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3-131- Flashcards

1
Q
  1. 40세 여성 환자, 몇 개월 전부터 월경량이 점점 줄고 있다. 갈증, 열감, 변비가 있고
    소변은 단적하며 소변량이 많지 않다. 최근 다량의 월경이 나와 병원에 다녀온 적이 있다.
    설은 붉고 박락태가 있다. 진단은 ?
    1) 방광습열+간음허 2) 신음허 3) 간혈허 4) 간담의 습열
A

갈증.. 열증
병원에 다녀온적까지는 허열인지 실열인지 잘 모름.
붉고 박락태는 음허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40세 환자 요슬산연, 호흡곤란, 흡기가 저하되는 느낌이 있다. 조루도 심하고 발기력이
    현저히 감퇴되고 있다. 피로가 심하고 소변이 청하다. 설색은 담백하고 부어있고, 태는 젖어
    있었다. 진단은 ?
    1)신양허 2) 신기불고 3) 신불납기 4) 신정허
A

조루 발기불능: 신양허
금궤신기환증
신불납기가 기본적으로 신양허로 가야 한다.’조루 발기불능이 있으니까 신양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44세 남자, 식욕이 없고 심한 피로를 느낀다. 변당, 복부창만과 함께 소화되지 않는 변이
    나온다. 하지에 심한 부종이 있고, 정신이 멍하고 삶에 의지가 없어지고 항상 소극적이다.
    원인은?
    1)비양허 2) 신양허 3) 담허+비양허 4) 한습이 중초와 상초에 영향
A

하지부종: 신양허
소화라는 것은 70프로는 물
물불의 조화 소화효소 따지지 말고.
음식을 먹으면 물을 흡수 한다. 그리고 혈액으로 보내서 신장으로 내려온다.
결국은 소화는 물대사라는 것.
키드니가 안좋으면 신양이 부족해서 기화가 안되면 혈액에 물이 많이 쌓여서
물이나 밥을 먹어도 위에 물이 고인다.
이게 위장담허
신양이 부족하면 위담이 생길 수 있다.
이건 지오바니 선생 개념
소양인들의 소화장애를 금궤신기환으로 고친 사례가 있다.
키드니나 간쪽에서 온 위장장애는 잘 안된다.
답: 2
임상에서 소화 안되는 사람들. 키드니 쪽에서 원인이 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신양허증이 있는 환자의 예상되는 설은 ?
    1)설담백, 붓고 젖은 태 2)설담백, 설변이 붓고 젓은 태
    3)설담백, 부은 태 4)설담백, 설변이 부어 있다
A

신양허증
양허증은 물을 만들어내니까 젖은 태.
그리고 혀에 물이 많으니까 부어있는 듯 커보이겠다.
답: 1
2번은 비양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33세 여성 환자, 소변의 횟수가 많아지고 오줌이 맑고 많으며 소변을 본 후에도 오줌이
    자꾸 옷에 흘린다. 밤에 소변을 보는 횟수가 많고 가끔 잠을 자는 도중에 소변이 나을 때도
    있고 만성적인 대하가 있다. 원인은 ?
    1)신양허 2) 신기불고 3) 방광허한 4) 심신불교
A

신기불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1. 치통, 몽정, 혈뇨가 있다. 진단이 맞는 것은 ?
    1)허증 2) 실증 3) 허실협잡 4) 본실표허
A

몽정은 허화
그래서 허화라는 자체가 허는 허증, 화는 실증
신심불교가 다 허실협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수뇨관 및 정관이 약하다. 원인은 ?
    1)신양허 2) 방광한습 3) 신음허 4) 신기불고
A

신기불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45 세 여자, 움직이면 호흡이 가쁘고, 흡기가 곤란하다. 땀을 많이 흘리며, 얼굴이
    부어있다. 자꾸 피로를 느낀다. 설은 담백하고, 맥은 약하고, 긴장되어 있으며 깊다. 가장
    적당한 진단은 ?
    1)폐기허 2) 신불납기 3) 풍수범폐 4) 비기허
A

신불납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소아가 머리가 크나 지력이 둔하다. 원인은 ?
    1) 신정허 2) 심기허 3) 신음허 4) 심음허
A

신정허
신정허로 성장장애때 쓰는 것은 녹용.
녹용에 성장호르몬이 있다.
보익신정을 직접 보할 수 있는건 녹용밖에 없다.
녹용이 자라는 특정 시기에는 풀보다 빨리 자란다. 즉, 분골.
소화안되는 애들은 귀비탕
애들은 팔미 잘 안쓰니까 육미에 가감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신음허의 임상 표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경폐 2) 붕루 3) 막연한 불안감과 짜증 4) 혈변
A

막연한 불안 짜증이 음허표현
혈변이 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후두통을 호소하는 남성 환자가 있다. 잠도 잘 안 오며 꿈도 많다. 사지마목감도 생기기
    시작했으며 양목이 건삽하며 유정도 있다. 가끔 귀도 울리고 밤에 땀을 흠뻑 흘리기도 한다.
    면색이 핏기가 없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사지의 마목감도 있다. 진단은 ?
    1)방광한습, 간음허 2) 간신음허 3) 간혈허, 방광한습 4) 심신음허
A

풍한, 방광습열에서 후두통이 온다. 이게 실증
신허가 허증에서 오는 후두통
여기서 간은 간으 ㄴ간음허도 되고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가슴이 두근거리며 안절부절하는 환자가 내원하였다. 잠도 안 오고 자꾸 무언가를
    잊어버린다. 유정, 소변단적, 현훈과 이명 증세도 있다. 진단은 ?
    1)신음허 2) 심음허 3) 심신불교 4) 심간혈허
A

가슴 두군: 심장
안절부절은 음허
잠도 안오고 … 다 심장
유정, 신
심신불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요통, 차고 약한 무릎, 요부냉감, 허약한 다리, 면색광백(㫕白), 양위, 조루, 정자수 감퇴,
    cold and thin sperm, 성욕저하, 무기력, 다량의 청한 소변, 소량의 청한 소변, 밤에 소변,
    무관심 (apathy), 다리부종, 여성의 경우 불임, 변당, 우울증, 식욕감소, 가벼운 복부창만, 눕고
    싶은 욕망, 오경설 (early-morning diarrhoea), 만성설사 등을 호소한다. 진단은 ?
    1)비신양허 2) 신기불고 3) 비신기허 4) 신양허+신음허
A

요통, 차고 약한무릅: 신양허
정자수 감퇴까지…무관심…까지 신양허
비신양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34세 여성, 위완부가 은은히 불편하고, 밥맛이 없으며, 특히 아침에 가장 피곤하며,
    하루종일 사지에 힘이 없으며 특히 우측관부가 허하다. 진단은 ?
    1)비기허 2) 위기허 3) 비기하함 4) 위음허
A

위완부가 위. 90프로가.
위기허는 비기허 + 아침에 피곤하고 위안부의 이상.
아침 7-9시사이.
비위가 실한사람은 아침에 안먹고 저녁에 먹어도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식욕이 없으며 청수를 토하는 환자가 있다. 변당이 있고, 사지가 차고 자꾸 피곤한데 밥을
    먹으면 좋아지고, 배변 후 에는 악화된다. 진단은 ?
    1)비양허 2) 위허한 3) 한사범위 4) 비기하함
A

청수범토는 위장의 한증
그래서 위허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배는 고프나 먹고 싶지 않으며, 오후에 입과 인후가 건조하다. 주로 밤에 음식을 많이
    먹는다. 갈증이 있어도 물을 먹고 싶은 생각이 없으며, 마시더라도 입술만 적시는 정도이다.
    진단은 ?
    1)위음허 2) 위어혈 3) 위기허 4) 비기하함
A

