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위종양 by prof. 홍수진) Flashcards
위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암은 무엇인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전체의 85%를 차지한다.
위암의 발병 요인이 되는 유전자적 Mutation은 무엇이며, 어째서 암을 유발하는가?
CDH1 mutation이 발생할 경우 위암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CDH1 mutation은 E-cadherin의 세포간 adhesion을 저해한다.
어떤 음식이 위암 발병 가능성을 높이는가?
Dried, Smoked, Salty(말림, 훈제, 염장)
위암의 발병요인을 네 가지 말한다면?
- CDH1 mutation
- Dried, Smoked, Salty Food
- Chronic inflammation
*GERD, H.pylori - Nitrate converting bacteria
*유입요인: Contaminated Food
*증식요인: 위산분비감소, 위수술과거력, 위축성 위염, H2 antagonist 장기복용
위암 환자의 가족이나 내시경 절제술 환자들의 위암 발병을 예방하고자 한다. 어떤 치료를 할 수 있는가?
H. pylori 제균 치료
From. NEJM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가 직접 전이될 수 있는 부위는 어디가 있는가?
대장, 췌장, 간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가 림프관을 통해 전이될 수 있는 부위는 어디가 있는가?
복강 림프절, 쇄골 상부 림프절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가 복막 내에서 파종될 경우 어떤 Indication이 확인되는가?
악성 복수, 복막의 종괴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에게 혈관전이가 발생할 경우 전이될 수 있는 부위는 어디인가?
간, 폐, 뼈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는 어떤 임상 양상을 보이는가?
초기 외과적 절제가 가능한 시기에는 무증상이다.
위암이 진행하면서 식후 복부 팽만감, 심한 통증, 오심, 식욕감퇴, 체중감소, 구토, 삼킴곤란, 조기 포만감, 복부 종물 촉지 등 임상증상이 발현된다.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진찰소견은 어떤가?
조기에는 관찰할 수 있는 신체 징후가 없음
복부 종물 촉지 – 진행성 위샘암종에서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전이성 소견이다. 무엇인가?
Krukenberg’s tumor (난소)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전이성 소견이다. 무엇인가?
Sister Mary Joseph node (배꼽)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전이성 소견이다. 무엇인가?
Blumer’s shelf (cul-de-sac)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전이성 소견이다. 무엇인가?
Virchow’s node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환자에게서 드물게 관찰할 수 있는 임상 양상이다. 무엇인가?
Leser-Tré lat sign (미만성 지루각화증)
*흔한 소견은 아니다.
*성인에서 갑자기 짧은 기간 동안에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지
루각화증의 발생이 증가하는 징후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환자에게서 드물게 관찰할 수 있는 임상 양상이다. 무엇인가?
Acanthosis nigricans (악성 극세포증)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를 의심해야하는 여러 임상 소견이 존재한다. 그 중 가장 빈번한 임상소견은 무엇인가?
철 결핍성 빈혈 (Iron-deficiency anemia) – M/C
철 결핍성 빈혈 (Iron-deficiency anemia)
위축성 위염 (Atrophic gastritis)
악성 빈혈 (Pernicious anemia)
대변 잠혈반응 양성
이동성 혈전정맥염 (migratory thrombophlebitis)
미세혈관병성 용혈성 빈혈 (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미만성 지루각화증 (Diffuse seborrheic keratosis, Leser-Tré lat sign)
악성 극세포증 (Acanthosis nigricans)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를 조직학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한다면 무엇인가?
위샘암종의 조직학적 분류: 크게 intestinal(장형)과 iffuse(미만형)
- Intestinal type
*papillary, well-differentiated tubular, moderately-differentiated tubular 세 가지 type - Diffuse type
*poorly cohesive SRC type과 poorly cohesive NOS type 존재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조직학적 소견이다. 어떤 종류로 판단되는가?
Intestinal Type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조직학적 소견이다. 어떤 종류로 판단되는가?
