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endence of Bookworm: Volume 1-3 Flashcards
Sleeves were wavy
“Sleeves were wavy”는 “소매가 물결 모양이었다” 혹은 “소매가 물결처럼 흐릿했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wavy”는 물결 모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주로 옷이나 천의 주름이나 흐름이 자연스럽게 물결을 이루는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즉, 소매가 물결처럼 흐르는 디자인이나 자연스러운 물결 주름이 있는 소매를 의미합니다.
Hem was ballooned out
“Hem was ballooned out”는 “밑단이 부풀어 있었다” 또는 “밑단이 풍선처럼 부풀어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여기서 “ballooned out”은 부풀다 또는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다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옷이나 천의 밑단이 바람에 의해 부풀어 오르거나, 디자인적으로 부풀어 나와 있는 모양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밑단이 부풀어 있는 스타일이나 볼륨감 있는 디자인을 설명하는 말입니다.
Wardrobe
“Wardrobe”는 “옷장” 또는 “의상”이라는 뜻입니다.
1. 옷장: 의류를 보관하는 가구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 put my clothes in the wardrobe.“는 “나는 내 옷을 옷장에 넣었다”라는 뜻입니다.
2. 의상: 사람이 보유한 의류나 옷의 전체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he has a beautiful wardrobe.“는 “그녀는 아름다운 옷장을 가지고 있다”라는 뜻으로, 다양한 옷이나 의상들을 의미합니다.
you always have a comeback
“You always have a comeback”는 “너는 항상 반박할 말을 가지고 있다” 또는 “너는 항상 대답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상대방이 늘 빠르게 반응하거나 반박할 말을 준비해 두고 있다는 것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재치 있게 말하는 사람이나 상대방의 말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하는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 “She always has a comeback to every criticism.”
(그녀는 모든 비판에 대해 항상 반박할 말을 가지고 있다.)
bureaucracy
Bureaucracy는 “관료제” 또는 “관료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정부나 대기업, 또는 대규모 조직 내에서 체계적이고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는 관리와 행정 체계를 가리킵니다. 주로 형식적이고 절차적인 업무 처리 방식과, 여러 단계의 계층적 구조를 포함하며, 때로는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비효율적일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예: “The company was bogged down by its bureaucracy.”
(그 회사는 지나치게 복잡한 관료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In a nutshell
“In a nutshell”은 “간단히 말하자면” 또는 “요약하자면”이라는 뜻으로, 복잡한 내용을 짧고 간결하게 설명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예:
• “In a nutshell, the project was a success despite the challenges.”
(간단히 말하자면, 그 프로젝트는 도전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이었다.)
Winging Everything
“Winging everything”은 “모든 일을 즉흥적으로 하다” 또는 “계획 없이, 준비 없이 하다”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어떤 일을 미리 준비하지 않고,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임기응변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
• “I didn’t study much for the test; I was just winging everything.”
(시험을 위해 많이 공부하지 않았어. 그냥 즉흥적으로 했어.)
preamble
Preamble는 “서문” 또는 “서두”라는 의미로, 주로 문서나 연설에서 본격적인 내용에 들어가기 전에 간단히 설명이나 배경을 제공하는 부분을 말합니다.
예:
•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explains the intentions behind its creation.”
(헌법의 서문은 그 작성 의도를 설명합니다.)
raspy
Raspy는 “거친” 또는 “쉰”이라는 의미로, 주로 목소리가 부드럽지 않고 거칠거나 쉬어있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
• “She spoke in a raspy voice after cheering all night.”
(그녀는 밤새 응원한 후 쉰 목소리로 말했다.)
Bewilderment
Bewilderment는 “어리둥절함” 또는 “혼란”을 의미합니다. 주로 사람이 어떤 상황이나 정보를 이해하지 못해 혼란스러워하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
• “His face showed complete bewilderment when he heard the news.”
(그가 그 소식을 들었을 때 그의 얼굴은 완전히 어리둥절해 보였다.)
Once in a blue moon
Once in a blue moon은 관용적으로 “아주 드물게” 또는 “거의 없는 경우에”를 뜻합니다. 특정 일이 거의 일어나지 않거나 극히 드물게 일어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예:
• “She visits her hometown once in a blue moon.”
(그녀는 고향을 아주 드물게 방문한다.)
한국어로는 “가뭄에 콩 나듯” 정도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Magnanimity
Magnanimity는 “도량”, “관대함”, 또는 “아량”을 뜻합니다. 특히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거나 관대하게 대하는 고귀하고 너그러운 태도를 의미합니다.
예:
• “His magnanimity in forgiving those who wronged him was truly admirable.”
(그를 잘못한 사람들을 용서하는 그의 관대함은 정말로 존경스러웠다.)
한국어로는 상황에 따라 “큰 그릇”, “포용력”, 또는 “넓은 마음”으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Grace
Grace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1. 우아함, 품위
• 몸짓이나 행동이 부드럽고 아름다움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 “She moved with grace and elegance.”
(그녀는 우아하고 품위 있게 움직였다.)
2. 은혜, 자비
• 종교적 맥락에서 신의 축복이나 은총을 나타냅니다.
예: “By the grace of God, they were saved.”
(신의 은혜로 그들이 구원을 받았다.)
3. 호의, 친절함
•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너그러움이나 친절함을 의미합니다.
예: “She had the grace to apologize for her mistake.”
(그녀는 자신의 실수를 사과하는 친절함을 보였다.)
4. 시간적 여유
• 마감 기한이나 의무를 완화해주는 추가적인 시간.
예: “The landlord gave us a grace period to pay the rent.”
(집주인이 우리에게 집세를 낼 유예 기간을 주었다.)