위음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위음허 환자를 치료할 때 사법으로 자침하는 혈은 ?*
    1)삼음교 2) 태백 3) 족삼리 4) 내정
A

내정을 사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60세 여성 환자, 과거 10 년 동안 위완통으로 고생하였다. 양방에서는 위염이라고
    진단하였다고 한다. 그녀는 6 개월 전부터 냄새를 잘 맡을 수 없었다고 하며, 동시에 맛도 잘
    구별하기가 힘들다고 했다. 구토를 할 때면 시큼한 물이 넘어오기도 하며 매일 다량의 물을
    마신다고 한다. 가끔 코피도 나고 잇몸에서도 피가 난다고 한다. 또한 그녀는 최근 몇 년 동안
    항상 무른 대변이 나온다고 했다. 그녀의 맥은 우측관맥이 기타 줄을 당기는 것 처럼 팽팽했고
    설 중앙에는 누런 태가 있었으며 설변이 약간 부어 있었다. 진단은 ?*
    1)위음허, 비기허 2) 위화, 비기허 3) 비기허, 비위습열 4) 위화, 비위습열
A

다량의 물은 위화
위화출혈
무른대변: 변당,비기허
우측관맥이니가 현맥 (통증때문에)
설중앙 누런태… 위화
설변은 비기허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15세 남자, 냉장고에서 아이스크림을 꺼내 많이 먹은 후 갑자기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청수를 토하며 자꾸 따뜻한 물을 마시고 싶어 한다. 설태는 두껍고 회며, 맥은 침하고 긴장되어
    있다.?
    1) 위허한 2) 비양허 3) 한사범위 4) 소장허한
A

한사범위
대건중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다음 중 한사 직중과 가장 거리가 먼 장부는 ?
    1)위 2) 대장 3) 소장 4) 방광 5) 담
A

5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40세 여성, 식욕이 없으며 위완부가 창만해진다. 머리가 어지럽고 미식미식 하면서 자꾸
    구토가 나온다. 입에서 썩은 냄새가 난다. 진단은 ?*
    1)위화 2) 식체 3) 간기체 4) 위음허
A

식체
보화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밥을 먹으면 통증이 심해지고, 가끔 검은색 피를 토한다. 검은색의 혈변이 나을 때도
    있다. 설색은 청자색이었고, 태는 없었다. 진단은 ?
    1)위어혈로 인한 출혈 2) 위화로 인한 출혈 3) 위음허로 인한 출혈 4) 대장출혈
A

뭘 먹으면 심한거 실증
검은색피: 어혈
검은색 혈변으로는 어혈인지 모른다.
위어혈로 인한 출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33세 여성, 아버지가 돌아간 후, 정신이 맑지 못하고, 자꾸 판단력이 흐려진다. 어느
    장부가 영향 받았겠는가 ?
    1)담 2) 소장 3) 방광 4) 위
A

판단은 소장
결단은 담(구허)
관원, 완골이 판단을 주관한다
한번본건 잠재의식에 저장되니까
그걸 끄집어 내는 데 관원.
단전호흡 통해서 관원을 통해 잠재의식을 끄집어 낼 수 있다.
드라마틱이란 특정인에게는 맞으나 어떤 사람에겐 안맞을 수 있다.
순간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좋게 하는 약은 없다.
신문이 잠재의식을 꺼내는 것도 있다.
대종도 잠재의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45 세 여성, 배가 아프며, 물도 자주 마신다. 소변은 적색이며, 소변삽통이 있다.
    구설생창과 심번이 있다. 진단은 ?
    1)심화 2) 소장실열 3) 방광습열 4) 간담습열
A

소장실열
구설생창까지 왔으니까
꼭꼭하루소통해라: 침자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1. 36세 남성, 아랫배가 갑자기 아프며 통증이 등과 허리까지 이어진다. 고환이 아래로
    처지는 느낌이 든다. 맥은 침현하고, 설태는 회다. 진단은 ?
    1)한체간맥 2) 소장기통 3) 소장허한 4) 한체간맥+태양경의 사기 침입
A

소장기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1. 간을 직접 침범하지 않지만 간의 내풍 유발을 촉진하는 것은 무엇인가 ?
    1)외감풍사 2) 한(寒) 3) 조(操) 4) 습(濕)
A

간담습열이 있으니까.
한체간맥
풍을 유발하는건 풍은 풍끼리 …
답: 풍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1. 간에 저장된 혈을 동요시켜 급속히 이동하며 번지는 두드러기, 피부발진을 일으키는
    사기는 무엇인가?
    1)열 2) 서 3) 습 4) 풍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1. 소장의 기생충 감염의 임상표현이 잘못된 것은 ?
    1)회충이 있으면 복통, 구토, 사지냉 2) 십이지장충이 있으면 이상한 물질을 먹은다.
    3)요충이 있으면 항문이 가렵다 4) 촌충이 있으면 밥맛이 없어진다.
A

촌충: 상시허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1. 34세 남자, 복통이 있으며,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신다. 소변은 청하며 설사를 자주하며,
    배에서 소리가 난다. 진단은 ?
    1)소장허한 2) 비양허 3) 한사범위 4) 위허한
A

소장허한
꼬꼭하루소통해라
답: 1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1. 36세 여성, 흉부와 위완부가 답답하다. 사지와 몸이 무겁고 복통, 설사가 있다. 혈변이
    나오는데 보통 출혈이 된 후 나중에 대변이 나온다. 진단은 ?
    1) 대장실열 2) 대장습열 3) 비위습열 4) 간담습열
A

흉민: 습담어혈이 기기조체를 유발하는 것.
무겁다: 습. 습이 그러구나.
대장습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1. 45 세 여성 환자, 양방에서 장염으로 진단 받았다. 5년 동안 설사를 했으며 설사와 함께
    점액같은 변이 동시에 나온다고 했다. 또한 배가 늘 아프며, 가스가 차 있는 듯 하며 늘 마음이
    번조롭다고 했다. 맥은 현실맥이었다. 설은 붉고 후황니태가 있었으며 설근 쪽의 태가 특히
    누렇고 더 두꺼웠다. 진단은 ?
    1)간화+대장습열 2) 간화+방광습열 3) 비위습열+간음허 4) 간음허+대장열
A

점액변: 습
현실: 간의 실증
후황니는 습열, 담열
설근: 방광이나 하초
답: 1
간화의 대장습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1. 갑작스런 복통과 함께 설사가 심해졌다. 복부가 차며 맥은 침현하다. 진단은?*
    1)한사범위 2) 대장허한 3) 한사범대장 4) 소장허한
A

한사범대
위기상역이 없으니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1. 오리똥 처럼, 대변색이 Green-blue black 하며 물 같은 설사를 한다. 장명, 소변청장,
    사지냉이 있다. 맥은 침약하다. 진단은 ?
    1)대장한 2) 한사범대장 3) 위장허한 4) 대장허탈
A

대장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4
Q
  1. 식욕감소, 정신적 피곤, 설사 후 피로가 심해진다. 복부가 은은히 아프며, 사지가 차다.
    잦은 설사로 탈장까지 왔다. 진단은?*
    1)장허활사 2) 비양허 3) 비기하함 4) 신기불고
A

사지가 찬건 한증
장허활사(腸虛滑瀉)는 한증. 대장한에서 발전한 것.
비기하함에선 사지가 차다는게 나을 수 없다.
답: 1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5
Q
  1. 어지럽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조그만 일에도 쉽게 놀란다. 자꾸 한숨을 쉬며 용기
    및 결단력이 부족하다면 ?*
    1)간혈허 2) 담허 3) 심혈허 3) 담울담요
A