Intestinal Type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조직학적 소견이다. 어떤 종류로 판단되는가?
Diffuse Type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조직학적 소견이다. 어떤 종류로 판단되는가?
Diffuse Type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중 Diffuse Type의 대표적인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Lauren 분류에 따라 위암을 장형(Intestinal type)과 미만형(Diffuse type)으로 나눌 때, 미만형 위암(Diffuse-type gastric cancer)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미만형 위암(Diffuse-type gastric cancer)의 특징
1. 명확한 종괴 형성 없이 위벽이 비후됨 → Linitis plastica(가죽딱지 위)
2.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 빈도 높음
3. 위의 광범위한 침윤성 성장 → 분문부 포함한 위 전체에 침범 가능
4. 예후가 불량 (침윤적 성장 패턴으로 인해 조기 발견 어려움)
5.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발생률을 보임
6. E-cadherin 발현 소실(CDH1 유전자 변이와 관련됨) → 세포 간 부착이 약해져 쉽게 퍼짐
✅ 특히 CDH1 유전자 돌연변이는 가족성 위암(hereditary diffuse gastric cancer, HDGC)과 관련이 깊어, 가족력이 있는 경우 예방적 위 절제술이 고려되기도 합니다.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중 Intestinal Type의 대표적인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장형 위암(Intestinal-type gastric cancer)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형 위암(Intestinal-type gastric cancer)의 특징
1. 선모양의 관상구조(Tubular or glandular structures) 형성
2. 궤양 형성이 흔함
3. 위의 전정부(antrum) 및 소만부(lesser curvature)에 주로 발생
4. 전암병변(예: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이 선행하는 경우가 많음
5. 고위험 지역(동아시아, 남아메리카, 동유럽)에서 발생률이 높음
✅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의 연관성이 높으며, 환경적 요인(식습관, 흡연, 저섬유식 등)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Diffuse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Diffuse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Diffuse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Diffuse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Diffuse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Diffuse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Intestinal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Intestinal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Intestinal Type
다음 환자는 위샘암종이 발병한 환자의 내시경 사진이다. 어떤 Type인가?
Intestinal Type
위암 환자의 유전학적 검사를 실시했을 때 HER2 gene에 Mutation이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치료약은 무엇인가?
Trastuzumab
조기 위샘암종 진단에 사용하는 도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내시경: 점막 융기 및 주름 소견 관찰
초음파: 위벽 침습 깊이 확인
조기 위샘 암종의 특징은 무엇인가?
림프절의 전이 여부와 상관 없이 점막/점막 하층까지 침윤한 것
진행성 위샘암종의 특징은 무엇인가?
암이 점막 하층까지 진행되었다.
위암의 Standard한 치료법은 무엇인가?
R0 resection(절재연이 종양 음성)과 주변 림프절 절제이다.
🔹 R0 절제 (R0 Resection)
정의:
R0 절제란 종양이 있는 위와 인접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절제 경계(margin)에서 암세포가 전혀 검출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현미경적으로도 종양이 남아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 수술 절제 결과의 분류:
| 분류 | 설명 |
|——|——|
| R0 절제 | 현미경적으로도 종양이 없음. 가장 이상적인 결과. |
| R1 절제 | 육안상으로는 완전 절제했지만, 현미경에서 절제면에 암세포 존재 |
| R2 절제 | 육안적으로도 종양이 남아 있는 경우 |
R0 절제가 유일하게 완치(curative) 가능성을 가진 절제 방식이며, 수술의 목적은 항상 R0 절제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 주변 림프절 절제 (Lymphadenectomy)
위암은 위 점막에서 발생하지만, 비교적 빠르게 림프절로 전이되는 특성이 있어, 위만 제거해서는 불충분합니다.
