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삼초변증 (98문제) Flashcards

1
Q
  1. 열대지방 여행 후 습진, 약지와 팔꿈치에 붉은 발진이 보인다. 맥상은 ?
    1)활삭 2)현삭 3)세삭 4)부삭
A

활삭
삼초경이 팔꿈치에 지나가니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오한발열은 미약, 오후에 열이 심해짐, 두중여과, 전신의 신중감, 흉부와 상복창만,
    오심구토, 백니태가 있다. 진단은 ?
    1)폐열 2)양명열 3)습열범비 4)하초습열
A

습열빔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오한이 중하고. 발열은 미미, 두중여과, 신중감, 식욕감소. 소화장애, 흉민, 불갈, 장명,
    변당, 설태백니, 맥유완은 ?
    1)하초습열 2)중초습열 3)상초습열 4)비위습열
A

오한발열은 상초를 침범한거니까 답:상초습열
상초에 외사가 들어오면 항상 나오는 것이 오한발열.
삼초변증에서 오한발열이 나오면 답이 상초습열이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삼초변증은 어떤 사기와 관계 있는가 ?
    1)풍한 2)풍열 3)습열 4)한습
A

습열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소변빈삭, 뇨도작열감, 배뇨곤란, 배뇨통, 소변핍력, 구건인건, 설근에 특히 황니태, 좌측
    척부가 활삭하고 약간 미현하다. 진단은 ?
    1)간담습열 2)방광습열 3)비위습열 4)대장습열
A

방광습열, 팔정산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1. 소변빈삭, 뇨도작열갑, 배뇨곤란, 배뇨통, 소변핍력을 호소하던 환자가 어제부터 고열,
    불면, 심번, 섬어, 설홍황태, 맥삭유력 등의 증상이 생겼다. 원인은 ?
    1) 심화가 소장으로 하주 2)방광습열이 신음을 손상
    3) 풍열이 심포로 침입 4)방광습열과 상초의 열
A

방광습열과 상초의 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삼초변증에서 상초 병후가 맞는 것은 ?
    1) 코감기, 오한발열, 귀 뒤의 통증, 인후통, 해수
    2) 인후통, 이롱, 해수, 후두통, 이명
    3) 오한발열, 소변단적, 혈뇨, 소복창만, 요통
    4) 오한발열, 구고, 구중점니, 두중여과, 신중, 흉민
A

답: 1 / 구고를 빼면 4번이 맞다
구고가 상초습열엔 안나온다. 열입삼초경. 열입소양경
풍열, 심포, 심장열… 다 상초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발열. 흉협만통, 황달, 구고. 오심, 구토, 식욕저하, 월경부조, 음부소양, 설색이 붉고 황니
    태, 맥이 현활삭하다. 진단은 ?
    1)하초습열 2)비위습열 3)담낭습열 4)간담습열
A

간담습열. 즉 용담사간탕증
맥이 현활삭. 간습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홍자연, 침세삭, 설강무태가 나오는 삼초변증의 단계는 ?
    1)상초, 심폐의 이상 2)중초, 비위의 이상 3)하초, 간신의 이상 4)없다
A

하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삼초변증에서 오후조열, 이명, 도한, 요통, 맥세삭, 소태 또는 부태가 나오는 단계는 ?
    1)상초 2)중초 3)하초 4)없다
A

하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손발에 열감을 느끼고 오후미열 피곤, 건구. 이농이 있다면 ?
    1)하초 2)중초 3)상초 4)중초, 상초
A

하초 (7일차 11페이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다음 중 하초의 병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
    1)위분, 기분 2)위분. 영분 3)기분, 영분 4)기분, 혈분
A

기분 혈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발열과 약간의 오한, 두통, 해수, 구갈이 있다면 ?
    1)하초 2)중초 3)상초 4)중초, 상초
A

