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흡수장애, 삼킴곤란 by prof. 박준석) Flashcards

1
Q

흡수장애에서 지방 흡수가 안 되면 나타나는 대변 소견은?

A

기름지고 악취나는 대변 (지방변, steatorrhe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소장에서 비타민 B12가 흡수되는 부위는?

A

회장(ileu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담즙산은 어디에서 생성되고, 어디에서 재흡수되는가?

A

간에서 생성, 회장에서 재흡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소장에서 수용성 물질은 어디로 흡수되는가?

A

혈관으로 흡수되어 간문맥으로 이동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지방산과 지용성 비타민은 어디로 흡수되는가?

A

Chylomicron 형태로 림프관 → 흉관 → 정맥으로 이동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단당류 중 fructose는 어떤 수송체를 통해 흡수되는가?

A

GLUT5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Glucose와 Galactose는 어떤 수송체를 통해 흡수되는가?

A

SGLT1 (Na+ 공동수송)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장내 세균이 Vit B12를 소비하고 folate를 합성하는 질환은?

A

SIBO (소장 세균 과증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Vit B12 결핍과 함께 folate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의심 질환은?

A

SIB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췌장 Lipase 결핍 시 흡수장애는 어떤 양상?

A

지방 소화 불가 → 지방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소장에서 철분과 칼슘이 주로 흡수되는 부위는?

A

Duodenu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Lactase 결핍 시 나타나는 증상은?

A

유당불내증: 설사, 복부팽만, 가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Celiac disease에서 주된 병리 변화는?

A

소장 융모 위축 → 흡수 표면적 감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D-xylose test가 흡수장애를 나타내는 경우는?

A

소장 점막 손상 시 (예: Celiac)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Schilling test는 어떤 흡수장애를 진단하는가?

A

Vit B12 흡수 장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α1-antitrypsin clearance는 어떤 질환의 진단에 쓰이나?

A

단백질 소실성 장질환 (PL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소장에서 아미노산은 어떤 방식으로 흡수되는가?

A

Na+ 의존 능동수송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Dipeptide, Tripeptide는 어떤 수송체를 통해 흡수되는가?

A

PEPT1 (H+ 의존 수송)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Short bowel syndrome에서 가장 중요한 병태생리는?

A

흡수 표면적 부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SIBO에서 Vit B12 흡수가 저하되는 이유는?

A

세균이 B12를 소비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회장 절제 후 발생할 수 있는 흡수장애는?

A

Vit B12 결핍, 담즙산 재흡수 장애 → 지방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담즙산이 부족할 때 지방은 어떻게 되는가?

A

Micelle 형성 불가 → 지방 흡수 실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흡수장애 환자에서 신장 결석이 생기는 이유는?

A

지방산이 칼슘을 결합 → Oxalate 흡수↑ → 결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GLUT5는 어떤 수송방식으로 작동하는가?

A

촉진확산 (facilitated diffusio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SGLT1은 어떤 수송방식으로 작동하는가?

A

2차 능동수송 (Na+ gradient 이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Brush border 효소가 손상되면 어떤 증상이 생길 수 있는가?

A

이당류 소화 장애 → 삼투성 설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유당불내증 진단에 사용되는 검사법은?

A

H₂ breath tes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Short bowel 환자에서 설사를 줄이기 위한 약물은?

A

Loperamide, Codeine (지사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단백질 흡수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혈액 소견은?

A

저알부민혈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Chylomicron을 형성하지 못하는 질환은?

A

Abetalipoproteinemi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소장에서 Trypsinogen을 활성화시키는 효소는?

A

Enteropeptidas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Protein-losing enteropathy에서 나타나는 소견은?

A

저알부민혈증, 부종, α1-antitrypsin clearanc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SIBO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생제는?

A

Rifaximi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4
Q

GLUT2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A

소장 세포에서 혈관으로 Glc, Gal, Fru 방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5
Q

장 림프관 확장증에서 흡수장애가 생기는 이유는?

A

Chylomicron 이동 경로 차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6
Q

Celiac disease에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은 어떤 단백질에 반응하는가?

A

글루텐 중 gliadi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7
Q

췌장염에서 생기는 주요 소화효소 결핍은?

A

Lipase, Trypsin 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8
Q

MCT 오일이 흡수되는 경로는?

A

림프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간문맥으로 이동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9
Q

D-lactic acidosis는 어떤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가?

A

Short bowel syndrome

✅ 정의부터 시작하자

> D-lactic acidosis는 탄수화물이 대장이나 남은 소장에서 세균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발효되면서,우리 몸에서 정상적으로 대사되지 않는 D-형 젖산(D-lactate)이 과도하게 생성되고 축적되는 대사성 산증이야.

