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 Flashcards

1
Q

간발(間髮)

A

터럭 사이의 거리. 대단히 차이가 적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개정(改定)

A

정한 것을 다시 정함 요금 개정, 날짜 개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개정(改正)

A

문서의 내용을 고쳐 바르게 함 헌법 개정, 회칙 개정, 악법 개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개정(改訂)

A

틀린 곳을 바로 잡는다 개정 증보판, 원고 개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게시(揭示)

A

여러 사람에게 알라기 위해 내붙이거나 내걸어 두루 보게 함, 또는 그런 물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게재(揭載)

A

글이나 그림 따위를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실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결재(決裁)

A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함 예) 결재 서류, 결재를 받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결제(決濟)

A

일을 처리하여 끝을 냄 예)어음 결제. 금융거래 시 어음이나 대금을 주고 받아 거래관계를 끝맺는 행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경신(更新)

A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하거나 기록경기 따위에서 종전의 기록을 깨뜨림 / break a recor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계륵(鷄肋)

A

닭의 갈비.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계시(啓示)

A

깨우쳐 보여줌. (깨달음과 관련된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공포(公布,공평할공/펼포)

A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공표(公表)

A

여러 사람에게 널리 드러내어 알림. ‘공개 발표’, ‘발표’로 순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관건(關鍵)

A

‘문빗장과 자물쇠’ 어떤 사물이나 문제 해결의 가장 중요한 부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낭패(狼狽)

A

계획한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매우 딱하게 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도탄(塗炭)

A

진흙 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탄다는 뜻으로, 몹시 곤궁한 지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도통(都統)

A

(주로 부정문과 함께 쓰여) 아무리 해도 / 이러니저러니 할 것 없이 아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동량(棟梁,마룻대동/들보량)

A

‘기둥과 들보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동량지재’의 준말로 ‘사용되어 기둥과 들보로 쓸 만한 재목이라는 뜻’인데, ‘한 집안이나 한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한 일을 맡을만한 인재를 이르는 말’로도 사용됨. 예) 이 아이들이 장차 나라의 동량이 될 어린이들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반증(反證)

A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함, 또는 그런 증거. 어떤 사실과 모순되는 것 같지만, 오히려 그것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는 사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방증(傍證)

A

사실을 직접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주변의 상황을 밝힘으로써 간접적으로 증명에 도움을 주는 증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변동(變動)

A

바뀌어 달라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변질(變質)

A

성질이 달라지거나 물질의 질이 변함. 또는 그런 성질이나 물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변형(變形)

A

모양이나 형태가 달라지거나 달라지게 함, 또는 달라진 형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보강(補强,강할강)

