 진단?
    1) 비기허 2) 비양허 3) 소장허한 4) 신양허
A

소장허한
복통장명은 소장의 상견증상

99
Q
  1. 45세 남성, 최근 들어 입맛도 없어지고 사지가 차며 배도 은근히 아프다. 하루에도
    여러번씩 설사를 하며 가끔 화장실에 가는 도중 변이 나오기도 한다. 설은 담백하고 맥은 깊고
    가늘었다. 진단은 ?
    1)비기하함 2) 비양허 3) 소장허한 4) 장허활사(대장허탈)
A

답: 4
대장의 고삽이 안되는 것. 통제가 안된다.
구리무도로 자꾸 똥을 싼다. 그래서 기가 하함되서 비기하함이 될 수 있따.
비기하함은 한증이 아니다

100
Q
  1. 소화불량이 있고 사지가 피곤하다. 식욕도 없고 말하기를 싫어한다. 설변이 약간 부어있고
    열문이 있었다. 설색은 창백하고 태는 없었다. 진단은 ?
    1)비기허 2) 위음허 3) 간기범비 4) 한습곤비
A

사지피곤은 비기허.
식욕도없고: 비’말하기 싫어한다: 기허
답: 1

101
Q
  1. 식욕감소, 복부창만, 복통, 변당, 사지가 피곤하고 무겁게 느껴진다 소변의 양이 줄어들고
    잘 나오지 않는다. 설변이 부어있고 태는 젖어있다. 진단은 ?*
    1)비기허 2) 비양허 3) 신기허 4) 신양허
A

비양허
태가 젖어있는 것은 한증
무겁게 느껴진건 부종

102
Q
  1. 다음 중 비양허 증상을 치료할 때 꼭 사용해야 하는 것은 ?
    1)부항 2) 피부침 3) 피내침 4) 뜸
A


한증은 뜸이 일순위

103
Q
  1. 45 세 여자, 호흡이 짧고, 면색이 핏기가 없다. 식욕이 없으며 사지가 무력하다.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코피도 자주 나온다. 진단은 ?
    1)대장열 2) 위열 3) 비불통혈 4) 심비양허
A

비기허 + 출혈 =비불통혈. 귀비탕.
답: 3

104
Q
  1. 33 세 남성, 식욕이 없고 피곤하며 사지에 힘이 없다. 가끔 열이 나며, 피곤하며 소변과
    대변이 자주 나온다. 원인은 ? *
    1)비기허 2) 비양허 3) 비불통혈 4) 비기하함
A

사지에 힘이 없다까지가 비기허
기함이 되면서 방광이나 직장을 자극하는 것.
답: 4
보중익기탕

105
Q
  1. 치질과 정맥류의 동양의학적 원인은 ?
    1)비기하함 2) 비불통혈 3) 대장습열 4) 심혈어
A

비기하함

106
Q
  1. 35 세 여성, 식욕이 없으며, 흉부 및 위완부의 비민(기가 몰려서 가슴과 배가 몹시
    답답한
    증상)감았다. 피로도 심하고 가는 변당이 나온다. 배가 차며, 갈증은 없고 입에서 단 맛이 돈다.
    진단은 ? *
    1)비양허 2) 위한 3) 한습곤비 4) 위허한
A

삭욕이 없고: 비
비민: 습담 어혈이 기기조체
배가차며: 한증
갈증없고: 한증
한습곤비가 답. 평위산
한증이 기체를 일으킨것.

107
Q
  1. 40세 남성 환자, 식욕이 없으며 위완부 및 하복부가 답답하다. 복통이 있고, 물을 잘
    마시려고 하지 않는다. 오심(위가 허하거나 위장에 한, 습, 열, 담, 식체 따위가 있어서 위와
    가슴 속이 불쾌하고 울렁거리며 구역질이 나는 증상)구토가 있고 두통을 호소한다. 악취가
    나는 변당이 나오며 사지가 무겁고 어지러움은 없다. 진단은 ?
    1)한습이 비를 범했다 2) 습열이 비를 범했다 3) 위장의 습담 4) 간담의 습열
A

오심구토: 위장에 뭐가 있다. 습담식체
악취변당은 습열
답: 2

108
Q
  1. 다음 중 뜸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없는 것은 ?
    1)비기하함 2) 비불통혈 3) 비위습열 4) 간신음허
109
Q
  1. 다음 중 맞는 것은 ? *
    1)간신음허 환자에게 간혈을 보하기 위해 격수에 뜸을 뜬다.
    2)폐신음허 환자에게 폐를 보하기 위해 고황수에 뜸을 뜸다.
    3)위어혈 환자에게 혈액 순환을 위해 격수에 뜸을 뜬다.
    4)방광의 한습을 치료할 때 뜸을 뜰 수 없다
A