상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사타구니가 가렵고 축축하다. 정자수도 부족하고 불임으로 진단받았다. 원인은 ?
    1)상초습열 2)방광습열 3)중초습열 4)하초습열
A

하초습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여성 환자, 소변에서 혈뇨가 나오며 소변작열감을 호소한다. 또한 소변이 뇨빈, 뇨급을
    호소하며 아래가 묵직한 느낌이 나며 소변이 혼탁하다고 했다. WBC는 정상이고 포도당이
    음성반응, 백혈구가 양성이었다. 진단은 ?
    1)소장실열 2)신의 열독 3)중초습열 4)방광한습
A

소변작열감이 있으니까,
방광습열이 제일 좋은데, 신의 열독.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32세의 비만한 여자가 내원하였다. 그녀는 월경도 일정치 않고 결혼 후 3년이 지났는데도
    임신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녀는 가끔 허리가 아프다고 하였으며 특히 소변빈삭, 뇨급,
    소변시 통증, 외음부소양을 호소하였다. 진단은 ?
    1)하초습열 2)방광습열 3)신음허 4)신음허 허화
A

하초습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살이 찌고 외음부가 습한 남성환자가 내원. 아이가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양방 검사결과
    부인은 이상이 없다고 한다. 또한 이 환자는 빈뇨, 소변단적을 호소한다. 진단은 ?
    1)하초습체 2)하초습열 3)신양허 4)간화
A

소변단적이니까열
하초습열이 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30세 남자, 불임, 정자수부족, 서혜부가 항상 축축하다. 진단은 ?
    1)하초습열 2)신정허 3)신기허 4)충임맥허한
A

하초습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바닷가에 놀러간 후 해산물을 먹고 난 후 발진, 두드러기, 농혈변 등의 증상이 있다면
    가장 적당한 병인은 ?
    1)하초습열 2)습열독 3)중초식적 4)중초습열
A

고름이 나오는것은 열毒
답: 2
고름은 습이고 피는 열毒.
방광습열 증상이 없어도 출혈이 나오면, 열毒을 찾으면 된다. (방광습열이 없으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오한발열, 소변빈삭, 뇨급, 소변시 통증, 요통, 맥활삭을 호소한다면 ?
    1)방광습열 2)비위습열 3)삼초습열 4)간담습열
A

삼초습열은 삼초에 다 있는 것.
오한발열은 急性 요도염으로 염증이 생기는 과정에서 보면 된다.
그래서 답은 방광습열
삼초습열은 중초도 나와야 하고, 삼초가 다 나와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한증으로 인한 통증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
    1) 날카롭고 침으로 찌르는 것 같은 통증 2)둔탁한 통증
    3) 잡아 당기는 듯한 통증 4)경련성 통증
A

잡아당기는 것은 간.
경련성통증이 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심계. 불면,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오행변증으로 진단하면 ?
    1)금모화 2)목모금 3)화불생금 4)금불생수
A

답:1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불면, 동계(심계), 자한, 구고, 이노, 얼굴에 열감이 있다. 진단은 ?
    1)실열 2)허열 3)실한 4)허한
A

실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아이가 콧물이 흐른다. 가능한 진단은?
    1)비기허 2)식적 3)위화 4)소장실열
A

비기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1. 환자의 눈에 마치 검은 참깨 같은 반점이 있다. 원인은?
    1)혈어 2)기체 3)동통 4)신허
A

혈瘀
참깨가 검으니까 어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1. 중년 부인이 하지수종이 있다. 검사 후 의사가 말하길 만성신기능 부전이라 한다. 그녀는
    평소에 설사, 쉽게 피로감, 사지허약, 꼼짝하기 싫음, 맥약을 보인다. 진단은 ?
    1)화불생토 2)수승화 3)토승수 4)수모토
A