🔬 왜 D-lactate인가요? L-lactate와 다른가요?

🧬 병태생리 요약

🚨 발생 조건

  1. 소장 기능↓ or 절제 → 탄수화물 충분히 흡수되지 못하고
  2. 탄수화물이 말단 회장이나 대장까지 도달
  3. 그곳에 있는 세균들이 이걸 발효
  4. D-lactate 생성 → 흡수 → 혈액 내 축적
  5. D-lactate는 배출되지도, 대사되지도 못해 → 대사성 산증

🤕 누가 걸릴 수 있을까?

  • Short bowel syndrome 환자
  • 장루를 가진 환자
  • 대량 탄수화물(특히 단당류) 섭취한 사람
  • 장 기능 저하 + 세균 과증식(SIBO) 동반 환자

🔍 증상

🧠 신경 증상이 포인트!

| 분류 | 증상 예시 |
| — | — |
| 신경학적 | 혼돈(confusion), 기억장애, 발음이 어눌함(slurred speech), 경련, 보행 이상 (ataxia) |
| 위장관 | 복통, 설사, 복부팽만 |
| 전신 | 피로, 무기력감, 혼수 (심하면) |

> ⚠️ 주의: 이 증상들은 패혈증이나 뇌졸중, 전해질 이상으로 오해될 수 있음!

🧪 진단

| 검사 | 의미 |
| — | — |
| 혈액 가스 검사 (ABG) |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
| 혈중 D-lactate 정량 | 핵심! (일반 lactate 측정으로는 확인 불가) |
| 기타 | Vit B12, 전해질, 간기능 등 감별 검사 필요 |

💊 치료

| 치료 | 설명 |
| — | — |
| 금식 or 저탄수화물 식이 | 발효할 탄수화물 공급 차단 |
| 항생제 (Metronidazole 등) | D-lactate 생성균 제거 |
| 중탄산 나트륨 | 산증 심할 경우 보조적 사용 |
| 프로바이오틱스 (경우에 따라) | 정상 장내균 회복 시도 (논쟁 있음) |

🧠 핵심 정리 요약

| 포인트 | 내용 |
| — | — |
| 발생 조건 | 소장 손상/절제 + 탄수화물 과잉 + 세균 발효 |
| 핵심 증상 | 신경증상 + 복부팽만 + 산증 |
| 진단 키워드 | High anion gap + D-lactate↑ (일반 L-lactate는 정상) |
| 가장 흔한 배경 | Short bowel syndrome |
| 치료 핵심 | 저탄수화물 식이 + 항생제 + 대증요법 |

👨‍🏫 교수님의 요약 한마디

> “설사하고 복부팽만도 있는데, 갑자기 말이 어눌하고 비틀거리기 시작했다?그 환자가 장 수술 병력이 있다면 → 무조건 D-lactic acidosis를 의심하세요.”

이 내용도 암기카드에 추가하거나, 정리 노트에 반영해줄 수 있어!

필요하다면 바로 도와줄게 😊

비교 항목 | L-lactate (정상) | D-lactate (비정상) |
| — | — | — |
| 생성 | 근육 운동, 조직 저산소 상태 | 세균에 의한 탄수화물 발효 |
| 대사 | 간에서 효율적 처리 가능 | 사람은 대사 능력 매우 낮음 |
| 결과 | 일시적 산증 가능 | 축적 → 지속적 산증 + 신경증상 |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0
Q

담즙산 장간순환이 깨지면 발생하는 설사는?

A

담즙산 설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1
Q

유당불내증에서 소화되지 않은 유당은 장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A

삼투성 작용 → 설사 유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2
Q

탄수화물 흡수는 어느 부위에서 주로 일어나는가?

A

Duodenum과 Jejunu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3
Q

단백질 보충제가 PEPT1을 활용하는 이유는?

A

Dipeptide 형태가 더 빠르게 흡수되기 때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4
Q

회장이 절제되면 재흡수되지 못하는 물질 2가지는?

A

Vit B12, 담즙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5
Q

H₂ breath test에서 peak가 빨리 나타나는 경우 의심 질환은?

A

SIBO(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6
Q

췌장 효소 부족과 소장 점막 문제를 감별하기 위한 검사는?

A

D-xylose tes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7
Q

SGLT1 결핍 환자에서 주의할 식이는?

A

Glucose, Galactose 제한 (Fructose 가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8
Q

Vit B12 흡수에 필요한 위의 인자는?

A

Intrinsic factor (내인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9
Q

Gastrinoma가 흡수장애를 유발하는 기전은?

