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퀴즈 - 채권 Flashcards
채권의 목적인 급부 중 선택권 없는 당사자의 과실에 의해 불능으로 된 것이 있을 경우에, 선택권 있는 당사자는 불능으로 된 급부를 선택할 수 있다.( )
답-O
해설) 선택권 없는 당사자의 과실로 인하여 이행불능이 된 때에는 선택권자의 선택권행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제385조 제2항). 따라서 선택권 있는 당사자는 불능으로 된 급부를 선택할 수 있다.
토지양도가 선택채권의 목적인 수개의 급부 중 하나인 경우에 그 급부가 선택되었을 때는 특약이 없는 한, 선택시에 토지에 관한 소유권이전의 효과가 생긴다( )
답-X
해설) 선택의 효력은 그 채권이 발생한 때에 소급한다(제386조), 부동산에 관한 법률행위로 인한 물권의 득실 변경은 등기하여야 그 효력이 생긴다(제186조), 따라서 소유권이전의 효과는 등기 시에 생긴다.
제3자가 선택권을 가지는 경우에 제3자가 선택할 수 없는 때에는 선택권은 채권자에게 속한다.( )
해설) 선택할 제3자가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선택권은 채무자에게 있다(제384 조 제1항).
제3자에 의한 선택은 채권자 또는 채무자 일방에 대한 의사표시로 한다.( )
해설) 제3자가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선택은 채무자 및 채권자에 대한 의사표시로 한다(제 383조 제1항). 전항의 의사표시는 채권자 및 채무자의 동의가 없으면 철회하지 못한다(제 383조 제2항).
토지소유자가 수필의 토지 중 일정면적을 상대방에게 매도한 경우, 양도할 토지의 위치가 확정되지 않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상대방의 채권은 종류채권에 해당한다( )
답-X
해설) 토지소유자가 1필 또는 수필의 토지 중 일정 면적의 소유권을 상대방에게 양도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한 경우, 상대방이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의 권리를 가지는지는 원칙적으로 당해 계약의 해석문제로 귀착되는 것이지만, 위치와 형상이 중요시 되는 토지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볼 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치가 특정된 일정 면적의 토지 소유권을 양도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따라서 위와 같은 계 약에서 양도받을 토지 위치가 확정되지 아니하였다면 상대방이 토지소유자에게 가지는 채권은 민법 제380조에서 정한 선택채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대판 2011.6.30. 2010 6090) X’
원본채권이 양도된 경우 이미 변제기에 도달한 이자채권은 원본채권의 양도당시 그 이자 채권도 양도한다는 의사표시가 없어도 당연히 양도된다.( )
답-X
해설) 이자채권은 원본채권에 대하여 종속성을 갖고 있으나 이미 변제기에 도달한 이자채권은 원본채권과 분리하여 양도할 수 있고 원본채권과 별도로 변제할 수 있으며 시효로 인하여 소멸되기도 하는 등 어느 정도 독립성을 갖게 되는 것이므로, 원본채권이 양도된 경우 이미 변제기에 도달한 이자채권은 원본채권의 양도당시 그 이자채권도 양도한다는 의사표시가 없는 한 당연히 양도되지는 않는다(대판 1989.03.28. 88다카12803).
소멸시효는 법률행위에 의하여 이를 배제, 연장 또는 가중할 수 있으나 이를 단축 또는 경감할 수 없다.
답-X
해설) 소멸시효는 법률행위에 의하여 이를 배제, 연장 또는 가중할 수 없으나 이를 단축 또는 경감할 수 있다(제184조 제2항).
소유권의 소멸시효기간은 20년이다.( )
답-X
해설) 소유권은 그 절대성 내지 항구성의 성질에 따라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는다(제162조).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은 그 완성 전에 상계할 수 있었던 경우라도 그 채권자는 상계할 수 없다( )
답-X
해설)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이 그 완성 전에 상계할 수 있었던 것이면 그 채권자는 상계할 수 있다(제495조).
음식점의 음식료에 대한 채권이 판결에 의하여 확정된 경우, 그 소멸시효기간은 1년이다.
