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18 Flashcards
1
Q
繼承
A
계승
이을 계, 이을 승
- 조상이나 전임자의 뒤를 이어받음
2
Q
繼走
A
계주
이을 계, 달릴 주
- 이어달리기
3
Q
稽古
A
계고
상고할 계, 옛 고
- 옛일을 자세히 살피어 공부함
4
Q
古物
A
고물
옛 고, 물건 물
- 낡고 헌 물건
- 옛날 물건
5
Q
古事
A
고사
옛 고, 일 사
- 옛일
6
Q
古史
A
고사
옛 고, 사기 사
- 옛 역사
7
Q
中古
A
중고
가운데 중, 옛 고
- 역사 상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상고와 근고와의 사이
- 중세, 그리 오래지 않은 옛날
- 중고품
8
Q
最古
A
최고
가장 최, 옛 고
- 가장 오래 됨
9
Q
古色蒼然
A
고색창연
옛 고, 빛 색, 푸를 창, 그럴 연
- 오래 되어 옛날의 풍치가 저절로 드러나 보이는 모양
10
Q
東西古今
A
동서고금
동녘 동, 서녘 서, 옛 고, 이제 금
- 동양과 서양, 그리고 옛날과 오늘
- 어디서나, 언제나
11
Q
枯渴
A
고갈
마를 고, 목마를 갈
- 말라서 없어짐
12
Q
枯木
A
고목
마를 고, 나무 목
- 마른 나무, 말라 죽은 나무
13
Q
枯死
A
고사
마를 고, 죽을 사
- 나무나 풀이 시들어 죽음
14
Q
故事
A
고사
연고 고, 일 사
-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이나 어구
- 고사성어(故事成語)
15
Q
故意
A
고의
연고 고, 뜻 의
- 일부러나 억지로 하려는 뜻
*상대어
過失(지날 과, 잃을 실)
16
Q
故鄕
A
고향
연고 고, 시골 향
- 자기가 태어나고 자란 고장
- 조상 때부터 대대로 살아 온 곳
17
Q
姑母
A
고모
시어머니 고, 어머니 모
- 아버지의 누이, 아버지의 여형제
18
Q
姑婦
A
고부
시어머니 고, 며느리 부
- 시어머니와 며느리
19
Q
舅姑
A
구고
시아버지 구, 시어머니 고
-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20
Q
姑息之計
A
고식지계
시어머니 고, 쉴 식, 갈 지, 셀 계
- 근본 해결책이 아닌 임시로 편한 것을 취하는 계책
- 당장의 편안함만을 꾀하는 일시적인 방편
*유의어
동족방뇨(凍足放尿): 언 발에 오줌 누기
미봉책(彌縫策): 꿰매어 깁는 계책
임기응변(臨機應變): 그때그대 처한 뜻밖의 일을 재빨리 그 자리에서 알맞게 대처하는 일
임시변통(臨時變通): 갑자기 생긴 일을 우선 임시로 둘러맞춰서 처리함
하석상대(下石上臺):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괴기
21
Q
苦樂
A
고락
쓸 고, 즐길 락
- 괴로움과 즐거움
22
Q
苦悶
A
고민
쓸 고, 답답할 민
- 괴로워하고 번민함
23
Q
苦杯
A
고배
쓸 고, 잔 배
- 쓴 즙을 담은 잔
- 쓰라린 경험
24
Q
苦笑
A
고소
쓸 고, 웃음 소
- 어이가 없거나 하찮아서 웃는 웃음
25
Q
苦痛
A
고통
쓸 고, 아플 통
- 몸이나 마음의 괴로움과 아픔
26
Q
苦肉之策
A
고육지책
쓸 고, 고기 육, 갈 지, 꾀 책
- 자기 몸을 상해 가면서까지 꾸며 내는 계책
- 어려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 내는 계책
27
Q
苦盡甘來
A
고진감래
쓸 고, 다할 진, 달 감, 올 래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
- 고생 끝에 낙이 온다.
28
Q
堅固
A
견고
굳을 견, 굳을 고
- 굳세고 단단함
29
Q
固陋
A
고루
굳을 고, 더러울 루
- 완고하고 식견이 없음
- 낡은 관념이나 습관에 젖어 고집이 세고 새로운 것을 잘 받아들이지 아니함
30
Q
固辭
A
고사
굳을 고, 말씀 사
- 제의나 권유 따위를 굳이 사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