한국어로는 “우아함”, “은혜”, “자비”, “유예” 등으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May the God’s boundless magnanimity grace you both
“May the God’s boundless magnanimity grace you both”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신의 끝없는 관대함이 당신 두 분께 은혜로 함께하시길 바랍니다.”
• Magnanimity (관대함): 관용적이고 너그러운 마음씨를 말합니다.
• Grace (은혜를 내리다): 신성한 축복이나 은총이 함께한다는 의미입니다.
• Boundless (끝없는): 제한 없이 무한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 문장은 격식 있고 경건한 축복의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I merely said~
“I merely said ~“는 “나는 단지 ~라고 말했을 뿐이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 Merely: 단지, 그저. 어떤 말을 강조하거나 변명할 때 사용됩니다.
• 이 표현은 자신이 한 말이나 행동을 정당화하거나 간단하게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시:
• “I merely said it as a joke.”
→ “나는 그저 농담으로 말했을 뿐이야.”
Blessed be the melting of the snow
“Blessed be the melting of the snow”를 한국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눈이 녹음을 축복합니다”
또는
“눈이 녹는 것을 축복합니다”
이 문장은 시적이고 경건한 뉘앙스를 지니고 있습니다. 겨울에서 봄으로의 자연스러운 전환에 대한 감사와 기쁨을 나타내며, 새로움, 희망, 따뜻함의 도래를 상징합니다. 비유적으로는 어려움이나 차가움(물리적 또는 감정적)이 끝나고 새로운 기회, 치유, 변화가 시작됨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ponchos with hoods
“Ponchos with hoods”는 한국어로 “후드가 달린 판초”라고 합니다.
• Poncho (판초): 어깨 위로 걸치며 몸을 감싸는 전통적인 천 의류로, 흔히 방수 재질로 만들어져 비옷이나 따뜻한 외투로 사용됩니다.
• Hood (후드): 머리를 덮을 수 있도록 디자인된 부분.
후드가 달린 판초는 특히 비 오는 날이나 바람이 강한 날에 실용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의류입니다.
Vested interests
Vested interests는 한국어로 “기득권” 또는 “기득권 이익”으로 번역됩니다.
• 뜻: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 상황이나 체제에서 유지하거나 보호하려는 권리나 이익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익은 이미 확보된 상태이며, 대개 변화나 개혁에 저항하는 이유가 됩니다.
• 예문:
• “The reform faced strong opposition from those with vested interests.”
→ “그 개혁은 기득권층으로부터 강한 반대를 직면했다.”
• “Vested interests often hinder social progress.”
→ “기득권 이익은 종종 사회 발전을 저해한다.”
추가 설명
“Vested”는 “법적 권리가 부여된” 또는 “보장된”이라는 뜻으로, “vested interests”는 기존 권리를 지키려는 사람들 또는 집단을 가리킬 때 주로 사용됩니다.
Ruffian
Ruffian은 한국어로 “폭력적인 사람” 또는 “악당”으로 번역됩니다.
• 뜻:
폭력적이고 거친 성격을 가진 사람, 또는 일반적으로 법과 질서를 무시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종종 범죄적인 성향을 가진 인물에 대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 예문:
• “The ruffians caused chaos in the town square.”
→ “그 폭력적인 사람들이 마을 광장에서 혼란을 일으켰다.”
• “He was a ruffian who always got into trouble.”
→ “그는 항상 문제를 일으키는 악당이었다.”
추가 설명
“Ruffian”은 보통 비하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길거리에서 폭력이나 불법적인 행동을 일삼는 사람들을 묘사할 때 자주 쓰입니다.
Procession
Procession은 한국어로 “행렬” 또는 “행진”으로 번역됩니다.
뜻
1. 행렬: 사람들이 줄지어 이동하는 모습, 특히 의식적이고 질서 있게 움직이는 경우.
2. 행진: 특정 목적이나 행사를 위해 줄을 지어 이동하는 것.
예문
1. “The wedding procession moved slowly through the garden.”
→ “결혼 행렬이 정원을 천천히 지나갔다.”
2. “A funeral procession passed through the streets in silence.”
→ “장례 행렬이 거리를 조용히 지나갔다.”
추가 설명
“Procession”은 주로 종교 의식, 결혼식, 장례식, 또는 축제에서 질서 정연한 움직임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pillars
Pillars는 한국어로 “기둥”이라고 번역됩니다.
뜻
1. 건축물의 기둥: 건물을 지탱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세운 구조물.
2. 추상적 의미: 어떤 체계, 조직, 신념 등을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 또는 중심 인물.
예문
1. 물리적 기둥
• “The ancient temple was supported by tall marble pillars.”
→ “고대 사원은 높은 대리석 기둥들로 지탱되었다.”
2. 추상적 의미
• “Education is one of the pillars of a strong society.”
→ “교육은 강한 사회를 지탱하는 기둥 중 하나이다.”
추가 설명
• Literal: 건축과 관련된 실제적인 기둥.
• Figurative: 조직, 신념, 체계 등의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를 비유적으로 표현.
plump
Plump는 한국어로 “통통한”, “포동포동한” 또는 “둥글둥글한”으로 번역됩니다.
뜻
1. 형용사
• 살이 적당히 올라 통통하거나 둥글둥글한 모양.
• 과일, 쿠션 등이 속이 차 있어 탱탱한 느낌.
2. 동사
• (동사로는) “불룩해지다”, “통통하게 만들다”를 의미.
• 무언가를 “떨어뜨리다” 또는 “쾅 놓다”의 뜻으로도 사용됨.
예문
1. 형용사 사용
• “The baby has plump cheeks.”
→ “아기는 통통한 볼을 가지고 있다.”
• “The plump grapes look delicious.”
→ “탱글탱글한 포도가 맛있어 보인다.”