따라서 위암 수술에서는 종양 주변 림프절까지 함께 절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림프절 절제의 범위 (일본 분류 기준, 전 세계적으로 표준):
| 절제 범위 | 설명 |
|————|——————|
| D1 절제 | 위 주변의 1차 림프절만 제거 |
| D1+ 절제 | D1 + 일부 2차 림프절 포함 |
| D2 절제 | D1 + 모든 주요 혈관 주위의 2차 림프절 포함 (국제 표준) |
| D3 절제 | 드물게 사용, 광범위 림프절 절제 포함 (간문부 등 포함) |
> D2 절제는 현재 위암의 표준 수술 방법으로 간주되며, R0 절제와 함께 시행되었을 때 장기 생존율을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 R0 절제 + D2 림프절 절제가 중요한 이유
-
국소 재발 방지:
암세포가 퍼졌을 수 있는 림프절을 제거해 재발 가능성을 낮춥니다. -
정확한 병기 결정:
몇 개 림프절에 전이되었는지를 통해 병기(stage)가 결정되며, 이후 보조치료 결정에 중요합니다. -
장기 생존율 향상:
많은 연구에서 R0 절제 + D2 절제를 한 환자군이 생존율이 더 높다고 보고됨.
🧠 참고로…
- 위암이 점막에 국한된 경우라면, 내시경 절제술(ESD)이 R0 절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 진행된 위암에서는 위전절제술(전체 절제) 또는 아전절제술(부분 절제)과 함께 D2 절제가 시행됩니다.
- 수술 후 병기에 따라 보조 항암치료가 권장될 수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수술 전후 치료, 또는 병기별 수술 전략도 정리해드릴게요.
더 궁금한 내용 있으실까요?
위의 Distal에 존재하는 Carcinoma일 경우 어떤 치료를 하는가?
Subtotal Gastrectomy(위아전절제술)
위의 Proximal에 존재하는 Carcinoma일 경우 어떤 치료를 하는가?
total or near-total gastrectomay(전위절제술)
이 수술기법의 이름은 무엇인가?
내시경점막하박리술 ESD(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병소 5mm 가장자리에 점 표시 -> submucosal injection (saline) -> 전기칼로 outline -> dissection
원발성 위 림프종의 정의는 무엇인가?
위의 샘 세포에서 발현하는 위샘암종과는 달리, 위 자체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주로 B 세포)로 인해 발생하는 림프종을 의미한다.
좋은 질문입니다. “위암”이라고 하면 대부분 선암(adenocarcinoma)을 말하지만, 그 외에도 드물게 발생하는 암들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원발성 위 림프종(primary gastric lymphoma)입니다.
🔹 원발성 위 림프종 (Primary Gastric Lymphoma)
정의:
위 점막이나 벽에서 시작된 림프계 조직의 악성 종양입니다. 즉, 위에서 처음 발생한 림프종을 말하며, 전신 림프종이 위에 퍼진 2차성 전이와는 다릅니다.
🔸 일반적인 위암(선암)과의 차이점
🔸 발생 원인과 관련 요인
- 가장 흔한 형태는 MALT 림프종입니다.
- 이는 H. pylori (헬리코박터균) 감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헬리코박터균 치료만으로도 림프종이 자연 소멸되기도 합니다.
- 그 외에도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같은 고등급 림프종도 드물게 발생합니다.
🔸 증상
- 위 선암과 유사한 증상이 많습니다:
- 상복부 통증, 소화불량, 구역감
- 체중 감소
- 식욕 저하
- 드물게 위출혈 또는 천공
하지만 일부 환자는 무증상이거나 내시경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합니다.
🔸 진단 방법
- 내시경 생검 (조직 검사): 가장 기본적인 진단
- CT, PET-CT: 병기 평가
- 면역조직화학 염색 및 분자검사: 림프종의 아형을 구분
🔸 치료
-
MALT 림프종 (저등급)
- H. pylori 제균 치료 → 효과 좋음
- 실패 시: 방사선치료 또는 rituximab 등 항암치료
-
DLBCL (고등급)
- R-CHOP 같은 전신 항암치료가 표준
- 수술은 대부분 하지 않으며, 위출혈/천공 같은 합병증 시에만 고려
🔸 예후
- MALT 림프종은 치료에 잘 반응하고 예후가 매우 좋습니다.