오행변증으로 비신양허로 부종, 수액대사가 안될 때는 수모토.
비신양허로 냉증이 주가 되고 오경설을 하고 그러면 화불생토
여기서 화라는 것은 명문상화.
답: 4
진무탕이 수모토
사역탕이 화불생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1. 만성 천식(폐렴)의 원인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1)비기허로 담습조폐, 심화가 폐를 극했다
    2)비기허로 담습조폐, 신허로 폐의 납기 불리
    3)비기허로 담열조폐, 간화범폐
    4)비기허로 담습조폐, 간화범폐
A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1. 구설생창, 구고를 호소하던 환자가 건조한 담을 호소한다면 ?
    1)목모금 2)금승목 3)화승금 4)토불생금
A

화승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1. 몸에 열이 있고 덩어리가 있는 환자에게 필요한 맛은 ?
    1)감 2)산 3)신 4)고
A

苦. 쓴맛.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1. 식욕부진, 피로, 변당, 사지무력, 목소리가 작고 힘이 없고 설담, 맥세약하다. 환자에게
    가장 필요한 맛은 ?
    1)매운 맛 2)쓴 맛 3)단 맛 4)싼 맛
A

비기허니까 단맛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1. 비허로 인한 습으로 진단되었다.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는?
    1)입에 싼맛 2)입에 단맛 3)입에 쓴맛 4)입에 악취
A

단맛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1. 좌골신경통 환자가 쉬면 호전되고 뜨거운 것을 대면 좋아한다면 ?
    1)실한 2)허한 3)허열 4)실열
A

허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1. 적취 또는 징가와 가장 관계 깊은 사기는 ?
    1)풍 2)한 3)습 4)화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4
Q
  1. 욕망이 지나칠 때 상할 수 있는 것은 ???
    1)간, 심 2)심. 심포 3)심, 신 4)신, 심포
A

욕망이나 칠정은 심포에서 나온다
심장은 예수님의 사랑, 부처님의 자비.
태양이 있고 프리즘을 통과하면 여러빛으로 나뉘니까.
그래서 우리 감정은 7가지 빛이다.
감정이 바뀔 때마다 오로라(AURORA)가 바뀐다.
여러 마음에 태양(우리는 성인의 마음이 있는데)이 떠 있는데, 심포를 통과하면서 7가지 빛으로 나뉜다.
희노우사비공경
심장이 기준이 되면서 7가지 감정을 이용해야 하는데…
지금은 심장이 없어지고 심포로만 산다.
희노애락이 있어야 사는게 재미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5
Q
  1. 오래되면 기허를 유발하고 어혈을 발생시키는 것은 ?
    1)혈허 2)음허 3)기체 4)내열
A

혈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6
Q
  1. 성생활과 가장 밀접한 장부는 ?
    1)심신간 2)심폐간 3)심비폐 4)간비폐
A

성생활은 심신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7
Q
  1. 과도한 육체 노동을 한다면 가장 쉽게 손상되는 것은 ?
    1)신음 2)신양 3)비양 4)심양
A

신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8
Q
  1. 어릴 때부터 시작되는 질병의 원인은 대개 무엇인가 ?
    1)식사 2)유전 3)외상 4)외감사기
A

답: 1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9
Q
  1. 한의학적인 입장에서 전립선염과 관계있는 장부는 ?
    1)비, 간 2) 비, 신 3) 간, 신 4) 간, 방광
A

답: 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0
Q
  1. 신경 (nerve) 으로 입(입)하기 때문에 모든 비증에 금하는 맛은 ?
    1)매운 맛 2) 쓴 맛 3) 시큼한 맛 4) 단 맛
A

답: 3

41
Q
  1. 자꾸 새우처럼 구부려 잠만 자려고 하는 환자가 융폐가 되고 혈압이 오르며 부종이 왔다
    면 ?
    1) 신양을 보한다 2) 부종, 융폐를 치료 후 신양을 보한다.
    3) 신양을 보한 후 부종과 융폐를 치료 4) 부종, 융폐를 제거하며 동시에 신양을 보한다.
A

