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소화성 궤양 by prof. 정일권) Flashcards

1
Q

궤양(Ulcer)의 정의는 무엇인가?

A

Tissue defect in the gastric or duodenal wall that extends through the muscularis mucosa into the deeper layers of the wall (submucos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궤양은 어떤 형태를 가지고 있는가?

A

백태를 끼고 있어서 하얗게 보이거나 혈관이 보인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이상 소견이다. 무엇인가?

A

Endoscopic finding of peptic ulce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이상 소견이다. 무엇인가?

A

Endoscopic finding of peptic ulce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이상 소견이다. 무엇인가?

A

Endoscopic finding of peptic ulce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이상 소견이다. 무엇인가?

A

Endoscopic finding of peptic ulce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Peptic Ulcer disease의 Prominent Cause는 무엇인가?

A

Two prominent cause H. pylori and NSAID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Peptic Ulcer의 병리적 기전을 한 문장으로 설명한다면 무엇인가?

A

소화성 궤양은 위와 점막의 방어력 (defensive power)보다 위액 (gastric juice)의 자기소화력 (autopeptic power, aggressive factor)이 더 강해서 발생하는 “self digestion”
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Stomach의 Body에만 존재하는 대표적인 Cell 종류와 이들이 분비하는 물질을 설명하시오.

A

Cheif Cell: Pepsin
Parietal Cell: Acid & Intrinsic Factor
ECL: Histamine

ECL 세포는 위점막에 위치한 주요 내분비 세포 중 하나로, 히스타민을 분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세포는 위산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CL 세포의 기능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ECL 세포의 기능

  1. 히스타민 분비
    ECL 세포는 히스타민을 분비하는 세포로, 히스타민은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히스타민은 위의 위산 분비 세포(주세포)와 결합하여 H2 수용체에 결합합니다. 이 결합이 일어나면, 위산 분비가 촉진되며, 이는 음식을 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위산 분비 조절
    ECL 세포는 가스트린이라는 호르몬에 의해 자극을 받습니다. 가스트린은 위에서 음식이 들어오면 G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ECL 세포를 자극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촉진하고, 이로 인해 H2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위산의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3. 위산 분비의 활성화
    위산은 HCl(염산)로, 음식물의 소화를 돕고 세균을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히스타민이 분비되면, 주세포의 H2 수용체와 결합하여 H+, K+-ATPase를 활성화시킵니다. 이는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는 과정을 가속화합니다.
  4. 위 점막 보호
    위산이 지나치게 분비되면 위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ECL 세포는 위산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위점막을 보호하는 메커니즘도 함께 작용합니다.

ECL 세포와 위장질환
ECL 세포의 과도한 히스타민 분비는 위염, 위궤양 등과 같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ECL 세포의 기능 저하는 위산 분비 부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소화불량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ECL 세포는 위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위산 분비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소화와 위 보호 기능을 돕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Stomach의 Antrum에만 존재하는 대표적인 Cell 종류와 이들이 분비하는 물질을 설명하시오.

A

G cells: Gastrin

G세포(G cell)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내분비 세포로, 주로 가스트린(gastrin) 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입니다. 가스트린은 위장관에서 소화와 위산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G세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G세포의 기능 및 역할

  1. 가스트린 분비
    G세포는 위의 유문 부위(위의 하단, 십이지장과 접하는 부분)와 십이지장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요 기능은 가스트린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입니다. 가스트린은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 중요한 호르몬으로, 음식물 섭취 후 위산을 분비하여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2. 가스트린의 작용
    가스트린은 위산 분비 세포(주세포)ECL 세포에 작용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합니다:
    • ECL 세포 자극: 가스트린은 ECL 세포를 자극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촉진합니다. 이 히스타민은 주세포의 H2 수용체와 결합하여 위산(HCl)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 위산 분비 증가: 가스트린은 주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위산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이는 위산이 소화를 돕고, 음식물이 위장에서 제대로 분해되도록 돕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3. 가스트린 분비 자극
    G세포의 가스트린 분비는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해 유도됩니다:
    • 음식의 섭취: 음식이 위에 들어오면, 위 점막의 스트레칭(위가 팽창)이 G세포를 자극하여 가스트린 분비를 촉진합니다.
    • 아미노산: 특히 단백질이 포함된 음식은 아미노산을 방출하고, 이는 G세포를 자극하여 가스트린 분비를 촉진합니다.
    • 위산의 pH 변화: 위산 농도가 낮을 때, 즉 위산이 너무 적을 때 G세포가 활성화되어 더 많은 가스트린을 분비하게 됩니다. 이는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여 위산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려는 반응입니다.
  4. 가스트린의 억제
    가스트린은 또한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면서(음식물이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넘어갈 때),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소화 효소호르몬에 의해 억제될 수 있습니다. 소장에 있는 HCl이나 지방산의 농도가 높아지면, 이 신호가 G세포에 전달되어 가스트린 분비가 억제됩니다. 이 과정은 위산의 과도한 분비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G세포와 위장 질환