2. 동사 사용
• “She plumped the cushions before sitting down.”
→ “그녀는 쿠션을 통통하게 부풀린 뒤 앉았다.”
• “He plumped the book on the table.”
→ “그는 책을 탁자 위에 쾅 내려놓았다.”
추가 설명
• 긍정적 느낌: 귀엽고 건강한 모습(특히 아기나 과일).
• 부정적 느낌: 과도한 살집을 비유할 때 사용되기도 함.
grail
Grail은 한국어로 “성배”라고 번역됩니다.
뜻
1. 성배 (Holy Grail)
• 기독교 전통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한 잔으로 여겨지는 신성한 유물.
• 중세 기사 문학에서 성배를 찾는 이야기는 주된 모험이나 이상을 상징.
2. 비유적 의미
• 현대적으로는 “궁극적인 목표”, “갈망의 대상” 또는 “획득하기 어려운 이상”을 의미.
예문
1. Literal (문자적 의미)
• “The knights searched for the Holy Grail in Arthurian legends.”
→ “기사들은 아서왕 전설에서 성배를 찾아 나섰다.”
2. Figurative (비유적 의미)
• “Curing cancer is considered the holy grail of medical research.”
→ “암 치료는 의학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로 여겨진다.”
추가 설명
• “성배 찾기”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려운 여정을 떠나는 것을 상징.
• 이상적인 성공, 진리, 발명 등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됨.
Podium
Podium은 한국어로 “연단” 또는 “단상”이라고 번역됩니다.
뜻
1. 연설이나 발표를 위한 단상
• 연설, 강연, 발표, 또는 수상식에서 사람들이 올라서서 말하거나 행동을 할 수 있는 높은 단.
2. 스포츠 (특히 메달 수여식)
• 경기에서 1위, 2위, 3위를 수여받는 선수가 서는 단.
• 1위는 가운데 높은 단, 2위와 3위는 양옆 낮은 단에 서게 됨.
3. 건축
• 건물, 조각상, 또는 다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낮은 받침대.
예문
1. 연설 상황
• “The speaker walked up to the podium and adjusted the microphone.”
→ “연사가 연단으로 올라가 마이크를 조정했다.”
2. 스포츠 시상식
• “She proudly stood on the top of the podium after winning the gold medal.”
→ “그녀는 금메달을 딴 후 당당히 연단 위에 섰다.”
3. 건축적 의미
• “The statue was placed on a marble podium for better display.”
→ “조각상은 더 잘 보이도록 대리석 연단 위에 놓였다.”
유의어
• Platform (플랫폼, 단상)
• Stage (무대)
• Dais (데이스, 연단)
추가 설명
• Podium은 특히 공식적이고 권위 있는 자리에서 자주 사용되며, 그 상징적인 의미도 강합니다.
• 스포츠 분야에서는 “Podium Finish”라는 표현으로 메달권에 드는 것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intone
Intone은 한국어로 “읊조리다”, “낭송하다” 또는 “억양을 넣어 말하다”로 번역됩니다.
뜻
1. 음조를 넣어 말하다
• 단조로운 톤으로 말하거나 노래하듯이 읊조리는 것.
• 특히 의식적 또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주 사용.
2. 낭송하다
• 종교적 기도문이나 시를 억양을 넣어 말하는 것.
예문
1. 일반적인 문장 낭송
• “She intoned the words slowly, emphasizing each syllable.”
→ “그녀는 한 음절씩 강조하며 천천히 단조롭게 그 말을 읊조렸다.”
2. 기도나 의식
• “The priest intoned the sacred hymn during the ceremony.”
→ “사제가 의식 중에 성가를 읊조렸다.”
3. 독특한 톤
• “He intoned his response with a deep, solemn voice.”
→ “그는 깊고 엄숙한 목소리로 대답을 읊조렸다.”
유의어
• Chant (노래하듯 읊다)
• Recite (낭송하다)
• Speak monotonously (단조롭게 말하다)
추가 설명
• Intone은 문학적이고 종교적인 맥락에서 많이 쓰이며, 단어 자체에 장엄하고 진지한 느낌이 담겨 있습니다.
• 일반 대화에서 많이 쓰이지 않지만, 종교 의식, 시 낭송, 또는 강조된 표현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High bishop
High Bishop는 한국어로 “고위 주교” 또는 “대주교”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의미
1. 종교적 맥락
• 일반적으로 기독교, 특히 가톨릭, 정교회, 또는 성공회에서 높은 지위를 가진 주교를 뜻합니다.
• 교구를 관리하거나 더 큰 종교적, 행정적 권한을 가진 역할을 맡는 사람이 해당됩니다.
2. 가상의 세계 또는 문학적 맥락
• 종교 체계를 모방한 판타지 소설이나 게임 등에서 종교 조직의 최고위 지도자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예문
1. 실제 종교적 의미
• “The High Bishop presided over the ceremony with great solemnity.”
→ “고위 주교가 매우 엄숙하게 의식을 주재했다.”
2. 가상의 세계
• “The High Bishop held the sacred staff, symbolizing his divine authority.”
→ “고위 주교는 신성한 권위를 상징하는 성스러운 지팡이를 들고 있었다.”
관련 용어
• Archbishop (대주교)
• 실제로 가톨릭이나 정교회에서 사용되는 공식 칭호로, 여러 교구를 관장하는 주교를 지칭.
• Bishop (주교)
• 교구를 책임지는 성직자.
• Cardinal (추기경)
• 교황을 선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고위 성직자.
판타지 세계와의 차이
• 현실의 고위 성직자와 달리, 판타지나 문학에서의 High Bishop은 종종 종교적, 정치적 권력을 겸비한 캐릭터로 등장하며, 신성한 힘이나 특별한 능력을 부여받은 경우가 많습니다.
cutting edge of ~
“Cutting edge”는 원래 칼이나 도구의 가장 날카로운 부분인 “칼날”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최첨단” 또는 “최신”을 나타내며, 특히 기술, 과학, 예술 등의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진보된 상태를 지칭합니다.
