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 Flashcards
건강 위해서 평가의 단계
험-용-노-해
- 위험성 확인
- 용량-반응평가
3, 노출 평가 - 위해도 결정
위험성 확인
키워드
위험성 여부 확인하는 정성적 평가단계
역학자료, 독성자료, 실험자료 등
용량-반응 평가
키워드
오염 물질 노출 또는 용량에 대한 인체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정량화
노출되는 오염 농도는 낮으므로, 고용량 자료를 저용량 자료로 외삽 절차 필요(Extrapolation)
비발암물질은 만성 차고치(RfD) : 인체에 독성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는 최대용량
노출 평가
위험성이 확인된 유해물질에 얼마나 노출되었는가
노출인구수 추정, 크기, 빈도 및 기간
위해도 결정 및 관리
노출 수준 초과하는 위해도를 정량적으로 평가
초과발암위해도= 발암잠재력 x 일일평균노출량
비발암성물질의 위해도는 RfD 랑 비교해서 독성위험값 산출
독성위험값= 일일평균노출량/만성노출참고치(RfD)
위해도란 몇 명 중 한 명의 수준의 초가 발생을 의미하는가?
백만 명 중 1명
위해도를 평가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위해도 관리
몬트리올 의정서
오존 파괴물질: 염화불소(CFC), 할론
교토의정서
온실가스
의정서 발효 시: 해수면 상승 속도 둔화
이타이이타이 병
카드뮴
미나마타 병
질소비료공장 페수의 메틸수은
태안 원유 유출
어디에 영향을 주는가?
신경계, 호흡계, 피부증상
가습기 살균제
비가역적 폐 손상 -> 사망
오존층 파괴
자외선으로 피부암, 백내장
산성비
포름알데히드, 유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분진 PM2.5
2.5 마이크론 이하의 미세분진에는 황산염, 질산염, 중금속 등이 포함
질소산화물
자동차 배기가스
급성 폐부종
호흡기 감염
아황산가스(SO2)
스모그 발생
논, 코 ,목 점막 자극
일산화탄소
석탄, 디젤, 휘발유의 불완전 연소
두통, 시력저하, 구토, 경련, 혼수, 사망
이산화탄소는 대기환경기준에 포함?
노우
대기환경기준 물질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납, 벤젠, PM10, PM2.5
오존
자동차 배기가스(낮에 농도 높다, 폭염시 악화)
코, 눈, 호흡기 자극
천식 악화(초래하지는 않음)
상기도 점막건조
대기오염 물질 중 눈, 코에 가장 자극적인 물질은?
아황산가스
실내 공기오염 키워드
석면
건물의 벽, 천장 단열재
실내 공기오염 키워드
휘발성 유기물
세척액, 페인트,
실내 공기오염 키워드
포름알데히드
합판, 팬넬, 방향제, 접착제
새집 증후군
목, 기관지 자극
실내 공기오염 키워드
라돈
토양, 바위, 건축자재
연결부위의 틈!!!!틈!!!!
폐암 발생 높
실내 공기오염 키워드
오존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실내 환기의 지표로 사용되는 것은?
이산화탄소
먹는 물 측정 시 조금이라도 검출되어서는 안되는 물질은?
수은
불소
충치 예방
치아 변색 유발(반상치)
골질환
잔류염소
상수의 염소 소독으로 발생
상수원의 염소 소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발암성이 있는 것은?
트리할로메탄
상수원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질인 휴민산이 살균 소독을 위해 사용하는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동물실험에서 발암성 확인된 물질은?
클로로포름
하수오염의 가장 중요한 지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유기물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필요한 산소량
유기물질을 분석하지 않고 미생물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량을 축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수중 유기물질의 양을 짐작
생물화학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공장폐수의 오염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는?
화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유기, 무기 물질이 화학적으로 분해될 때 필요한 산소량
생물화학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공장폐수의 오염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
4M 으로 원인 찾는 이론
다수요인 이론
man
machine
media
manage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원리 중 사업주가 법을 위반하지 않았어도 업무상 질병이 발생하면 보상하도록 되어 있는것은?