기체와 어혈엔 뜸을 금한다.
간신음허에서 간음허+신음허가 될 수 있다.
간신음허의 또다른 원인은 간혈허 + 신음허
그래서 간혈허를 보할 때는 간쪽 격수에 뜸을 뜰 수 있다.
격수에 뜸을 뜨면 혈을 강하게 보한다. 피가 생긴다. 사물탕 안먹어도
답: 1

110
Q
  1. 간신음허 환자가 전정통을 호소한다. 환자는 간음허 증상보다, 간혈허 증상이 지배적이다.
    다음 중 두통을 치료하기 위해 뜸을 뜰 수 있는 혈은 무엇인가 ?
    1)천주 2) 뜸을 뜰 수 없다 3) 곡천 4) 백회
A

혈허때는 뜸을 뜰 수 있따.
백회

111
Q
  1. 습열을 제거할 때 보법을 사용할 수 있는 혈은 ?
    1)비수, 중완 2) 기문 3) 양릉천 4) 음릉천
A

중완은 담이나 습을 제거할 때 보할 수 있다.
답: 1

112
Q
  1. 다음 중 자침 후에 뜸을 뜰 수 있는 것은 ?
    1)한사범대 2) 풍열범폐 3) 위음허 4) 위어혈
A

풍한인데
한사범대가 답 이건 실증. 침을 놓어서 실사를 제거하고 뜸을 뜨면 된다
풍한과 같은 원리

113
Q
  1. 다음 중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여 치료하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은 ? *
    1)심혈허 2) 간양상항으로 인한 고혈압 3)소장기폐색 4)외상으로 인한 골절
A

외상골절은 전침 금.
음혈이 부족해도 안한다.
전침자체가 열을 발생하니까.
3이 답

114
Q
  1. 담(膽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 *
    1)비의 운화공능 실조로 인해 생긴 습사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는다.
    2)비의 운화공능 실조로 인해 생긴 담(淡)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는다.
    3)풍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4)외감습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A

답: 1
그래서 담낭습열이 있따

115
Q
  1. 다년간의 책상업무에 시달려 왔으며 가벼운 호흡곤란을 느낀다는 환자가 있다. 식욕도
    없으며, 피로감, 변당, 말하기를 싫어하며 목소리에도 힘이 없다. 진단은 ?
    1)비폐기허 2) 비기허 3) 폐기허 4) 비신기허
116
Q
  1. 40세 여성, 어지러움이 심하고 식욕도 없다. 운전할 때면 가끔 사물이 흐릿하게 보여 운
    전에 지장이 많다. 면색이 위황하고 사지에 마목감도 있다. 진단은 ?
    1)비기허 2) 비간혈허 3) 간기범비 4) 간기울결
A

밥맛이 없다는 비
비간혈허
팔물탕

117
Q
  1. 35세 여성, 소화가 잘 안되며 식욕도 없고, 식사 후 배가 부풀어 오른다. 지속적인
    피로감이 있고, 목소리도 힘이 없다. 가끔 머리가 어질어질 하며 잦은 대변을 본다. 소변은
    혼탁한 편이고 복부가 아래로 내려앉는 것 같다. 진단은 ?
    1)비기허 2) 간기범비 3) 비기하함 4) 한습곤비
A

비기허… 배가 부풀어 오른다.
목소리 힘이 없다: 기허
3
비기허 + 잦은 소변도 비기하함
소변이 함탁이 왜되나?
당으로 가는게 비주운화.
이런 당뇨가 보중익기탕으로 치료가 된다. 기허성 당뇨.
단백질을 근육세포로 운반해주는 것. 비주기육.
그래서 영양을 필요한 세포에 운반을 하는 것이 운화. 비장이 하는 일.

118
Q
  1. 우측의 관부를 3부분으로 나누어 맥을 촉진할 때 상부가 쉽게 촉지되지 않는다. 원인은?*
    1)위화 2) 간화 3) 비기하함으로 인한 위하수 4) 위음허
A

맥도 하수가 된다

119
Q
  1. 34세 여성, 매우 피곤해 하며 식욕을 잃은 지 오래됐으며 코에는 계속 콧물이 흐른다.
    하지에 약간의 부종이 있고 추위는 타지 않는다. 맥은 허했고 설색은 담백하고 혀의 가장자리
    (edge) 가 약간 부어 있었다. 진단은 ?
    1) 폐기허 2) 비기허 3) 한습곤비 4) 신양허
A

비기허. 콧물이 흐른다까지.
비습에서 콧물ㅇ미 나을 수 있다. 폐증상 없이.
여기서 콧물은 비기허로 비습이 수반된 것.
답: 2

120
Q
  1. 45세 여자, 피곤하며 식사하고 싶은 생각도 없고 추위를 싫어한다. 만성적인 요통과 함께
    빈뇨, 소변청장, 변당을 호소한다. 맥은 약하고, 설은 담백하며 젖어있었다. 진단은 ?
    1)비양허 2) 신기불고 3) 비신양허 4) 비기허
A