- DLBCL도 항암 치료에 잘 반응하면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보입니다.
- 조기에 발견되고 병기가 낮을수록 생존율이 높습니다.
필요하시다면 림프종 아형별 치료 차이, 병기 구분, 혹은 내시경 소견 예시도 정리해드릴 수 있어요. 더 궁금한 게 있으신가요?
항목 | 원발성 위 림프종 | 일반적인 위암 (선암) |
|——|——————|———————|
| 기원 조직 | 면역계의 림프조직 (B세포) | 위 점막의 샘세포 (상피세포) |
| 빈도 | 전체 위암의 약 5% 미만 | 대부분 |
| 성장 양상 | 상대적으로 천천히 자람, 위벽을 따라 퍼짐 | 침윤적으로 성장 |
| 전이 경로 | 림프절, 간, 비장 등 | 간, 복막, 폐 등 |
| 치료법 | 항암치료/방사선/관찰 중심, 수술은 제한적 | 수술 + 항암치료 중심 |
위 말트 림프종의 치료법은 무엇인가?
H. pylori 제균치료만으로 75% 관해 가능(standard)
위 말트 림프종에 t(11;18)과 같은 염색체 이상이 발생했다. 어떤 치료적 접근을 해야 하는가?
T(11;18) translocation assay 양성인 경우 H. pylori 제균치료와 Radiation therapy 병행한다.
Radiation therapy 불가능한 경우 rituximab 사용
GIS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의 정의는 무엇인가?
좋은 질문입니다! 위장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종양 중, 위암(선암)도 아니고 림프종도 아닌, 독특한 종양이 하나 있는데요 — 바로 GIST입니다.
GIST는 위장관 종양 중에서도 특수하고 중요해서 따로 기억할 필요가 있어요.
🔹 GIST란?
GIST는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의 약자로,
한글로는 위장관 기질종양이라고 합니다.
즉, 위장관 벽의 중간층(기질, stroma)에서 발생하는 비상피성 종양입니다.
🔸 기원
- GIST는 위장관의 간질형 Cajal 세포(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 이 세포는 위장 운동(연동 운동)을 조절하는 페이스메이커 세포입니다.
- 이 세포에서 KIT 단백질(CD117)이 발현되며, GIST는 KIT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주 발생 부위
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위암과는 전혀 다른 종양입니다.
🔸 증상
-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우연히 발견되기도 합니다.
- 증상이 있다면:
- 상복부 통증
- 소화불량
- 위장관 출혈 (흑변, 토혈)
- 덩어리 촉진
- 빈혈
🔸 진단
-
내시경 또는 CT
- 점막 표면은 멀쩡해 보이지만 밑에서 튀어나온 결절 형태 (submucosal mass)로 보이는 경우가 많음.
-
EUS (내시경 초음파)
- 종양의 깊이와 성격을 평가
-
조직검사 및 면역조직화학 염색
- CD117(KIT) 또는 DOG1 양성: GIST 진단의 핵심
- 일부는 PDGFRA 돌연변이 보유
🔸 치료
✅ 수술 (완전 절제)
- 가장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 GIST는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림프절 절제는 보통 하지 않음.
- R0 절제가 목표 (종양을 완전히 제거)
✅ 표적 치료 (Imatinib 등)
-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전이된 경우, 또는 재발 고위험군에서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 사용
- 대표약: 이마티닙(Imatinib, 상품명 글리벡)
- KIT 또는 PDGFRA 변이가 있는 경우에 효과적
🔸 위험도 분류 (악성화 가능성 평가)
| 인자 | 설명 |
|——|——|
| 종양 크기 | 클수록 악성 위험 ↑ |
| 유사분열 수 (mitotic index) | 많을수록 악성 위험 ↑ |
| 종양 위치 | 위보다 장 쪽에 생긴 GIST가 더 위험성 ↑ |
이 3가지 인자를 조합하여 고위험/중간위험/저위험으로 나눕니다.
