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Flashcards
총론
신생아 무호흡
1)임상양상
무호흡 길어지면서(>20초) 서맥, 청색증
주기호흡과 구별해야됨
주기호흡 : 5~10초 호흡 정지 후 10~15초 동안의 50-60회/분의 빠른 호흡
신생아 무호흡
2) 치료
1) 원인 규명
2) 경한 무호흡: 피부 자극
3) 조산아의 반복적 무호흡: methylxanthine(caffeine, theophylline)
4) 폐쇄성, 혼합성 무호흡: Nasal CPAP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1) 병태생리
1) 조산아는 surfactant 부족해서 무기폐 발생
2) Hypoventilation 으로 Hypoxemia, hyper capnia, acidosis 생김
3) 폐혈관 수축으로 인한 폐 고혈압 발생
4) PDA, R->L shunt, 폐포 손상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2) 임상양상
1) 호흡곤란: 빈호흡(>70회/분), 가슴벽뒤당김, Nasal flaring
2) 청색증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3) 검사소견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4) 치료
1) Nasal CPAP : 1st line
2) 기계환기 : 호흡부전, 지속적 무호흡 시 nasal CPAP에서 전환
3) 인공 폐표면 활정제 : 기관삽관을 한 경우 반드시 시행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5) 합병증
1) PDA –> PPHN
2) ROP
3) 폐공기누출
기관지폐 형성 이상(BPD)
1) 병태생리
1) RDS 인한 무기폐, 기계환기로 인한 volutrauma 등)
기관지폐 형성 이상(BPD)
2) 검사
CXR: 기포성 폐(bubbly lung), 폐 사이질 혼
기관지폐 형성 이상(BPD)
3) 치료
1) 조기 nasal CPAP & caffeine: 기계환기 줄여 BPD 예방
*RDS 과거력을 가진 환아가 급성 세기관지염을 예방 하려면 palivizumab 근주
지속성 신생아 폐고혈압(PPHN)
1) 병태생리
1) 난원공(Foramen ovale), 동맥관 닫히지 않아 R->L shunt 발생
2) 폐고혈압으로 폐손상 &RV 과부하, shunt 에 의한 hypoxia
지속성 신생아 폐고혈압(PPHN)
2) 원인
태변흡인 증후군, 주산기 가사, RDS, 폐렴
지속성 신생아 폐고혈압(PPHN)
3) 임상양상
1) 청색증
2) PDA 이전 SpO2 (우측 상지) > PDA 이후 SpO2 (좌측상지, 하지)
3) 100% 산소공급을 해도 호전 되지 않을시 동반(심초음파검사 필요)
지속성 신생아 폐고혈압(PPHN)
4) 치료
1) O2: 공급에도 저산소증이면 기계환기
2) 폐혈관 확장제: NO흡인, sildenafil
신생아 일과성 빠른호흡(TTN)
1) 병태생리
출생 후 폐포액의 림프/혈관으로의 흡수지연 –> 일시적 폐부종 발생
신생아 일과성 빠른호흡(TTN)
2) RDS 랑 감별
1) Near term~term 신생아에서도 발생
2) 임상양상(빠른 호흡, 가슴벽 뒤당김, 호기 시 그렁거림)이 RDS 보다 경미
신생아 일과성 빠른호흡(TTN)
3) 검사소견
1) ABGA: 정상에서 경미한 Hypoxemia, hyper capnia, acidosis
2) CXR: 양측 폐문부의 햇살 모양(선상울혈, sunburst pattern), 심비대, 흉막삼출
신생아 일과성 빠른호흡(TTN)
4) 치료
대체로 산소공급-> 필요시 기계환기
태변 흡인 증후군
1) 병태샐리
1) 과숙아
2) 자궁내 or 분만 시 가사 상태-> 헐떡호흡-> 폐약이 기도로 흡인
3) 태변의 기계적 기도폐쇄+태변으로 인한 폐렴
4) Hypoxemia, hyper capnia, acidosis
태변 흡인 증후군
2) 임상영상
1) 태변이 묻어있거나 착색됨
2) 과숙아/만삭아 양상: 쭈글쭈글 피부
3) 주산기 양상: 늘어짐
태변 흡인 증후군
3) 검사소견
1) CXR: 양측 폐의 과팽창, 무기폐, 불규칙적인 폐음영 감소
태변 흡인 증후군
4) 치료
1) 기계환기
2) 인공 폐표면 활정제(meconium 이 endogenous surfactant 를 방해)
폐외 공기 누출
1) 치료
1) 경과관찰: 호흡곤란이 심하지 않음+공기누출이 지속적이지 않음
2) 가슴천자 후 가슴관 삽인을 통한 수면하 밀봉배액: 호훕기 및 순환기 장애 발생 시
3) 지속적 음압배기 : 지속적 폐외 공기 누출 시
신생아 괴사 장연(NEC)
1) 병태생리
1) 창자벽 submucosa 에 가스 축적 -> 창자벽공기증(pneumatosis intestinalis)
2) 이후 장천공, 복막염
