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2 101- Flashcards
- Prozac은 무엇의 재 흡수를 억제하는가 ?
1)세로토닌 2) 에피네프린 3) 히스타민 4) 엔돌핀
답: 1
위벽에서 가장 많이 나온다.
행복하려면 위가 튼튼해야 한다.
- 간을 촉진하는 방법이 맞는 것은 ?
1)정와위로 우측 11. 12 번 늑골 뒤로 손을 넣어 앞으로 밀며 우상복을 촉진
2)정와위로 우측 10, 11 번 늑골 뒤로 손을 넣어 앞으로 밀며 우상복을 촉진
3)횡와위로 우측 11, 12 번 늑골 뒤로 손을 넣어 앞으로 밀며 우상복을 촉진
4)횡와위로 우측 10. 11 번 늑골 뒤로 손을 넣어 앞으로 밀며 우상복을 촉진
답: 1
- 결단력이 부족 남에게 시달리는 꿈을 꾸며 새벽에 깨서 잠들지 못한다. 원인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담허 4) 신음허
담허
심혈허: 잠들기 힘들고 잘잔다
심음허: 잠들기도 힘들고 자주 꺤다
신음허: 잘 자고 자주 꺤다
- 족배(발등) 제 2. 3지 지봉간에서 제 2지 중족관절 전방 요함중에 위치하는 혈은 ?
1)족양명위경의 형혈 2) 족궐음간경의 형혈 3) 족양명위경의 수혈 4) 족궐음간경의 수혈
답: 1
- 태음병의 치료 경락은 ?
1)임맥, 비경, 위경 2) 독맥 비경 위경 3) 엄맥, 위경, 폐경 4) 독맥, 위경, 폐경
태음병: 임맥 ㄱ비경이
비위라 임맥이 기본
답: 1
- 슬개건반사가 없는 무릎 통증이 있다면 ?
l)S1 2)S2 3)L4 4)L5
엘4
- 해수, 다량의 황색 담, 후중담명을 호소하는 환자가 폐경과 위경을 위주로 치료를 받은
후 폐열 증상은 없어지고 담 증상이 아직도 남아 있다. 적당한 치료혈은 ?
1)척택, 중완, 외관 2) 수분, 척택, 곡지
3) 삼음교, 중부, 비수 4) 족삼리, 폐수, 풍륭
가래만 없으면 된다.
풍륭.
- 보중익기탕 증상이 있는 환자가 면잭광백 식욕감소, 컬담백태일 때 합방하면 좋은 방제
는 무엇인가 ?
1)보충익기탕 + 사물탕 2) 보충익기탕 + 사군자탕
3) 보중익기탕 + 귀비탕 4) 보충익기탕 + 평위산
답: 2
- 요슬산연, 이명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금궤신기환융 처방하였는데 증상이 악화되었다. 무
슨 변중의 오치인가 ?
1) 신양허 2) 신청허 3) 신읍허 4) 신기허
신음허
요슬산연 이명은 신허
- 월경을 할 때 암자잭의 혈괴, 작은 덩어리가 나오고 월청칙후에는 힘이 없고 피곤하고 식
욕이 없다. 진단은 ?
1) 간혈어+간혈허 2) 칸혈어+간기허 3) 간혈허+간기허 4) 간혈어+간기체
답: 1
간기허는 없다
- 단맛율 생각하면 토할 것 같다. 쓴맛이 약간 맹긴다. 원인은 ?
1) 토실 2) 화실 3)금실 4) 목허
토실
쓴걸 먹어야 살이 빠진다.
- 현훈, 이명, 앉았다 갑자기 일어설 때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내려간다. 원인은 ?
1) 메니에르병 2) 기립성저혈압 3) 좌심부천 4) 섬실조기수축
답: 2
- 노인성 변비의 주된 원인은 ?
1)기허 2) 양허 3) 대장의 액휴 4) 기체
답: 3
- 낙맥과 경별의 차이점이 맞는 것은 ?
1)경별은 소속혈이 없고, 낙맥은 표리 또는 체표를 연결하며 소속혈이 있다.