  • 과도한 가스트린 분비: G세포에서 가스트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위산 과다와 관련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애성 가스트린종양(Zollinger-Ellison syndrome)이라는 질환이 있으며, 이 경우 가스트린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비되어 위산 분비가 과다해지고, 위염, 위궤양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가스트린 부족: G세포의 기능 저하나 가스트린 분비 부족은 위산 분비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화불량이나 위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요약

G세포는 가스트린을 분비하여 위산 분비를 조절하고, 소화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음식물 섭취, 아미노산, 위산 농도 등에 의해 자극을 받아 가스트린을 분비하며, 이는 ECL 세포를 자극하여 히스타민 분비를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위산 분비를 증가시켜 소화 과정을 돕습니다. G세포와 가스트린의 기능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으면 다양한 위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위에 Diffuse하게 존재하는 Epithelial Cells와 Body/Antrum에 존재하는 D cell에서는 어떤 물질을 분비하는가?

A

Epithelial Cells: HCO3, PGE, Mucus
D cells: Somatostatin

D세포(Delta cell)는 위를 포함한 소화관의 내분비 세포로, 주요 기능은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을 분비하는 것입니다. 소마토스타틴은 여러 가지 생리학적 기능을 가지며, 특히 호르몬 분비의 억제소화 시스템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세포와 소마토스타틴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D세포와 소마토스타틴의 역할

  1. D세포의 위치와 분포
    • D세포는 주로 위, 십이지장, 소장에 존재하며, 특히 위의 기저층(위점막의 하부)과 배출관에 분포합니다.
    • 이 세포는 소화관의 다른 호르몬 세포들과 함께 존재하며, 호르몬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소마토스타틴의 분비
    D세포는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며, 이는 펩타이드 호르몬입니다. 소마토스타틴은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위산 분비 억제: 소마토스타틴은 위의 주세포(위산 분비 세포)와 ECL 세포(히스타민 분비 세포)에 작용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합니다. 특히, 소마토스타틴은 ECL 세포에서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위산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 가스트린 분비 억제: 소마토스타틴은 G세포에서 분비되는 가스트린의 분비를 억제합니다. 가스트린은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호르몬이기 때문에, 소마토스타틴은 위산 분비의 과다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소화 효소 분비 억제: 소마토스타틴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 효소인슐린글루카곤 분비도 억제합니다. 이를 통해 소화과정과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칩니다.
  3. 소화 시스템의 억제 역할
    소마토스타틴은 전반적으로 소화 과정의 억제에 기여합니다. 소화관에서 음식물이 지나가는 동안, 소마토스타틴은 소화 효소의 분비를 조절하고, 위장관 운동을 억제하여 소화가 완료되었을 때 과도한 소화활동을 억제합니다.
  4. 혈액 순환에 미치는 영향
    소마토스타틴은 혈액 순환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혈관 확장을 억제하여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과도한 혈류의 증가를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마토스타틴의 전반적인 기능

소마토스타틴은 소화 시스템 외에도 중추 신경계내분비 시스템에서 다양한 조절 기능을 합니다.

  • 중추 신경계에서의 역할: 소마토스타틴은 에서도 분비되어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를 조절하고, 여러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 내분비 시스템의 조절: 소마토스타틴은 인슐린글루카곤의 분비를 억제하여 혈당을 조절합니다.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혈당 농도를 관리하는 호르몬으로, 소마토스타틴은 두 호르몬 간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D세포와 소마토스타틴의 임상적 중요성

  1. 위장 질환과의 관계
    소마토스타틴의 분비는 위장 질환의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과도한 위산 분비위염, 위궤양 등의 질환에서 소마토스타틴 유사체가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소마토스타틴이 위산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이러한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소마토스타틴 유사체는 종종 위장관의 출혈을 억제하고, 위장관 기능을 안정화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2. 췌장 질환에서의 역할
    소마토스타틴은 췌장의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소마토스타틴 유사체췌장암과 같은 질환에서 치료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인슐린글루카곤의 분비 조절로 당뇨병 관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요약

D세포는 소화관 내에서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는 세포로, 여러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마토스타틴은 위산 분비를 억제하고, 가스트린과 같은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며, 소화 효소와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하여 소화 과정과 혈당 조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소마토스타틴은 위염, 위장 궤양, 췌장 질환 등의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Prostaglandin은 지방산에서 유도되어 COX 효소에 의해 변형되어 생성된 물질이다. COX1과 COX2는 모두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물질을 생성한다. COX1과 COX2는 각각 어떤 성격의 물질을 만드는가?