무과실책임주의
휴업 급여
4일 이상 휴업 시 취업하지 못하는 기간에 대해 평균 임금의 70프로
재해율
산업재해 발생 상황의 총괄적 파악
=연간 재해건수/상시 근로자수 *100
사람수/사람수
강도율(severity rate)
손상의 정도를 파악, 재해 강도를 반영
=연간 근로손실 일수/연간 작업시간 *1000
일/시간
사망만인율
=연간 사망자수/연평균 근로자수 * 10,000
도수율(frequency rate)
산업재해 발생 파악의 표준적 지표, 근로시간이 길거나 단시간 근로자가 많은 경우 사용
=연간 재해건수/연간 작업시간*1,000,000
건수/시간
산업재해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표준적 지표로 맞는 것은?
도수율(frequency rate)
=연간 재해건수/연간 작업시간*1,000,000
재해에 의한 손상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는?
강도율
=연간 근로손실 일수/연간 작업시간 *1000
작업장의 환경조건 허용농도(R) 공식
측정농도/TLV1 로 다 더한 값
R 이 1 이하면 허용 기준 이내
R> 1 면 허용 기준 초과
인체 발암성 물질과 암 발생 부위
4-아미노비페닐
방광
인체 발암성 물질과 암 발생 부위
석면
폐, 늑막, 복강
인체 발암성 물질과 암 발생 부위
벤젠
백혈병
인체 발암성 물질과 암 발생 부위
카드뮴
폐
인체 발암성 물질과 암 발생 부위
크롬, 니켈
폐, 비강
인체 발암성 물질과 암 발생 부위
2-나프틸아민
방광
인체 발암성 물질과 암 발생 부위
염화비닐
간, 폐, 혈관
고온 폭로에 의한 인체 순화기전 (고온 환경에 4~6주 폭로 시)
증가 혹시 감소되는 생리적 현상
심박수, 직장 온도, 땀 분비, 알도스테론, 땀 염분 농도
증가: 땀 분비 속도, 알도스테론
감소: 심박수, 직장 온도, 땀 염분 농도
고온 노출 된 경우 (열 스트레스)
증가 및 감소되는 생리적 현상
땀 분비, 심박수, 호흡수 피부표면 온도, 복사열
증가: 심박수, 호흡수, 땀분비, 피부표면온도
감소: 복사열 손실, 땀 분비속도
고온장애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치료
열사병은 급속한 냉각
나머진 휴식 및 생리식염수
동상 치료
해동 치료 이전에는 마른 거즈로 동상 부위 넢고 있기(금기: 마찰, 마사지)
해동 지료: 40도 물에 담금
극저주파 전자장 특성
전기선에 흐르는 전류
보통 고압선에 의한 것
백혈병 유발
전리방사선 특징
Ionizing radiation
자연방사선이 80% 차지
대지 구성 성분 중 U238 붕괴할 때 라돈 형성
세포 증식속도에 비례
골수, 림프, 생식 세포에 감수성 높음
급성 방사선 증후군
타겟 장기
조혈기관, 위장, 폐, 뇌
방사선에 의한 영향
결정적 영향
확률적 영향
결정적 영향(deterministic effect): 일정 수준 이상의 방사선 피폭이 있는 경우
-피부의 홍반, 수포, 궤양, 백내장, 불임
확률적 영향: DNA 손산이 누적되어 나타남 선량에 비례
-유전적 돌연변이
비전리방사선 특징
자외선
적외선
레이저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가 미치는 기관
non ionizing radiation
자외선: 눈과 피부
적외선: 백내장
레이저: 백내장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 백내장