예문:
• “His research is at the cutting edge of new therapies for cancer.”
• “그의 연구는 암 치료의 최첨단에 있다.”
• “We want to be at the cutting edge of this technology.”
• “우리는 이 기술의 최첨단에 있고 싶다.”
이러한 맥락에서 “cutting edge of ~“는 특정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진보된 측면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cutting edge of technology”는 “기술의 최첨단”을 의미합니다.
또한, “cutting-edge”는 형용사로 사용되어 “최첨단의”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문:
• “This is a cutting-edge product.”
• “이것은 최첨단 제품이다.”
이 표현은 혁신과 진보를 추구하는 것을 나타내며, 새로운 아이디어, 기술, 제품 등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divine
Divine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 문맥에 따라 신성함, 탁월함, 또는 추측과 관련된 뜻을 지닙니다.
- 형용사 (Adjective)
• 신성한, 거룩한: 신에 관한 것이거나 매우 경건한 것을 묘사합니다.
• 예: Divine love (신성한 사랑)
• 예문: “The priest spoke of divine mercy.”
(사제가 신의 자비에 대해 이야기했다.)
• 아주 멋진, 훌륭한: 감탄을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 예: The meal was simply divine.
(그 식사는 그야말로 훌륭했다.) - 명사 (Noun)
• 신학자 또는 성직자: 종교적 연구나 활동에 종사하는 사람.
• 예: “The divines debated the nature of God.”
(신학자들이 신의 본질에 대해 토론했다.) - 동사 (Verb)
• 추측하다, 점치다: 과거에는 신의 뜻을 점치거나 미래를 예언하는 의미로 많이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예상하다”나 “추측하다”로 사용됩니다.
• 예: He divined her intentions.
(그는 그녀의 의도를 추측했다.)
• 예문: “Ancient people often used tools to divine the will of the gods.”
(고대 사람들은 종종 신의 뜻을 점치기 위해 도구를 사용했다.)
예문 모음
1. 형용사로 사용:
• “The divine beauty of the sunset left us speechless.”
(일몰의 신성한 아름다움이 우리를 말문이 막히게 했다.)
2. 동사로 사용:
• “He tried to divine the answer from her expressions.”
(그는 그녀의 표정에서 답을 추측하려고 했다.)
3. 명사로 사용:
• “A learned divine delivered the sermon.”
(학식 있는 신학자가 설교를 했다.)
한국어로:
• 형용사: 신성한, 거룩한 / 아주 멋진
• 명사: 신학자, 성직자
• 동사: 추측하다, 점치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Soap opera
Soap opera는 주로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드라마 형식으로, 보통 일상적인 이야기와 감정적인 갈등을 다루며, 장기간에 걸쳐 방영됩니다. 이 드라마는 보통 가족, 연애, 사회적 관계 등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감정적으로 과장된 사건들이 주로 등장합니다.
- 정의:
• Soap opera는 원래 비누(soap) 광고와 함께 방영되었던 드라마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광고주들이 주로 가정용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였기 때문에, 주로 여성층을 대상으로 방영되었던 프로그램입니다.
• 지금은 이야기 구조가 길고 복잡하며, 감정적이고 극적인 요소가 강조되는 드라마를 일컫는 용어로 쓰입니다. - 특징:
• 장기적인 방영: 일주일에 여러 번, 몇 년에 걸쳐 방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감정적인 이야기: 갈등, 사랑, 배신, 음모 등 감정적으로 강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합니다.
• 과장된 캐릭터와 상황: 때때로 현실과 동떨어진 과장된 상황이나 캐릭터가 등장하기도 합니다. - 예시:
• “The Bold and the Beautiful”
• “Days of Our Lives”
• “General Hospital” - 한국어 의미:
• 연속극: 주로 가정적인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로, 과장된 감정선과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주로 긴 시간 동안 방송되며, 주 5일 이상 방영되기도 합니다.
예문:
• “She spends her afternoons watching soap operas.”
(그녀는 오후에 연속극을 보는 걸 즐긴다.)
• “The soap opera has been on air for over 10 years.”
(그 연속극은 10년 넘게 방영되고 있다.)
이 드라마 장르는 종종 현실적인 상황보다는 과장된 감정과 갈등을 다루므로, 종종 사람들에게 강한 감정적 반응을 일으킵니다.
Granted favor
Granted favor는 “허락된 호의” 또는 “주어진 친절”을 의미합니다. 이는 누군가가 다른 사람에게 자비나 도움을 베풀었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 의미:
• Granted: 허락되었거나 인정된, 주어졌다는 의미.
• Favor: 호의, 친절, 은혜 등을 의미합니다. - 문맥:
• “Granted favor”는 누군가가 특별히 어떤 일을 도와주거나 친절을 베푼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그 호의나 혜택이 주어진 것이므로, 다른 사람에게 감사하거나 그 사람의 호의에 의존하는 상황일 때 자주 쓰입니다. - 예시:
• “The queen granted the knight a favor for his bravery.”
(여왕은 그의 용기에 대해 기사에게 호의를 베풀었다.)
• “He felt that the granted favor was something he would never forget.”
(그는 그가 받은 호의가 결코 잊지 못할 것이라고 느꼈다.) - 한국어 해석:
• 허락된 호의, 베풀어진 친절 또는 주어진 은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Granted favor는 일반적으로 누군가가 선의를 베풀었을 때, 그 선의가 상대방에게 유익이 되거나 영향을 미쳤을 때 쓰입니다.