A

산 과다 → 소장 pH ↓ → 췌장효소 비활성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0
Q

단백질 소실성 장질환(Protein-Losing Enteropathy)에서 소실되는 면역세포는?

51
Q
  1. 60세 남자가 지속적인 설사를 동반한 체중감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평소 소화가 잘 안되고 트림과 고약한 방귀가 잦았었는데 최근 4개월 동안 체중이 8kg 감소하였고 지속적인 설사를 호소하였다. 기생충 검사에서는 음성 소견이 보였고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흡수장애를 의심하여 가장 먼저 시행해야될 검사는?
    ① Schilling test
    ② 대변 내 지방검사
    ③ 소장 내시경
    ④ Xylose test
    ⑤ 담즙염 호기 검사
A

📘 문제 요약

  • 60세 남성
  • 증상:
    • 지속적인 설사
    • 체중 감소 (4개월간 8kg)
    • 소화불량
    • 트림 + 고약한 방귀
  • 기생충 검사: 음성
  • 대장내시경: 이상 없음
  • 의심 질환: 흡수장애

> “가장 먼저 시행할 검사”를 묻는 문제!

🧠 풀이 전략

  1. 어떤 흡수장애가 의심되나?
    - 지방변이 동반된 만성 설사 + 체중감소 + 방귀, 트림
    SIBO or 지방 흡수장애 가능성 매우 높음
  2. 기생충 & 대장내시경 → 기질적 대장병변은 배제됨

→ 이제부터는 기능적 or 상부 소장 관련 흡수장애를 평가해야 해

🎯 보기 분석

|——–|——|———|
| ① Schilling test | B12 흡수 평가 (회장 or 내인자 문제) | ❌ 너무 특수, 1차 검사 아님 |
| ② 대변 내 지방검사 | 흡수장애 초기 평가에서 가장 기본적인 검사 | ✅ 정답 유력 |
| ③ 소장 내시경 | Celiac 등 감별에 도움, 침습적 | ❌ 1차 아님 |
| ④ Xylose test | 점막 기능 평가용 | ❌ Stool fat 후에 진행 |
| ⑤ 담즙염 호기 검사 | SIBO 평가에 사용 가능 | ❌ 지방변 확인 후 고려 가능 |

✅ 정답

② 대변 내 지방검사

> 💡 흡수장애를 의심하는 환자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스크리닝 검사로,
지방변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1차적 단계다.

📌 외우는 법

> “지방 빠지면, 지방부터 본다.
즉, 흡수장애 → 무조건 Stool fat 먼저!

선택지 | 설명 | 적절성 |

52
Q

53번. 45세된 여자가 기운이 없고 어지러우며 계단을 오를 때 쉽게 숨이 차서 방문하였다. 과거력에서 32세에 말단회장에 장결핵을 앓았으며 1년간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력이 있다. 혈액검사에서 hemoglobin 6.2mg/dl, HCV 18%, MCV 140fl이었다. 고려해야 될 흡수장애와
적절한 검사는?
1. 철분-Celiac antibody test
2. 엽산-Urinary d-xylose test
3. 마그네슘-Secretin stimulation test
4. 비타민 B12-Schilling test
5. 칼슘-Small intestine biopsy

A

좋아, 이 문제는 말단 회장 질환 병력이 있는 빈혈 환자에서
흡수장애로 인한 결핍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묻는 문제야.
차근차근 해석해볼게.

🧾 문제 요약

  • 45세 여성
  • 증상:
    • 기운 없음, 어지럼증, 계단 오를 때 숨참
  • 과거력:
    • 32세에 말단 회장(terminal ileum) 장결핵
    • 1년간 항결핵제 치료 → 회장 손상 가능성 높음
  • 혈액검사:
    • Hemoglobin 6.2 mg/dL → 심한 빈혈
    • MCV 140 fL → 거대적아구성 빈혈
    • HCV 18% → reticulocyte 감소 → 재생불량

🧠 핵심 분석

  1. 빈혈의 형태는?
  • MCV 140은 매우 높은 수치 → 거대적아구성 빈혈
  • 즉, Vit B12 or Folate 결핍이 원인
  • 하지만, 엽산은 jejunum, Vit B12는 ileum에서 흡수
  1. 이 환자는 말단 회장에 병변이 있었고,
    Vit B12 흡수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 매우 높음