소음 노출 기준
90dB에서 8시간
5dB 증가할 때마다 노출시간 1/2 감소
예를 들어 95일경우 4시간, 100일경우 2시간
소음성 난청 요관찰자(C1) 기준
청력소실, 직업력상 소음 노출에 의한 것, D1 은 해당없는 경우
소음성 난청 유소건자(D1) 기준
4000Hz 의 고음역에서 50dB이상의 청력손실
삼분법 500(a), 1000(b), 2000(c)Hz 에 대한 청력손실을 (a+b+c)/3 평균 30dB이상의 청력손실
직업력상 소움 노출
산재보상보험법 시행령상 소음성 난청 업무상 질병 인정 기준
85dB 이상 연속음 노출되는 작업장에서 3년 이상 종사하고 있거나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고
한 귀의 청력손실이 40dB 이상되는 감각 신경성 난청
고막이나 중이는 이상 없고
기도청력역치와 골도청력역치 사이에 뚜렷한 차이 없고
6분할법 사용하여 판정
500(a), 1000(b), 2000(c), 4000(d) Hz
(a+2b+2c+d)/6
수완진동증후군 증상
국소진동 당애: 레이노 현상 보임
작업 전환 추천
작업 시간 단축과 약물 처방 가능
고압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질병
중이압착증: 비행기에서 귀아픈거
이압성골괴사(dysbaric osteonecrosis): 무균성 무혈관성 골괴사, 해녀들 많이 걸림
감압병 치료
고압산소요법
급성 고산병 치료
아세타졸아마이드: 호흡성 알칼리 예방을 위한 이뇨제
만성 고산병 증상
척색증, 적혈구 과다증
Hb 상승, RBC 상승, 산소 포화도 저하
폐고혈압, 우측 심장비대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인해 발병률이 증가한 암은?
갑상샘암
환경오염 물질과 연관 된 질병
오존 파괴
프레온 가스->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암, 백내장
환경오염 물질과 연관 된 질병
산성비
VOC, 황산, 질산
환경오염 물질과 연관 된 질병
온실효과
탄산가스-> 말라리아 유병률이 증가
환경오염 물질과 연관 된 질병
황사
미세먼지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
천식
뇌졸증
환경오염 물질과 연관 된 질병
아황산가스
런던 스모그 관련
선탄 연소로 배출된 공기가 기온 역전으로 황산안개로 변해서 발생
기관지 수축
환경오염 물질과 연관 된 질병
포름알데히드
새집증후군
천식, 만성기관지염 증가
비인두암, 백혈병 유발
이상고온과 상호작용 할 경우 인체에 해를 끼치는 환경오염 물질은?
오존
증기 or 가스상 연소생성물이 응축하여 생선된 고체 에어로졸을 이르는 말은?
흄(fume)
유해 물질과 연관 된 질병
TDI(toluene diisocyanate)
페인트, 가구도장공장, 우레탄스프레이
천식, 제한성 폐질환 일으킴
유해 물질과 연관 된 질병
규폐증
석회석, 암석 채굴장, 유리 공장
흉통, 결핵발생 증가
유해 물질과 연관 된 질병
석면폐증
단열제
중피종(mesothelioma)
직업성 천식의 원인과 검사는?
TDI(toluene diisocyanate)
최고호기유속(PEFR), FEV1 의 variability, provocation test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노출되면?