🔸 예후
- 조기에 발견 + 완전 절제 시: 좋은 예후
- KIT 또는 PDGFRA 변이가 있으면 표적 치료 반응도 좋음
- 하지만 재발률이 있으므로 장기 추적관찰 필요
📝 요약 정리
| 항목 | 내용 |
|——|——|
| 이름 | GIST (위장관 기질종양) |
| 기원 | 간질형 Cajal 세포 |
| 주요 유전자 | KIT, PDGFRA |
| 진단 | 내시경, EUS, 면역조직화학 (CD117+) |
| 치료 | 수술 + 표적 치료(임상 상황에 따라) |
| 특징 | 림프절 전이 드물고, 재발 가능성 있음 |
혹시 GIST와 위암의 감별점이라든지, 수술 후 관리나 추적 검사 등에 대해서도 더 알고 싶으신가요?
부위 | 빈도 |
|——|——|
| 위 (stomach) | 약 60% |
| 소장 (small intestine) | 약 30% |
| 대장, 식도 등 | 약 10% |
다음은 위암환자의 내시경 소견이다. Type이 무엇인가?
GIS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위샘암종의 치료로 맞는 것은?
①
② 위절제술과 림프절 절제술이 표준 치료법이다.
③
④
⑤
2
Cardia에 생긴 위샘암종의 치료는?
① 항암치료
② 위아전절제술 + d2
③ 근위부절제술 + d2
④ 위전절제술 + d2
좋은 문제입니다. 이 질문은 위암의 위치에 따른 수술 방법 선택을 묻는 문제입니다. 핵심은 Cardia(분문부)에 생긴 위선암(위샘암종, adenocarcinoma)의 치료법이죠.
🔍 핵심 개념 요약
Cardia(분문)는 위와 식도가 연결되는 부위로, 위암이 이 부위에 생기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고려해야 합니다:
- 위의 상부에 위치
- 종양이 식도 쪽으로 침범할 수 있음
- 위의 대부분을 절제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높아 D2 림프절 절제도 필요
✅ 정답: ④ 위전절제술 + D2
설명:
Cardia에 생긴 위선암은 위 전체를 절제하면서 식도 쪽 절제연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고, D2 림프절 절제를 통해 국소 재발률을 낮춰야 하므로 위전절제술 + D2가 표준입니다.
궁금하시다면 각 수술법의 적응증 차이나, cardia 암과 위체부/위하부 암의 수술 전략 차이도 설명해드릴게요!
보기 | 설명 | 적절성 |
위종양 중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악성 종양은?
1) 샘암종
2) 말트림프종
3 ) T세포 림프종
4) 신경내분비암종
5) 위장관기질종양
6) 흑색종
7) 카포시육종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답: 3) 수술적 절제
풀이: 위샘암종의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은 수술적 절제
다음 중 위샘암종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답가지(1-7) 중에서 모두 고르시오
1) 다양한 증상이 조기에 관찰된다
2)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은 장형 위샘암종 발생과 관련이 깊다
3) 혈액형 O형에서 잘 발생한다
4) 우리나라에서 현재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암종이다
5) 진행성 위암은 모두 궤양의 형태로 발견된다
6) 다른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에서의 발생률이 높다
7) 성인에서 원인이 불확실한 철결핍성 빈혈이 있으면 의심해 보아야 한다
좋은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위샘암종(Adenocarcinoma of the stomach)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감별력을 요구하는 복수정답형 문제입니다.
하나씩 분석해보겠습니다.
1) 다양한 증상이 조기에 관찰된다
❌ 틀림
- 위암은 초기에는 무증상이거나 비특이적 증상(소화불량, 복부 불쾌감 등)이 많습니다.
- 다양한 증상이 조기에 나타나는 경우는 드뭅니다.