A

ProstaglandinCOX-1, COX-2는 신체의 염증 반응, 통증, 발열, 혈액 응고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각각의 기능과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과 염증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1. Prostaglandin (프로스타글란딘)

프로스타글란딘지방산에서 유도된 호르몬-like 물질로, arachidonic acid라는 지방산이 COX(사이클로옥시게나제) 효소에 의해 변형되어 생성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다양한 생리적, 병리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의 주요 역할:
- 염증 반응: 염증 부위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을 일으키는 주요 물질로 작용하여 혈관 확장, 혈류 증가, 통증 유발 등을 촉진합니다.
- 통증: 프로스타글란딘은 통증 수용체에 작용하여 통증을 민감하게 만들어 통증을 유발합니다. 특히 염증 부위에서 생성되며, 이로 인해 통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발열: 프로스타글란딘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발열을 유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체온을 상승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혈액 응고: 프로스타글란딘은 혈소판 응집에 영향을 미쳐 혈액 응고 과정에 기여합니다. 특히 혈소판 응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hromboxane 형태로 작용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프로스타글란딘은 arachidonic acidCOX 효소에 의해 변형되어 생성됩니다. 이후, 여러 종류의 프로스타글란딘이 생성되며, 이들은 각기 다른 생리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1. COX (Cyclooxygenase)

COX (사이클로옥시게나제)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입니다. COX 효소에는 COX-1COX-2의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습니다. 이 두 효소는 각각 다르게 작용하며, 각각의 기능은 생리적, 병리적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1) COX-1 (Cyclooxygenase-1)
COX-1은 기본적인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효소로, 항상성(homeostasis)에 관련된 역할을 합니다.

  • 위장 보호: COX-1은 위 점막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여 위벽을 보호하고, 위산 분비를 조절하며 위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혈소판 기능: COX-1은 혈소판에서 Thromboxane을 생성하여 혈소판 응집혈액 응고를 촉진합니다. 이는 출혈을 멈추고 상처를 치유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 신장 기능: COX-1은 신장에서 소변 배출과 관련된 혈류 조절을 돕는 데 기여합니다.
  • 기타 생리적 기능: COX-1은 다른 여러 생리적 기능에도 관여하며, 지속적인 낮은 수준에서 활발하게 작용합니다.

2) COX-2 (Cyclooxygenase-2)
COX-2는 염증 반응이나 조직 손상에 따라 유도되는 효소로, 특정 자극에 의해 급성 염증 반응 시 활성화됩니다.

  • 염증 반응: COX-2는 염증과 관련된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염증 부위에서 COX-2가 활성화되면, 프로스타글란딘이 많이 생성되어 통증, 부종, 발열 등의 염증 증상을 유발합니다.
  • 손상된 조직에서의 역할: 조직 손상 후 COX-2는 손상된 부위에서 염증을 유발하여 치유 과정을 촉진하지만, 동시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발열 유발: COX-2는 발열 반응에도 관여하여, 염증이나 감염에 반응해 체온을 상승시킵니다.
  1. COX-1과 COX-2의 차이점

|——————-|———————————–|———————————–|
| 주요 기능 | 위 보호, 혈액 응고, 신장 기능 조절 | 염증 반응, 발열, 통증 유발 |
| 위장에 미치는 영향 | 위 보호에 중요 | 염증 부위에서 과도한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
| 약물의 영향 | COX-1 억제 약물은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음 | COX-2 억제 약물은 염증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 |

  1. COX 억제제 (NSAID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COX-1COX-2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 통증, 발열을 완화하는 약물입니다.