담허
담즙은 간의 기혈의 나머지기 때문에 간혈의 증상을 일부 보일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6
Q
  1. 35세 남성, 협륵창통이 있고, 오심구토를 동반하며 고기만 먹으면 소화를 잘 못한다. 우측
    설변에 주로 두껍고 끈적끈적한 태가 있으며, 맥은 현활했다. 진단은 ?
    1)담낭습열 2) 간화가 위를 침범 3) 비위습열 3) 간담습열
A

협륵창통은 간담
우측설면, 좌간우담
담낭습열이 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7
Q
  1. 한방에서 결석은 ?*
    1) 한습, 담습 2) 습열, 담화 3) 한습, 습열 4) 담습, 담열
A

습열담화가 답
이게 돌이 생기는 원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8
Q
  1. 여성 환자, 의심과 질투심이 심하다. 소변에서 피가 나오며 소변이 급해 화장실에 가면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 설근에 후황니태가 있다. 어느 장부의 문제인가 ?
    1)간 2) 심 3) 방광 4) 신
A

방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9
Q
  1. 뇨빈뇨급, 소변난, 짙은 황색뇨, 뇨탁, 뇨석, 발열 및 갈증이 있고 설홍 후황니태가 있다.
    원인은 ?
    1)방광한습 2) 방광습열 3) 소장실열 4) 간담습열
A

답: 2. 팔정산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0
Q
  1. 방광습열의 원인은 ?
    1)습열사 침입 2) 한습 3) 오랜 의심 및 질투 4) 모두 정답
A

한습이 습열로도 갈 수 있다.
답: 4
의심을 하는 사람은 비장이 안좋은 사람. 그러면 습이 생긴다.
이게 방광으로 가면, 방광하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1
Q
  1. 30 세 여성 환자. 7년 전에 2번에 걸쳐 갑자기 요도의 작열감이 오기 시작하여 항생제를
    먹고 치료를 했다. 최근 1 년 동안 소변시 뇨도에서 열이 나며 늘 불편 했으며, 자꾸 소변이
    나오려고 하는 느낌을 받는다고 했으며 소변색은 황색이었다가 어떤 때는 담백색이 되기도
    한다고 했다. 추워서 여름에도 두꺼운 옷을 입는다. 맥은 깊고 가늘고 약했으며 설은 담백하고
    설근에 누런 황태가 있었다. 가장 알맞은 치료법은 ?
    1)방광습열과 신양허, 먼저 방광습열을 치료한 후 신양을 보한다
    2)방광습열과 신양허, 신양을 보한 후 방광습열을 치료한다.
    3)방광한습과 신음허허화, 방광한습을 제거한후 신음을 보한다.
    4)방광한습과 신음허허화, 방광한습을 제거한후 신음의 허화를 제거한다.
A

갑자기 요도작열감: 염증
담백색, 추워도 두꺼운 옷: 한증
신양허증.
설근엔 열.
답: 1 습이 있을 때는 습을 치는 것이 일순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2
Q
  1. 73 세 여자, 계속적인 뇨도 작열감을 호소한다. 요도와 하복부에 통증이 있고, 짙은 색의
    소변을 보며 가끔 배뇨곤란도 있다. 맥은 특히 척맥이 실하고 약간 현맥이 감지되었다. 설은
    섬홍색, 후황니태에 설근부에 붉은 반점이 있다. 진단은 ?
    1)방광한습 2) 방광습열 3) 비위습열 4) 간담습열
A

방광습열
현맥: 습이 하초기체를 유발해서 생긴다는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3
Q
  1. 흉협작통, 급조이노, 두훈목적, 번열구고, 해수, 담소색황, 해혈이 있으며, 설홍, 설첨반대,
    황태이며 맥현활하다면 ?
    1)간화범폐 3) 화승금 3) 금승목 4) 폐음허
A

작통: 버닝 페인. 간에 열.
급조이노는 간
두훈은 알수없고
해수..해혈: 폐의 열
답: 간화범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4
Q
  1. 45세 남성, 위완창민동통, 애기애역, 조잡탄산, 번조이노가 있고 설이 붉고 박황태가 있다.
    맥이 현삭하다. 진단은 ?
    1)간화가 위를 침범 2) 간기범비 2) 습열이 간에 영향 3) 간화상염
A

간화가 위를 침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5
Q
  1. 전두통, 두정통, 구토연말, 사지냉이 있고 설색이 담백하고 백활태가 있다. 맥이
    침현긴하다. 진단은 ?
    1)간기범비 2) 간한범위 3) 위한 4) 위허한
A

두정통은 독방간
토연말 위기상역
백황태: 한중
간한범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6
Q
  1.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건망증이 심하다. 불면, 다몽, 도한, 유정이 있고 월경량이
    점점 준다. 맥은 삽하고 가늘었다. 진단은 ?*
    1)심혈허, 간혈허 2) 간혈허, 신음허 3) 간음허, 신음허 4) 신음허, 심음허
A

맥이 삽하고 가늘었다: 혈허
간혈허/신음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7
Q
  1. 면색이 희고 밝다. 추위를 싫어하고 사지가 차다. 허리가 차며 아랫배가 차고 아프다.
    소화되지 않는 변이 나오며 소변이 점점 감소한다. 호흡곤란이 있고 식욕도 없다. 맥는 침하고
    약했다. 진단은 ?*
    1)신불납기 2) 신양허 3) 비양허 4) 폐신기허
A

희고 밝다: 한증
허리가 차다..신양허
답: 신양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8
Q
  1. 호흡이 짧아지고 천식이 있다. 기침할 때 다량의 가래가 나오며, 가래는 맑고 청회하다.
    식욕이 감소하고, 복부창만과 변당이 있다. 면색은 밝고 회다. 맥은 우측맥이 특히 허하다.
    진단은 ?
    1)폐신기허 2) 비폐기허 3) 담음조폐 4) 습담조폐
A

맑고 청의: 한증
우측맥: 비폐신이 허하다는 것
비폐기허
폐의 양허는 없다. 그래서 폐의 기허는 양허를 포함한다고 봤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9
Q
  1. 40세 여성 . 3 년 동안 위완부의 창민감이 있어왔다. 속이 메스껍고 거북스러운 느낌이
    있으며 식욕도 점점 없어진다. 대변은 무른 변이 나오며 몸이 항상 무겁다. 최근에는 면색이
    핏기가 없어지기 시작하며 협륵통이 동반되었다. 입에서 쓴 맛이 느껴지고 눈의 색깔이 약간
    누렇다. 진단은 ?*
    1) 비습간울 3) 간기범비 3) 간위불화 4) 간담습열
A

비습간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0
Q
  1. 40세 여성, 머리가 어지럽고, 면색은 핏기가 없다. 설사를 자주 하며 피로도 심하다.
    사지가 가끔 저리고 식욕이 없다.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어지럽다. 설변의 색은
    오렌지색이었다. 진단은 ?
    1)간혈허 2) 비기허 3) 비간혈허 4) 간기범비
A

핏기가없다: 혈허
사지저린것: 간혈허
사물이 흐릿:간혈허
비간혈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1
Q
  1. 해수담소, 담중대혈, 구조인건, 형체소수, 요슬산연, 골증조열, 월경부조, 호흡이 곤란하며
    움직이면 심해진다. 진단은 ?*
    1)폐신기허 2) 폐신음허 3) 간신음허 4) 폐음허
A