급즉지표로써
오줌이 안나오니까… 답:2

42
Q
  1. 땀과 설사를 조절하는 맛은?
    1)시큼한 맛 2) 매운맛 3) 쓴 맛 4) 싼 맛
A

답: 시큼한맛. 오미자

43
Q
  1. 얼굴이 누런 환자가 자꾸 화를 낸다면 ?
    1)간기범비 2) 토모목 3) 목극토 4) 목승토
A

답:2

44
Q
  1. 기의 승강을 대표하는 장부는 ?
    1) 심, 폐 2) 간, 폐 3) 폐, 비 4) 비, 신
A

답: 간폐
봄엔 오르고, 가을엔 내려가고. 뿌리로 기운이 내려가고

45
Q
  1. 월경부조와 관계 있으며 임충맥과 가장 밀접한 것은 ?
    1)간 2)심 3)자궁 4)비장
A

답: 자궁

46
Q
  1. 상화에 속하는 것은?
    1)심포, 삼초 2) 심, 심포 3) 간, 담 4) 심포, 담
A

심포 삼초

47
Q
  1. 표증과 이증을 구별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
    1)오한발열, 콧물, 박태 2) 변비, 설사, 부맥 3) 오한발열, 통증 4) 두통, 설태
A

답: 1

48
Q
  1. 수분 대사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
    1)폐 2) 비 3) 신 4) 간
A

49
Q
  1. 눈 뒤에서 머리로 방사되며 머리 전체가 비어있는 것 같은 두통이 있다면 ?
    1)태양두통 2) 신허두통 3) 혈허두통 4) 양명두통
A

신허두통

50
Q
  1. 핫 팩 후에 통증이 나아진다면 ?
    1)풍비 2) 습비 3) 한비 4) 열비
A

한비

51
Q
  1. 다음 중 열증에 도움이 되며, 진정 작용이 있는 것은 ?
    1)단맛 2) 짠맛 3) 쓴맛 4)매운 맛
A

쓴맛

52
Q
  1. 폐에 담이 있는 환자가 수면 장애를 호소한다면 ?
    1)화극금 2) 금모화 3) 수극화 4) 화불생금
A

금모화

53
Q
  1. 풍비를 예방하기 위해 먹으면 가장 좋은 음식은 ?
    1)시큼한 음식 총류 2) 고기, 조개
    3) 가재, 게, 새우류 4) 대두(검정콩) . 잎이 많은 채소, 잡곡
A

풍자가 들어가면, 알러지나 조개 가제 갑각류는 피해야 한다
답: 4

54
Q
  1. 다음 중 망음은 ?
    1) 자한, 구건, 맥세삭 2)도한, 호흡곤란, 구갈, 맥세삭
    3) 구갈, 맥미욕절, 신지혼미 4)도한, 끈적끈적한 땀이 이마에만 있다, 호흡곤란
A

답: 2
끈적 끈적한 땀이 이마에만 있다가 죽기 직전. 그러면서 얼굴이 뽀얗게 된다면 심양이 꺼질 때

55
Q
  1. 남성환자. 몸이 무겁고 가슴이 답답하다. 오심구토를 할 때면 백색의 담이 다량으로
    나온다고 한다. 이환자에게 권하면 좋은 음식은?
    1)튀긴음식 2)우유 3)치즈 4)시리얼
A

시리얼. 습담이 있으니까 건조한것을 먹어야 한다

56
Q
  1. 기를 하강시키고 습을 제거하는 맛은?
    1) 함 2)산 3)담 4)고
A

57
Q
  1. 입술에 물집이 생기거나 부어오른다면?
    1)신 2)위 3)간 4)비
A

58
Q
  1. 기항지부17)와 가장 밀접한 장부는?
    1)간 2)신 3)심 4)위
A

뇌(腦), 수(髓), 골(骨), 맥(脈), 담(膽), 女子胞(생식기)
신장이 답
신에서 압축된게 기항지부로 가니까

59
Q
  1. 칠정과 가장 밀접한 것은?
    1)심, 간, 비 2)심, 간, 폐 3)폐, 비, 신 4)심, 간, 신
A

심간비
간맥대조탕에 해당되는

60
Q