  • COX-1 억제제는 위장에 자극을 주어 위염이나 위장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COX-2 선택적 억제제(예: 세레콕시브와 같은 COX-2 억제제)는 염증과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지만, 위장에 미치는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심혈관계 부작용(예: 심장 질환)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요약
  •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 통증, 발열 등을 유발하는 물질로, arachidonic acidCOX 효소에 의해 변형되어 생성됩니다.
  • COX-1은 주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며, 위 보호, 혈액 응고, 신장 기능 등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COX-2는 염증이나 조직 손상 시 유도되어 염증 반응, 통증, 발열을 유발하는 중요한 효소입니다.
  • NSAIDs는 COX 효소를 억제하여 염증, 통증, 발열을 완화하지만, 부작용으로 위장 장애나 심혈관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발현 | 항상 발현됨 (기본적인 생리적 역할) | 염증, 조직 손상 시 유도됨 |

특성 | COX-1 | COX-2 |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위산 분비는 Midnight에 최고조를 이루고 아침 7시 경에 최저수준에 이른다고 설명하는 위산분비 Pattern의 이름은 무엇인가?

A

Cicardian Patter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Cicardian Pattern은 전반적인 위산 분비 패턴을 설명한다. 그와 반대로 음식에 따른 위산분비 체계는 관여된 조직에 따라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무엇인가?

A

Regulation:
1) cephalic phase: 음식을 보거나 냄새를 맡거나 하면 vagus nerve 통해 소화 활성화
2) gastric phase: 음식물이 위에 들어왔을 때 submucosal and myenteric plexus에 의해 소화 활성화
3) intestinal phase: 음식물이 duodenum으로 넘어가면 CCK, GIP, secretin 등 분비하여 소화 비활성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위에 존재하는 Parietal Cell은 위산을 분비한다. 이 Parietal Cell이 활성화되기 위해 필요한 위산분비의 3대 자극원은 무엇인가?

A

Gastrin, ACh, Histamine

Gastrin은 G cell로부터
ACh는 Vagus n.로부터
Histamine은 ECL로부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가장 절대적인 물질은 무엇인가?

A

Somatostati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H. pylori에 감염된 이후 염증 반응이 계속될 때 위산이 많이 분비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은 무엇인가?

A

Duodenal ulcer
MALT Lympoma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감염은 위와 십이지장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며, 염증 반응, 위산 분비 변화, 그리고 다양한 소화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H. pylori는 위 점막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MALT 림프종, 위암 등 다양한 질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감염 후 위산 분비의 변화가 어떻게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H. pylori 감염 후 위산 분비 변화

H. pylori 감염 후 위산 분비의 변화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 위산 과다 분비 (산이 많이 분비되는 경우)
- 위산 감소 (산이 적게 분비되는 경우)

이 두 가지 상황은 서로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위산 과다 분비 (산이 많이 분비되는 경우)

H. pylori 감염은 염증을 일으키고, 가스트린이라는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여 ECL 세포에서 히스타민 분비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위산의 분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위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여러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십이지장 궤양 (Duodenal Ulcer)

  • 메커니즘: H. pylori 감염은 위와 십이지장 점막의 염증을 유발하고, 위산 과다 분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십이지장 점막이 손상되고 십이지장 궤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위산의 역할: 과도한 위산은 십이지장 점막을 자극하여 궤양을 형성합니다. 특히, H. pylori위 점막에 상처를 입히고 산성 환경에서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위장 통증, 소화 불량, 식사 후 통증, 속쓰림 등이 발생합니다.

(2) MALT 림프종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 메커니즘: MALT 림프종위 점막에 존재하는 림프조직(MALT)이 H. pylori 감염에 의해 자극받아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입니다. H. pylori는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고,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여 림프 조직의 증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 증식이 악화되면 림프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위산과의 관계: 위산 과다 분비는 이 림프조직의 자극을 더욱 강화하고, 염증을 지속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체중 감소, 식욕 감소, 복통, 구토,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림프종이 진행되면 더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위산 감소 (산이 적게 분비되는 경우)

H. pylori 감염이 진행되면서 위의 주세포ECL 세포가 손상되면, 위산 분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위산의 부족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1) 위암 (Gastric Cancer)

  • 메커니즘: 위산이 부족하면, 위 점막의 pH가 높아져 소화 효소들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게 됩니다. H. pylori 감염이 만성화되면 위점막 세포의 변화가 일어나며, 점막이 변형되고 염증이 지속되면서 위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위산의 역할: 정상적인 위산 분비는 위 점막을 보호하고,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위산 분비가 줄어들면 위 점막에 대한 보호가 약해지고, 그 결과 위암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 위암의 유형: 만성적인 위염위 점막의 변화(예: 위 위축성 변화, 장상피화생 등)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위암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메커니즘: H. pylori 감염 후, 위산이 감소하면 위 점막에 자극이 적어지거나, 위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감염이 지속되더라도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이를 무증상 감염이라 하며, 이 경우 감염 자체는 지속되지만 눈에 띄는 증상은 없을 수 있습니다.
  • 위산 감소의 영향: 위산이 부족하면, 위염이나 위장 질환의 증상은 경미하거나 나타나지 않지만, 이로 인해 위암의 발생 위험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1. H. pylori 감염의 전반적인 영향