2) 경별은 소속혈이 있고, 낙맥은 표리 또는 체표를 연결하며 소속혈이 있다.
3) 경별은 소속혈이 없고, 낙맥은 표리 또는 체표를 연결하며 소속혈이 없다.
4) 경별은 소속혈이 있고 낙맥은 표리 또는 체표를 연결하며 소속혈이 있다.
답: 1
- 소활락단 복용시 술을 같이 복용하면 ?
1) 활혈 2) 거풍 3) 거습 4) 거담
활혈
116 다음 중 맞는 것은 ?
1) 위경은 정명을 지나 비방(鼻旁)을 타고 하행, 상치(上齒)로 진입 돌아와서 구순(口盾)
을돈다
2) 폐경은 중초(中焦)에서 기시하여 하향하여, 대장(大腸)에 연락되며, 대장에서 다시 돌
아와 간을 관통하고 횡격막을 지나서 폐장에 속한다
3) 대장경은 결분(缺盆, 쇄골상와)에서 상향하여 청부에 이르고, 면협을 통과하여 상치(上齒)로
진입한다.
4) 소장경은 위부(胃部)지액이 흉부로 상행하여 다시 횡격막을 지나서, 심중(心中)으로
유주(流注)한다.
116번의 답: 1
- 풍열로 인한 대상포진을 치료하는 혈위는 ?
1) 합곡, 태충 2) 격수, 혈해 3) 지구, 풍시 4) 합곡, 내정
답: 3
- 자궁하수, 자한, 힘든 일을 한 후 발열이 있을 때 치료하는 본초는 ?
1)황기 2) 산약 3) 오수유 4) 부자
기허발열: 황기
- 두통, 구갈 관절산통 식욕부진, 오심, 구토를 유발한 후, 전신발한을 하며 체온이 정상
이 된다. 하루에 1번, 2일에 1번, 3일에 한번 씩 한파 열의 발작이 반복된다. 또한 발작
이 불규칙한 경우도 있다. 심하면 황달, 혈액웅고 장애, 쇼크, 간부천, 급성 뇌병중, 혼수
로 진행된다. 원인은 ?
1) 말라리아 2) 장티푸스 3) 식중독 4)유행성 독감
한열왕래, 말라리아, 소양병, 확실
- 목이 실한 경우의 모자보사혈은 ?
1)태충, 행간 2) 행간, 양보 3) 협계, 충봉 4) 양보, 족임읍
행간을 사한다
답: 2
- 급성폐질환에 사용하면 좋은 혈위는 ?
1) 열결을 보한다 2) 태연을 사한다 3) 공최를 사한다 4) 척택을 보한다
극혈
급성병은 극혈
- 토연말, 탄산, 2달 동안 월청이 없다. 방제는 ?
1) 오수유탕 2) 반하백출천마탕 3) 평위산 4) 월국환
오수유탕
위산이 올라을 때: 옥수유
- 수면은 무엇에 의존하는가 ?
1) 기, 음 2) 기, 혈 3) 혈, 양 4) 읍, 혈
음혈
- 신문을 건네 받는데 손이 떨리고, 멈칫하면서 헛 잡고 비를거리며 걷는다. 무엇의 기농
장애인가?
1)소뇌 2) 대뇌 3) 충뇌 4) 간뇌
소뇌
- 인당의 공효는?
1)거내풍, 지경, 거담 2)거풍, 청열지형, 서근활락
3)거풍열, 화습, 안신, 지경 4)지경, 안신, 거풍
지경, 안신, 거풍
- 수유모에 게 금하는 본초는 ?
1)산사 2) 신콕 3) 곡아 4) 계내금
곡아
- 발열, 인후종롱이 있던 환자가 이하션염에 걸렸다. 진단은 ?
1) 기분중 2) 영분중 3) 혈분중 4) 위분중
기분증
열입소양경: 이하선염
- 발열, 두꺼운 자켓율 입으려 하고 홉다고 호소한다. 두풍, 항강, 구갈, 번조가 있다.
원인은 ?
1) 표한이열 2)표얼이한 3) 음허 4) 양허
표한이열
- 불면, 악몽, 생생한 꿈, 시물모호, 사지마목, 치법은 ?