> 게다가, Vit B12 결핍은 신경증상 없이도 호흡곤란, 피로로 나타날 수 있음

🔍 보기 분석

✅ 정답

4. 비타민 B12 – Schilling test

💡 포인트 정리

  • Vit B12는 회장에서만 흡수됩니다
    → 회장 손상 = 무조건 B12 결핍 의심
  • Schilling test는 B12 흡수를 평가하는 대표적 검사
    • 내인자 문제 vs 회장 문제 vs SIBO 등을 감별 가능

👨‍🏫 한 문장 요약

> “회장에 병이 있었다 → 거대적아구성 빈혈이 있다 → 정답은 무조건 Vit B12 + Schilling test

선택지 | 영양소 | 검사 | 타당성 |
|——–|——–|——–|———|
| 1. 철분 – Celiac Ab | 철은 duodenum 흡수, 이 환자는 회장 문제 | ❌ |
| 2. 엽산 – D-xylose | 엽산은 jejunum, D-xylose는 점막 흡수평가 | ❌ |
| 3. Mg – Secretin test | 췌장기능 검사, 연관 없음 | ❌ |
| 4. Vit B12 – Schilling test | 회장에서 흡수되는 B12 평가에 적합 | ✅ 정답 |
| 5. 칼슘 – 소장 생검 | 칼슘은 duodenum, 생검은 Celiac 의심 시 | ❌ |

53
Q
  1. 58세된 남자가 3개월 전 급성 담낭염이 발생하여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력이 있는 분으로 담낭 절제술 시행 후 복부 불편감을 동반한 지속적인 설사증상을 호소하였다. 다음 중
    담즙의 흡수장애로 생기는 담즙성 설사를 고려하여 처방할 적절한 약제는?
  2. Cholestyramine
  3. Proton pump inhibitor
  4. Loperamide
  5. Antispasmodics
  6. Antibiotics
A

좋아, 이 문제는 담즙성 설사(bile acid diarrhea)의 기전을 알고 있느냐를 묻는 문제야.
자, 하나씩 풀어보자.

🧾 문제 요약

  • 58세 남성
  • 3개월 전 급성 담낭염 →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 시행
  • 수술 후부터 복부 불편감 + 지속적인 설사
  • 담즙의 흡수장애로 인한 담즙산 설사(bile acid diarrhea) 의심

🧠 핵심 개념: 담즙산 설사란?

❓ 왜 담낭절제 후 설사가 생기지?

  • 담낭이 없으면 담즙이 식사와 상관없이 계속 소장으로 분비
  • 그 담즙이 회장에서 재흡수되지 않고 대장까지 흘러가면…
    → 대장에서 삼투성 작용 + 자극 작용 → 설사 유발

🔬 병태생리 요약

  1. 담즙은 원래 간 → 담낭 → 십이지장으로 필요 시 분비
  2. 담낭이 없으면 → 지속적 담즙 분비
  3. 회장에서 충분히 재흡수되지 못하면 → 대장까지 내려감
  4. 대장에서는 물 흡수 방해 + 장을 자극담즙성 설사 발생

💊 치료전략: 담즙산을 어떻게 해야 할까?

흡수되지 않은 담즙산을 ‘묶어버리면’ 됩니다.

✅ 정답: 1. Cholestyramine

🔹 약제 설명

  • Cholestyramine담즙산 결합 수지(bile acid binding resin)
  • 담즙산과 결합해서 → 대변으로 배출되게 함
  • 결과적으로 설사 억제 + 장 자극 줄이기

❌ 오답 해설

👨‍🏫 요약 한마디

> “담낭이 없어지면 담즙이 흘러넘친다.
이 담즙이 대장에 자극을 주면 설사가 생긴다.
담즙을 ‘묶어주는 약’이 필요하다 → Cholestyramine이 정답!”

보기 | 설명 | 왜 오답인가? |
|——|——|—————|
| 2. PPI | 위산 억제제, 담즙과 무관 | ❌ |
| 3. Loperamide | 지사제지만 원인치료 아님 | ❌ |
| 4. Antispasmodic | 복통 완화일 뿐, 담즙에 작용 안 함 | ❌ |
| 5. Antibiotics | SIBO 의심 시엔 가능, 여기선 해당 없음 | ❌ |

54
Q

각 문제에서 흡수장애가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영양소를 답가지 중에서 지시하는 수만큼 고르시오
1. 철
2. 칼슘
3. 비타민 B12
4. 단백질
5. 지방
6. 담즙
58세 남자가 크론병으로 인한 장폐색이 발생하여 말단 회장 대부분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게 되었다 (2가지)

A

좋아! 이 문제는 “절제된 부위에 따라 흡수가 안 되는 영양소가 무엇인가?”를 묻는
흡수장애 단골 유형이야.
이번에는 “말단 회장(terminal ileum)” 절제가 핵심이지.