H. pylori 감염은 위산 분비의 수준에 따라 두 가지 주요 경로로 영향을 미칩니다:

  1. 위산이 과다 분비되는 경우: 염증이 지속되면서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십이지장 궤양이나 MALT 림프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위산이 감소하는 경우: 만성적인 염증이 진행되면서 위암이 발생하거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무증상 감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1. 결론

H. pylori 감염은 위산 분비의 변화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위산 과다 분비십이지장 궤양MALT 림프종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위산 감소위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감염 후 일부 사람들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무증상 감염이라 하더라도 장기적인 위험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H. pylori 감염의 치료가 위산 분비 조절염증 감소를 통해 질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H. pylori에 의해 위산 분비가 억제된다면 어떠한 증상이 발현할 수 있는가?

A

위암이 발병하거나 Asymptomatic일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prostaglandin 중에서 특히 COX1에 의해 만들어진 Prostaglandin은 Gastric Lining을 도와줌으로써 위장을 보호한다. 따라서 COX1 Inhibitor은 직접적으로 Peptic ulcer을 야기할 수 있다. 이때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NSAIDs associated peptic ulcers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20
Q

Duodenal Ulcer 환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A
  1. 호발연령 50대
  2. Malignancy는 드물다.
  3. 위산 과분비가 원인이 된다. -> 음식물 섭취 시 산이 중화되어 통증 완화된다. 따라서 위산이 많이 분비되는 자정이나, 배고플 때 증상 심해진다.
  4. 증상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다.
  5. Early gastric emptying이 원인이 될 수 있다.
21
Q

Gastric Ulcer 환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A
  1. 호발연령 60대
  2. malignant ulcer와 감별이 중요 (반드시 조직검사)
  3. 점막 방어기전의 저하가 원인 -> 음식물 섭취해도 통증 완화X 오히려 심해지기도 한다.
  4. 위산분비는 정상 혹은 감소되어있다.
  5. Epigastric pain, nausea, vomiting, anorexia 등의 증상
  6. Delayed gastric emptying
22
Q

Peptic Ulcer Disease의 대표적인 Complication 네 가지는?

A
  1. Penetration(흔히 pancreas로)
  2. Obstruction
    * succussion splash ; gastric outle
  3. Free Perforation
    * severely tender, board-like abdomen (generalized rebound tenderness, bowel sound 감소);
  4. Bleeding
    * tachycardia and orthostasis ; dehydration (vomiting) or Active G-I bleeding
23
Q

Peptic Ulcer Disease의 진단을 위한 가장 정확한 검사기법은?

24
Q

다음 내시경 소견은 Peptic ulcer disease 환자의 사진이다. PUD Stage 중 어디에 속하는가?

25
Q

다음 내시경 소견은 Peptic ulcer disease 환자의 사진이다. PUD Stage 중 어디에 속하는가?

26
Q

다음 내시경 소견은 Peptic ulcer disease 환자의 사진이다. PUD Stage 중 어디에 속하는가?

27
Q

다음 내시경 소견은 Peptic ulcer disease 환자의 사진이다. PUD Stage 중 어디에 속하는가?

28
Q

다음 내시경 소견은 Peptic ulcer disease 환자의 사진이다. PUD Stage 중 어디에 속하는가?

29
Q

다음 내시경 소견은 Peptic ulcer disease 환자의 사진이다. PUD Stage 중 어디에 속하는가?

30
Q

다음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궤양(Ulcer)의 사진이다. Benign Ulcer인가 Malignant Ulcer인가?

31
Q

다음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궤양(Ulcer)의 사진이다. Benign Ulcer인가 Malignant Ulcer인가?

32
Q

다음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궤양(Ulcer)의 사진이다. Benign Ulcer인가 Malignant Ulcer인가?

33
Q

다음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궤양(Ulcer)의 사진이다. Benign Ulcer인가 Malignant Ulcer인가?

34
Q

다음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궤양(Ulcer)의 사진이다. Benign Ulcer인가 Malignant Ulcer인가?