1) 보심읍, 양간움 2) 청심화 소간이기 3) 청간화 보심혈 4) 보섬혈, 양간혈
간혈허
보심혈, 양간혈
간혈허 있는 사람은 무서워서 자다 깬다
- 딸이 해수, 천식, 누렇고 건조한 가래, 후황니태 가농한 컬상은 ?
1) 강경컬 2) 반대컬 3) 단축설 4) 위연껄
해수 천식이니까 폐
건조한… 열:
폐의 담열.
담이 있으니까 부어야 하니까 반대설이 답
- 단순성갑상선총의 치료방체 및 혈위는 ?
1) 이진탕 + 천툴, 곡지, 풍지, 중저
2) 온담탕 + 협계, 충완, 풍흉, 심수, 신문, 구허
3) 꽤모과루산 + 판원, 충완, 폐수, 열결, 조해, 삼음교
4) 천마구둥음 + 태충, 행간, 풍흉, 협계, 양보, 천충, 슐곡
이진탕
- 신트렴, 오심구토, 활맥, 후니태인 환자의 치료법은 ?
1) 청법 2) 사법 3) 화법 4) 온법
후니태는 실증
사법
- 위음허 증상의 치료 혈위는 ?
1) 삼음교, 태팩, 충완 격수 혈해 2) 중완 족삼리, 태빽, 판원
3) 양문, 하완, 내청, 여태, 내판, 공손 4) 양문, 하완, 간수, 격수, 혈해
답: 2
- 관절산통, 통처이동 홍중이 팔목 발목 팔꿈치 무릎 둥에서 심하다. 판절운동 불리,
혹 오한발열, 껄태박니, 맥은 부긴하다. 치료원칙은 ?
1)거풍, 산한 2) 산한, 화습 3) 활혈, 화습 4) 거풍, 화습
설태박니…
거풍산한
- 관절의 뼈 끝을 싸서 연결하는 막이면서 상피세포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
1) 활막(synovial membrane) 2) 챔막 3) 장막 4) 표피
답: 1
- 관상동맥질환에 쓰는 본초는 ?
1) 흉화, 천궁 2) 단삼, 적작 3) 도인, 대황 4) 우솔, 익모초
단삼, 적작
- 암벽을 등반하다 극하근, 소원근이 손상되었다. 치료 혈위가 맞게 구성된 것은 ?
1) 견우, 천종, 견료, 거궐, 곡지, 합곡
2) 격수, 담수, 견청, 견료
3) 척택, 태연, 곡지, 합곡
4) 합곡, 수삼리
답: 1
- 완관절의 통증이 있고 부어있다. 자침하면 좋은 혈위는 ?
1) 외판, 양지 2) 구허, 곤륜 3) 합곡, 곡지 4) 견정, 견우
외관, 양지
손목등이 부었다.
구허, 곤륜은 과관절. 발목관절
합곡,곡지는 주관절
견정, 견우는 견관절
- 심장병 관련 환자, 와파린을 복용하고 있고, 허리가 아파 내원했다. 한의학적으로 치료할
수
없는 방법은 ?
1)요부에 부항 2) 뜸 2) 침 4) 압통첨에 마사지
와파린은 부항이 안된다
- 스케이트 선수, 얼음 위에서 연습을 하다 머리부터 얼음에 부딪쳐 넘어진 후 심한 두통,
구토, 서서히 의식이 소실된다. 원인은 ?
1) 지주막하출혈 2) 소뇌출혈 3) 간뇌의 이상 4) 중뇌의 이상
지주막
- 파킨슨병의 증상이 맞는 것온 ?
1) 손이 주기적으로 떨리고 허리를 앞으로 구부정한 상태에서 걷는다.
2) 손이 비주기적으로 떨리고 허리를 앞으로 구부정한 상태에서 걷는다.
3) 안정시 진전은 없고, 통이 굽어있고 종종걸음을 걸으며 보폭이 좁아진다.
4) 안정시 진전이 있고, 둥이 굽어있고 종종걸음을 걸으며 보폭이 첨첨 넓어진다.
