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침구개론 (1-70/202문제) Flashcards
- 다음 중 내과첨단에서 5촌 직상하는 곳에 있으며, 경골 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 곳을 지나는 신경은 ?
1)요골신경 2)비골신경 3)좌골신경 4)복재신경
혈자리는 5려구. 5려구(내5경내).
벌레가 갉아 먹은 것 같은, 음부소양의 요혈. 생식기 가려울 때.
또랑 “구 이기 때문에, 도랑엔 습이 많이 고이기 때문에 한체간맥을 다스린다.
그래서 5려구 위에, 7중도.
이 둘은 복재신경이 지나간다.
- 방광경의 모혈 위치는 ?
1)제하 l촌 2)제하 2촌 3)제하 3촌 4)제하 4촌
혈자리 이름은 시험에 안나온다. 위치를 알아야 한다.
4중극. 답: 4
사중대는 귀대하라라고 외웠다.
(4中極(R:3) 방광모)
- 내관의 공효는 ?
1)영심안신, 이기진통 2)통심기, 청심화
3)조심기, 안신, 화위거담 4)청심영신, 화위관흉
4번은 대능혈을 말함.
안심하면서 진통에 쓴다. 답: 1
2번이 곡택
3번은 간사
1번 3번을 알아두면 좋겠다.
- 실음시 염천과 함께 사용하는 혈은 ?
1)통리 2)풍륭 3)태연 4)척택
아문, 통천, 통리.
통리는 말하는 것을 주관, 심장의 기를 보를 해서 말을 많이 하기도 하고
사를 하면 심장의 열을 꺼서 조용히 시키기도 하고
1통리.
- 심기를 보하는 혈의 위치는 ???
1)완횡문상 1촌 2)완횡문상 3촌 3)완횡문상 2.5촌 4)완횡문상 4촌
- 흉격창만, 실음에 자침하면 좋은 혈위는?
1) 완횡문 척측단, 척측완 굴근건의 요측 요함중
2) 외과첨상8촌, 조구외, 경골 전연방 2횡지
3) 앙장, 척측완 굴근건의 요측, 완횡문 상 1촌
4) 미악권, 척측, 제5장지관절후연, 먼쪽 장횡문두 적백육제
3번. 1통리.
수소음심경 락혈
- 실음의 치료는 ?
1)통리를 사한다 2)신문을 보한다 3)신문을 사한다 4)통리를 보한다.
락맥이 허할 때의 실음.
락맥의 허증.
1통리를 보한다.
- 담경의 수혈(수혈)이면서, 간경으로 가는 지맥이 갈라지는 혈은 ?
1)제 4, 5 중족 결합부 전방 요함중, 소지신근건의 외측
2)외과전하방, 장지신근건의 외측
3)외과첨단 상 3촌, 비골의 후연
4)족배 4. 5지 지봉사이, 지복연의 후방
足臨泣(GB:41)
은
1.기경팔맥의 대맥을 다스린다.
2. 학질에서 했다. 시호의 역할. 소양화해.
학질은 풍府(DU:16)
로 들어온다.
풍府(DU:16)
로 들어와서 경추가 7개 있고 흉추가 12개, 요추가 5개라서 25일이면 꼬리뼈까지 들어온다.
경추7번에 오면
太양(EX:1) 양명 소양병인데, 소양병에 있다가 7번 경추의 면역이 약하면 태음, 소음 궐음으로 들어간다.
학질은 소양병인에 경추 7번에서 진입을 하면 태음, 소음, 궐음으로 들어간다.
T1에서 뼈나 등으로 들어간다.
C7은 大椎(DU:14)
. T1은 도도.
도도혈에 진입하면, 학질이 말라리아가 뼈를 타고 왔다 갔다한다.
궐음으로 들어오면 밤에 돌아다니고
낮엔 뼈, 등뼈를 타고 다닌다.
학질의 본거지는 소양경. 소양경은 측면.
소양의 본거지를 두면서, 소양다음에 태음이니까 C7로 가기도 하고
밤낮으로 다니는 길이 달라진다.
그래서 옛날사람들이 경락학적으로 학질이 다니는 길을 알았다.
학질이 공격할 때, 근거지를 없애는 것이 중요한데, 근거지 없애는 것이 足臨泣(GB:41)
, 液門(SJ:2)
.
그리고 태음, 소음, 궐음..
수삼음의 交會혈이 間使(PC:5)
. 그래서 間使(PC:5)
를 자침.
낮에 등뼈를 돌아다닐 때, 督脈을 자침하는데…
督脈의 계통이면서 방광경의 交會혈이 후계(SI:3)
. 그래서 낮에는 후계(SI:3)을 자침.
大椎(DU:14)
나 도도를 자침해서 보초를 세워둔다.
의사는 병마의 길을 알아서 싸워야 한다는 것.
T2까지는 최전방. 해표하는 기능을 이때 써야 한다.
大杼(UB:11)
, 부분, 풍府(DU:16)
든 다 최전방.