35
Q

다음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궤양(Ulcer)의 사진이다. Benign Ulcer인가 Malignant Ulcer인가?

36
Q

Peptic Ulcer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약의 약리적 기전을 네 가지 설명한다면?

A
  1. Antaacid
  2. H2 receptor antagonists
  3. Proton pump inhibitor
  4. Prostaglandin analogue
37
Q

NSAID Related mucosal injury가 있는 환자에게서 NSAID를 discontinue할 수 있다고 할 때, 어떤 약제가 추천되는가?

A

H2 receptor antagonists
or
PPi

38
Q

NSAID Related mucosal injury가 있는 환자에게서 NSAID를 discontinue할 수 없다고 할 때, 어떤 약제가 추천되는가?

39
Q

Refractory ulcer의 정의와 특성/주의점은 무엇인가?

A

8~12주의 약물치료 후에도 치료되지 않는 궤양
약제 복용 순응도를 가장 먼저 확인 해야한다.
특히 GU의 경우 cancer 가능성 있으므로 biopsy 해야한다.

40
Q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41
Q

67세 여자 환자 속쓰림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통 소염제 복용 중 내시견 소견이다. 적절한 처치가 아닌 것은?
① proton pump inhibitor 투여
② 제산제 투여
③ 진통 소염제 중단
④ 선택적 진통소염제 투여
⑤ 항생제 투여

A

이 환자는 67세 여성으로 속쓰림을 호소하며,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인해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복용 중이며, 내시경에서 위궤양 소견이 확인된 상태입니다.

🔎 적절한 처치 방법 분석

  1. ① Proton pump inhibitor (PPI) 투여 → ✅ 적절함
    • PPI(프로톤 펌프 억제제)는 위산 분비를 강력히 억제하여 위궤양 치료NSAIDs로 인한 점막 손상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대표적인 PPI: 오메프라졸, 에소메프라졸, 판토프라졸 등
  2. ② 제산제 투여 → ✅ 적절함
    • 제산제는 일시적으로 위산을 중화하여 증상을 완화하지만, 근본적인 치료제가 아니므로 보조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③ 진통 소염제 중단 → ✅ 적절함
    •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위 점막을 손상시키므로 가능하면 중단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 하지만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이유로 중단이 어려울 경우, COX-2 선택적 억제제(④번 선택지)로 변경하는 것이 고려됩니다.
  4. ④ 선택적 진통소염제(COX-2 억제제) 투여 → ✅ 적절함
    • COX-2 선택적 억제제(NSAIDs의 한 종류, 예: 세레콕시브)는 위장 장애가 덜한 대체 약물이므로 NSAIDs를 완전히 중단할 수 없다면 적절한 선택입니다.
    • 단, COX-2 억제제도 심혈관계 위험 증가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5. ⑤ 항생제 투여 → ❌ 적절하지 않음 (정답)
    • 항생제 치료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 시행됩니다.
    • 이 환자는 NSAIDs로 인한 위궤양이므로, H. pylori 감염 여부와 무관하게 항생제 치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항생제 투여는 적절한 처치가 아닙니다.

✅ 정답: ⑤ 항생제 투여
항생제는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만 사용되므로, NSAIDs 유발성 위궤양 치료에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42
Q

헬리코박터 감염 후 발생하는 위장 질환 중 위산분비가 증가한 상황에서의 발생 질환은?
1) 위암
2) 위궤양
3) 장상피화생
4) 위축성 위염
5) 십이지장 궤양

A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감염 후 위산 분비가 증가한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을 찾는 문제입니다.

🔎 H. pylori 감염과 위산 분비 증가

  • H. pylori 감염이 위 전정부(Antrum)에 국한된 경우, D-cell(소마토스타틴 분비 세포)의 억제로 인해 G-cell에서 가스트린(Gastrin) 분비 증가 → 위산 분비 증가
  • 과도한 위산이 십이지장으로 유입되면서 십이지장 점막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위산 과다 상태에서 발생하기 쉬운 질환
#### ✅ 정답: ⑤ 십이지장 궤양 (Duodenal Ulcer)

  • 위산이 증가하면 십이지장 점막이 손상되면서 궤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H. pylori 감염 후 십이지장 궤양이 흔히 발생하는 기전입니다.