Partron deity
Patron deity는 “수호신” 또는 “보호신”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한 사람, 그룹, 장소, 직업, 국가 등을 보호하거나 인도하는 신을 가리킵니다.
- 의미:
• Patron: 후원자, 수호자, 보호자.
• Deity: 신, 신성한 존재.
따라서 patron deity는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을 보호하고 이끄는 신을 의미합니다.
- 문맥:
• Patron deity는 종교나 신화에서 주로 등장하며, 특정 지역이나 직업을 보호하는 신으로 여겨집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에서는 특정 신이 시민들을 보호한다고 믿었고, 그 신을 patron deity로 간주했습니다. - 예시:
• “Athena was the patron deity of Athens, protecting the city and its citizens.”
(아테나는 아테네의 수호신으로, 도시와 시민들을 보호했다.)
• “The sailor prayed to Poseidon, the patron deity of the seas, before embarking on his voyage.”
(그 선원은 항해를 떠나기 전에 바다의 수호신인 포세이돈에게 기도했다.) - 한국어 해석:
• 수호신 또는 보호신. 특정 집단이나 장소를 지키고 인도하는 신을 의미합니다.
Patron deity는 특정한 집단이나 사람들의 보호자가 되는 신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Genuflecting
Genuflecting는 “무릎을 꿇다” 또는 “경의를 표하기 위해 무릎을 꿇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성한 존재나 경건한 장소, 예를 들어 교회에서 신을 숭배하거나 존경을 표할 때 사용되는 동작입니다.
- 의미:
• Genuflect는 라틴어 “genuflectere”에서 유래되었으며, “무릎을 꿇다”라는 의미입니다.
• 이 동작은 예배 중에 신성한 존재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기 위해 무릎을 꿇는 행동을 포함합니다. - 문맥:
• 종교적인 행사나 의식에서 자주 사용되며, 특히 기독교에서 신 앞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무릎을 꿇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 세속적인 상황에서도 경의나 존경을 표시하기 위해 비슷한 동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The faithful genuflected before the altar during the mass.”
(신자들은 미사 중에 제대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
• “He genuflected before the statue of the saint.”
(그는 성인의 동상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 - 한국어 해석:
• 무릎을 꿇다 또는 경의를 표하다는 의미입니다.
Affiliated
Affiliated는 “제휴된”, “연관된”, 또는 “소속된”이라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조직이나 개인이 관계를 맺고 있거나 공식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 의미:
• Affiliated는 주로 회사나 단체, 사람 간의 공식적인 연결이나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한 단체나 기관이 다른 단체나 기관에 소속되거나 제휴되어 있을 때 사용됩니다. - 문맥:
• 주로 조직 간의 관계나 연결을 나타내며, 특히 기업, 대학, NGO, 또는 다른 공식 단체들 간의 협력 또는 소속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예시:
• “The university is affiliated with several research institutes.”
(그 대학은 여러 연구소와 제휴 관계에 있다.)
• “He is affiliated with a major law firm.”
(그는 주요 로펌에 소속되어 있다.) - 한국어 해석:
• 제휴된, 소속된, 연관된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Shrine maiden
Shrine maiden는 일본 문화에서 종교적인 신사에서 일하는 여성 종교인이나 제사무녀를 의미합니다. 일본 신토(Shinto)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사에서의 의식을 돕고 신과 사람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의미:
• Shrine maiden은 일반적으로 신사에서 제사나 의식을 집전하는 여성으로, 신토 신앙에서 신에게 봉사하고 의식을 인도하는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습니다.
• 일본 신사에서 miko(미코)라고도 불리며, 종종 전통적인 의상인 하카마를 입고 의식을 수행합니다. - 문맥:
• Shrine maiden은 일본 전통 문화에서 신토의 제례와 관련된 직업을 의미하며, 종교적인 신념과 의식의 일환으로 신사에서 활동합니다.
• 또한, 종종 청순하고 신성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캐릭터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 예시:
• “The shrine maiden performed a ritual at the sacred temple.”
(그 신사 처녀는 신성한 사원에서 의식을 수행했다.)
• “She became a shrine maiden after years of training in the ways of Shinto.”
(그녀는 신토의 길을 배우며 수년간 훈련한 후 신사 처녀가 되었다.) - 한국어 해석:
• 신사 처녀 또는 제사무녀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Chalice
Chalice는 잔 또는 성배를 의미합니다. 주로 종교적인 의식에서 사용되는 컵이나 잔을 말하며, 특히 기독교에서 성찬식 중에 예수의 피를 상징하는 술이나 와인을 담는 그릇으로 자주 등장합니다.
- 의미:
• Chalice는 일반적으로 고급스럽고, 신성한 의미를 지닌 컵을 의미합니다.
• 주로 종교 의식에서 사용되며, 성찬식이나 제사 등에서 신성한 음료를 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 문맥:
• Chalice는 보통 예술적이고 장식적인 그릇으로 묘사되며, 금속(은, 금 등)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기독교에서, 성배(chalice)는 예수의 피를 상징하며 매우 중요한 종교적 상징이 됩니다. - 예시:
• “The priest lifted the chalice during the communion ceremony.”
(신부는 성찬식 중에 성배를 들어 올렸다.)
• “The ancient chalice wa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그 고대의 성배는 세대를 거쳐 전해졌다.) - 한국어 해석:
• 성배 또는 잔. 종교적, 신성한 의미를 지닌 잔을 말합니다.
Meek and Timid
Meek와 Timid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1. Meek (순종적이고 겸손한):
• Meek는 겸손하고 순종적인 성격을 나타내며, 자주 자기주장을 하지 않고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Meek는 때때로 무력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온순하고 순수한 성격을 강조할 때 쓰입니다.