답: 1
- 눈에 질환이 있을 때 치료하면 좋은 경락은 ?
1) 간, 비, 신 2) 폐, 비, 신 3) 심, 방, 위 4) 심, 방, 비
심방위
- 다발성경화중 (MS) 환자, 복부창만, 변당, 피로 사지무력 복부의 둔한 통증이 있다.
산부인과에서는 자궁근종으로 진단했다. 원인은 ?
1) 비기허+무형의 담 2) 비기허+하초어혈 3) 비기허+유형의 담 4) 비기허+기
복부에 둔한 통증이 있다.
비기허, 무형의 담
자궁근종도 무형의 담.
여자가 얼굴 하얗고, 소화안되면 자궁근종이 있다
- 외상을 입은 후 기첨 후 흉통 좌늑간 부위 청진시 긁는 소리가 난다. 원인은 ?
1) 기흉 2) 심장판막이상 3) 폐렴 4)우심부전
기흉.
- 류머티즘의 진단 ?
1)백혈구의 증가, 적혈구첨강속도 항진, ASLO 테스트에 의한 항체가의 상승
2)초기에는 유주성을 나타내는데 점차 판절이 강직 변형되고, 지판철이 방추형으로 종대된다.
백혈구수는 약간 증가, 적혈구침강속도는 항진, 근위축, 근경련 둥의 증상수반
3)고관절, 척추판절, 무릎판철이며 발열이나 판철주위의 종창은 없고 강직, 변형, 근위축
둥이 있다. 백혈구수 및 적혈구 첨강속도 (ESR)는 청상이다
4)기초대사 항진 혈장단백결합요오드 (PB I)가 정상치를 초과한다
답: 1
3번은 골관절염
4번은 갑상선 기능 항진
- 관상동맥질환을 앓고 있는 할머니, 하복부에 딱딱한 덩어리가 박동감이 있다. 원인은 ?
1) 대동맥류 2) 대동맥박리 3) 좌심부전 4) 협심증
답: 1
- 봄만 되면 아이가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임, 가려옴중(인양)을 호소한다. 간헐적인
두통도 있다. 원인은 ?
1) 풍한 2) 풍열 3) 풍조 4) 풍습
알레르기 비염은 꽃가루, 먼지, 진드기 통이 원인이며 재채기, 맘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독특한
네가지 주증상을 특정으로 하는 만성 질환이다. 심한 경우에는 눈부심, 과도한 눈물, 전두통 둥의 증상이
같이 생기기도 한다. 꽃가루, 먼지, 진드기 등의항원과 IRE의 면역반응으로 조직 내 비반세포(히스타민을
분비하는 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이 분비되면 염증반응이 일어나서 재채기, 코막힘 둥의 증상이 유발되는
것입니다
답: 1
맑은 콧물이니까.
- 환자가 누렇고 악취나는 끈적끈적한 백대하가 나온다. 원인은 ?
1) 습열 2) 열독 3) 한습 4) 허한
습열
- 해수를 치료할 때 부항을 하면 좋은 혈위는 ?
1)폐수, 풍문 2) 중부, 운문 3) 중부, 태연 4) 열결, 태연
폐수, 풍문
- 슬관절의 통증, 비오고 흐린 날에 심해진다. 설과 맥은 ?
1) 박백태, 부긴 2) 박황태 부삭 3) 니태 맥유완 4) 박백태, 맥현긴
습비니까 3번
4번은.. 현긴이니까 한비.
2번은 풍열비
- 편두통, 밤에 심하고, 칼로 베는 듯한 통증이 있다. 방제는 ?
1)천마구등음 2) 용담사간탕 3)사물탕 4) 혈부축어탕
어혈
혈부축어탕
- 갑자기 양이 많은 묽은 백대하가 나오기 시작한다. 원인은 ?
1) 실한 2) 한습 3) 허한 4) 기허
한습
백대하니까.
실한은 생선비린내 + 악취
허한도 비린내. 한증은 다 비린내인데, 실증은 악취가 심하다.
열증은 황대하가 나온다.
백대하의 소량은 정상.