폐신음허
담중대혈이 폐음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2
Q
  1. 흡기가 힘들며 기침할 때 소변실금이 있다. 움직이면 호흡곤란이 더욱 심해지며 사지가
    차고 얼굴에 푸른 빛이 돈다. 진단은 ?
    1)신기불고 2) 폐신기허 3) 폐기허 4) 폐신음허
A

폐신기허
또는 신불납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3
Q
  1. 가슴이 두근거리고 추위를 탄다. 사지가 차고 정신이 몽롱하며 자꾸 자려한다. 소변이
    점점감소하고 하지의 부종이 심하다. 설색은 청자색이며 태는 희고 젖어있다. 진단은 ?
    1)심양허+하지의 습체 2) 심신양허 3) 비신양허 4) 심신불교
A

자꾸자려한다..몽롱: 소음한화
사역탕
심신양허
암환자 말기엔 사역탕을 주로 쓴다.
맨날 졸리고 자고 사지차고…

54
Q
  1. 40 여성, 출산 도중 다량의 출혈이 있었다. 병원에 찾아 온 이유는 어지러움과 입 냄새,
    그리고 변비 때문 이었다. 진단은 ? *
    1) 대장액휴, 세삽맥 2) 대장실열, 실삭맥
    3) 위화, 활삭맥 4) 위음허, 맥세삭
A

대장의 탁기가 올라간 것.
답: 1

55
Q
  1. 63세 여성, 세 명의 가족이 죽은 뒤로 슬픔이 심했다. 또한 우울증, 도한, 오심번열,
    불면(밤에 자다가 자주 일어난다) 등을 호소한다. 환자의 설은 건조하며 약간 박락태가 보였고,
    맥은 촌맥이 특히 부허했다. 진단은 ? *
    1) 폐기허가 폐음허를 유발했다 2) 폐기허가 신음허를 유발했다
    3) 간기체가 심음허를 유발했다 4) 간기울결이 간음허를 유발했다
A

도한 오심번열: 음허
건조 박락태: 음허 맥부: 음허
촌맥이니까 폐나 심장. 답: 1
슬픔은 폐를 소모
이게 오래 되면 슬픔은 오래되면.. 가장 쉽게 가는게 폐기허, 그다음에 폐음허
그다음에 간.
눈물은 간음이니까. 슬픔은 간음도 소모한다.
폐기-간음

56
Q
  1. 13세 소녀 독감으로 고통받고 있다. 온도는 102 F, 인후통, 기침, 두통, 관절의 통증,
    가벼운 갈증 및 땀의 증상을 호소했다. 환자는 설변이 약간 붉었고 맥은 촌부가 부했다. 진단은
    ? *
    1) 풍한 2) 풍조 3) 상초습열 4) 풍열
A

관절통은 몸살
풍열이 답
상초습열을 하려면 몸이 무겁다는 말이 나와야 한다.
관절염이 풍열이나 감기처럼 시작할 수 있다

57
Q
  1. 50세 여성, 위완부 작통으로 고통 받고 있다. 그녀는 오심구토, 치은출혈, 갈증, 불면,
    호흡곤란을 호소했다. 환자의 설은 붉고, 중앙에 열문이 있고, 누런 태가 있으며 맥은 실하고
    약간 빨랐다. 진단은 ?
    1)폐열 2) 위화 3) 위음허 4) 토불생금
A

위작통: 위열
치은출혈: 위화
방제론 청위산
답: 위화

58
Q
  1. 54세 여성, 심각한 불안, 불면, 현훈, 이명, 요슬산연, 밤에 느끼는 열감, 구건, 도한,
    관홍을 호소한다. 환자의 맥은 부허하며 가늘고 빨랐으며 설은 흥하며 박락태가 있었다.
    진단은 ?
    1) 심음허 2) 신음허 3) 심혈허 4) 신정허
59
Q
  1. 24세 여성, 갑자기 심한 경련성 (spastic) 복통이 오면서 대변이 물러졌다. 환자는
    후백니태가 있고 맥이 침긴하였다. 진단은 ?
    1)외감 한습으로 인한 실한 2) 외감 한으로 인한 실한 3) 한사범위 4) 한사범대
A

후백니태: 습
외감한습으로 인한 실한
한사범대는 후백태

60
Q
  1. 31 세 여성, 피로, 신중감, 변비, 냉감 (chilliness) 으로 고생하고 있다. 과거에 그녀는
    갑상선 종대가 있었다. 환자의 설은 창백하고 부어있었고, 맥은 침세하고 느렸다. 알맞은
    진단은 ?
    1)비양허가 열을 유발시켰다 2) 비양허가 진열가한을 유발시켰다
    3) 비양허가 습을 유발시켰다 4) 간기체가 비허를 유발했다.
A

신중감: 습
설이 창백, 한증
비양허가 습을 유발시켰다.

61
Q
  1. 30세 여성 피로, 식욕감소, 콧물을 호소한다. 환자의 맥은 허했고, 설은 약간 창백하고
    부어있었다. 진단은 ?
    1)폐기허 2) 습을 동반한 비기허 3) 비양허 4) 풍열을 동반한 비기허
A

식욕감소는 비
콧물은 비증이 없으면
습을 동반한 비기허

62
Q
  1. 간기범비, 간기범위를 팔강으로 분류하면 ?
    1)허증 2) 실증 3) 허실협잡 4) 간실, 비위의 실증
A

허실협작

63
Q
  1. 폐를 직접 침범하지 않고 항상 풍과 결합하여 침범하는 사기는 ?
    1)한 2) 조 3) 열 4) 습
A

조사범폐가 바로 침입
습은 없다.
열은 열사옹폐
한사범폐.
풍습범표…
답: 습

64
Q
  1. 30세 여성, 식욕저하, 변당, 피로, 외한, 호흡곤란, 빈뇨, 맑은 소변, 의욕상실, 다리부종을
    호소했다. 면색은 검고 맥은 오른쪽이 특히 약했고, 설은 창백하고 젖어있었다. 진단은 ?
    1)비양허 2) 신양허 3) 신기불고 4) 신불납기
A

신양허
비신양허있으면 비신양허
식욕저하, 변당.

65
Q
  1. 27 세 여성, 피로, 건망, 월경량 감소, 변비, 불면을 호소했다. 환자의 맥은 삽했고, 혀는
    가늘고 창백했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혈어 3) 간어혈 4) 심간혈허
A

건망은 심혈부족. 두번째: 심음, 세번째 심허
심간혈허

66
Q
  1. 45 세 여성, 현훈, 도한, 요슬산연, 가벼운 이명을 호소했다. 환자의 맥은 약했고, 설은
    정상색, 태는 무근태였다. 진단은 ?
    1) 간음허, 신음허 2) 위음허, 신음허 3) 신음허, 폐음허 4) 신음허, 비음허
A

정상색의 묵은태는 위음허

67
Q
  1. 31 세 여성, 심각한 복통, 하복통으로 6 개월 전에 검사를 받았다. 대변은 변당이 주로
    나왔고 점차 매우 허약해졌다. 복통은 힘든 일을 한 후에 자주 일어났고 오른쪽 장골 부위에도
    통증이 느껴졌으며 누르면 심해졌다. 식욕도 상실했으며 사지도 힘이 없고 온 몸의기운이
    소모되었다. 지난 2달 동안 월경할 때가 아닌데 출혈이 있었고 발목이 가볍고 부어을랐다.
    환자의 맥은 활삭하고 양쪽 척맥이 약하고 가벼운 현맥이 있었다. 진단은 ?
    1)비기허, 한습, 신양허 2) 비기허, 습열, 신양허
    3) 비기허, 간기체, 신음허 4) 간기범비, 한습정체
A