예시:
• “She was a meek and humble servant who always put others first.”
(그녀는 항상 다른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겸손하고 순한 하인이었다.)
2. Timid (소심한, 수줍어하는):
• Timid는 두려움이나 불안으로 인해 소심하거나 자신감이 없는 성격을 의미합니다. 주로 겁이 많고 낯선 상황에서 회피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 Timid는 때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외부 자극에 과도하게 반응하는 사람을 설명할 때 쓰입니다.
예시:
• “The timid child was afraid to speak in front of the class.”
(그 소심한 아이는 교실 앞에서 말하는 것이 두려워했다.)
차이점:
• Meek는 자기 주장을 하지 않고 순종적인 성격을 강조하는 반면, Timid는 두려움과 불안으로 인한 소극적인 태도를 의미합니다.
한국어 해석:
• Meek: 겸손하고 순종적인, 온순한
• Timid: 소심한, 수줍어하는, 두려워하는
Soverienity
Sovereignty (주권)란, 국가나 단체가 자기 자신의 지배권과 독립적인 권한을 갖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다른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기 나라의 법과 정책을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Sovereignty는 주로 국가나 정부의 권한에 대해 언급할 때 사용됩니다. 국가나 정부가 외부의 간섭 없이 자기 스스로를 지배할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예시:
• “The country fought for its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그 나라는 주권과 독립을 위해 싸웠다.)
• “The sovereignty of the state is essential for its governance.”
(국가의 주권은 그 통치에 필수적이다.)
한국어로 해석:
• Sovereignty: 주권, 독립적인 통치권, 자치권
Political purges
Political purges (정치적 숙청)은 정부나 정치 체제 내에서 특정 집단이나 개인들을 제거하거나 탄압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주로 권력자가 자신의 정치적 적이나 반대자를 제거하기 위해 체제 내에서 폭력적이고 억압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특징:
• 정적 제거: 정치적 숙청은 주로 정적이나 반대세력을 목표로 합니다.
• 폭력적인 방식: 종종 사형, 투옥, 강제 이주, 고문 등 폭력적이고 강제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 권력 집중: 정치적 숙청은 종종 권력을 장악한 지도자나 정권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고 반대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행하는 일입니다.
예시:
• “The dictator ordered a political purge to eliminate his rivals.”
(독재자는 자신의 경쟁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정치적 숙청을 명령했다.)
• “Political purges are a hallmark of authoritarian regimes.”
(정치적 숙청은 권위주의 정권의 특징이다.)
한국어로 해석:
• Political purges: 정치적 숙청, 정적 제거
Grimace
Grimace (그리메이스)는 얼굴을 일그러뜨리며 고통이나 불쾌감을 나타내는 표정을 의미합니다. 주로 불쾌감, 고통, 분노 또는 불편함을 느낄 때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표정입니다.
예시:
• “He made a grimace when he tasted the bitter medicine.”
(그는 쓴 약을 먹고 얼굴을 일그러뜨렸다.)
• “Her grimace revealed how much the news upset her.”
(그녀의 얼굴 일그러짐은 그 소식이 그녀에게 얼마나 충격을 주었는지를 나타냈다.)
한국어로 해석:
• Grimace: 얼굴을 일그러뜨리다, 찡그리다, 얼굴을 찡그린 표정
arduous
Arduous (아듀어스)는 매우 힘든 또는 고된을 의미하는 형용사로, 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하거나 힘든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시:
• “The hike up the mountain was an arduous task.”
(산을 오르는 일은 고된 작업이었다.)
• “She undertook an arduous journey to reach the summit.”
(그녀는 정상에 도달하기 위해 고된 여정을 떠났다.)
한국어로 해석:
• Arduous: 힘든, 고된, 어려운
Kernel of truth
Kernel of truth (진실의 핵심)은 어떤 주장이나 이야기 속에서 작은 진실의 부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체적인 이야기나 주장이 과장되었거나 왜곡되었을 수 있지만, 그 안에 핵심적인 진실이 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시:
• “Although the rumor is mostly false, there’s a kernel of truth in it.”
(그 소문은 대부분 거짓이지만, 그 안에는 진실의 핵심이 있다.)
• “His story was exaggerated, but there was a kernel of truth about the event.”
(그의 이야기는 과장되었지만, 그 사건에 대한 진실의 핵심이 있었다.)
한국어로 해석:
• Kernel of truth: 진실의 핵심, 진실의 일부
moral high ground
Moral high ground (도덕적 고지)는 도덕적으로 더 올바르고, 윤리적으로 우수한 위치를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종종 자신의 행동이나 입장이 다른 사람들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하다고 주장할 때 사용됩니다. 누군가가 “moral high ground”를 차지했다고 말할 때, 이는 그 사람이 자신이 더 도덕적이고 올바른 행동을 하고 있다고 믿는다는 의미입니다.
예시:
• “He always tries to take the moral high ground, even when he is at fault.”
(그는 자신이 잘못했을 때도 항상 도덕적 고지를 차지하려 한다.)
• “The politician tried to claim the moral high ground by suppor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그 정치인은 환경 보호를 지지함으로써 도덕적 고지를 주장하려 했다.)
한국어로 해석:
• Moral high ground: 도덕적 고지, 도덕적 우위, 윤리적 우월
lame
Lame (기운 없는, 불편한, 구식의)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주로 두 가지 주요 의미로 사용됩니다:
1. 신체적인 불편함: 일반적으로 발음이 어색하거나 다리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He has a lame leg” (그는 다리가 불편하다)처럼 사용됩니다.
2. 형용사로서 비하적 의미: 약하거나 부족한, 혹은 별로 재미없고 흥미롭지 않거나 비효율적인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hat was a lame excuse” (그것은 쓸모없는 변명이었다) 또는 “His joke was pretty lame” (그의 농담은 별로였다)처럼 사용됩니다.
