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암기목록(9/10) Flashcards
[교육행정 ]
동기이론(혹은 조직이론으로 볼 수 있음)
(2) 아지리스의 미성숙 이론(95 기출)
○조직 풍토 측면에서 동기 설명→조직풍토에 따라 개인의 성숙-미성숙이 영향 받음
○조직의 두 가지 유형←맥그리거의 X-Y이론에 영향
1) 관료적 가치체제를 따르는 조직
2) 인간적 가치체제를 따르는 조직
:조직 내의 구성원에게 책임의 폭을 넓혀주며 믿음으로 대해 주고 조직에서 성공, 성숙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면
→조직원의 자아실현 욕구와 성숙의 욕구 충족
→ 조직의 목표 달성
○시사점:
1)조직의 관리자는 구성원을 성숙한 인간으로 취급하고→그러한 문화 풍토를 조성하는 데 최선을 기울여야!
2)조직 구성원의 나태함은 그들 본인보다는→조직 자체의 운영에 그 원인이 있다.
[교육과정]
교과중심 교육과정 (91기출)
○개념: 전통적 문화유산 가운데 가장 항존적이고 본질적인 것 선정하여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것을 교육의 1차적 목표로 하고⇨학습자의 이해력/통찰력의 확장을 통한 이성의 계발을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 제시 ○특징 1) 교사 중심의 교육과정→ 설명 위주의 교수법 2) 한정된 교과 영역 안에서 학습 활동이 이루어짐 ○유형→교과의 선을 중심으로 \: 광역, 분과, 상관, 융합
[교육과정]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장점: 문화유산 전달 용이/체계적/중앙집권적 통제 쉬움/평가나 측정에 용이
⇨단점: 새로운 지식 전달 곤란/현 생활과 동떨어짐/단편적인 지식 주입/지식의 암기에 치중
[교육과정]
상관형 교육과정, 융합형 교육과정
○상관 교육과정: 교과의 선을 넘지 않으면서도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교과나 과목을 서로 연관시켜 조직하고 가르치는 교육과정의 형태
○융합형 교육과정: 각과목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그 사이의 내용이나 성질면에서 다수의 공통요인을 추출하여 새로운 교과로 재조직화 ex) 수학(기하와 대수)
[교육 심리]
지능 지수 해석상의 유의점(07, 14추가 기출)
(1) 지능 지수는 상대적 위치 표시⇨절대적 지능 아님
(2) 지능지수에 측정 오차가 존재⇨지능 지수를 점수대로 봐야 함.
(3) 지능지수 차이⇨정확한 지적 능력 차이 제시 못함.
(4) 지능지수는 한 가지 지표⇨과잉 해석을 피할 것
(5) IQ를 다른 예측 요소와 함께 사용할 것.
[평가]
Tyler의 목표 달성 모형( 05, 11, 12 기출)
○기본 입장 1) 평가의 목적=목표 성취 판단 2) 교육평가→교육 목표의 선정과 세분화에 이바지 3) 교육평가→학습경험의 선정 및 조직에 기여 4) 교육평가→교수-학습과정의 개선에 공헌 ○평가의 절차 1) 목표 설정: 학교의 교육목표 설정→설정된 교육목표 분류 2) 목표 명시: 분류된 교육목표를 행동적 용어로 정의 및 규정 3) 도구 제작: 교육 목표의 달성이 측정될 수 있는 평가 장면 설정 →측정방법 및 도구를 새롭게 개발하거나 선택 →측정 방법 및 도구를 사전 탐색적 시행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4) 자료 수집: 측정 실시, 자료 수집 및 처리 5) 가치 판단: 결과 해석-행동 목표와 학생의 성취 자료를 비교하는데 중점→수집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목표의 도달도를 결정
[교육 공학]
하인리히-ASSURE모형
A) 학습자의 특성 분석
→일반적 특성, 구체적인 출발점 능력, 학습 유형(학습자가 학습환경에서 어떻게 지각하고 상호작용하고 반응하는지를 결정하는 심리적 특성)
S) 목표 진술→ABCD진술 기법
S) 전략, 매체 및 자료의 선정
: 학습 과제에 적합한 방법 선택→방법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매체 선택→선정된 매체를 위해 기존 자료르 선택하거나 수정하거나 새로운 자료를 제작
U) 교수 매체의 활용 (5P: 매체/자료 검토, 매체/자료 준비, 환경 준비, 학습자 준비, 학습경험 제공)
R) 학습자의 참여 유도: 연습기회 제공-피드백 제공
E) 평가: (1)학습자 성취 평가, (2) 전략 및 매체 평가-수정
, (3)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
[교육 공학]
가네의 목표별 수업 이론
○가네는→ 학습하려는 목표가 달라짐에 따라 →학습 과제가 달라진다고 봄
○학습에는 학습 영역, 학습 사태, 학습의 요인 이 3가지 요소가 중요하다고 봄
○정보처리 학습이론을 많이 반영함
[교육 공학]
가네의 학습조건
○학습의 내적 조건 →선수학습능력: 학습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 사전에 습득해야 할 능력 →인지과정: 학습은 9가지 인지과정을 겪게 됨. cf) 김현: 선행학습, 학습 동기, 자아개념 ○학습의 외적 조건 →환경적 자극: 학습의 인지과정을 돕는 환경적 자극 →9가지 수업사태 cf) 강화의 원리, 접근의 원리(학습자가 반응해야 할 자극 사태와 적절한 반응이 시간적으로 접근되어 있으면 학습이 더 잘된다.) 반복의 원리
[교육 공학]
가네의 5가지학습영역
○언어정보: ~에 관한 지식(선언적 지식)→명칭, 정보, 사실, 명제를 학습하여 기억한 다음 이를 진술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함
→학습 방법:
1) 내적 조건(1지적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의미 있게 조직된 정보의 2인지구조를 학습자가 이용할 수 있어야 함.)