T2로 들어가면서 이증이 되서 폐수로 들어간다.
발목 삐었을 때는 足臨泣(GB:41)
보다는 丘墟(GB:40)을 많이 쓴다
足臨泣(GB:41)
이 소양화해. (足臨泣(GB:41)
, 液門(SJ:2)
)
3. 足臨泣(GB:41)
은 회유의 요혈.
足臨泣(GB:41)
과 광명.
모유라는 것이 간에서도 나오지만 임파와
관계가 깊다.
임파쪽은 경락쪽으로 소양경
足臨泣(GB:41)
이 임파액을 다스린다.
그래서 유방이 임파쪽으로 붓는데,
足臨泣(GB:41)
이 그걸 다스린다.
광명은 소양상화. 불이다.
그래서 뜸을 떠서 말린다.
물을 조절하려면 불로 해야 하니까.
그리고 브라자 속에 양배추를 넣어라. 소염진통을 한다.
토승수의 원리고 약은 사물탕에다가 맥아를 쓴다.
그리고 침은 足臨泣(GB:41)
과 광명.
통증이 심하면 유방은 놓을 수 없으니까, 유방을 주관하는게 우물정자 견정. 담경의 견정.
멍울을 직접 찌르면 되는데 남자는 좀 그러니까 뜸뜨고 견정놓고, 열있는 사람들은 황금황련, 시호 넣고.
- 목소리가 잘 안나오는 경우 쓸 수 있는 혈은 ?
1)완골, 구허 2)영도. 경거, 간사 3)위중, 소충, 소부 4)지음, 소상, 어제
목소리가 안나오는 것은 오수혈의 작용.
정형수경합이니까,
정형은 오수혈에서 목.
오수혈은 몸으로 들어오려는 기운.
천기, 地機(SP:8)
, 인기, 육음이 들어오는데, 밖에서 몸에 타고 들어온다. 그걸 5단계로 구분한게 오수혈.
합혈에서 완전 중화가 되서 들어온다.
밀물 썰물이 만나는 곳이 합혈. 거기가 탁하고 고기도 많다.
곡택, 음陵泉(SP:9)
, 양陵泉(GB:34)가 다 그런 혈자리.
그래서 내 정기가 강하면 육음이 못들어온다.
그러면, 정형수경합은 정혈은 언제 따나? 急性병에 딴다.
심하만, 체했을 때.
滎혈은
심장, 색, 신지
수혈은 관절염경,은 금이니까 해수 한열 목소리
수혈, 합혈은
수기운이 강하면 수승화강의 밸런스가 무너진다. 그러면 기가 상역한다.
위기상역, 폐기상역이 생기는데 그걸 다스린다. 총칭해서 역기이설.
위기상역이라면 足三里(ST:36)
폐기상역이라면 곡택
그래서 오수혈에서 목소리가
안나오면 금혈
심장의 금혈…. 영도금
웃는 듯이 말할 때, 슬픈듯이
말할 때가 침으로 된다.
그래서 답이.. 2
- 임맥의 혈위 중 0.5-1촌 자침하는 혈위가 맞는 것은 ?
1)수분 2)중완 3)거궐 4)구미
1수분510 이 답.
수분은 수도를 통제
- 영향의 자침법은 ?
1)0.3-0.5촌 사자 또는 횡자 2)0.2-0.3촌 직자 3)0.1-0.3촌 직자 4)0.2-0.3촌 횡자
답: 1
- 갑자기 목이 쉬며 말이 안나오며 두통을 호소할 때 쓰면 좋은 혈은 ?
1)대추 2)도도 3)아문 4)풍부
아문
- 거풍해표, 청열. 보양하며 양경에 이로운 혈은 ?
1)곤륜 2)대추 3)풍지 4)장운
해표니까 大椎(DU:14) 아니면 풍池(GB:20)
보양이니까 大椎(DU:14)
에 뜸을 뜨면 보양하고…
답: 2
- 양명경의 원혈은 ?
1)합곡, 족삼리 2)합곡, 충양 3)충양, 곡지 4)족삼리, 곡지
합곡, 충양
- 급성기관지염을 치료하는 혈은 ???
1) 태연과 척택의 연결선상에서 완횡문상 7촌
2) 완횡문 요측단, 요골동맥 요측 요함부
3) 팔을 굽혔을 때 주와 횡문상, 상완이두근건의 요측
4) 태연과 척택의 연결선상에서 완횡문 위로 7촌, 0.5-1촌
- 急性병엔 극혈을 쓴다.
- 진통으로도 극혈을 쓴다.
- 지혈
답: 4 (7극공최)
출혈이 생겼을 때 극혈을 쓰면 혈관을 수축한다.
극혈이 이런 역할을 한다.
혈소판을 증가시키진 않는다. 그건 격수나 혈海(SP:10)
, 隱白(SP:1)
이고.
- 월경부조, 협륵통, 유방창통 족부 종통을 치료하는 혈은 ?