예시:
• “After the injury, he had to walk with a lame leg.”
(부상 후, 그는 불편한 다리로 걸어야 했다.)
• “That excuse was so lame, no one believed it.”
(그 변명은 너무 구식이라 아무도 믿지 않았다.)
한국어로 해석:
• Lame: 불편한, 구식의, 재미없는, 부족한
flail
“Flail to survive”는 살아남기 위해 허우적대다 또는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휘두르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여기서 “flail”은 혼란스럽고 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언가를 휘두르거나, 힘겹게 싸우거나,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생존을 위한 강렬한 노력이나 필사적인 투쟁을 묘사합니다.
이 표현은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강조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 flailed to survive in the harsh conditions of the desert.”는 “그는 사막의 가혹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으로 허우적댔다.“라는 뜻이 됩니다.
condescendingly
“Condescendingly”는 잘난 척하며 또는 우월감을 갖고라는 의미로, 다른 사람을 깔보거나 얕잡아보는 태도로 행동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이 단어는 상대방을 낮추어 보거나 그들의 능력이나 지위보다 자신이 더 낫다고 느끼는 태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시: “She spoke condescendingly to her colleagues, making them feel inferior.”
-> “그녀는 동료들에게 잘난 척하며 말해서 그들을 열등하게 느끼게 했다.”
benevolence
“Benevolence”는 자비 또는 선의를 의미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고 도와주려는 마음이나 행동을 나타내며, 종종 무조건적인 선행이나 나눔의 태도를 포함합니다.
예시: “His benevolence towards the less fortunate was evident in his charitable donations.”
-> “그의 불쌍한 사람들에 대한 자비는 그의 자선 기부에서 분명히 드러났다.”
Pathetic
“Pathetic”는 불쌍한, 애처로운, 또는 한심한이라는 의미입니다. 주로 불쌍하거나 동정을 유발하는 상황이나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되며, 때로는 실망스럽거나 비하적인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시: “The movie was so pathetic that I couldn’t finish watching it.”
-> “그 영화는 너무 한심해서 끝까지 볼 수 없었다.”
Flinched at a sight
“Flinched at a sight”는 그 장면에 깜짝 놀라거나 반응을 보였다는 의미입니다. 주로 놀람, 두려움, 불쾌감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갑자기 일어난 무서운 일이나 보기 힘든 장면에 반응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시: “He flinched at the sight of the blood.”
-> “그는 피를 보고 움찔했다.”
impudent
“Impudent”는 뻔뻔스러운, 무례한, 또는 버릇없는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주로 다른 사람에게 예의 없이, 자신감을 가지고 지나치게 무례하게 행동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1. His impudent remark offended everyone in the room.
-> “그의 뻔뻔스러운 발언은 방에 있던 모든 사람을 불쾌하게 만들었다.”
2. She gave him an impudent look before walking away.
-> “그녀는 그에게 무례한 눈길을 보낸 후 떠났다.”
toppled
“Toppled”는 (무엇을) 넘어뜨리다, (권력이나 지위에서) 몰락시키다, 또는 (위에서 아래로) 쓰러지다는 의미를 가진 동사입니다. 흔히 무언가가 비틀거리거나 균형을 잃어 쓰러질 때 사용됩니다.
예시:
1. The statue was toppled by the strong winds.
-> “그 동상은 강한 바람에 의해 넘어졌다.”
2. The dictator was toppled after years of oppression.
-> “독재자는 수년 간의 억압 후 몰락했다.”
held down his chest and let out a grunt
“held down his chest and let out a grunt”는 가슴을 눌러잡고 신음 소리를 내다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held down”은 가슴을 눌렀다는 것을, “grunt”는 힘든 상황에서 나오는 낮고 굵은 신음 소리나 불만의 표현을 의미합니다.
예시:
1. He held down his chest and let out a grunt as the pain surged.
-> “그는 통증이 밀려오자 가슴을 눌러잡고 신음 소리를 냈다.”
2. After running the marathon, he held down his chest and let out a grunt from exhaustion.
-> “마라톤을 끝낸 후, 그는 가슴을 눌러잡고 탈진해서 신음 소리를 냈다.”
self derison
“Self-derision” (자기 비하)란 자신을 비하하거나 조롱하는 태도나 행동을 의미합니다.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나 비웃음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통 자신을 과소평가하거나 자책하는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시:
1. He spoke with self-derision, mocking his own mistakes.
-> “그는 자기 비하적인 말투로 자신의 실수를 비웃으며 말했다.”
2. Her self-derision made it difficult for others to offer support.
-> “그녀의 자기 비하적인 태도는 다른 사람들이 지원을 제안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ornately
“Ornately” (화려하게)란 장식이 많이 되어 있거나, 매우 세밀하고 화려하게 꾸며져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주로 예술 작품, 건축물, 의상 등에서 사용되며, 장식적이고 세련된 방식으로 꾸며진 것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예시:
1. The room was ornately decorated with gold and velvet.
-> “그 방은 금과 벨벳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2. She wore an ornately designed gown for the gala.
-> “그녀는 갈라 행사에서 화려하게 디자인된 드레스를 입었다.”
Intertwined with~
“Intertwined with” (억눌려 엉키거나 얽혀 있는)란 어떤 것이 서로 얽혀 있거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보통 물리적이거나 비유적인 관계에서 두 가지 이상의 것들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을 때 사용됩니다.
예시:
1. The roots of the trees we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 “나무들의 뿌리는 서로 얽혀 있었다.”
2. His fate was intertwined with hers from that moment.
-> “그의 운명은 그 순간부터 그녀와 얽히게 되었다.”