✅ 말단 회장이 절제되면?

✴️ 회장이 절제되면 생기는 흡수장애

| 영양소 | 이유 |
|——–|——|
| 비타민 B12 | 내인자 복합체가 회장에서만 흡수 가능 |
| 담즙산 | 담즙산 재흡수 ↓ → 지방 흡수 ↓, 지용성 비타민 ↓ |

> ❗ 담즙산이 재흡수되지 않으면 지방변, 지용성 비타민 결핍도 이차적으로 생길 수 있어.
하지만 직접적으로 회장과 관련된 흡수 항목은 다음 두 가지야:

✅ 정답:
3. 비타민 B12
6. 담즙

흡수되는 주요 영양소 | 흡수 부위 |
|——————–|———–|
| Vitamin B12 | 회장 (내인자와 복합체로 흡수) |
| 담즙산(Bile acids) | 회장 (Enterohepatic circulation) |

56
Q

삼킴곤란과 삼킴불능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삼킴곤란은 음식을 삼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상태로, 삼킬 수 있으나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입니다. 반면, 삼킴불능은 음식물을 전혀 삼킬 수 없는 상태입니다.

57
Q

구인두 삼킴곤란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

구인두 삼킴곤란은 구인두에서 식도로 음식물이 넘어가지 않는 상태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Zenker diverticulum, Cervical web, Osteophytes 등이 있습니다.

58
Q

Achalasia의 특징적인 증상은 무엇인가요?

A

Achalasia는 하부식도조임근(LES)의 이완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고형식과 유동식 모두 삼키기 어려운 증상, 흉통, 체중 감소 등이 있으며, Bird’s-beak sign이 특징적입니다.

59
Q

Achalasia의 진단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A

Achalasia는 식도 내압 검사(manometry)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에서 LES의 이완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가 확인됩니다.

60
Q

식도 내압 검사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A

식도 내압 검사는 식도 연동운동과 하부식도조임근(LES)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삼킴곤란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61
Q

식도 협착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

식도 협착은 주로 위식도역류질환(GERD), 식도염, 식도암 등에 의해 발생하며, 이들 질환이 식도의 점막을 손상시킵니다.

62
Q

Zenker diverticulum이란 무엇인가요?

A

Zenker diverticulum은 상부식도조임근(UES) 위쪽에 위치한 인두 후벽의 게실로, 음식물이 그곳에 고여 삼킴곤란과 구취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63
Q

Achalasia의 치료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A

Achalasia의 치료에는 보툴리늄 독소 주사, 풍선 확장술, 내시경 근절개술(POEM) 등이 있으며, 내시경 근절개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됩니다.

64
Q

호산구성 식도염(EoE)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A

호산구성 식도염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고형식 삼킴곤란, 가슴 통증, 역류 증상 등이 있습니다.

65
Q

Diffuse Esophageal Spasm(DES)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A

Diffuse Esophageal Spasm은 식도의 불규칙적인 연동운동으로, 간헐적인 삼킴곤란과 가슴 통증을 유발합니다.

66
Q

식도암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A

식도암은 점진적인 삼킴곤란, 체중 감소, 흉통, 음식물 역류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67
Q

Scleroderma에 의한 삼킴곤란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A

Scleroderma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식도 평활근이 섬유화되어 연동운동을 방해합니다.

68
Q

Plummer-Vinson Syndrome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요?

A

Plummer-Vinson Syndrome은 철 결핍성 빈혈과 관련된 질환으로, 상부식도에 막이 형성되어 삼킴곤란을 유발합니다.

69
Q

식도 이물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A

식도 이물은 갑작스러운 삼킴곤란, 목에 걸리는 느낌,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70
Q

식도 내시경의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요?

A

내시경은 식도의 구조적 문제, 염증, 종양 등을 직접 관찰하는 검사로, 식도암, 식도 협착, 식도염 등의 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71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LES의 이완이 관찰되지 않으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LES의 이완이 관찰되지 않으면 Achalasia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72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연동운동의 이상이 확인되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연동운동의 이상을 확인한 경우, Diffuse Esophageal Spasm (DES)이나 Jackhammer Esophagus와 같은 식도 연동운동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73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Bird’s-beak sign이 나타나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Bird’s-beak sign은 Achalasia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소견으로, 식도 하부가 좁아진 모양을 보입니다.

74
Q

식도 연동운동 검사에서 비정상적인 연동운동이 확인되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비정상적인 연동운동은 식도 연동운동 이상, Diffuse Esophageal Spasm (DES) 또는 Jackhammer Esophagus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75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LES의 지속적인 높은 압력은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LES의 지속적인 높은 압력은 Achalasia의 전형적인 소견으로, LES가 열리지 않아서 음식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76
Q

식도암의 진단을 위한 첫 번째 검사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식도암의 진단은 내시경 검사와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합니다.