발암불질
음낭암, 폐암 발생
소변 대사산물 검사: 1-OHP, 2-naphthol)
유해금속
유발 물질, 증상, 치료
납
페인트
위장, 신경, 중추 장해
급성중독: 3% sodium sulfate solution 위세척하고 CaNa2 EDTA 로 치료
만성중독: CaNa2 EDTA, penicillamine, 소아납중독은 DMSA
유해금속
유발 물질, 증상, 치료
수은
아세트알데히드 생산과정 촉매로 사용
형광등, 체온계
미나마타병
급성: dimercaprol 근육주사, penicillamine
만성: 회피
유해금속
유발 물질, 증상, 치료
카드뮴
배터리, 페인트
이타이이타이 병
급성 폐부종 동반 폐실질염
만성 신장질환
유해금속
유발 물질, 증상, 치료
크롬
도금업, 전기도금, 채광
천식, 폐암
피부궤양, 비중격 천
유해금속
유발 물질, 증상, 치료
비소
급성: 욕지기, 구토, 복통
만성: 말초신경염, 피부질환, 암
소변검사
급성중독치료: 쇼크에 대한 치료 & dimercaptrol IM
유해금속
유발 물질, 증상, 치료
망간
합금제조, 색소
망간정신병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
유해금속
유발 물질, 증상, 치료
베릴륨
항공우주, 금속합금산업
마른기침, 숨참, 열감, 등 폐 침윤하여 granuloma 형성
유해가스
유발 물질, 증상, 치료
시안화물
쥐약, 농약
고농도 노출 시 급격한 의식소실, 사망
저농도 노출 시 호흡곤란, 어지러움, 두통
치료: 아질산 투여, 티오황산염 투여
유해가스
유발 물질, 증상, 치료
황화수소
달걀 썩는 냄새
무산소 뇌손상
유기용제
유발 물질, 증상, 치료
벤젠
색소, 페인트 제거제, 인조가족 제조시 발생
발암효과
비특이성 마취작용(급성), 조혈기능 장애(만성)
유기용제
유발 물질, 증상, 치료
방향족 탄화수소: 노르말 헥산(n-haxane)
Lcd 공장, 동물 기름, 식용류 공장, 접착제, 락카, 염색
산화에 의해 2,5-hexanedione 으로 대사
말초신경염 발생
유기용제
유발 물질, 증상, 치료
사염화 탄소(ccl4)
가열시 COCL2 와 HCl로 분해
복통, 오심, 구토 , 간 손상, 신장 손상
유기용제
유발 물질, 증상, 치료
이황화탄소(CS2)
수지와 고무제품의 용제, 셀로판 제조
중추신경계 장애
말초신경장애
심혈관계 장애
안과적 장애
생식기능 장애
신장장애
TTCA 가 요중으로 배출
유기용제
유발 물질, 증상, 치료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암모니아 냄새나는 무색 수용성 유기용제
합성피혁제조
간 손상
유기용제
유발 물질, 증상, 치료
트라이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무색의 휘발성 용액, 금속세척, 드라이클리닝, 접착제
간, 콩팥 손상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포함하는 전신적 박탈피부염
유기용제
유발 물질, 증상, 치료
아크릴아마이드
정수 시설이나 폐수 처리시설의 응집제
신경독성: 말초신경장애
피부 벗겨지고, 손과 발 마비
유기용제
유발 물질, 증상, 치료
메탄올
메탄올은 포름알데히드, 포름산, 이산화탄소로 대사
포름산이 영향 미침
대사성산증과 시각장애
유기용제별 소변 측정 물질
벤젠
페놀
유기용제별 소변 측정 물질
아황산탄소
TTCA
유기용제별 소변 측정 물질
노르말헥산
2,5-hexanedione
유기용제별 소변 측정 물질
에틸클로로포름
삼염화아세트산
유기용제별 소변 측정 물질
톨루엔
마뇨산유기용제별 소변 측정 물질
유기용제별 소변 측정 물질
크실렌
메틸마뇨산
만성과로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
발병 전 12주 동안 1주 평균 52시간 초과
산업재해보상 신청 서류 위해 의사가 작성해야되는 서류는?
요양급여신청소견
가장 많은 업무상 재해는?
추락
재해 및 사망만인율이 가장 가장 높은 산업은?
