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 Flashcards
건강 위해서 평가의 단계
험-용-노-해
- 위험성 확인
- 용량-반응평가
3, 노출 평가 - 위해도 결정
위험성 확인
키워드
위험성 여부 확인하는 정성적 평가단계
역학자료, 독성자료, 실험자료 등
용량-반응 평가
키워드
오염 물질 노출 또는 용량에 대한 인체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정량화
노출되는 오염 농도는 낮으므로, 고용량 자료를 저용량 자료로 외삽 절차 필요(Extrapolation)
비발암물질은 만성 차고치(RfD) : 인체에 독성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는 최대용량
노출 평가
위험성이 확인된 유해물질에 얼마나 노출되었는가
노출인구수 추정, 크기, 빈도 및 기간
위해도 결정 및 관리
노출 수준 초과하는 위해도를 정량적으로 평가
초과발암위해도= 발암잠재력 x 일일평균노출량
비발암성물질의 위해도는 RfD 랑 비교해서 독성위험값 산출
독성위험값= 일일평균노출량/만성노출참고치(RfD)
위해도란 몇 명 중 한 명의 수준의 초가 발생을 의미하는가?
백만 명 중 1명
위해도를 평가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위해도 관리
몬트리올 의정서
오존 파괴물질: 염화불소(CFC), 할론
교토의정서
온실가스
의정서 발효 시: 해수면 상승 속도 둔화
이타이이타이 병
카드뮴
미나마타 병
질소비료공장 페수의 메틸수은
태안 원유 유출
어디에 영향을 주는가?
신경계, 호흡계, 피부증상
가습기 살균제
비가역적 폐 손상 -> 사망
오존층 파괴
자외선으로 피부암, 백내장
산성비
포름알데히드, 유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분진 PM2.5
2.5 마이크론 이하의 미세분진에는 황산염, 질산염, 중금속 등이 포함
질소산화물
자동차 배기가스
급성 폐부종
호흡기 감염
아황산가스(SO2)
스모그 발생
논, 코 ,목 점막 자극
일산화탄소
석탄, 디젤, 휘발유의 불완전 연소
두통, 시력저하, 구토, 경련, 혼수, 사망
이산화탄소는 대기환경기준에 포함?
노우
대기환경기준 물질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납, 벤젠, PM10, PM2.5
오존
자동차 배기가스(낮에 농도 높다, 폭염시 악화)
코, 눈, 호흡기 자극
천식 악화(초래하지는 않음)
상기도 점막건조
대기오염 물질 중 눈, 코에 가장 자극적인 물질은?
아황산가스
실내 공기오염 키워드
석면
건물의 벽, 천장 단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