- 신음허 환자가 열증과 구갈이 심하고, 소변이 많이 나을 때 쓸 수 있는 것은 ? *
1) 지골피, 생지황, 과루근(천화분) 2) 시호, 당귀, 오미자
3) 구기자, 국화 4) 숙지황을 빼고 백출, 계내금, 사인
당뇨
1번
열증은 지골피 생질황으로
- 간혈허의 침구치료 혈위는 ?
1) 비수, 간수, 신수, 궐음수, 격수 2) 간수, 신수 태충, 곡천, 외판, 협계, 양보, 태양
3) 태충, 행간, 태양, 풍지, 본신 4) 양릉천, 태충 격수, 혈해, 외판, 풍부, 백회
답: 1
- 설사, 구토 증상을 평위산으로 치료, 2주 후 증상이 더욱 악화되었다. 지금 사용해야 할
방제는 ?
1)반하사심탕 2) 곽향정기산 3) 인삼패독산 4) 지수산
구토니까 반하사심탕
비구리
요즘 위장병에 반하사심탕이 좋다.
- 시신경염에 쓰는 약의 종류 및 부작용은 ?
1) 오심, 구토, 설사, 이명, 청각장애, 빈혈, 저칼륨증
2) 스트로이드계 항염증제, 근육마목(쇠약)
3) 서맥, 울혈성 심부전중
4) T3, T4 농도가 낮은 갑상선종, 갑상선 기능저하증
답: 2
- 4세의 어린 여자 아이가 소변불리, 잦은 재채기가 있다. 무슨 기와 관련되어 있는가?
1)원기 2) 종기 3) 원기, 종기 4) 원기, 영기
원기 종기
- 기침, 가래, 뼈 속 깊은 곳의 통증, 두통, 오심, 구토가 있다. 원인은 ?
1)암 2) 폐결핵 3) 기관지확장증 4) 폐색전
암
- 환자에게 먼 곳을 보게 한 다음 여섯 방향으로 환자의 미간에서 10-20cm 앞에 둔
검사자의 손가락 또는 연필을 재빠르게 웅시하도록 했다. 다음 중 맞는 것은 ?
l) III 번 뇌신경의 검사이며, 정상의 경우 동공의 크기가 수축한다.
2) I 번 뇌신경의 검사이며, 정상의 경우 동공의 크기가 수축한다.
3) II 번 뇌신경의 검사이며, 청상의 경우 동공의 크기가 수축한다.
4) V 번 뇌신청의 검사이며, 청상의 경우 동공의 크기가 수축한다.
1번
- 47 세 여성, 심장마비로 기절한 후 심방세동이 있다. 치료 약은 ?
l)Inderal 2)Digoxin(Digitalis) 3)Nitroglycerin 4)Diltiazem
답: 2
- 수회혈의 위치는 ?
1)외과상 5촌, 비골후연 장단비골근건 사이
2)외과상 3촌, 비골후연 장단비골근건 사이의 요함부
3)외과상 4촌, 비골전연 장단비골근건 사이
4)외과상 7촌, 비골전연 장단비골근건 사이의 요함부
3현종
2
- 만성 신부전 환자 금기는 ?
1)단백질 2) 지방 3) 칼슘 4) 철분
단백질
- 월경통에 좋은 비경의 혈의 위치는 ?
1) 음릉천 아래 3촌 2) 삼음교 위로 3촌 3) 혈해 위로 2촌 4) 제 1중족골 기저부
전하연
3지기
답: 1
- 실어증. 전광, 간증, 인후종통, 폭음을 치료하는 낙혈의 위치는 ?
1)외과상 8촌 조구외측 1 횡지
2)상완이두근건 요측
3)요골 경상돌기 상방, 완횡문상 1. 5촌
4)태계직하 1 촌, 종골결절 내측 전상부 요함부
풍륭
답: 1
- 흉통, 트림, 탄산, 불면, 구토 후 복통 감소는 ?
1)식체 2)위열 3)기체 4)한습
식체
- 월경부정기, 월경량이 적고 약간의 통증, 여드름, 다모증, 지루성피부염, 기능성자궁출혈이
있다. 원인은 ?