광업
누적 발생률(CIR)
일정 기간 동안 질병에 걸리는 사람들의 분율
관찰기간 동안 인구집단에서 질병이 새롭게 발생한 수/관찰 시작 시점의 인구 수
*해당 기간을 정확히 표현하는 게 중요
평균 발생율(Incidence density)
질병의 순간 발생률(rate 개념)
각 개인이 질병에 걸리지 않는 상태(건강한 상태)로 남아있던 관찰기간의 합
관찰기간 동안 인구집단에서 질병이 새롭게 발생한 수/총 관찰인년
*관찰기간이 다름을 감안
발병률(Attack rate)
질병 발생자 수/원인요인에 폭로된 인구 *100`
2차 발병률(2ndary attack rate)
질병 발생자의 수/환자와 접촉한 감수성이 있는 사람들의 수*100
(질병의 최장 잠복기내에 새롭게 발생한 수-발단환자와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환자 수)/(질병에 감수성이 있는 인구 수- 발단환자와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환자 수)
질병 발병자 수/ 환자와 접촉한 감수성이 있는 사람들의 수 *100\
유병률(prevalence rate)
어떤 한 시점 또는 특정 기간 동안 그 질환의 보유 정도
이환된 발생자 수/인구의 크기 * 100
시점 유병률
그 시점에 존재하는 환자 수/어느 시점에서의 인구
기간 유병률
그 기간 동안의 총 환자 수/어떤 기간 동안의 평균 인구
발생률(I), 이환기간(D)에 대한 유병률(P) 관계
P = I * D (비례)
발생률이 높으면 유병률 높아짐
이환기관 길어지면 유별률 높아짐
발생률(incidence) vs 유병률(Prevalence)
보통 사망률
동일 기간의 전체 사망수/주어진 기간의 평균 인구 * 1000
특성별 사망률
성, 연력, 직업 등 인구의 특성별로 구한 사망률
그 연도의 해당 집단의 사망수/어떤 연도의 해당 특정집단의 평균 인구 * 1000
사인별 사망률
동일 기간의 특정 원인으로 인한 사망 수/ 주어진 기간의 평균 인구 * 100,000
영아 사망률
그 연도 중 1세 미만의 사망수 * 1000
신생아 사망률
그 연도 중 생후 28일 미만의 사망수/ 어떤 연도의 정상 출생수 *1000
alpha-index
그 연도의 영아 사망률/ 어떤 연도의 신생아 사망
1에 가까울수록(신생아 사망이 영아 사망의 대부분을 차지) 건강 수준이 높다.
값은 항상 1 이상
주산기사망률 (perinatal mortality rate)
(같은 연도 태아사망 수+생후 7일 미만의 사망아수)/ 어떤 연도의 총 출산아 수(태아사망 포함) * 1000
발생률(incidence rate)
발생 밀도= 관찰기간 동안 인구 집단에서 질병이 새롭게 발생한 수/ 총 관찰일시
발병률(attack rate)
질병 발병자 수/원인 요인에 접촉 또는 폭로 된 인구 * 100
치명률 (case fatality rate)
그 기간 동안 동일 질병에 의한 사망자수/ 어떤 기간 동안 특정 질병이 발생한 환자 수 * 100
직접표준화법
인구 분포가 다른 두 집단의 사망률을 비교
연령군별 사망률을 구하고, 두 집단의 인구 분포 합으로 표준인구를 만들어 곱한다.
무응답 바이어스
선택 바이어스 중 하나
참여를 거부하거나 참여를 하긴 하지만 중요한 조사 항목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버크슨 바이어스
선책 바이어스 중 하나
환자-대조군 연구할 때 생기는 바이어스
특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병원 입원 확률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선택적 생존 바이어스
선택 바이어스 중 하나
네이만 오류
치명적인 질병을 연구할 때 많은 대상자가 사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연구에는 생존하고 있는 대상자가 포함되어서 영향을 준다.