77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Achalasia의 Type 1, Type 2, Type 3은 어떻게 구분되나요?

A

Type 1은 체부의 연동운동이 완전히 없어지고, Type 2는 일부 남아 있으며, Type 3은 매우 강한 연동운동이 발생하는 형태입니다.

78
Q

식도 내시경에서 Rosette sign이 관찰되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Rosette sign은 Achalasia에서 LES가 과도하게 수축되어 나타날 수 있는 소견입니다.

79
Q

Achalasia의 치료법 중에서 가장 강력한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A

Achalasia의 치료법 중 가장 강력한 치료 방법은 내시경 근절개술(POEM)입니다.

80
Q

식도 협착이 발생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식도 협착의 경우, 식도 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을 통해 좁아진 부분을 확장합니다.

81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LES의 높은 압력과 체부의 연동운동 저하를 확인한 경우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LES의 높은 압력과 체부 연동운동 저하는 Achalasia의 전형적인 소견입니다.

82
Q

호산구성 식도염(EoE)은 어떤 식이 제한을 통해 개선될 수 있나요?

A

호산구성 식도염에서는 알레르기 유발 식품을 제한하는 식이 요법이 중요합니다.

83
Q

식도암의 주요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식도암의 치료에는 수술적 절제,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요법 등이 있으며, 조기 발견 시 내시경 절제술도 가능합니다.

84
Q

식도 이물을 제거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식도 이물 제거의 가장 적합한 방법은 내시경적 제거입니다.

85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Bird’s-beak sign이 나타날 때 추가로 어떤 검사를 해야 하나요?

A

Bird’s-beak sign이 나타날 경우, 식도 조영술이나 내시경을 통해 식도 확장 여부와 식도암 가능성을 배제해야 합니다.

86
Q

Achalasia의 병리학적 원리는 무엇인가요?

A

Achalasia는 자율신경 손상으로 인해 하부식도조임근(LES)의 이완 장애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체부의 연동운동도 감소하게 됩니다.

87
Q

호산구성 식도염(EoE)의 진단을 위한 주요 검사는 무엇인가요?

A

호산구성 식도염(EoE)의 진단을 위해서는 식도 생검을 통해 호산구 수치를 확인하며, 내시경에서 Furrow sign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88
Q

식도암에서 체중 감소와 삼킴곤란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식도암은 식도의 종양으로 인해 식도 협착이 발생하여 삼킴이 어려워지고, 암의 진행으로 인해 체중 감소가 발생합니다.

89
Q

Achalasia에서 Bird’s-beak sign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Bird’s-beak sign은 하부식도조임근(LES)의 수축 장애로 인해 식도 하부가 좁아져 보이는 모습으로, 이는 Achalasia의 특징적인 소견입니다.

90
Q

식도 연동운동 이상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일반적인 질환은 무엇인가요?

A

식도 연동운동 이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Achalasia와 Diffuse Esophageal Spasm (DES) 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 식도의 정상적인 연동운동에 장애를 일으킵니다.

91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LES의 비정상적인 높은 압력을 확인했을 때 의심할 수 있는 질환은 무엇인가요?

A

LES의 비정상적인 높은 압력은 Achalasia를 의심할 수 있는 주요 소견입니다. 이로 인해 음식물이 식도를 지나가지 못합니다.

92
Q

식도 조영술(Barium Swallow)에서 식도 하부의 좁아진 부분을 확인한 경우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식도 하부의 좁아진 부분은 식도협착, 식도암, 또는 Achalasia 등 다양한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93
Q

식도 내시경에서 Rosette sign을 발견하면 무엇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Rosette sign은 Achalasia에서 LES의 과도한 수축으로 나타나는 소견입니다. 이는 내시경에서 LES 부위가 과도하게 좁아지는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94
Q

식도 내시경에서 식도 하부에 과도한 주름이 나타나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A

식도 하부에 과도한 주름은 호산구성 식도염(EoE)에서 관찰될 수 있는 소견으로, 식도에 염증성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95
Q

Achalasia 치료 시 풍선 확장술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A

풍선 확장술은 LES를 물리적으로 확장하여 음식을 통과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장점은 비교적 간단한 절차로, 단기적으로 효과적이지만, 단점은 반복 치료가 필요하고 식도 천공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96
Q

Achalasia에서 보툴리늄 독소 주사를 사용할 때의 효과는 무엇인가요?