이 표현은 두 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강하게 영향을 미치거나 결합되어 있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lenient
“Lenient” (관대한, 너그러운)은 엄격하지 않고, 규칙이나 법을 완화하여 부드럽게 다루는 성격이나 태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규칙, 처벌 등이 지나치게 엄격하지 않고, 더 자비롭고 이해심이 많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시:
1. The teacher was lenient with the students who had missed class.
-> “그 선생님은 수업에 빠진 학생들에게 관대했다.”
2. Her lenient approach to discipline helped the children feel more comfortable.
-> “그녀의 관대한 규율 접근법은 아이들이 더 편안하게 느끼게 했다.”
endorcement
“Endorsement” (지지, 승인)은 어떤 사람이나 아이디어, 제품, 정책 등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거나 승인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보통 공개적으로 지지 의사를 표명하거나 공식적인 승인을 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1. The celebrity’s endorsement of the product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sales.
-> “그 유명인의 제품 지지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2. The proposal received the endorsement of several key members.
-> “그 제안은 몇 명의 중요한 구성원들의 지지를 받았다.”
goofy grin
“Goofy grin” (어색한 웃음, 우스꽝스러운 미소)은 어리석거나 우스꽝스럽게 보이는 웃음을 의미합니다. 보통 상대방을 웃기려고 일부러 만든 웃음이거나, 재미있거나 기이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웃음일 수 있습니다.
예시:
1. He flashed a goofy grin after telling the joke.
-> “그는 농담을 한 뒤 우스꽝스러운 미소를 지었다.”
2. She gave him a goofy grin when he made a funny face.
-> “그녀는 그가 웃긴 표정을 지었을 때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
demeaner
“Demeanor” (태도, 품행)은 사람이 외부에 나타내는 행동, 태도, 표정 또는 그 사람의 전반적인 성격을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는 그 사람이 어떻게 보이거나, 느껴지는지와 관련된 외적인 표현입니다.
예시:
1. Her calm demeanor made everyone feel at ease.
-> “그녀의 차분한 태도는 모두를 편안하게 했다.”
2. He had a rude demeanor that made people uncomfortable.
-> “그는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무례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resent
“Resent” (분노하다, 억울하게 여기다)는 어떤 일이 불공정하거나 부당하다고 느낄 때, 그것에 대해 화를 내거나 불쾌하게 여기는 감정을 표현하는 동사입니다.
예시:
1. She resented being treated like a child.
-> “그녀는 어린아이처럼 대우받는 것이 억울했다.”
2. I resent the way he spoke to me.
-> “나는 그가 나에게 말하는 방식이 불쾌했다.”
liability
“Liability” (책임, 부채)는 법적, 재정적, 또는 도덕적으로 져야 할 의무나 책임을 의미합니다. 특히 법적 또는 재정적인 의무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1. The company faces a liability lawsuit for environmental damage.
-> “그 회사는 환경 피해에 대해 책임을 지는 소송을 직면해 있다.”
2. He has a liability to pay the fine.
-> “그는 벌금을 납부할 책임이 있다.”
3. Having too many debts can become a liability.
-> “너무 많은 부채는 부채가 될 수 있다.”
panicky
“Panicky” (당황한, 패닉에 빠진)는 갑작스러운 두려움이나 불안으로 인해 침착하지 못하고 급히 반응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형용사입니다. 보통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통제력을 잃고 불안하게 되는 감정을 표현합니다.
예시:
1. She became panicky when she realized she had lost her passport.
-> “여권을 잃어버린 것을 깨달았을 때 그녀는 당황했다.”
2. His panicky behavior made it difficult to handle the emergency.
-> “그의 당황한 행동은 긴급 상황을 처리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Curtsy
“Curtsy” (여자에게서 보이는 절)는 여성이 예의를 갖추기 위해 무릎을 약간 굽히고 상체를 낮추는 인사를 하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보통 왕족이나 높은 지위의 사람에게 존경의 표시로 사용됩니다.
예시:
1. The princess curtsied gracefully before the queen.
-> “공주는 여왕 앞에서 우아하게 절을 했다.”
2. She gave a curtsy to the dignitaries as they entered the room.
-> “그녀는 고위 인사들이 방에 들어오자 절을 했다.”
Willy nilly
“Willy-nilly” (뜻: 어쩔 수 없이, 강제로)는 어떤 일이 원치 않게, 강제로 일어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보통 자기 의도나 계획과 관계없이 일이 일어날 때 쓰입니다.
예시:
1. We had to do it willy-nilly, even though we didn’t want to.
-> “우리는 원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그것을 해야 했다.”
2. The items were scattered willy-nilly all over the room.
-> “물건들이 방 안 곳곳에 어지럽게 흩어져 있었다.”
Confectionary
Confectionary (뜻: 제과 또는 과자)는 사탕, 초콜릿, 페이스트리, 디저트 등과 같은 달콤한 음식을 만드는 곳이나 그러한 음식 자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1. 명사:
• 제과점 (Confectionery shop).
• 사탕이나 초콜릿 같은 과자류.
2. 형용사:
• 제과에 관련된, 또는 단 것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예문:
1. She owns a confectionary filled with delicious chocolates and candies.
-> 그녀는 맛있는 초콜릿과 사탕으로 가득 찬 제과점을 운영하고 있다.
2. The festival included a variety of confectionary delights.
-> 축제에는 다양한 제과 음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defiant
Defiant (반항적인)
뜻:
반항하거나 저항하는 태도, 권위나 규칙에 순종하지 않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예문:
1. The child gave his parents a defiant look and refused to clean his room.
→ 그 아이는 부모님께 반항적인 표정을 지으며 방 청소를 거부했다.
2. Her defiant attitude inspired others to stand up for their rights.
→ 그녀의 도전적인 태도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도록 영감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