  1. 항해하는 꿈을 꾼다. 원인은?
    1) 소장허한 2)방광의 허증 3)신의 허화 4)대장의 한
A

방광의 허증
물에 빠지면 신
예수님은 방광이 허하다. 안빠지니까

61
Q
  1. 표증과 다른 병과의 구별요인은?
    1)오한, 두통, 부맥 2)오한, 복통, 부맥 3)오한, 협륵통, 부맥 4)오한, 발열, 현삭맥
A

오한두통

62
Q
  1. 40세 여성 환자가 가슴이 두근거리며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한다. 그녀의 맥은 가늘었다.
    무슨장기에 이상이 있는가?
    1)간 2)심 3)신 4)비
A

심장

63
Q
  1. 피로와 변당, 사지무력, 수종이 있다면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목, 2) 수 3)토 4)심
A

64
Q
  1. 여성이 월경문제를 호소. 월경할 때만 되면 입술에 수포가 돋았다가 월경 후에는
    사라진다고 한다. 관련장부는?
    1) 간, 폐 2)간, 비 3)간, 신 4)심, 간
A

간기범비
입술은 비니까.

65
Q
  1. 45세 여성환자, 입에서 단맛이 돈다고 한다. 원인은?
    1) 습 2)위열 3)간기범비 4)위기허
A

66
Q
  1. 간기울결의 통증은?
    1)쉴 때 심해진다 2)걸을 때 팔과 어깨가 아프다
    3)누우면 심해진다 4)식후 호전된다
A

걸을 때 팔과 어깨가 아프다.

67
Q
  1. 창문을 열어놓고 갔는데 아침에 일어나 보니 목이 뻣뻣하고 오한 발열이 난다. 피부는
    건조하고 온 몸이 쑤시고 아프며 갈증은 없다. 진단은 ?
    1)풍열 2)풍수 3)습열 4)풍한
A

풍한
갈증이 없으니까
풍수는 부종이 와야 한다.

68
Q
  1. 습이 많은 사람이 먹지 말아야 할 음식은 ?
    1)유제품, 기름진 음식 2)씨리얼 3)과일. 쌀밥 4)빵, 호도
A

답:1
된장은 몸에 습이 많은 사람에게 안좋다.
무좀이 있다거나 고환이 가려운 사람은 발효식품을 먹으면 안좋다

69
Q
  1. 만성 후두통의 원인은 ?
    1)풍열 2)간허 3)신허 4)심허
A

급성후두통은 외감풍사나 방광경, 방광습열인데. 후계(SI:3) 신맥(UB:62)
. 外感풍사면 列缺(LU:7)
합곡
신허는 만성후두통: 그래서 湧泉(KD:1)
이나 太谿(KD:3)

70
Q
  1. 머리 전체에 통증이 심하거나 때때로 잡아당기는 듯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은 ?
    1)외감풍사 2)신정허 3)간혈허 4)위화
A

잡아 당기는 것은 간, 풍쪽
답: 1
머리 전체가 아프면
외감풍사하고 신허.
머리가 비어있는 것 같은 공통도 신허

71
Q
  1. 입에서 시큼한 맛이 난다면 ?
    1)간위온열 2)비위습열 3)간담습열 4)비기허
A

답: 1

72
Q
  1. 너무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
    1)기체 2)혈체 3)기허 4)혈허
A

기체

73
Q
  1. 양 장부의 생리 기능은?
    1)생화 흡수 배설 2)소화 저장 배설 3)소화 흡수 저장 4)소화 흡수 배설
A

소화흡수배설

74
Q

47l. 기와 진액의 관계를 서술할 때 다음 중 정확한 것은?
1) 기허가 뇨빈, 다뇨를 일으킬 수 있다 2)진액부족이 기허를 일으킬 수 있다.
3) 기허가 낮에 땀이 많이 나게 할 수 있다 4)진액부족이 기체를 일으킬 수 있다.