A

보툴리늄 독소 주사는 하부식도조임근(LES)에 주사하여 LES의 수축을 억제하고, 이완시켜 음식을 통과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효과가 일시적이고 반복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97
Q

식도암에서 초기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식도암이 조기 발견된 경우, 내시경 절제술을 통해 암이 국소적으로 제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절제술이나 방사선 치료가 필요합니다.

98
Q

식도 연동운동 이상이 발생하면 어떤 증상이 주로 나타날까요?

A

식도 연동운동 이상에서는 간헐적인 삼킴곤란과 가슴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식도 내압 검사에서 비정상적인 연동운동 패턴을 보입니다.

99
Q

Achalasia와 EGJ Outflow Obstruction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Achalasia는 LES의 이완 장애로, EGJ Outflow Obstruction은 LES의 이완은 있으나 식도 체부의 연동운동에 문제가 있는 상태입니다. 진단은 식도 내압 검사를 통해 구분됩니다.

100
Q

식도 협착의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식도 협착의 치료는 식도 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을 통해 식도의 좁아진 부분을 확장시키며, 원인에 따라 약물 치료나 수술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101
Q

호산구성 식도염(EoE)의 치료에서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

A

호산구성 식도염(EoE)의 치료는 스테로이드(주로 국소적 스테로이드 사용)와 알레르기 유발 음식을 피하는 식이 제한이 중요합니다.

102
Q

식도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식도 이물이 발견되면 첫 번째 치료법으로 내시경적 제거가 권장됩니다. 내시경을 통해 이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103
Q

Achalasia에서 내시경 근절개술(POEM)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A

내시경 근절개술(POEM)은 하부식도조임근(LES)을 절개하여 이완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최고의 치료 효과를 보이며, 최소 침습적이고 회복이 빠릅니다.

104
Q

식도 내압 검사에서 압력의 변화를 관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식도 내압 검사는 식도 연동운동과 LES의 이완을 평가하여 Achalasia, 식도암, 식도 협착 등 삼킴곤란의 원인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105
Q

식도 협착과 식도암을 구별하는 주요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식도 협착은 주로 위식도역류질환(GERD) 등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 좁아짐으로, 식도암은 점진적 삼킴곤란과 체중 감소가 동반되는 악성 종양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106
Q

다음 그림에 들어간 단어를 모두 말하시오.

A

가. Lower esophageal ring
나. Peptic stricture
다. Carcinoma
라. Diffuse esophageal spasm
마. Scleroderma
바. Achalasia

107
Q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A

답: (다): 5 / (바): 1,7번
(바)는 Achalasia로 1번, 7번
(다)는 carcinoma로 5번

108
Q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A

2
풀이: 마에 해당하는 것은 scleroderma, 전신경화증 입니다. 진단 흐름도는 반드시 외우셔야 합니다!
답은 2번으로 체크 되어있고 1개를 고르라고 하니 답은 2번이 맞는데, , 제생각에 8번도 답이 될것같습니다.. 아닌 이유를 아시는 분은 연락 부탁드립니다.
20) 19퀴즈를 보면 8번사진이 전신경화증으로 8번도 맞겠지만, 실제 문제에 나오면 체크되어있던 2
번으로 하는게 좋을 것같습니다.

109
Q

38세 여자가 1년전부터 시작된 삼킴곤란과 음식물의 역류 때문에 방문했다. 식도 내압검사와 상부 위장관 조영술 사진이다. 진단은?
1) 역류성 식도염
2) 식도암
3) 식도 확장증’ 4) 식도 무이완증
5) 부식성 식도염

A

답:4
풀이: Brid beak sign입니다. Type 1 achalasia(식도무이완증) 입니다

110
Q

32세 남성이 6개월부터 발생한 삼킴곤란으로 방문하였다. 삼킴곤란은 물이 나 밥 가리지 않고 발생했고 최근에는 음식물의 역류도 자주 발생하였다. 상 부위장관 내시경검사 동영상과 식도조영술 동영상, 고해상도 식도내압검사 소견을 보고 가장 적절한 처치 한가지는?
1) 24시간 식도 산도검사
2) 비디오투시연하검사(VFSS)
3) 경구 스테로이드 투여
4) 부우지 확장술
5) 경구내시경근절개술

A

답: 5번
Achalsia를 의심케 하는 내시경, 식도 조영술 소견
식도내압검사 그래프 : 식도 전체의 고압대를 보이는 type II achalasia로 진단된다. 교수님 설명- Diffuse하게 압력이 높아진 모습
따라서 치료는 풍선확장술이나 근절개술(복강경하 Heller 근절개술 및 부분추벽성형술 또는 경구내시경 근절개술 POEM)이 적절하며 구경이 작은 부지 확장술은 LES 근섬유를 찢기에는 부적절하다. 한국말로도 나올 수 있으니까 강의록에 영어로 써져있더라도 한국말로도 알아놉시다!
Balloon dilatation은 풍선확장술입니다. / 부우지 확장술은 안배웠습니다.