만성요통: 신 / 비신양허

121
Q
  1. 배가 항상 부풀어 있는 느낌, 오심, 납매, 변당, 신중감이 있다. 또한 협륵통, 황달, 구고
    등의 증상도 있다. 진단은 ?
    1)비위의 습열 2) 비습간울 3) 간기범비 4) 간기범위
A

복창: 비
오심은 위장에 뭐가 있는 것..
비간.
황달이 있으니까.
답: 2
비의 습열이 간울을 유발한 것.
간기범비에선 황달, 구고가 안나온다

122
Q
  1. 32 세 남자, 몹시 피곤해 하고 식욕이 없다. 머리가 띵하면서 무겁고, 가슴이 답답하며
    집중이 안 되고 어지럽다. 맥은 허맥이며 약간 활하며 설은 창백하고 끈적하다. 관련 장부 및
    담의 형태는 ?
    1)비, 한담 2) 비 습담 2) 비 풍담 4) 비 기담
123
Q
  1. 31 세 여자, 심한 피곤과 체중 증가를 호소했다. 변비로 몇 년 동안 고생해 왔으며
    추위도
    잘 탄다. 갑상선 종대가 있으며 설은 담백하고 부어 있었으며 맥은 가늘고 깊고 느렸다.
    원인은 ?*
    1)간한범위 2)위허한 3)위실한 4) 비양허
A

띵하면서 무겁고: 습
답답하고: 담
비양허로 체중증가
체중증가는 비허, 습담이 정체된 것.
비주운화: 소화해서영양을 ㅊ출해서 세포로 주는 것.
잘주면 적당히 살이 찐다.
근데 잘못주면 원하는 세포로 가는 것이 아니라 쓸데없는 조직으로 가는데, 이게 부종.
위장쪽에선 체중증가가

124
Q
  1. 다음 중 성생활과 가장 밀접한 장기는 ?
    1)신, 비, 간 2) 폐, 간, 비 3) 간, 심, 신 4) 폐, 신, 간
A

간주소설
심: 오르가즘. 오르가즘이 없는 사람은 심장이 차서 그러함.

125
Q
  1. 성인의 경우 장기간의 두려움이나 불안은 ?
    1)신의 기가 내려간다 2) 신의 기가 올라간다.
    3)심의 기가 내려간다 4) 비의 기가 올라간다
A

공포하면 기가 내려간다
기가 내려가면 오줌이 소모
신음이 소모된다.
그래서 허열이 떠서 된다.
장기간이니까 허열이 되서 신의 기가 올라간다

126
Q
  1. 50세 남성, 신결석으로 진단을 받았다. 왼쪽 옆구리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고 입과
    인후는 마르고 소변은 짙은 갈색의 소변이 나온다. 아침에 일어나면 옷이 흠뻑 젖어 있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직장 일 때문에 수년 간 스트레스를 받아 왔고 설은 붉고 태는 거의
    없었다. 또한 설첨이 더 붉고 중앙에서 설첨까지 이어지는 열문이 있다. 맥은 깊었다. 진단은 ?
    1) 정지실조로 인한 심음허, 방광습열 2) 정지실조로 인한 신음허, 심음허
    3) 정지실조로 인한 간화, 간기체 4) 정지실조로 인한 심화, 간화
A

입과 인후가 마르다: 음허
2
간기울결이 다른말

127
Q
  1. 55세 남성환자, 관골부위가 붉고, 소변이 단적하다. 밤에 땀을 흘리며 귀에서 소리가
    나며 발목의 부종이 있다. 진단은??? *
    1)신양허 2) 신음허 3) 신정허 4) 신양허+신음허
A

관골: 음허
소변단적: 열이나 음허
발목부종: 신양허. 금궤신기환 주증. 90프로가 왼쪽이 붓는다.
답: 4

128
Q
  1. 44세 여성 환자, 허리가 가끔 시큰거리고 아프며 추위를 탄다. 소변 때문에 화장실에
    자주 가며 소변이 청장하다. 또한 밤에 잠을 자는 도중에 땀을 흘린다. 진단은 ?
    1)신양허 2) 신음허 3) 신정허 4) 신양허+신음허
A

허리가 신
추위: 양허
소변청장: 양허
도한: 음허
답: 4

129
Q
  1. 양위, 불감중의 원인이 맞는 것은 ?
    1)슬픔, 걱정으로 심장이 약해지고, 심장의 허약이 신(賢)을 약하게 하면 원인이 될 수 있다
    2) 간기울결, 간혈어는 기혈의 조창에 영향을 미쳐 양위와 불감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3) 방로과도는 신(賢)을 약하게 한 것이 원인이다
    4) 모두 답이다
A

답: 4
심간신.

130
Q
  1. 야간에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원인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 *
    1)음이 허해서 위기를 제어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2)양기가 허해서 저녁에 음을 제어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3)음이 부족해 저녁에 신기를 고삽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4)양기가 허해 밤에 위기를 제어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A

소변은 양기가 부족해서 고삽이 안되는 것.
양기가 부족해서 음을 제어하지 못하는 것.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