1) 4, 5중족골 결합부 전방 요함중, 소지신근건 외측
2) 0.5-0.8촌 직자한다.
3) 광명과 배합하면 최유작용이 있다
4) 내안각통을 치료한다
足臨泣(GB:41)
답: 1
- 다음 중 가장 깊이 자침하는 혈은 ?
1)신맥 2)열결 3)족임읍 4)외관
답: 2외관락.
- 2늑간과 수평선상에 있는 혈은?
1)자궁, 신장, 옥예 2) 하완, 상곡, 수도 3) 중극, 대혁, 관원 4) 거궐, 불용, 상완
자궁 신장 옥예
- 장심(손바닥)을 가슴으로 향하게 하여 취혈하는 혈은 ?
1)수태양경의 극혈 2)수태양경의 낙혈 3)독맥의 팔맥교회혈 4)임맥의 팔맥교회혈
수태양소장경의 극혈, 양로
답:1
- 수태양경의 극혈이며, 척골소두 배면, 척골 경상돌기 요측 골봉에 있는 혈의 취혈법은 ???
1)팔꿈치를 굽혀 손을 가슴에 댄 후 손바닥을 아래로 향한다
2)팔꿈치를 굽혀 손을 가슴에 댄다
3)팔꿈치를 굽혀 손을 가슴에 댄 후 손바닥을 위로 향한다
4)팔꿈치를 펴고 손을 가슴에 댄다
양로.답:2
(3번 아닌가?)
- 대장경의 극혈의 취혈 및 자침법은 ?
1)양계 위로 5촌, 팔을 구부리고 요골을 위로, 요측이 상방으로 향한다
2)양계 위로 5촌, 팔을 구부리고 요골을 위로, 요측이 하방으로 향한다
3)양계 위로 3촌, 팔을 구부리고 요골을 위로, 요측이 하방으로 향한다
4)양계 위로 3촌, 팔을 구부리고 요골을 위로, 요측이 상방으로 향한다
5온류
답: 1
- 다음 중 비경의 교회혈이 맞는 것은?
1)족양명과 족궐음경의 합혈 2)족궐음경과 족소양경의 모혈
3)족소양경과 족궐음경의 합혈 4)족소양경과 족소음경의 모혈
답:2
족궐음간경의 모혈이 기문.
족소양담경의 모혈이 일월.
기문, 일월이 비경과 교회한다.
- 삼초경의 경혈(화)은 ?
1)수배 횡문상 2촌 2)수배 횡문상 3촌 3)수배 횡문상 1. 5촌 4)수배 횡문상 4촌
33지구
답: 2
- 허리가 아픈 사람을 육부하합혈로 치료하려면 ?
1)담경의 하합혈 양릉천 2)방광경의 하합혈 위중(UB:40)
3)삼초의 하합혈 위양 4)소장의 하합혈 하거허(ST:39)
委中(UB:40)
답:2
- 기체로 인해 흉통, 유즙소, 흉부가 답답할 때 흉부의 기를 소통시켜주며 팔회혈에 속하는
혈은 ?
21)완횡문상 2촌, 장장근건과 요측수근굴근건 사이 2)배꼽하 1.5촌
3)4늑간과 수평, 양쪽 유두 연결선의 중앙 4)제 1, 2중족골 사이
답: 3
모유 안나을 때
유즙소: 소택, 전중, 유근.
끊을 때는 맥아
나옫게 할 때는 족발
소택은 소장경에서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
소장에서 흡수해서 간문맥을 따라 간을 지나서 유방까지 올라간다.
그러면 소택에서는 소장의 흡수율을 증가시킨다.
유방의 유근에서 만나면 신속히 소장일 우유로 만든다.
기가 먼저 나와야 물질이 나오니까, 기를 돌리는 혈이 전중혈
소택으로 물질을 만들고, 전중로 기를 돌린다.
답: 3. 전중
- 장회혈과 부회혈의 위치는 ?
1) 측복부에서 11늑골단 하제, 신궐 위로 3촌
2) 측복부에서 12늑골단 하제, 신궐 위로 4촌
3) 측복부에서 11늑골단 하제, 신궐 위로 4촌
4) 측복부에서 12늑골단 하제, 거궐 아래 2촌
장회혈: 11장문
腑회혈: 4중완
답: 3
- 측요부에서 12늑골단 하제에 있는 혈은 ?
1)신경의 모혈 2)비경의 모혈 3)간경의 모혈 4)담경의 모혈
12경문
답: 1
- 수소양경의 낙혈의 위치는?
1)완배횡문상2촌, 양지(SJ:4)
와 주첨의 연선상, 요골과 척골사이
2)측완굴주, 양계와 곡지(LI:11)
의 연선상, 완횡문상3촌처
3)완배횡문상 3촌, 양지(SJ:4)
와 주첨의 연선상, 요골과 척골사이
4)완배횡문상, 지총선근건의 척측 요함중
2외관락. 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