자발적 참여자 바이어스
선택 바이어스 중 하나
자기선택바이어스
자발적 참여하는 사람들은 비자발적 참여자보다 더욱 건강한 경우가 많아서 생기는 바이어스
추적관찰 탈락 바이어스
선택 바이어스 중 하나
연구대상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관찰대상으로부터 탈락이나, 거부, 무응답 등이 비교집단 사이에서 다르게 발생하는 바이어스
기간차이 바이어스
선택 바이어스 중 하나
진행이 느린 질병이 빠르게 진행하는 질병에 비해 진단에 유리하여 예후가 좋아보이는 바이어스
면담자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설문 조사자의 편견이나 유도질문으로 인한 바이어스
측정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잘못된 조사방법으로 생기는 바이어스
질문내용이 잘못된 경우, 조사방법이 잘못된 경우
민감한 사생활을 질문하거나, 면접자들이 질문의 의미를 혼동하는 경우
기억소실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피조사자의 기억력에 의존하여 정보를 수집해서 생기는 바이어스
(비차별적 오분류)
회상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특정한 질병을 가진 사람이 특정 사실을 더 잘 기억해서 생기는 바이어스(차별적 오분류)
호손 효과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연구에 참여하거나 위험요인에 대해 반복 측정하는 것 때문에 변화를 유발하여 요인자체의 변화를 가져와 생기는 바이어스
확인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노출 대상자를 더 철저하게 조사하거나 대상이 자신의 질병을 더 과다하게 보고하게 됨으로써 생기는 바이어스
시간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인적인 요인이 변하거나 진단 기준 자체가 변화하여 생기는 바이어스
조기발견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된 경우 그 기간만큼 생존율이 길어진 것처럼 보이는 바이어스
검출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건강 위험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가진 대상자는 더 자주 진단검사를 받고, 그렇지 않은 대상자는 덜 받게 됨으로 인해 나타나는 바이어스
실행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중 하나
연구 참여자나 연구자에 대한 눈가림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타당도를 위협하는 다른 잠재적 바이어스가 있을 때 나타나는 바이어스
이환 기간
총 이환 기간/ 총 발생자
교란 바이어스
독립 변수와 종속변수 이외의 제 3의 변수에 의해 자료 분석이나 결과해석 단계가 혼동되는 경우 를 의미
치명률
특정 질환에 대해 중등로를 측정하는데 적절한 지표
기긴 동안 동일 질병에 의한 사망자수/어떤 기간 동안 특정 질별이 발생한 환자 수 * 100
어떤 기간 동안 특정 질병이 발생한 환자수에 비해 그 기간 동안 동일 질병에 의한 사망자 수를 구하는 방법
치명률이 높으면 생명에 미치는 위험도가 높고, 낮으면 해당 질병의 치료법이 발달했다.
코호트 효과
출생시점에 따라 역사적 사건이나 사회화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빚어진 차이
건강 근로자 효과
직업병 역학에서 심하게 아프거나 장애가 있는 근로자는 현장에서 제외되서 발생비가 낮게 나온다.
국가별 출산력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는?
합계 출산율
여자가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태아 사망을 고려한 모자보건 지표는?
주산기 사망률
(같은 연도 태아사망 수+생후 7일 미만의 사망아수)/ 어떤 연도의 총 출산아 수(태아사망 포함) * 1000
비례사망비
서로 다른 두 인구집단의 비례사망자 분율 간 비
비례사망률= 그 연도 특정 원인에 의한 사망 수/그 연도의 사망 수 * 100
WHO 가 제시한 국가 및 지역의 보건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는?
조사망률, 비례사망지수, 평균수명
비례 사망지수(PMI)
그 연도의 50세 이상 사망자 수/어떤 연도의 총 사망자 수 *100하루
가치재(merits good)
민간부문에서의 생산량이 마진을 생각하다 보니 사회적인 최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여 정부가 직접 공급에 개입하는 재화
-> 교육, 주택서비스 등이 대표적
보건의료체계에 무엇이 포함되는가?
관리
경제적 지원
의료서비스 제공
자원의 조직화
의료 자원
경제적 지원
재원의 확보, 보험
관리
키워드
기획
행정관리
규제
법률제정
예) 방역 체계에 문제
의료자원 개발
키워드
의료인력
의료시설
의료기기
의료지식
범이론적 모형
행동변화를 고려전-고려-준비-실천-유지 단계로 나눠서 이해하는 모형
사회인지이론
개인의 특성, 행동, 행동이 일어나는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설명
예) 금주파트너, 금주 동호회 조성
건강믿음 모형
특정 건강행동의 실천에 있어서 질병에 대한 가능성, 심각성 및 행위의 이익과 실천에 따른 장애 요인에 대한 믿음 수준이 행동에 영향을 줌을 설명하는 모형
Suchman 모형
증성 경험-환자 역할-의료인과 접촉- 의존적 환자 역학- 회복 or 재활 의 과정을 겪는다
Anderson 모형
의료 이용은 개인의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 요인에 의하여 결정
소인성 요인: 의료 이용 전부터 지니고 있는 개인의 특성
가능성 요인: 개인이 의료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주변적 요인
필요 요인: 환자가 느끼거나, 전문가가 판단한 의학적 필요
동기화 면담
환자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행동변화의 주요성과 자심감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형태변화를 촉진하고 감정을 해결하는 환자 중심의 상담 기법
바람직한 보건의료의 특성에서
효과성이란?