신생아 괴사 장(NEC)
2) 검사
1) AXR
2) 창자벽공기증 (장벽 내 가스 존재, 사진첨부1)
3) portal v .내부 공기: 중증, 사진첨부1)
4) 장천공(횡경막 아래 free air, football sign, 공기가 차있어 falciform ligament 보임, 사진첨부2)
신생아 괴사 장연(NEC)
3) 치료
1) 금식, 비위관 감악, 수액투여(crystalloid or 혈액제제), 승압제(저혈압 일 경우)
2) 전신적 광범위 항생제
3) 개복수술
- 적응증: 장천공, 복수 그람염색 균(+)
*임종평에서 선지로 개복술과 항생제가 있었는데 항생제가 답이었음, 절대적 적응증은 아님
선천가로막탈장(congenital diaphgram hernia)
1)임상양상
횡경막 결손을 통해 복부 장기가 흉곽 내로 들어감
1) 호흡부전
2) 호흡음 소실
3) 배가 오목하게 꺼짐(scaphoid abdomen)
선천가로막탈장(congenital diaphgram hernia)
2) 검사
CXR : 폐의 위치에 위장관이 있음
선천가로막탈장(congenital diaphgram hernia)
3) 치료
1) 비위관 삽입: 장의 팽만 억제
2) 기관 내 환기(endotracheal ventilatory support): 호흡곤란 시
3) 수술: 가로막복원술
-환아가 안정하면 바로 수술, 불안정하면 안정할 때까지 기다
<생후 24시간 내 발생하는 황달 원인
용혈 황달
2-3일 째 발생하는 황달 원인
생리적 황달
3-7일 째 발생하는 황달 원인
조기모유황달
패혈증, 감염
내출혈(머리 혈종)
> 1주 째 발생하는 황달 원인
모유황달: 간접 빌리루빈 10-30mg/dl
> 1개월 째 발생하는 황달 원인
담도폐쇄
직접 빌리루빈 상승 시 의심 해야 되는 소아질환
담도폐쇄, 패혈증, galactosemia, 총담관낭
소아에서 간접 빌리루빈 상승 시 검사 해야 되는 것들은?
1) 쿰즈: 직접 쿰즈(+): Rh or ABO 부적합, 간접 쿰즈(-): ABO 부적합
2) Hb 확인: 상승 시 부당경령아, 탯줄 결찰 지연, 모자-태아 간 수혈
3) 망상적혈구 확인: 정상(내부출혈, 장폐쇄), 상승(PB smear: 구상적혈구증)
용혈 황달
1) 원인
Rh incompatibility
용혈 황달
2) 검사
혈액검사: 간접빌리루빈↑, Hb↓
직접 쿰즈검사 (+)
용혈 황달
3) 치료
1) 보존적 치료: 수혈, 중탄산염 등
2) 교환수혈
3) IVIG
조기 모유 황달
1) 원인
모유 수유 불충분 –> 탈수
모유 황달
1) 원인
간접 빌리루빈 상승
모유 황달
2)치료
모유 중단 & 분유 수유
심한 경우 광선치료
모유수유는 굉장히 중요해서 빌리루빈이 교환수혈 할 정도가 아닌 이상
끊지 않고 15 mg/dl 이상이라고 해도 광선치료받으면서 모유수유 한다.
교환수혈 한다고 해도 모유수유를 잠시 중단하고 다시 준다.
핵황달
1) 원인
간접 빌리루빈 증가 >20mg/dl
알부민에 결합하지 못한 free 빌리루빈
지용성이랑 BBB 통과 가능
조산아, 주산기 가사, 등
핵황달
2) 임상양상
초기: 기면, 식욕 부진, 모로반사 소실
DTR 감소, 호흡곤란
전신 경련 & 경축
핵황달
3) 치료
간접 빌리루빈 농도 낮추기
1) 광선치료: 직접, 간접 다 낮춤
적응증: 총 빌리루빈 >15mg/dl(고위험), >20mg/dl(저위험)
2) 교환수혈: 광선치료 실패 시
담도폐쇄
1) 증상
황달, 회색변, 간비대
담도폐쇄
2) 빌리루빈 수치
> 2mg/dl
담도폐쇄
3) 진단
복부초음파: triangular cord sign 간문맥 분지에 섬유화된 부분이 고에코익으로 나타
99mTC-DISIDA 스캔: 준비과정이 복잡해 선별검사 아닌 수술 전 검사
담도폐쇄
4) 치료
카사이 수술(hepatoportoenterostomy)
담도폐쇄
5) 합병증
지방 흡수장애
지용성 비타민 결핍
수용성 비타민 결핍
Thyroglossal duct cyst
1) 임상양상
Midline의 비압통성 종괴
삼킴 or 혀를 내밀 때 움직임
Thyroglossal duct cyst
2) 치료
cyst, duct, hyoid bone central portion 까지 수술적 절제
brachial cleft cyst
1) 임상양상
Lateral neck, SCM 앞의 종괴
비압통성, 자유롭게 움직임
brachial cleft cyst
2) 치료
외과적 절제
2차감염 시 항생제 투여
구순구개열
2) 치료
구순열: 가능한 빨리 치료(미용목적)
구개열: 충분히 발육된 후 가능한 1세 이전에 수술
구순구개열
1) 병태생리
1st brachial arch 발생 장애: maxilla 쪽의 융합 장애
배꼽 육아종 vs 탯줄 폴립
배꼽 육아종: 배꼽 분비불, 육아종(분홍생, 부드러움), 10% 질산은 소작 반복
탯줄 폴립: 점액성 분비불, 선홍색, 딱딱함, 외과적 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