오답 해설

1) 위암 (Gastric Cancer) → ❌ (위산 감소와 연관)
- 위산이 감소하는 경우, 위 점막의 만성 염증이 지속되면서 위축성 위염 → 장상피화생 → 위암으로 진행될 수 있음
- 위산이 많을 경우보다는 위산 저하(특히 위체부 감염 시)와 연관

2) 위궤양 (Gastric Ulcer) → ❌ (위산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 적음)
- 위궤양은 주로 위 점막 보호 기전의 약화(예: 점액층 손상, NSAIDs 복용 등)로 인해 발생
- 위산 증가보다는 위 점막의 방어력이 약화될 때 더 잘 발생함

3) 장상피화생 (Intestinal Metaplasia) → ❌ (위산 감소와 연관)
- 만성 H. pylori 감염 후 위산 저하가 진행되면, 위 점막이 변형되면서 장상피화생(위 점막이 장 점막처럼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
- 위암의 전구 병변으로 작용

4) 위축성 위염 (Atrophic Gastritis) → ❌ (위산 감소와 연관)
- H. pylori 감염이 위체부(Corpus)를 침범하면 위샘(Gland)이 손상되고 위축성 변화가 진행됨
- 위산 분비가 점차 감소하여 위산 저하와 연관됨

결론
위산 분비가 증가하면 십이지장 궤양(⑤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답: ⑤ 십이지장 궤양

43
Q

소화성 궤양 진단을 위한 방법 중 가장 정확한 것은?
1) 상부위장관 조영술
2)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3) 복부 CT
4) 위내 pH METRT
5) Urea breath test

A

답) 2번.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내시경 검사는 가장 정확함과 동시에 H. pylori 감염 여부와 생검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44
Q

76세 남자 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 중이며, 관절염 증상이 심하여 투약을 중단할 수 없을 때, 소화성 궤양 예방적 조치로 맞지 않는 것은?
1) Proton pump inhibitor
2) COX-2 선택 억제제
3) 항생제
4) Prostaglandin analogue 투여
5) H2 수용체 길항제 투여

A

🔎 소화성 궤양 예방을 위한 적절한 조치 찾기

76세 남성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중이며, 소화성 궤양 예방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 위장 보호를 위한 예방적 조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소화성 궤양 예방을 위해 적절한 조치

1️⃣ Proton pump inhibitor (PPI) 투여 → ✅ 적절함
- PPI(예: 오메프라졸, 에소메프라졸, 판토프라졸)은 위산 분비를 강력하게 억제하여 NSAIDs로 인한 궤양 예방에 가장 효과적
- 위 점막 보호 효과가 뛰어나므로 1차 선택 치료

2️⃣ COX-2 선택 억제제 → ✅ 적절함
- 세레콕시브(celecoxib) 같은 COX-2 선택적 억제제는 위 점막 손상을 줄여 위궤양 위험을 낮출 수 있음
- 다만, 심혈관 질환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는 사용 시 주의가 필요

3️⃣ Prostaglandin analogue(예: 미소프로스톨) 투여 → ✅ 적절함
-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위 점막 보호 작용이 강하며, NSAIDs로 인한 위장 점막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
- 하지만 설사 등의 부작용이 흔해 환자가 잘 견디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

4️⃣ H2 수용체 길항제(H2 blocker) 투여 → ✅ 적절함
- 라니티딘, 파모티딘 등 H2 차단제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지만, PPI보다 효과가 약함
- PPI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차선책으로 고려 가능

맞지 않는 조치(정답)
3) 항생제 투여 → 🚫 부적절함
- 항생제는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만 사용
- 이 환자는 NSAIDs로 인한 위궤양 예방이 목적이므로 항생제 치료는 필요하지 않음
- 따라서 “항생제”는 맞지 않는 선택지

정답: ③ 항생제
항생제는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만 사용하며, NSAIDs 유발성 위궤양 예방과는 무관하므로 적절한 예방 조치가 아닙니다. 🚫

45
Q

56세 여자가 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검사에서 십이지장 궤양이 확인되었다. 다음 임상 증상 중 이 환자와 가장 합당한 것은?
1) 식후 불쾌감
2) 체중 감소
3) 식전 속쓰림
4) 식후 소화불량
5) 목 이물감

A

🔎 십이지장 궤양과 가장 합당한 임상 증상 찾기

56세 여성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했고, 검사에서 십이지장 궤양(Duodenal Ulcer)이 확인되었습니다.
👉 십이지장 궤양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을 찾는 문제입니다.