1)폐경 2)무월경 3) 월경 증후군 4)다낭성난소증후군
답: 4
- 50세 여성 환자, 임증, 소변단적, 혈뇨 등을 호소한다면 치료혈위는 ?*
1) 중극, 방광수, 관원, 신수, 태계 2) 중극 방광수 음릉천, 위양
3) 중극, 방광수, 양릉천, 지양 4) 중극, 방광수, 차료, 지기, 곡지, 대추
소변, 단적, 혈료니까 습열 / 답: 2
지양은 황달에 쓴다. 소변이랑 아무 상관없다.
- 다음 중 다발성 신경염의 원인이 되는 비타민 결핍은 ?*
1)비타민 C 2) 비타민 B1 3) 비타민 D 4) 비타민 K
답: 2
- 나비모양의 반진(홍반)은 ?
1)전신성흥반성 루퍼스 2) 다발성신경염 3) 골관절염 4) 대상포진
답: 1
- 환자가 통증이 심해 걷기가 힘들며 통증이 왼쪽 하지로 방사된다. 걸을 때 보폭이 짧고,
고관절 신전시 사타구니 부위의 통증이 악화되고 무릎 부위도 아프다. 원인은 ?
1)고관절통 2) 좌골신경통 3) 천장관절의 이상 4) 파킨슨병
답: 1
사탇구니에서 무릎까지 아픈 ㄷ것
- 식욕이 없고 수프만 먹은 환자가 물을 먹기 싫어한다. 설태는 백활태, 맥은 느렸다.
진단은?*
1)위한 2) 비기허 3) 위음허 4) 비위습열
백활태도 한증. 느린 것도 한증.
위한.
- 좌골신경통의 증상이 맞는 것은 ?*
1)한쪽 엄지발가락의 배굴력 저하 아킬레스건 반사소실, 엉덩이 근육장력 미약, 무릎오금,
종아리(장딴지), 발뒤꿈치. 발목. 발등, 발바닥까지 땡기거나 저리면서 통증
2) 한쪽 엄지발가락의 배굴력 저하, 아킬레스건 반사증가, 엉덩이 근육장력 미약, 무릎오금,
종아리(장딴지), 발뒤꿈치, 발목, 발등, 발바닥까지 땡기거나 저리면서 통증
3) 한쪽 엄지발가락의 배굴력 저하, 아킬레스건 반사소실, 엉덩이 근육장력 미약, 무릎앞면,
종아리(장딴지), 발뒤꿈치, 발목, 발등, 발바닥까지 땡기거나 저리면서 통증
4) 한쪽 엄지발가락의 배굴력 저하, 아킬레스건 반사증가, 영덩이 근육장력 미약, 무릎앞면,
종아리(장딴지), 발뒤꿈치, 발목, 발등, 발바닥까지 땡기거나 저리면서 통증
답: 1
- 다음 중 혀 전면의 2/3 의 맛의 감각이 없고 눈물 부족, 입이 마르다. 어느 뇌신경의
이상인가?
1) 7 번 뇌신경 2)5 번 뇌신경 3)2 번 뇌신경 4)3 번 뇌신경
답: 1
- 생맥산을 쓰려는데 관상동맥질환이 있다. 추가하면 좋은 본초는 ?
1)홍화, 천궁을 중량, 단삼, 적작을 추가 2) 울금, 단삼을 추가
3)자감초를 밀자, 단삼, 홍화, 적작약을 추가 4) 우슬, 택란, 익모초를 추가
답: 3
자감초
- 길고 가는 변이 연필 같은 모양이다. 원인은 ?
1)비기허 2) 비양허 3) 신양허 4) 대장한
비기허
- 처음에는 단단하던 변이 나중에는 형체가 없다. 원인은 ?*
1) 비기허 2) 비양허 3) 간기범비 4) 대장한
형체가 없다. 비양허
- 일반적으로 두통이 은은하고 공통 (empty) 인 경우는 ?*
1)혈허 2) 음허허열 3) 기허 4) 양허
공통은 신허. 신음허 허열.