A

기허가 땀나니까 3번

75
Q
  1. 다음 중 담습내울이 있는 환자가 가능하면 피해야 하는 것은?
    1) 소고기, 커피, 양고기 2)치즈, 아이스크림, 기름에 튀긴 음식
    3) 샐러드, 콩나물, 술 4)파인애플, 무화과
A

치즈 아이스크림

76
Q
  1. 흉중에 존재하는 기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1) 혈맥 진입, 오장육부 조화 및 자윤
    2) 외사 방어 기표 보호, 체온 조절
    3) 동력의 근원, 음성의 강약 통제
    4) 혈액 순환 촉진, 호흡 기능 강화
A

종기니까. 답: 4

77
Q
  1. 남자 학생이 감기에 잘 걸리고 성격은 부끄러움이 많고 만성 기관지염을 앓고 있다. 말할
    때 목소리가 작으며 사지가 차갑다. 부족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는?
    1)위기 2)영기 3)종기 4)원기
A

종기가 답

78
Q
  1. 음허인 환자에게 자음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동시에, 보양하는 약물을 배오하여
    치료 효과를 높인다. 이 경우, 음양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음양 사이에 상호 전화된다 2)음양 사이에 상호 소장된다
    3) 음양 사이에 상호 대립된다 4)음양 사이에 상호 의존한다
A

의존관계

79
Q
  1. 담음은 왜 형성되는가?
    1) 삼초의 수액기화 불능으로, 수액의 배설 불가
    2) 비의 수액운화 불능으로 수액대사 상실
    3) 소장의 분별청탁 불능으로, 수액운행 상실
    4) 폐의 숙강기능 장애로 수액운송 상실
A

답:2

80
Q
  1. 고등학생이 요 며칠간 심한 감기로 몸살이 있다. 아침에 급우들과 농구를 하다 발목을
    삐었고, 홍종동통이 있다. 미루어 판단해 보면 아래 어느 것의 손상이라 봐야 하는가?
    1)위기 2)영기 3)경락의 기(기) 4)종기
A

발목 삔건 별거 아니고, 경락의 기.
그쪽 경락이 막힌 것. 해당경락의 기체.

81
Q
  1. 만성 기관지염에 평소 천식이 있는 극도로 허약한 노인이 있다. 지금 이 노인은 풍한감기
    증세를 보인다.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
    1)선치표, 후치본 2)표본동치 3)선치본, 후치표 4)본을 치료한다.
A

급하면 표를 먼저 치료
감기 때문에 죽진 않고, 극도로 허약한 것이 먼저.
그냥 허약하면 감기를 먼저 치료.
근데 극도로, 매우가 나오면 발한 시키다 죽을 수 있다.
이럴 때는사람도 살리고 바이러스도 살리고, 나중에 바이러스를 내몰고…
답: 3

82
Q
  1. 표실증과 표허증은 어떻게 구분 하는가?
    1) 심한 발열 표실/ 가벼운 발열표허 2)심한 오한 표실 /가벼운 오한 표허
    3)부맥 표실/ 약맥 표허 4)무한(無汗) 표실 /한출(出汗) 표허
A

답: 4

83
Q
  1. 남성 환자가 긴장 후 갑자기 이완될 때 항상 두통이 온다고 한다. 어느 장부의 병변일 가
    능성이 큰가?
    1)심 2)담 3)간 4)비
A

이완성 두통은 간

84
Q

48l. 환자가 허리가 아프고 유정, 심번, 면적, 심계를 호소한다면 ?
1)수모토 2)수불생목 3)화모수 4)수모화

A

화모수. 심신불교

85
Q
  1. 뇨통에 대하여 정확한 서술은?
    1) 소변 전 통증은 신음허, 소변 중 통증은 방광열, 소변 후 통증은 기체
    2) 소변 전 통증은 하초기체 소변 중 통증은 방광열 소변 후 통증은 기허
    3) 소변 전 통증은 하초기체 소변 중 통증은 방광습, 소변 후 통증은 방광한
    4) 소변 전 통증은 방광열 소변 중 통증은 하초기체, 소변 후 통증은 기허
A