변당: 비기허
허증
누르면 심해졌다: 실증
식욕: 비
사지: 비
온몸: 신
발목부종은 신양허
2번이 답
이정도의 문제를 잘 푼다면, 다른 것은 거침없다

68
Q
  1. 18세 남성, 11살 때 부터 간질 (epI lepsy) 로 고생해왔다. 간질이 발작할 때면 의식을
    잃었고, 심각한 진전이 있었고, 입에서는 거품이 나왔다. 또한 편두통 이명도 앓고 있었다.
    환자의 맥은 약하고 빨랐으며, 가벼운 현맥이 있었고, 설은 붉은데, 특히 설변이 더 붉었고,
    뻣뻣했으며, 설태는 후황니했다. 진단이 가장 적절한 것은 ?
    1) 비기허로 담 생성 및 간혈허 유발, 간혈허가 간양상항, 간풍내동 유발
    2) 간양상항이 열극생풍을 유발하고, 풍담이 상요하여 간질을 유발
    3) 간화가 열극생풍을 유발하고, 풍담이 상요하여 간질을 유발
    4) 신기허가 간양상항, 간풍내동 유발, 담이 뇌에 영향을 미쳐 인사불성 유발
A

간질은 풍
진전: 풍
편두통: 간
이명: 간신, 다 나안다
맥은 약하고 빨랐따: 허실이 같이 있고
강경설: 뻣뻣, 중풍전조나 중풍에.
답: 1
비기허 담하고 …풍담

69
Q
  1. 32세 남성, 피로, 식욕감소, 두중감, 가슴의 압박감, 현훈, 집중력 부족을 호소했다. 맥은
    허했지만 가벼운 활맥이 감지되었고 혀는 창백했으며 끈적이는 태가 있었다. 진단은 ?
    1)비기허로 습이 생겼다 2) 비기허로 혈허가 생겼다
    3) 비기허로 담이 생겼다 4) 비기허로 심혈허가 생겼다
A

피로 식욕감소: 비
두중: 습 혹 담
현훈은 습에서 안나온다
두중감은 담에서 나왔따고 알수 있따.
집중력 부족: 청양상승을 방해새서… 담이.
비기허로 담이 생겼따
답: 3

70
Q
  1. 32 세 여성, 목, 어깨, 팔의 근육통과 심한 피로로 고생하고 있다. 증상은 4개월 전에,
    유행성 감기로 인후통, 관절통, 밤에 미열을 느끼면서 갑자기 시작되었다. 증상이 생긴지 2주
    후에 그녀는 더욱 심한 관절통과 근육통이 생겼고 몸이 무겁게 느껴지며 열증과 한증을
    느꼈다. 증상은 3 개월 동안 계속되었고 점점 식욕이 없어졌고 잠이 잘 오지 않았다. 또한
    그녀는 식후 위완부의 창만이 있었다. 설색은 정상색이며 설근에 황니태가 있었고 태는 중앙을
    향해 확장되고 있었으며 맥은 부하고 약했다. 진단은 ?
    1)외감습열이 비기를 약하게 했다 2) 외감풍열이 비를 약하게 했다
    3) 외감풍한이 비습을 유발했다 4) 외감풍열이 비습을 유발했다.
A

인후통, 관절염 미열: 외감
몸이 무겁게 느껴졌으니까 습열. 외감이 아니다.
외감이라면 오한발열이 나와야 하는데…
답: 1

71
Q
  1. 44세 남성환자 오랜 측두통, 두통은 강렬하고 찌르는 것 같다. 가끔 구토도 하고 오른쪽
    팔이 저린다. 갈증도 있고 3년 동안 왼쪽 귀의 이명(l ow-p i t ch) 으로 고생했다. 수면
    상태는 양호하지 못했고 자주 깨서 깊이 잠들지 못한다. 환자의 맥은 현(특히 왼쪽)하고 설은
    정상설에 왼쪽 설변이 약간 창백했다. 진단은 ?
    1)간신음허로 인한 간양상항이다 2) 간혈허로 인한 간양상항이다.
    3) 간혈허로 인한 간어혈이다 4) 간신음허로 인한 간어혈이다.
A

찌르는 거 같다: 실증
구토: 위기상역, 간기상역에서도 나을 수 있고..
이명은 신 또는 간
환자의 맥..왼쪽이니까 간
왼쪽 설변이 창백이니가 간혈허.
간혈허로 인한 간양상항

72
Q
  1. 35세 여성환자, 첫 번째 상담 전에 후두통, 흉부의 울혈 (congested), 한열왕래, 증상이
    있는 매우 심한 감기에 걸렸었다. 그녀가 상담하러 왔을 때 가벼운 우울감, 기진맥진된 느낌,
    가벼운 협륵통, 변당을 호소했다. 환자의 맥은 현했고 설색은 정상이었으며, 폐부 위에
    박백태가 있었다. 진단 및 치법은 ?
    1)풍한이 소양열로 변했으며 약간의 태음증이 있다. 외감사기를 몰아내고 비폐의
    2) 풍열이 소양열로 변했으며 약간의 태음중이 있다. 외감사기를 몰아내고 비폐의
    3) 풍한이 태음단계로 변했다. 비양을 보한다
    4) 풍한이 태음단계로 변했다. 비폐의 기를 보한다
A

후두통: 풍한이나 방광, 신허에서 나온다
한열왕래: 소양병
풍열이 소양열로 변할 수 없다.
풍한이 소양열로 변했따.
풍한에서 소시호탕 갔다가 이중환으로 간다는 것.
태음증으로 넘어가는 단계
답: 1

73
Q
  1. 위 환자의 침구치료는 ?
    1)외관, 지구, 대추로 청열, 소양경을 조절한 후 중완, 기해 족삼리에 뜸을 뜬다.
    2)외관, 지구, 대추로 청열, 소양경을 조절한 후 태연, 족삼리, 삼음교, 내관을 사한다.
    3)합곡, 곡지, 대추로 풍열을 제거하고, 중완, 족삼리, 기해에 뜸을 푼다.
    4)합곡, 곡지, 대추로 풍열을 제거하고, 태충, 양릉천, 구허를 사한다
A

태음병이니까…
소양은 사하고, 외감사기 사하고, 태음은 보해야 한다
답: 1

74
Q
  1. 38세 여성 환자, 오른쪽 협륵통을 호소했으며, 오른쪽 복부에 덩어리가 있는 느낌이 오래
    되었다. 찬 것을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한다. 지난 몇 년 동안 그녀는 밤에 가벼운 땀을 흘렸다.
    소변이 자주 나오며 색깔은 창백했고 하루 종일 추위를 느꼈다. 월경을 할 때는 피에 덩어리가
    있으나 색이 어둡지는 않았다. 맥은 깊고 약했고 설은 설변이 창백했으며 설근과 중앙이
    청자색이었다. 진단은 ?
    1)오랜 간혈허와 가벼운 음허, 복부의 어혈, 신양허로 하초에 어혈이 생겼다.
    2)오랜 간혈허와 복부의 어혈, 신음허로 하초에 어혈이 생겼다.
    3)오랜 간혈허로 인한 간어혈, 신양허로 하초에 어혈
    4)오랜 간혈허로 인한 신음허, 신음허로 인해 하초의 어혈이 생겼다
A

협륵통: 간
등허리: 어혈이나 다음
찬것을.. 한증
밤에 가벼운 땀: 도한
소변창백: 한증
하루종일 추위: 한증
맥은 깊고 약했다: 양허
설변창백: 비양허나 간혈허
설근과 중앙이 청자 답: 1
오랜 간혈허로 설변이 창백.