2번
- 일반적으로 두통이 가볍고 과로 또는 장시간 서있으면 촉발되거나 악화되는 것은 ?*
1)혈허 2) 음허허열 3) 기허 4) 양허
기허
서 있으면 악화되는 것
- 두통이 머릿 속 깊이 있고 소변이 약간 어둡다. 원인은 ?*
1)신허 2) 풍한 3) 풍열 4) 비습
소변이 어둡다: 풍열
풍한은 소변 정상, 혹은 청.
- 딱딱한 수종은 ?
1)양 2) 음 3) 실 4) 허
딱딱이 양
부드러운게 음
답: 1
- 혈부축어탕을 쓰려는데 관상동맥질환이 있다. 적절한 가감은 ?
1)홍화, 천궁을 증량, 단삼, 적작을 추가 2) 울금, 단삼을 추가
3)자감초를 밀자, 단삼, 홍화, 적작약을 추가 4) 우슬, 택란, 익모초를 추가
답: 1
3번은 생맥산에서 관상동맥이 있는 것.
- 50세 여성, 약을 복용 후 우울증, 어깨가 아프고 한쪽 팔이 저리며, 불면이 있다고 한다.
무슨 약의 부작용일까 ?
l)Premarin 2)Digoxin 3)Laxix 4)Lithium
답: 4
- 하지외측의 근육긴장에 자침하면 좋은 혈은 ?
1)부양 2) 조해 3) 대맥 4) 공손
답: 1
- Hip Joint 의 통증이 대퇴부로 내려갈 때의 치료혈이 가장 적절한 것은 ?*
1) 환도, 거료, 현종, 질변, 승부, 양릉천 2) 환도, 거료, 현종, 승산, 비양
3) 질변, 승부, 양릉천, 승산, 비양 4) 질변, 승부, 양릉천, 대맥, 오추, 유도
답: 1
- Hip Joint 의 통증이 소퇴부로 내려갈 때의 치료혈이 가장 적절한 것은 ?*
1) 환도, 거료, 현종, 질변, 승부, 양릉천 2) 환도, 거료, 현종, 승산, 비양
3) 질변, 승부, 양릉천, 승산, 비양 4) 질변, 승부, 양릉천, 대맥, 오추, 유도
소퇴는 승산 비양 있는 곳.
답: 2
- 혈압을 상승시키며 shock를 치료하는 혈은 ?*
1) 교감 2) 갑상선 3) 신문 4) 심
갑상선
- 혈압을 하강시키며 shock를 치료하는 혈은 ?
1)교감 2) 갑상선 3) 신문 4) 심
교감
- 위장질환의 원근 취혈은 ?*
1)위수, 중완, 내관, 족삼리 2) 합곡, 내정, 천추 상거허
3)족삼리, 상거허, 천추, 관원 4) 상완, 공손, 양구, 양문
답: 1
- 상복부 질환의 원근 취혈은 ?
1)비수, 풍륭, 내관, 족삼리 2) 중완, 양문, 내관, 족삼리
3)족삼리, 상거허, 천추, 관원 4) 합곡, 내정, 천추 상거허
답: 2
- 협심증 치료제는 ?
l)Fluoxetine(Prozac) 2)Propranolol(!nderal) 3)Nitroglycerine 4)Colchicine
답: 3
- 스트레스로 증가되는 호르몬은 ?
l)Testesterone, estrogen, thyroxine 2)catecholamine, cortisol, ACTH
3)Testesterone, estrogen, cortisol 4)catecholamine, estrogen, cortisol
1번은 스트레스로 감소된
답: 2
- 엄지, 식지의 이상은 ?
1)C6 2)C7 3)C8 4)T1, C5
답: 1
- 중지의 이상은 ???
1)C6 2)C7 3)C8 4)T1, C5
답: 2
- 약지, 소지의 이상은 ?
1)C6 2)C7 3)C8 4)T1, C5
답: 3
- 전완외측의 이상은 ?
1)C6 2)C7 3)C8 4)T1, C5
답: 3
- 무릎 및 소퇴, 발 내측의 이상은 ?
1)L3 2)L4 3)L5 4)L2
답: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