111
Q

다음은 무엇인가?

A

Type I Achalasia

112
Q

다음은 무엇인가?

A

Type II Achalasia

113
Q

다음은 무엇인가?

A

Type III Achalasia

114
Q

다음 내시경 소견은 무엇인가?

A

빨간동그라미: 음식물이 내려가지 못하고 있는 모습-식도 조임근이 강하게 조여지며 주름이 형성된다. -파란 화살표: Rosette sign
(막혀있는 근육 과도하게 조여지며 염주알 같은 모습) -사진을 보고 Achalasia 이구나!

115
Q

다음은 무엇인가?

A

Distal Esophageal Spasm
LES는 괜찮지만, 식도체부 압력 지표가 높다
screw같은 영상의학 소견

116
Q

다음은 무엇인가?

A

Jackhammer Esophagus
수축과 이완 반복
특징적인 식도내압검사 결과 알고있자
치료: POEM시술

117
Q

다음은 무엇인가?

A

전신경화증 (Systemic Sclerosis)
-자가면역 질환 -> 소동맥에 섬유화 유발
-식도의 smooth m. 영향을 식도 삼킴곤란 가능
-Peristalsis가 없거나 매우 약하고 motility가 안나타나
고 LES의 압력도 낮으면 전신경화증 생각 가능
-위장관질환 중 식도 침윤이 가장 흔하다.
-피부질환-Scleroderma

118
Q

다음은 무엇인가?

A

Esophageal Webs and Rings
사진에서 보듯 링이 만들어져 식도가 날카롭게 좁아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Plummer-Vinson Syndrome : 상부 식도의 mucosal
layer 에서 막을 형성한다. 식도에 걸리는 듯한 web이
생김. -중년 여성에서 근위부 식도막, 철결핍성 빈혈 동반시
의심해 볼수 있다.

119
Q

다음은 무엇인가?

A

식도 종양
식도 림프관을 통해 주변 림프절로 전이가 흔함(장막층이 없음)
Submucosa에 도달했다는 것은 vessel 통해 circulation 된다는 것. 증상: 점차 진행되는 고형식이에 대한 삼킴곤란, 체중감소
: 고령 + 체중감소 + 점차 진행되는 삼킴곤란=> 식도암 의심
예후: 진단후 5년 생존률 약 10%
치료:
l 내시경 절제술은 극히 초기에만 가능하다 (증상이 나타날 정도면 이미 내시경 절제술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mucosa에만 국한된다면 내시경적 치료 가능)
l 반복적인 내시경식도 확장술, 스텐트 삽관,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PEG, PEJ ; 수분 공급과 급식. l Supportive care가 중요하다. l 수술적 절제술은 모든 증례의 45%만 가능하다.

120
Q

다음은 무엇인가?

A

부식성 식도 협착
락스나 양잿물을 마시고 식도가 손상된 모습
조심스럽게 늘려주거나 stent 시술

121
Q

다음은 무엇인가?

A

호산구성 식도염(EoE)
-알레르기 질환과 공유, 알레르기 환자가 삼킴곤란으로 내원 시 의심 가능
l LES 정상인데 식도 체부 cellular 축적으로
Furrow sign(위 사진처럼 식도 내 특징적 주름)
l 위 사진 Furrow sign 눈에 발라두자
l 조직검사 통해 HPF당 호산구
가 15개 이상인 경우 EoE로
진단
l 확진: 식도 생검을 통한 진단
l 치료: 스테로이드, 식이제한

122
Q

다음은 무엇인가?

A

감염성 식도염 (Infectious Esophagitis)
식도는 음식이 자꾸 이동하고 편평상피세포로 되어있
어 감염에 대한 clearance가 빨라 감염에 강함
->자가면역질환이 있거나 면역억제 치료를 하는 경우
일 때 감염성 식도염 의심
-역으로 감염성 식도염있으면, 면역문제 생각 가능
-곰팡이 감염(칸디다증)이 흔하다
-낮은 erosive ulcer나 점막 손상이 있는 경우 헤르페스
의심

123
Q

다음은 무엇인가?

A

Schatzki ring (steak-house syndrome)
-40세 이후 후천적으로 생기는 고리모양 구조로 고기
등 삼킬 때 걸리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