75
Q
  1. 위 환자를 위한 가장 적절한 침구선혈은 ?
    1)간혈허는 곡천, 삼음교, 간수, 격수 / 신양허는 태계, 신수 / 우측 복부 덩어리는 내관, 혈해
    2)간혈허는 간수, 비수, 양릉천, 구허 / 신음허는 축빈, 조해 / 우측 복부 덩어리는 내관, 혈해
    3)간혈허는 곡천, 삼음교, 간수, 격수 / 간어혈은 격수, 혈해 / 우측 복부 덩어리는 내관, 비수
    4)간혈허는 곡천, 삼음교, 간수, 비수 / 신음허는 촉빈, 조해 / 하초어혈은 비수, 족삼리
A

하초어혈은 비수, 족삼리
답: 1

76
Q
  1. 24 세 여성의 증상이 환자, 101°F(38. 5°C) 의 열, 몸이 무거dns 느낌, 몸살, 두통, 이명,
    현기증 등 있었으나, 현재는 후유중으로 99.5 <>r’(37. 5 OC) 의 지속적인 저열, 이명,
    안진증(nystagmus) 과 신체의 균형 조절 감각 부족, 심한 피곤, 다리가 무거운 느낌, 사지가
    저리는 느낌, 기면 (lethargym, 혼수), 후두통의 증상이 있으며 이것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에
    방문했다. 쉽게 감기에 잘 걸리며 현기증이 자주 있다고 한다. 환자의 맥은 침세맥, 양쪽
    척맥이 약했고 설은 창백하면서 보라색이 있었고 건조했다. 안진증 (nystagmus) 과 신체의
    균형 조절 감각 부족은 양방에서는 신경성 (neurological) 장애인 것 같다고 했다. 진단은 ?
    1)풍습열이 침범→습열 생성→신양허와 함께 기혈순환 조체→혈허를 유발→간풍내동
    2)풍열이 침범→습열 생성→신양허와 함께 기혈순환을 조체→혈허를 유발→간풍내동
    3)풍한습사가 내부로 침범→습열 생성→신양허와 함께 기혈조체→혈허를 유발→간풍내동
    4)풍열이 침범→습열 생성→신양허와 함께 기혈순환을 조체→혈허를 유발→간풍내동.
A

몸이 무겁고: 습
발열이니까 풍.. 그러므로 풍습
다리가 무겁고 습
다리가 저리고: 혈허
답: 1

77
Q
  1. 위 환자의 치법은 ?
    1)먼저 신양을 보한 후 습열을 제거하고 간풍을 진정시킨다
    2) 습열, 신양허, 간풍 증상을 함께 치료한다
    3) 먼저 습열을 제거하고 간풍을 진정시킨 후 신양을 보한다.
    4) 먼저 습열을 제거한 후 신양을 보하고, 마지막으로 간풍을 치료한다
A

습사를 제거 하는 것이 먼저
답: 3

78
Q
  1. 위 환자를 위한 가장 적절한 침구선혈은?
    1)곡지, 대추, 음릉천, 수분, 삼초수, 태충, 풍지, 풍부, 관원, 신수, 부류
    2)곡지, 대추, 음릉천, 수분, 삼초수, 태충, 풍지, 풍부, 축빈, 조해, 삼음교
    3)격수, 혈해, 음릉천, 수분, 삼초수, 태충, 풍지, 풍부, 관원, 신수, 부류
    4)격수, 혈해, 음릉천, 수분, 삼초수, 태충, 풍지, 풍부, 축빈, 조해, 삼음교
79
Q
  1. 72 세 여성 환자, 만성기관지염, 매우 오래된 폐기종 (emphysema) 이 있다. 그녀는 쉽게
    감기에 걸리며 호흡하기도 힘이 들며, 황색의 두꺼운 담이 기첨하면 많이 나온다. 맥은 활했고
    양쪽 촌맥이 약했으며 설은 붉고 황니태가 있었다. 환자는 치료 도중 심한 감기에 걸려 오한,
    두통, 기침, 콧물, 재채기, 호흡하기가 힘이 든다고 했다. 맥은 부맥이 촉지되었다. 다음 중
    잘못된 설명은 ?
    1)비기허로 폐의 담열 정체, 풍한이 폐-위기를 조체했다
    2)먼저 풍한을 치료한 후에 정기를 보한다
    3)풍한의 치료는 열결을 사법으로 자침하고, 풍부에 자침한다
    4)풍열 증상은 척택을 열결을 향해 자침한다
80
Q

기경팔맥변증
210. 45세 여성. 만성요통으로 고생하고 있다. 통증은 요추의 중앙부위에 있다. 기경팔맥을
이용하여 치료하고자 한다. 가장 적합한 침구선혈은 ?
1)후계, 신맥을 자침한 후 태계, 신수를 자침.
2)열결, 조해를 자침한 후 태계, 신수를 자침.
3)내관, 공손을 자첨한 후 태계, 신수를 자침.
4)외관, 족임읍을 자침한 후 태계, 신수를 자침

A

답: 1
중앙이니까 후계. 독맥이니까.

81
Q
  1. 37세 여성, 만성천식으로 고생하고 있다. 흡기가 힘들다고 했으며, 기침시 가래는 없었고
    매우 피곤해 했다. 목소리는 약했고 얼굴은 창백했다. 맥은 깊고 약했으며 설은 창백했다.
    치료혈위가 가장 적절한 것은 ?
    1)후계, 신맥 2) 열결, 조해 3) 외관, 족임읍 4) 내관, 공손
A

열결 조해
인흉폐

82
Q
  1. 41 세 여성, 큰 자궁 섬유종이 수 년 동안 있었다. 월경기간에는 몸이 무거웠고, 월경통이
    심했으며 피의 색깔은 어두웠다. 그녀의 하복부는 몹시 단단했고 자궁 섬유종이 명확히
    촉지되었다. 가장 적합한 침구선혈은 ?
    1)후계, 신맥 2) 열결, 조해 3) 외관, 족임읍 4) 중완, 족삼리
A

열결, 조해
열결은 자궁 섬유종… 다 임맥의 병
음교맥은 생식기로도 가니까.

83
Q
  1. 45세 남성, 위완부의 창만감, 트림, 오심구토와 함께 만성 소화불량을 호소한다. 맥은
    실했고 긴장되어 있으며 특히 관부가 실하고 긴했다. 설태는 두꺼운 흰색이었다. 가장 적합한
    침구선혈은 ?
    1)후계, 신맥 2) 열결, 조해 3) 외관, 족임읍 4) 내관, 공손
A

내관 공손

84
Q
  1. 45세 여성, 만성 바늘로 찌르는 것 같은 심한 편두통을 호소한다. 맥은 현하고 실했으며
    설은 붉고 황태가 있었다. 가장 적합한 침구선혈은 ?
    1)후계, 신맥 2) 열결, 조해 3) 외관, 족엄읍 4) 내관, 공손
A

외관 족임읍

85
Q
  1. 72세 여성, 만성 방광염 (cystitis) 으로 고생한다. 소변시 심한 작열감을 느끼며, 소변은
    단적했다. 그녀는 심한 협륵창만이 있으며, 맥은 현실삭 했으며 설은 심홍설 (deep-red) 에
    두꺼운 황태가 있었다. 가장 적합한 침구선혈은 ?
    1) 후계, 신맥 2) 열결, 조해 3) 외관, 족임읍 4) 내관, 공손
A

협륵창만
족임읍은 대맥이니까. 대맥을 통과하는게 족삼음, 족삼양이니까.
족삼양에선 담. 간담의 맥이
그래서 외관 족임읍.
간담습열에 외관 족임읍을 쓸 수 있다.