2) 외적 조건: 1선행 조직자 필요→인지구조에 쉽게 접근→유의미 학습 필요, 2목표를 분명히 알려줘야 함
○지적 능력: ~을 할 수 있는 능력(방법적(절차적) 지식)→여러 가지 기호나 상징을 사용하여 ~할 수 있는 능력
→학습 위계가 존재: 선행학습 중요
→지적 기능의 학습 위계: 변별, 구체적 개념(사례 사용), 정의적 개념(추상적인 언어적 진술/정의 사용), 원리(법칙) 학습,고등규칙(문제해결) 학습
○인지전략: 주어진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새로운 해결방식을 창조해 낼 수 있는 능력
→학습 방법: 많은 지적 기능의 학습과 연습을 통해 가능
○운동기능: 네모 그리기,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운동수행을 가능하게 해주는 능력
○태도: 학습자가 어떤 특정 사건, 사물 혹은 사람에 대하여 나타내는 개인적 성향→학습자의 행동방향이나 선택에 영향
[교육 공학]
가네의 9가지 수업사태
○9가지 수업 사태는 학습의 인지과정에 근거하여 제시된 것으로→하나의 학습능력을 가르치기 위하여 수업을 계열화하는 기본적인 원리 ⓐ 주의력 획득 →주의 집중 ⓑ수업목표 알리기→학습 결과에 대한 기대감 주기→학습 동기 촉진 ⓒ선수학습의 회상 자극 ⓓ자극 제시하기→새로운 학습 자료의 특징 강조→선택적 지각 촉진 ⓔ학습 안내(지침) 제시→학습과제의 유의미한 부호화→학습 내용 통합 촉진 ⓕ수행유도하기→연습 기회 제공 ⓖ피드백 제공하기→수행의 정확성 여부 확인→긍정적 피드백과 개선의 정보 제공 ⓗ수행평가하기 ⓘ다양한 상황과 문맥에 적용(일반화)→파지와 학습의 전이 높이기
[교육 심리]
정보처리 이론-기억의 구조
1) 감각 등록기 →한번에 한가지씩 정보 처리 →자긍에 주의를 기울이면 그 정보는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을 옮겨짐 →용량 무제한 2) 단기기억(작동기억) →단기기억: 우리가 의식하는 기억→용량 7+-2청크 →작동기억: 단기기억의 일부분, 단기 기억을 유지하지 위하여 하는 행동으로 생각할 수 있음 3) 장기기억 → 단기기억 및 작업 기억 내의 정보는→시연을 하면 장기기억 속으로 들어가게 됨 *시연: 기억을 유지하기 위해 마음속으로 소리내어 반복 연습하는 것 →용량 무한대
[교육 심리]
정보처리 이론-작업 기억 용량 제한 극복 방안
(1) 청킹⇨처리해야 할 정보의 개별적인 단위들을 연결⇨보다 크고 의미 있는 단위로 묶는 것⇨의미 단위로 묶인 정보=하나의 단위로 처리⇨더 많은 정보를 동시에 처리 가능
(2) 자동화⇨자각이나 의식적 노력 없이 정보처리 수행하는 것⇨작업 기억의 용량 차지X⇨작업 기억이 더 많은 정보 처리할 수 있도록 도움
(3) 이중부호처리⇨작업기억은 언어 정보와 시각 정보를 별개로 저장하여 처리 가능⇨시각자료 보여주면서 이들 자료에 담긴 내용 설명시⇨더 많은 정보 동시 처리 가능⇨인지부하 극복 가능
[교육 심리]
정보 처리 이론- 부호화 中 정교화
○ 새로운 학습내용을 기존 지식에 연결하여
⇨학습내용을 잘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
○ 새로운 개념이나 원리를 설명할 때 학생들이 잘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공하거나+사례와 어느 정도 유사성을 가지는 유추를 활용할 경우⇨정교화 촉진 가능
[교육 심리]
정보 처리 이론- 부호화 中 조직화
학습해야 할 내용 중 서로 관련 있는 것들을⇨공통 범주나 유형으로 묶어 제시함으로써 ⇨유의미학습을 촉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