십이지장 궤양의 특징적인 증상
- 식전(공복 시) 또는 밤에 속쓰림과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특징
- 식사를 하면 위산이 음식과 함께 희석되면서 증상이 완화됨
- H. pylori 감염 또는 NSAIDs 사용이 주요 원인

🧐 각 선택지 분석

1️⃣ 식후 불쾌감 → ❌ 위궤양에서 더 흔함
- 식후 위산 분비가 증가하면서 증상이 심해지는 것은 위궤양(Gastric Ulcer)의 특징
- 십이지장 궤양 환자는 보통 공복 시 통증이 악화되며, 식사 후에는 완화됨

2️⃣ 체중 감소 → ❌ 위궤양에서 더 흔함
- 위궤양은 식사 후 통증이 심해 음식을 피하게 되면서 체중 감소가 흔함
- 십이지장 궤양 환자는 식사 후 증상이 완화되므로 식사를 회피하지 않음 → 체중 감소는 흔하지 않음

3️⃣ 식전 속쓰림 → ✅ 십이지장 궤양에서 가장 흔한 증상!
- 공복 시(특히 밤이나 새벽)에 속쓰림, 상복부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가장 특징적
- 식사하면 위산이 희석되면서 증상이 완화됨
- 가장 적절한 선택지

4️⃣ 식후 소화불량 → ❌ 위궤양에서 더 흔함
- 위궤양 환자는 식후 위산 증가로 인해 소화불량, 속쓰림, 복부 팽만감이 발생할 수 있음
- 십이지장 궤양 환자는 식사 후 증상이 완화됨

5️⃣ 목 이물감 → ❌ 역류성 식도염과 연관
-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는 증상은 보통 역류성 식도염(GERD)과 연관
- 십이지장 궤양과는 무관

정답: ③ 식전 속쓰림
👉 십이지장 궤양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공복 시(특히 식전) 속쓰림과 통증”입니다. 🚀

46
Q

다음 환자 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가장 영향을 덜 미치는 인자는?
1) 십이지장 궤양이 있는 38세 남자
2)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받은 64세 여자
3) 위궤양 출혈 병력이 있는 12세 남아
4)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을 진단받은 45세 여자
5) 건강 검진 목적의 위내시경 결과 만성 위축성 위염이 있는 81세 여자.

A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제균 치료 방침 결정에 영향을 덜 미치는 인자 찾기

👉 H. pylori 감염이 확인되었을 때 제균 치료가 강력히 권고되는 경우
- 소화성 궤양(십이지장 궤양, 위궤양) 환자
- H. pylori 관련 위장 질환 병력 (위궤양 출혈, 조기 위암, 위축성 위염 등)
- H. pylori 감염이 특정 질환(예: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과 관련된 경우

🧐 각 선택지 분석

1️⃣ 십이지장 궤양이 있는 38세 남자 → ✅ 제균 치료 강력 권고
- H. pylori는 십이지장 궤양의 주요 원인이며, 제균 치료 시 재발률이 현저히 감소
- 제균 치료 강력 권고됨

2️⃣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받은 64세 여자 → ✅ 제균 치료 강력 권고
- H. pylori 감염은 위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며, 조기 위암 절제 후에도 위암의 재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제균 치료가 권고됨

3️⃣ 위궤양 출혈 병력이 있는 12세 남아 → ✅ 제균 치료 강력 권고
- H. pylori 감염은 위궤양 출혈의 주요 원인 중 하나
- 어린 연령에서도 궤양 병력이 있다면 제균 치료가 필수적

4️⃣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 진단받은 45세 여자 → ✅ 제균 치료 강력 권고
- H. pylori 감염이 일부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 환자에서 혈소판 감소를 유발할 수 있음
- H. pylori 제균 치료 후 혈소판 수치가 개선되는 경우가 있어 치료 권장됨

5️⃣ 건강검진에서 만성 위축성 위염이 있는 81세 여자 → 🚫 제균 치료 영향이 가장 적음 (정답)
- 위축성 위염은 H. pylori 감염과 관련이 있지만, 연령이 많고 증상이 없는 경우 적극적인 제균 치료 여부가 논란
- 고령 환자의 경우 제균 치료보다 다른 요인을 고려해 치료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음
- 따라서 제균 치료 방침 결정에 영향을 가장 덜 미침

정답: ⑤ 건강 검진에서 만성 위축성 위염이 있는 81세 여자
👉 고령 환자의 무증상 만성 위축성 위염은 H. pylori 제균 치료 결정에 영향을 가장 덜 미치는 인자입니다. 🚀

47
Q

H. pylori의 제균치료가 요하는 Direct, Recommended, Possible indication 소견에는 각각 어떤 것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