→ 따라서 틀린 지문
2)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은 장형 위샘암종 발생과 관련이 깊다
✅ 맞음
- H. pylori 감염은 만성 위염 → 장상피화생 → 이형성 → 장형 위암(intestinal type)으로 진행
- WHO도 H. pylori를 Group I 발암인자로 지정
→ 정답
3) 혈액형 O형에서 잘 발생한다
❌ 틀림
- 위암(위샘암)은 혈액형 A형에서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따라서 O형은 오답
4) 우리나라에서 현재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암종이다
❌ 틀림
- 과거에는 발생률이 매우 높았지만,
- 위생 개선,
- H. pylori 제균 치료,
- 정기 내시경 검진 덕분에
-
발생률은 오히려 감소 추세입니다.
→ 따라서 틀린 지문
5) 진행성 위암은 모두 궤양의 형태로 발견된다
❌ 틀림
- 진행성 위암은 궤양형뿐 아니라 융기형, 침윤형, 혼합형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
→ “모두 궤양형”이라는 표현은 과장이므로 오답
6)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에서의 발생률이 높다
✅ 맞음
-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위암 발생률이 매우 높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 특히 남성에서의 발생률은 전 세계 최상위권
→ 정답
7) 성인에서 원인이 불확실한 철결핍성 빈혈이 있으면 의심해 보아야 한다
✅ 맞음
- 진행성 위암은 만성 위출혈을 일으킬 수 있고,
- 특히 노년층의 철결핍성 빈혈은 원인이 위암일 수 있습니다.
→ 위 내시경 검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함
→ 정답
✅ 최종 정답:
2, 6, 7
필요하시면 장형 vs 미만형 위샘암의 비교, 조기 vs 진행성 위암의 내시경 소견, 또는 위암 스크리닝 기준도 알려드릴게요!
다음 위종양들 중 발견되는 가장 흔한 형태가 상피하 종물인 것을 답가지(1-7번)에서 모두 고르시오
1) Schwannoma
2) Gastric adenoma
3) Early gastric cancer
4) Advanced gastric cancer
5) NET(Neuroendocrine tumor)
6) GIST(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7) MALT(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좋은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위종양 중에서 ‘상피하 종물(subepithelial lesion, SEL)’ 형태로 주로 발견되는 종양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 상피하 종물(SEL)이란?
- 내시경상 점막은 정상처럼 보이지만, 점막 아래에 종양성 돌출이 있는 경우
- 주로 점막하층(submucosa) 또는 근육층(muscularis propria)에서 발생하는 병변
- 대표적인 상피하 종물: GIST, 신경종, 림프종, NET 등
✅ 정답:
1) Schwannoma
5) NET (신경내분비종양)
6) GIST (위장관기질종양)
> 정답: 1, 5, 6
필요하시면 상피하 종물 감별을 위한 EUS(내시경 초음파) 특징, 조직 검사 방법(예: EUS-guided biopsy) 등에 대해서도 설명해 드릴게요!
위선암의 위험 인자만 조합된 답가지는?
1) 음식물 세균오염-흡연-비타민A공급-아스피린 투여
2) 음식물 세균오염-악성빈혈-비타민C공급-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
3) 훈제 음식-혈액형 A형-선종성 용종-H2 수용체 길항제 투여
4) 훈제 음식-흡연-십이지장 궤양-H2 수용체 길항제 투여
5)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혈액형 O형-위궤양-아스피린 투여
좋은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위선암(Adenocarcinoma of the stomach)의 위험 인자(risk factors)만을 정확히 고른 선택지를 찾는 것입니다.