답:2

86
Q
  1. 오랫동안 담배를 피우는 환자가 담배만 피우면, 안절부절하면서 심계가 온다. 진단은 ?
    1)화승금 2)목모금 3)목불생화 4)금모화
A

답: 4

87
Q
  1. 얼굴색이 녹색이 되는 경우는?
    1)어혈, 경풍, 신음허, 혈허 2)실열, 습,외풍, 통증
    3)외한, 심병, 내풍, 비허 4)내한, 통증. 내풍, 간병
A

답: 4
간통하다 풍 맞었네

88
Q
  1. 목내자와 대응되는 장기는 ?
    1)간 2)폐 3)비 4)심
A

목내자는 심
동공은 검은색이니까 신
공막은 흰색ㅇ니까 폐
홍채는 간
답: 4

89
Q
  1. 풍한과 풍열의 증상상의 차이는?
    1) 풍한-소변색청, 풍열-소변색이 진하다 2)풍한-인후통, 풍열-인후가려움
    3) 풍한-무한, 풍열-유한 4)풍한-오한, 풍열-발열
A

답: 1

90
Q
  1. 아래 중 어느 것이 위 어혈의 증상인가?
    1)누를때 통증경감 2)먹은 후 통증 소실
    3)차가울 때 복통가중 4)열이 있을시 복통가중
A

답: 4
위장을 열이 있을 때 복통가중
위어혈이 있을 때도 복통가중
위장이 기본적으로 열장부이기 때문에 다기다혈이기 때문에 열량이 제일 많다.
한사로 어혈이 잘 생기지 않는다.
대부분 열사로 어혈이 생긴다
사기가 위장으로 들어을 때 열이 제일 많이 나온다.

91
Q
  1. 간의 생리기능은?
    1)조달기기 2)숙강기기 3)평형기기 4)승강기기
A

조달기기

92
Q
  1. 설탕, 사탕을 많이 섭취하면 유발되는 것은 ?
    1)기체 3)혈체 3)습 4)열
A

93
Q
  1. 만성 기관지염과 급성 기관지염의 구분은?
    1)비기허로 인한 만성 기관지염/ 신불납기의 급성 기관지염
    2)외감풍한으로 인한 만성 기관지염/ 담습응체의 급성 기관지염
    3)담습조체로 인한 만성 기관지염/ 담열호결의 급성 기관지염
    4)폐기허로 인한 만성 기관지염/외감풍한의 급성 기관지염
A

답: 4

94
Q
  1. 호흡에 관여하며 기혈을 순환시키는 기는 ?
    1)위기 2)영기 3)종기 4)정기
A

종기

95
Q
  1. 흡기가 힘들다면 어느 장부의 이상인가 ?
    1)간 2)심 3)폐 4)신
A

96
Q
  1. 4세 여자아이, 소변불리, 재채기가 있다. 무슨 기와 관련이 있는가 ?
    1)원기 2)종기 3)원기, 종기 4)원기, 영기
A

4세니까 답: 3

97
Q
  1. 눈 흰자위에 묽은 회색이 보였다. 관련장부는 ?
    1)대장, 소장 2)폐, 대장 3)심, 소장 4)비, 위
A

2번

98
Q
  1. 다음 중 청탁을 선별하는 장부는 ?
    1)방광 2)신 3)소장 4)비
A

소장
淸濁을 선별하는 침자리: 關元(R:4)
關元(R:4)가 건강하면 니가 옳다 내가 옳다를 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