예방 서비스, 진단적 검사 또는 치료와 같은 특정 개입 조치가 다른 대안들에 비하여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평가
예를 들면,
공익을 위해 긴급히 요구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등에 대한 공익적 임상시험 연구
IARC 발암물질
그룹1
인체에 발암물질 있음
-인체 발암성에 충분히 입증
IARC 발암물질
그룹2A
인체 발암 추정 물질
-실험동물 자료가 충분
IARC 발암물질
그룹2B
인체 발암 가능 물질
-실험동물 자료는 불충
의료기관에 대한 구조적 측면의 질 개선 정책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민간조직이 주도하여 시행한 것은?
병원표준화 심사제
병상회전율
일정 기간 동안 총 퇴원 환자 수/평균 가동병상 수
병상 이용률
병원의 경영 실태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
연 입원환자 수 100/ 가동병상 수365일
의료 질 평가 과정
1) 구조: 인적, 물리적, 재정적 자원
2) 과정: 이용도 조사, 임상진료지침 같은 평가
3) 결과: 만족도 같은 다양한 평가
행위별수가제
장,단점
서비스 행위별로 가격 책정하는 보상
우리나라에서 시행
장점: 환자에 대한 책임가 상승
단점: 과잉진료 가능
포괄수가제
장,단점
여러 행위를 묶음으로 지불
케이스에 따라 미리 책정된 진료비를 지불
장점: 과징 진료 방지, 비용-효과적 의료기술 도입 증가
단점: 의료 질 저하
인두제
장, 단점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사람 수에 따라 보상
영국에서 시행
장점: 행정관리비가 절감, 예방의료 조장
단점: 과소진료의 가능성, 대기시간 증가
봉금제
장, 단점
매달 일정한 금액을 보상
장점: 시간 , 수입 안정적-> 연구기회 증가,
단점: 자율성 결여, 진료의 계속성 유지 어려움
행위별수가제에서 포괄수가제로 바뀔 경우
의료기관이 병상을 감소시키려고 함
입원환자의 평균 재원일수를 감소시키려고 함
급여를 받기 위해서 자산조사를 거치는 사회보장 방법은?
공공부조
의료기술이나 의료 장비의 도입으로 의료비가 상승할 수 있는 지불 제도는?
총액계약제
지불단위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총액계약제-인두제-포괄수가제-행위별수가제
암표준화발생률에서 증가되는 추세와 감소하는 추세의 암은?
유방암 및 전립선암은 지속적인 발생률 증가
위암, 간암, 대장암은 최근 발생률 감소추세
감상샘은 2012-15까지 감소 2021년까지 다시 증가 추세
통계청 사망 원인?
암 다음 심장 질환 : 해마다 증가
뇌혈관은 감소 추세
폐렴은 2016년까지 6위였다가 2022년에 4위까지 올라감
감염재생산수(basic reproduction number, R0)
모든 인구가 감수성이 있다고 가정할 때 한 명의 감염병 환자가 감염가능 기간 동안 직접 감염시키는 평균 인원수
2단계 감염자 수(R)=R0-p(R0)=(1-p)R0
p는 지역 사회에 면역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비율
R<1 질병이 유행하지 않고 사라진다
R=1 풍토병이 된다(지역사회에 일정 수 유지)
R>1 유행이 일어난다.
병원력은?
현성감염자/총 감염자
전염병 발생에서 세대기란?
감염시작부터 감염력이 가장 높은 시점까지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