86
Q
  1. 28세 남성, 만성적인 졸림 (somnolence) 때문에 고생한다. 졸음 운전을 하다가
    교통사고가 나서 두개골 (skull) 골절을 입었다. 그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시험을 봐야하는데
    졸음 때문에 문제가 많아 치료하기 위해 왔다. 침구치료는 ?
    1) 조해를 사하고, 열결을 보 + 정명 2) 좌측의 신맥을 보, 우측의 조해를 사 + 정명
    3) 열결을 사하고, 조해를 보 + 정명 4) 우측 신맥을 사, 좌측 조해를 보 + 정명
87
Q
  1. 43세 남성, 현기증 (giddiness), 하지 외측의 통증을 호소한다. 얼굴은 붉고 다리 외측의
    근육이 매우 긴장되어 있다. 혈압은 높았고 매우 긴장되게 보였다. 맥은 현실삭 했고, 설은
    붉었다. 침구치료는 ?
    1)좌측에는 신맥, 우측에는 후계를 자침
    3)좌측에는 내관, 우측에는 공손을 자침
    2)좌측에 열결, 우측에는 조해을 자침한다
    4)좌측에는 후계, 우측에는 신맥을 자침.
A

양교맥의 이상이니까
답: 1

88
Q
  1. 54세 여성 심한 불안감과 공포증 (claustrophobia)을 호소한다. 지하에 있는 극장과
    교회에 가는 것을 두려워한다. 또한 집에 혼자 있으면 매우 불안해하고 긴장했다. 가슴의
    불편감 있고, 맥은 삽하고 혀는 창백하나 설첨이 붉었다. 침구치료는 ?
    1)우측은 내관을 자침, 좌측은 공손을 자침 2)우측은 공손을 자침, 좌측은 내관을 자침
    3)우측은 신맥을 자침, 좌측은 후계를 자침 4)우측은 후계를 자침, 좌측은 신맥을 자침
A

내관 공손인데
음유/충맥중에 누가 주?
내관을 주로 잡아야 한다.
정신적인 것은 내관.
내관은 우측. 공손은 좌측.
답: 1

89
Q
  1. 12 세 소년, 중이 (middle ear)의 감염이 있었다고 한다. 치료에 도움이 되는 혈은 ?
    1)좌측의 신맥, 우측의 조해를 자침한다 2)우측에 후계, 좌측에 신맥을 자침한다
    3)좌측의 외관, 우측의 족임읍을 자침한다 4)우측에 외관, 좌측에 족임읍을 자침한다
A

중이염
외관, 족임읍인데
열입삼초경이니까 중이염.
그래서 외관 잡아야 한다.
족소양담경이 아니다.
족소양담경으로 들어오는 것은 학질.
그래서 3번

90
Q
  1. 충맥, 임맥, 독맥은 어디에서 시작하나 ?
    1)간 2) 신 3) 비 4) 위
91
Q
  1. 다음 중 독맥과 가장 밀접한 장부는 ?
    1) 간, 신, 뇌 2) 심, 신, 간 3) 심, 방광, 뇌 4) 뇌, 신, 위
92
Q
  1. 요슬산연, 양위, 불임, 대하, 오경설이 있는 환자에게 부류, 지실, 명문, 관원, 신수, 태계
    를 이용하여 치료하고자 한다. 추가하면 좋은 기경팔맥혈과 방제는 ?
    1)족임읍, 사신환 2)후계, 금궤신기환 3) 공손, 사신환 4) 내관, 금궤신기환
A

금궤신기환: 요슬산연, …불임까지.
후계: 독맥은 모든 양을 주관.
답: 2

93
Q
  1. 자궁섬유종, 자궁근종, 탈장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혈위와 방제는 ?
    1)열결, 계지복령환 2) 내관, 보중익기탕
    3)공손, 보중익기탕 4)후계, 계지복령환
A

열결 계지복령환

94
Q
  1. 오심번열, 오후조열, 관흥, 도한 둥의 증상 치료에 도움이 되는 혈은 무엇인가?
    1)열결, 조해, 관원 2)후계, 신맥, 관원 3) 내관, 공손 4) 외관, 족임읍
A

음허니까
열결 조해 관원
열결, 조해가 물을 돌리는 거라
물이 아주 차가운 느낌을 받는다. 추운 느낌을 받는다. 음이 도니까.
30분 이상 놓으면 건조증이 없어진다

95
Q
  1. 창백한 혀, 면색위황, 불면, 건망 둥의 증상이 있는 환자 치료에 효과적인 혈은 ?
    1)공손 2) 내관 3) 태충 4)삼음교
A

내관
심혈허증. 남자라면 왼쪽 내관/오른쪽 공손

96
Q
  1. 심한 편두통으로 고생하는 50세 남자, 처음에는 은은한 통증이었으나 차츰 악화되어
    지금은 두통이 발작하면 매우 아프다. 얼굴은 대체적으로 붉으며 입과 인후가 건조하고
    담백하고 맥은 현실하였다. 가장 적합한 기경팔맥 교회혈은 ?
    1)열결, 조해, 관원 2)후계, 신맥, 관원 3) 내관, 공손 4) 외관, 족임읍
A

편두통이니까 4번

97
Q
  1. 기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며 혈을 통제하고 기혈정체를 해소하는 기경팔맥은 ?
    1)충맥 2) 임 맥 3)독맥 4) 대 맥
98
Q
  1. 자궁어혈, 임신오조, 월경부조가 있는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혈위는 ?
    1)중완 2)공손 3)족삼리 4) 격수
A

충맥을 여는게 공손

99
Q
  1. 식욕감소, 허약체질, 복부창만 치료에 도움이 되는 기경팔백교회혈은 ?
    1)중완 2)공손 3)족임읍 4)족임읍
A

공손. 충맥
선후천을 연결하는게 충맥이니까

100
Q
  1. 간담의 실증으로 인한 편두통에 자침하면 좋은 혈은 ?
    1)족임읍 2) 대돈 3)지기 4)내관
A

족임읍
족임읍으로 간양항상, 간담습열
외관이 보조.

101
Q
  1. 음부소양, 소변작열 둥의 증상에 자침하면 좋은 기경팔맥교회혈은 ?
    1)족임읍, 대맥 2) 여구, 중도 3) 열결, 조해 4)후계, 신맥
A

족입음 / 대맥

102
Q
  1. 하지냉감, 자색이 도는 발둥, 간혈허로 인한 다리외측 긴장, 하지근육의 위약에 자침하면
    좋은 기경팔맥교회혈은 ?
    1)신맥 2)조해 3)족임읍 4)후계
A

족임읍
족삼음경을 구성하니까… 간혈허때도 쓴다.
대맥이 족임읍

103
Q
  1. 간혈허, 간양상항 등으로 근건과 관절이 영양부족하여 오는 둔부통증에 자침하면 좋은
    기경팔맥교회혈은 ?
    1)신맥 2)조해 3)족임읍 4) 태충
A

족임읍
대맥

104
Q
  1. 다음 중 음기부족으로 인한 양기항성을 치료하며 좌우 골격의 평형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혈은 ?
    1)후계, 신맥 2) 신맥, 조해 3) 외관, 족임읍 4) 내관, 공손
A

신맥, 조해
좌우평형을 조절

105
Q
  1. 다음 중 불면과 다면을 치료할 때 음교맥과 양교맥을 연결하기 위해 추가하면 좋은 혈은
    무엇인가 ?
    1)삼음교 2)신문 3) 안면 4) 정명
A

정명
방소위쌍교

106
Q
  1. 복부와 생식기의 이상, 안검의 개폐작용에 문제가 있다. 어느 기경팔맥의 이상인가 ?
    1)음교맥 2)대맥 3)임맥 4)독맥
A

음교맥생식기를 돌고, 눈을 감게한다.
눈을 뜨게 하는 것은 양교맥
눈뜨고 자는 애들.. 비가 약해서 그런 것이고…
기경팔맥으로는 음교, 양교맥

107
Q
  1. 반신불수, 안면마비, 풍한, 풍열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기경팔맥교회혈은 무엇인가?
    1)신맥 2) 열결 3) 내관 4)조해
A

양교맥
거궐, 지창까지 가니까, 안면마비 된다.
정명승읍, 풍지, 풍부..반신불수…
신맥.
양교맥 유주따라 가는것.