답-X
해설) 음식점의 음식료에 대한 채권은 소멸시효기간은 1년이지만 판결에 의하여 확정된 경우에는 그 소멸시효기간이 10년 이다(제165조)
금전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에 있어서도 채무자는 과실 없음을 주장하여 면책 받을 수 있다( )
답-X
해설) 금전채권의 채무자는 과실 없음을 항변하지 못한다(제397조 제2항 후단), 즉 무과실 책임을 진다. 따라서 채무자는 그에게 책임없는 사유로 금전채무의 이행을 지체한 경우에도 책임이 있으며,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채무의 변제를 외국통화로 하기로 약정한 경우 채무자가 변제기의 환율에 따라 우리나라 통화로 지급하는 것은 유효한 변제로 볼 수 있다.( )
답-X
해설) 채권액이 다른 나라 통화로 지정된 때에는 채무자는 지급할 때에 있어서의 이행지의 환금시가에 의하여 우리나라 통화로 변제할 수 있다(제378조).
특정물채권에서 채무자가 목적물을 인도할 때에는 채권성립 당시의 현상대로 인도해야 한다( )
답-X
해설) 특정물의 인도가 채권의 목적인 때에는 채무자는 이행기의 현상대로 그 물건을 인도하여야 한다(제462조).
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의무가 이행지체에 빠진 이후의 지연손해금률에 관하여 약정이 있는 경우, 그 지연손해금률이 법정이율보다 낮더라도 약정에 따른 지연손해금률이 적용된다( )
답-O
해설) 원상회복의무가 이행지체에 빠진 이후의 기간에 대해서는 부당이득반환의무로서의 이자가 아니라 반환 채무에 대한 지연손해금이 발생하게 되므로 거기에는 지연손해금률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 지연손해금률에 관하여도 당사자 사이에 별도의 약정이 있으면 그에 따라야 할 것이고, 설사 그것이 법정이율보다 낮다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대판 2013.4.26. 2011 다50509).
[전제사실] ‘갑’은 ‘을’에게 1,000만 원을 대여하고 매월 10만 원의 이자를 받기로 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원금 1,000만 원의 소멸시효기간은 10년이다.( )
O
해설) 보통의 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은 10년이다(제162조 1항).
[전제사실] ‘갑’은 ‘을’에게 1,000만 원을 대여하고 매월 10만 원의 이자를 받기로 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이자의 소멸시효기간은 1년이다.( )
답-X
해설) 이자, 부양료, 급료, 사용료 기타 1년 이내의 기간으로 정한 금전 또는 물건의 지급을 목적으로 한 채권은 3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제163조 제1호).
[전제사실] ‘갑’은 ‘을’에게 1,000만 원을 대여하고 매월 10만 원의 이자를 받기로 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을’이 원금의 반환을 이행지체하는 경우, 지연손해금의 소멸시효기간은 10년이다.( )
답-O
해설) 금전채무의 이행지체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연손해금은 그 성질이 손해배상금이지 이자가 아니므로 10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대판 1998.11.10, 98다42141).
[전제사실] ‘갑’은 ‘을’에게 1,000만 원을 대여하고 매월 10만 원의 이자를 받기로 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갑’이 ‘을’에 대하여 압류 또는 가압류를 한 경우에는 소멸시효의 진행이 중단된다.( )
답-O
해설)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으로 소멸시효가 중단된다(제168조).
[전제사실] ‘갑’은 ‘을’의 농장에서 키우는 유일한 진돗개 A를 매수하면서, 1주일 후 잔금지급과 동시에 A를 인도받기로 하였다.
‘을’은 다른 약정이 없는 한 A를 자신의 농장에서 ‘갑’에게 인도하면 된다.( )
답-O
해설) 채무의 성질 또는 당사자의 의사표시로 변제장소를 정하지 아니한 때에는 특정물의 인도는 채권성립당시에 그 물건이 있던 장소에서 하여야 한다(제467조제19), 따라서 ‘을’의 농장에서 A를 인도하면 된다.
[전제사실] ‘갑’은 ‘을’의 농장에서 키우는 유일한 진돗개 A를 매수하면서, 1주일 후 잔금지급과 동시에 A를 인도받기로 하였다.
‘을’이 선관주의의무를 다하여 A를 관리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증명책임은 ‘갑’에게 있다.
답-X
해설) 선관주의의무를 다하였다는 점에 대한 증명책임은 물건인도 채무자가 부담한다. 따라서 사안에서 ‘을’이 증명하여야 한다.
매매계약이 해제된 경우에 매도인과 매수인의 원상회복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있다, 없다).
있다.
도급계약에서 수급인의 하자보수와 도급인의 보수지급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있다, 없다).
있다.
금전소비대차계약에서 채무자의 변제와 채권자의 채권증서 반환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있다, 없다).
없다.
매도인의 토지거래계약허가 신청절차에 협력할 의무와 매수인의 대금지급의무는 동시 이행관계에 (있다, 없다).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