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50 Flashcards
1
Q
斗酒
A
두주
말 두, 술 주
- 말술. 한 말 정도의 분량이 되는 술
2
Q
北斗七星
A
북두칠성
북녘 북, 말 두, 일곱 칠, 별 성
- 북쪽 하늘의 큰곰자리에서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국자 모양을 이룬 일곱 개의 별
3
Q
斗酒不辭
A
두주불사
말 두, 술 주, 아닐 불, 말씀 사
- 말술도 사양하지 않는다.
- 술을 매우 잘 마심을 이르는 말
4
Q
泰山北斗
A
태산북두
클 태, 메 산, 북녘 북, 말 두
- 태산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태두(泰斗), 산두(山斗).
- 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Q
豆羹
A
두갱
콩 두, 국 갱
- 콩을 넣어 끓인 국
- 한 그릇의 국, 적은 국
6
Q
豆腐
A
두부
콩 두, 썩을 부
- 콩으로 만든 음식의 하나
7
Q
豆油
A
두유
콩 두, 기름 유
- 콩기름. 콩에서 짜낸 기름
8
Q
豌豆
A
완두
완두 완, 콩 두
- 콩과에 딸린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덩굴풀.
9
Q
巴豆
A
파두
꼬리 파, 콩 두
- 대극과에 딸린 늘푸른 떨기 나무
10
Q
頭角
A
두각
머리 두, 뿔 각
- 짐승 따위의 머리에 있는 뿔
- 또는, 머리나 머리 끝
- 뛰어난 학식ㆍ재능ㆍ기예
11
Q
頭目
A
두목
머리 두, 눈 목
- 좋지 못한 집단의 우두머리
12
Q
頭痛
A
두통
머리 두, 아플 통
- 머리가 아픈 증세
13
Q
猫頭懸鈴
A
묘두현령
고양이 묘, 머리 두, 달 현, 방울 령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14
Q
烹頭耳熟
A
팽두이숙
삶을 팽, 머리 두, 귀 이, 익을 숙
- 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삶아진다.
- 한 가지 일이 잘되면 다른 일도 저절로 이루어짐을 의미함
*유의어
망거목수(網擧目隨): 그물을 들면 그물눈도 따라 올라간다.
15
Q
鈍角
A
둔각
둔할 둔, 뿔 각
- 1직각보다 크고 2직각보다 작은 각. 곧, 90° 이상 180° 이하의 각
16
Q
鈍感
A
둔감
둔할 둔, 느낄 감
- 예민하지 못한 무딘 감각
- 감각이 둔함
*상대어
敏感(민첩할 민, 느낄 감)
17
Q
鈍器
A
둔기
둔할 둔, 그릇 기
- 무딘 날붙이, 잘 들지 않는 연장
- 날이 붙어 있지 아니한 도구. 사람을 상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몽둥이ㆍ벽돌 따위
18
Q
鈍才
A
둔재
둔할 둔, 재주 재
- 둔한 재주
- 또는, 그러한 사람
19
Q
鈍濁
A
둔탁
둔할 둔, 흐릴 탁
- 성질이 둔하고 혼탁함
20
Q
愚鈍
A
우둔
어리석을 우, 둔할 둔
- 어리석고 둔함
21
Q
得失
A
득실
얻을 득, 잃을 실
- 얻음과 잃음
- 이익과 손해
- 성공과 실패
22
Q
得意
A
득의
얻을 득, 뜻 의
- 바라던 일이 이루어져서 뽐냄. 뜻을 이루어 자랑함
*상대어
失意(잃을 실, 뜻 의)
23
Q
得點
A
득점
얻을 득, 점 점
- 어떠한 시험이나 경기 등에서 점수를 얻음
- 또는, 그 점수
24
Q
攄得
A
터득
펼 터, 얻을 득
- 깊이 생각하여 이치를 깨달아 알아내는 것
25
Q
得隴望蜀
A
득롱망촉
얻을 득, 고개 이름 롱, 바랄 망, 나라 이름 촉
- 농나라를 얻고 나니 촉나라를 갖고 싶다.
-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유의어
망촉(望蜀)
평롱망촉(平隴望蜀)
26
Q
得失相半
A
득실상반
얻을 득, 잃을 실, 서로 상, 반 반
- 얻고 잃는 것이 서로 반이라는 데서, 이익과 손해가 서로 엇비슷함
27
Q
等號
A
등호
무리 등, 이름 호
- 두 식 또는 두 수가 같음을 보이는 데에 쓰는 부호. =로 표시함. 같음표
28
Q
平等
A
평등
평평할 평, 무리 등
- 차별이 없이 동등한 등급
- 치우침이 없이 고르고 한결같음. 두루 미쳐 차별이 없음
29
Q
登壇
A
등단
오를 등, 단 단
- 문단 등의 특수한 사회 분야에 처음으로 나타남
- 연단 또는 교단에 오름
- 왕조 때, 대장 벼슬에 오름을 이르던 말
30
Q
登落
A
등락
오를 등, 떨어질 락
- 등급제와 낙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