108
Q
  1. 30세 젊은 남성, 스키를 타다 넘어져 급성요통이 왔다. 신경이 매우 긴장되어 있다.
    얼굴은 붉고 맥은 현하다. 자침하면 도움이 되는 혈은 ?
    1)열결, 조해 2) 후계, 신맥 3) 태충, 행간 4)신수, 태계
A

후계 신맥
교감신경 항진 됐을 때 신맥으로 조절

109
Q
  1. 심계, 소화불량, 식욕감소에 도움이 되는 혈은 ?
    1)내관 2) 열결 3)신맥 4) 내정
A

내관 공손

110
Q
  1. 모든 음경을 연결시켜 주는 작용을 하며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음혈부족에 도움이 되
    는 혈은 무엇인가 ?
    1)내관 2)외관 3) 태충 4)조해
A

음유. 모든 것을 링크하니까.
그래서 내관

111
Q
  1. 다음 중 혈허로 인한 목 뒤의 통증, 두통에 가장 좋은 혈은 ?
    1)신문 2) 내관 3)후계 4)신맥
A

내관
틀리기 쉽다

112
Q
  1. 간양상항, 간화상염으로 인한 이명, 이롱에 좋은 혈은 무엇인가 ?
    1)외관, 족엄읍 2) 후계, 신맥 3) 내관, 공손 4) 열결, 조해
113
Q
  1. 한열왕래, 흉협고만, 심번회구, 불욕음식 둥의 증상 치료에 도움이 되는 혈은 무엇인가?
    1)외관, 족임읍 2)후계, 신맥 3) 내관, 공손 4) 열결,조해
A

소시호탕
외관 족임읍

114
Q
  1. 풍한, 풍열, 소양병에 사용하면 모두 효과가 있는 기경팔맥교회혈은 무엇인가?
    1)열결 2)합곡 3)외관 4)조해
115
Q
  1. 배가 난파되어 물에 빠지는 꿈을 꾸며, 소화안된 변을 본다. 원인은 ?
    1)비양허 2)신허 3) 방광허한 4)소장허한
A

방광은 물에 안빠진다
방광은 양이고 신은 음
신은 물에 빠진다.
답: 2

116
Q
  1. 최근 들어 산불, 화산이 폭발하는 꿈을 꾼다. 불면과 건망증이 점점 심해진다. 원인은 ?
    1)심화치성 2)심장의 허증 3)간화상염 4)위화
A

심장의 허증

117
Q
  1. 30세 남성 환자, 성격이 급하며, 면홍, 심번, 갈증, 구고, 불면, 다몽, 변건 등의 증상이
    있다. 설색은 붉고 맥이 빠르다. 꿈이 웃는 꿈을 자주 꾼다. 원인은?
    1)심음허 2) 간화상염 3)간양상항 4)심화
A

성격이 급한 것과 급조이노가 다르다.
웃는 꿈: 심
허증은 보는 것.
내가 하는 것은 실증.

118
Q
  1. 꿈에 늪지대가 자꾸 보이고, 집을 짓는 꿈을 꾼다. 설사가 나오고 복부가 창만하다.
    원인은?
    1)신허 2)소장의 허증 3) 비허 4)심허
A

늪은 비. 보니까 허. 답: 3

119
Q
  1. 요즘 들어 매우 향기로운 버섯이 꿈에 보이며, 나무 아래서 일어나지 않는 채 잠자는
    꿈을 꾼다. 원인은 ?
    1)간실 2) 간허 3) 비실 4) 비허
120
Q
  1. 꿈에 흰 물체가 보이며, 전투, 전쟁, 피를 흘려 살해되는 장면이 자꾸 보인다. 원인은 ?
    1)간화 2) 심화 3) 폐허 4) 심혈허
121
Q
  1. 월경을 한 후에 항상 현훈 불면, 건망, 삶의 방향감각이 없어진다. 원인은 ?
    1)심혈허 2)비불통혈 3)간혈허 4)신음허
A

간의 민족이 계획을 잘 세운다. 답: 3

122
Q
  1. 사고능력, 학습능력, 응용능력, 집중하는 능력 모두에 관계되는 것은 ?
    1)간, 혼 2) 심, 신(神) 3) 비, 의(意) 4) 신, 지(志)
A

비. 귀비탕증
신비양허니까.

123
Q
  1. 육체, 청각, 시각, 느낌, 감각과 관계되는 것은 ?
    1) 간, 혼 2) 심, 신(神) 3) 비, 의(意) 4) 폐, 백(魄)
A

감각적인 부분은 백이 담당한다.
우리는 혼의 민족. 돈을 밝히면 싸가지…
여긴 백의 민족이라 감각적인 문제라 포르노, 돈…
답: 4

124
Q
  1.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의지와 가장 관련된 장부는 ?
    1)심 2) 간 3) 비 4) 신(腎)
A

신주지
의지는 신장. 키드니.
나이가 들면 목표도 없고 의지도 없다

125
Q
  1. 부인은 파킨슨씨병을 앓고 있다. 그녀는 평소 설사, 다뇨가 있다. 예상되는 설상은? *
    1) 설심홍, 박락태 2) 설담, 반대설, 백활태
    3) 설담 수박설, 박건태 4) 설홍, 반대설, 황니태
A

파키슨병의 설을 외우면 안된다.
설사.. 다 한증.
양허도 오고 음허도 온다. 파킨슨은.
답: 2

126
Q
  1. 남성 환자로 돌발성 펀두통, 두통 심할 시 현훈이 동반 된다. 고음조의 이명, 실면, 구건,
    구갈, 코피 최근에는 혈압도 높다. 이전에는 이런 증상이 없었다고 한다. 병인은? *
    1)간양상항 2) 심화항성 3) 간화상염 4) 신음허
A

고음조 이명: 실증
간화상염

127
Q
  1. 눈에 육안으로 나선형의 혈관이 보인다. 병인은? *
    1)기혈양상 2)동통 3) 심화 4) 간풍
128
Q
  1. 남자 아이가 고열, 정서번조불안, 구건갈, 구설생창, 인후통, 흉부열감, 복통, 오줌이 적고
    색이 짙다. 뇨통, 혀가 아주 붉다. 가능한 진단은?
    1) 소장실열 2) 방광습열 3) 간화상염 4) 심화
A

소장실열

129
Q
  1. 남자 환자가 변당, 식욕부진, 무릎이 시린 것 같고, 등도 시린 것 같다. 양다리가
    허약무력, 발기가 잘 안되며, 오줌 맑고, 길며 많다. 하지수총, 피로, 핍력, 설담습윤, 맥약을
    보인다. 진단은?
    1) 비위한습 2) 신양허 3) 비양허 4,폐신기허
130
Q
  1. 젊은 여성이 붕루, 월경량다, 혈괴, 변비, 대변건, 뇨소, 소변색이 누렇고, 입이 쓰고, 다몽,
    이명, 설홍이다. 진단은?
    1)신음허애 열 2) 자궁습열독 3) 간울혈어 4) 간화상염
A

간화상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