🔍 위선암(위샘암)의 위험 인자 정리
✅ 대표적인 위험 인자: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 훈제·염장·질산염 음식 섭취
- 흡연
- 혈액형 A형
- 만성 위축성 위염
- 장상피화생
- 선종성 용종
- 악성 빈혈(악성 위염, 위축성 위염)
- 가족력
❌ 위암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중립적인 요소:
- 비타민 C, A 섭취 → 항산화 작용으로 위암 위험 감소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아스피린 → 위선암 위험 감소 가능성 있음
- 십이지장 궤양 → 오히려 위암과 역상관
- 혈액형 O형 → 위암 위험 낮음
- H2 수용체 길항제 → 위암과 관련 없음
✅ 정답:
③ 훈제 음식 – 혈액형 A형 – 선종성 용종 – H2 수용체 길항제
> H2 수용체 길항제는 위산 분비 억제제로, 위암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따라서 중립적 → 정답으로 수용 가능
궁금하시다면 위암의 병리 분류(장형 vs 미만형),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효과 등도 정리해 드릴게요!
다음 중 미만성 위선암과 관련된 것은?
1) 흔한 궤양 형성
2) 전정부 및 소만부에 호발
3) 전암성 병변의 선행이 빈번
4) E-cadherin 발현 소실이 흔함
5) 위선암의 고위험 지역에서 호발
위선암의 발생 위험요인을 모두 고르시오.(5 개)
1)염장음식
2)훈제음식
3)O 형 혈액형
4)선종성 용종
5)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
6)메네트리에르병
7)십이지장 궤양
좋은 문제입니다! 위선암(위샘암, gastric adenocarcinoma)의 위험인자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정답 먼저:
위선암의 위험요인 5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① 염장음식
② 훈제음식
❌ ③ O형 혈액형
④ 선종성 용종
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
⑥ 메네트리에르병
❌ ⑦ 십이지장 궤양
→ ✅ 정답: 1, 2, 4, 5, 6
요약 – 위선암의 주요 위험 인자
- 환경적 요인: 염장/훈제 음식, 흡연
- 감염: H. pylori
- 전암성 병변: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선종
- 유전적 요인: CDH1 변이 등
- 기타 질환: 메네트리에르병, 악성빈혈 등
필요하시면 “위암의 예방 요인”도 정리해 드릴게요!
위선암의 완치를 위한 표준 치료로 알맞은 것은?
1)위절제술 및 림프절 절제술
2)항암화학치료
3)방사선치료
4)광역동치료
5)면역치료
좋은 질문입니다!
✅ 질문:
“위선암의 완치를 위한 표준 치료는 무엇인가?”
🔍 정답:
> ✅ 1) 위절제술 및 림프절 절제술
🔬 해설:
“완치 목적”의 치료라는 말이 핵심입니다.
이 경우 수술적 치료가 근간이며, 림프절 절제는 암의 병기를 정확히 파악하고 전이된 림프절을 제거하기 위해 반드시 함께 시행됩니다.
✳️ 표준적 수술
- 위아전절제술(부분 절제) 또는 위전절제술(전절제)
- D2 림프절 절제술: 위 주변 주요 림프절군까지 포함하여 절제
→ 우리나라 및 일본 등에서는 D2 절제가 표준 치료
❌ 오답 해설:
✅ 결론:
위선암의 완치를 위한 표준 치료는
👉 1) 위절제술 및 림프절 절제술(D2) 입니다.
필요하시면 병기별 치료 전략(EGC vs AGC, 수술 전후 항암 등)도 정리해 드릴게요!
보기 | 설명 | 왜 오답인지 |
|——|——|————-|
| ② 항암화학치료 | 보조(수술 전/후), 고위험군 혹은 전이암에서 사용 | 완치 목적 단독치료로는 부족 |
| ③ 방사선치료 | 국소 조절, 통증 완화용. 드물게 보조요법 | 위암에선 보조적 역할 |
| ④ 광역동치료 | 조기 위암에서 내시경적 제거용 | 국소, 조기암에만 해당. 표준은 아님 |
| ⑤ 면역치료 | 진행성/전이성 위암에서 사용 가능 | 완치 목적 표준은 아님 |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답: 1) GIST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답: 1
풀이: 미만형 사진입니다. 2,3,4는 장형에 대한 설명입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암의 위험인자입니다.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