A

보태거나 채워서 본디보다 더 튼튼하게 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보완(補完,완전할완)
모자라거나 부족한 것을 보충하여 완전하게 함
26
보조(補助,도울보/도울조)
보태어 도움
27
보충(補充,채울충)
부족한 것을 보태어 채움
28
부득이(不得已)
마지못해 하는 수 없이. ‘부득이한 사정으로 약속을 취소하였다’에서와 같이 마지못하여 하는 수 없다는 의미
29
비견(比肩)
어깨를 나란히 한다. 앞서거나 뒤서지 않고 낫고 못할 것이 없이 정도가 서로 비슷함
30
사사(師事)
‘스승으로 삼고 여기다’ 또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다’의 의미를 가진 말로, 이미 ‘사사(師事)’라는 한자어 속에 ‘가르침을 받다’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사받다’라는 말은 ‘받다’의 의미가 중복되므로 잘못 사용하는 말이다. ‘~을 사사하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바른 표현.
31
사족(蛇足)
뱀을 다 그리고 나서 있지도 아니한 발을 덧붙여 넣는다. 쓸데없는 군짓을 하여 도리어 잘못되게 함. 화사첨족. ex) 사족을 붙이다, 사족을 달다
32
석권(席卷)
돗자리를 만다, 빠른 기세로 영토를 휩쓸거나 세력 범위를 넓힘.
33
선풍(旋風,돌선/바람풍)
돌발적으로 일어나 세상을 뒤흔드는 사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4
수리(修理,닦을수/다스릴리)
고장 나거나 허름한 데를 손보아 고침. 특히 기계나 집 등 특정 구조를 가진 것을 고칠 때 사용
35
숙환(宿患)
오래 묵은 병, 오래된 걱정거리
36
완벽(完璧)
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오한전함을 이르는 말
37
우수(憂愁,근심우/근심수)
근심과 걱정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수에 젖은 눈)
38
유래(由來)
사물이나 일이 생겨남, 그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
39
유례(類例)
같거나 비슷한 예. (유례 없던 일)
40
장족(長足)
기다랗게 생긴 다리. 사물의 발전이나 진행이 매우 빠름을 이름.
41
재연(再演)
연극이나 영화 따위를 다시 상연함. 한번 했던 행위나 일을 다시 되풀이함.
42
재현(再現)
다시 나타남, 나타냄. 재생의 의미.
43
천분(天分)
선천적으로 타고난 인간의 재질이나 능력을 가리키는 말
44
체계(體系)
일정한 원리에 따라서 낱낱의 부분이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통일된 전체.
45
체제(體制)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볼 때에 그 조직이나 양식, 또는 그 상태를 이르는 말. 일정한 정치 원리에 바탕을 둔 국가 질서의 전체적 경향. (ex) 냉전 체제, 중앙 집권 제체
46
초미(焦眉)
눈썹에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47
특장(特長)
‘특별히 뛰어난 장점’이라는 뜻으로 특징, 혹은 특질과 비슷한 말이지만, 설명하고자 하는 사물이나 인물이 지닌 독특한 혹은 개성이 있는 장점을 강조할 때에는 특장이라는 말이 좀 더 적확한 표현으로 쓰임.
48
풍광(風光)
경치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지만 사람의 용모와 품격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다.
49
현상(現像- 나타날 현, 형상 상, )
어떠한 형상으로 나타냄 또는 그 형상을 의미 / 노출된 필름이나 인화지를 약품으로 처리하여 상이 나타나도록 함
50
현상(現想-나타날 현, 생각할 상, )
보고 듣는데 관련하여 일어나는 생각을 의미.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사물의 모양과 상태, 혹은 철학에서 본질이나 객체의 외면에 나타나는 상
51
형안(炯眼)
‘빛날 형’ 자에 ‘눈 안’ 자로, 글자 그대로 ‘빛나는 눈’이라는 뜻이지만 여기에는 날카로운 관찰력을 소유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
52
혼동(混同)
「1」구별하지 못하고 뒤섞어서 생각함. 「2」서로 뒤섞이어 하나가 됨.
53
회자(膾炙,회회/구울자)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름
54
개재(介在,낄개/있을재) **
어떤 것들 사이에 끼여 있음
55
곤욕(困辱)
심한 모욕 또는 참기 힘든 일
56
곤혹(困惑)
곤란한 일을 당해 어찌할 바를 모름. 당황스러움.
57
보존(保存)
잘 보호하고 간수해 남김. 그냥 놔두면 망가지거나 없어질 우려가 있는 대상을 지켜야 한다는 의미 있음.
58
산실(産室,낳을산/집실)
해산하는 방, 어떤 일을 꾸미거나 이루어 내는 곳, 또는 그런 바탕.
59
갱신(更新)
법률 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 / RENEW
60
보우(保佑)
보호하고 도와줌
61
보전(補塡,메울전)
부족한 부분을 보태어 채움
62
감수(感受)
외부의 영향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임, 외부 세계의 자극을 감각 신경이 받아들이는 일
63
강토(疆土)
나라의 경계 안에 있는 땅.
64
개칠(改漆)
한 번 칠한 것을 다시 고쳐 칠함. /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한 번 그은 곳에 다시 붓을 대서 칠함.
65
건조(乾造)
성명학에서 이르는 남자의 운명
66
견양(見樣)
어떤 물건에 겨누어 정한 치수와 양식, 본보기
67
결궤(決潰)
방죽이나 둑 따위가 물에 밀려 터져 무너짐. 또는 그런 것을 무너 뜨림.
68
경락(競落)
경매에 의하여 동산 또는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일. ‘경매 차지’로 순화.
69
경주(傾注)
마음이나 힘을 한 곳에만 기울임.
70
계제(計除)
셈을 따져서 제할 것을 제함
71
고적(孤寂)
외롭고 쓸쓸함. (ex)고적에 싸이다, 고적을 느끼다 등
72
곡진(曲盡)
매우 정성스럽다
73
공전(空前)/광전
비교할 만한 것이 이전에는 없음
74
괴멸(壞滅)
조직이나 체계 따위가 모조리 파괴돼 멸망. (아군의 총공세에 적은 괴멸되었다)
75
구명(究明)
사물의 본질, 원인 따위를 깊이 연구해 밝힘. (사건의 원인 구명 – 학문적으로 연구 궁리해 밝힘.)
76
구축(拘縮)
반복되지 않는 자극에 의하여 근육이 지속적으로 오그라든 상태
77
구축(驅逐)
어떤 세력 따위를 몰아서 쫓아냄
78
굴지屈指
무엇을 셀 때, 손가락을 꼽음. 매우 뛰어나 수많은 가운데서 손꼽힘
79
권원(權原)
어떤 행위를 정당화하는 법률적인 원인
80
궤멸(潰滅)
무너지거나 흩어져 없어짐, 또는 그렇게 만듦. (적군의 궤멸)
81
금자탑(金字塔)
① 金자 모양의 탑이라는 뜻으로, 피라미드를 이르던 말. ② 길이 후세에 남을 뛰어난 업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2
기반(羈絆)
굴레, 굴레를 씌운다는 뜻으로, 자유를 구속하거나 억압함 (우리는 지금 일제 삼십육 년의 기반에서 해방되어 새 나라 새 정부를 건설하였습니다)
83
기반(棋盤/碁盤)
바둑을 두는 판
84
기탄忌憚
어렵게 여겨 꺼림
85
낙승(樂勝)
힘들이지 아니하고 쉽게 이김
86
난맥亂脈
이리저리 흩어져서 질서나 체계가 서지 아니함
87
눌언(訥言)
더듬거리는 말
88
단연(斷然,끊을단/그럴연)
확실히 단정할 만하게
89
단장斷腸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
90
단장短杖
짧은 지팡이
91
동토(凍土)
얼어붙은 땅.
92
동화(同和)
같이 화합함.
93
동화(動畵)
만화 영화에서, 한 장면 한 장면의 그림을 이르는 말
94
두서頭緖
일의 차례나 갈피 (일의 두서를 가리다)
95
마각(馬脚)
말의 다리, 가식하여 숨긴 본성이나 진상 (마각이 드러나다=말의 다리로 분장한 사람이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다>숨기고 있던 일이나 정체를 드러낸다.)
96
막후(幕後)
‘막의 뒤’.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뒷면. (ex)막후에서, 막후 거래, 막후 협상 등
97
모골(毛骨)
털과 뼈. (예. 모골이 송연하다 - 끔찍스러워서 몸이 으쓱하고 털끝이 쭈뼛해지다.)
98
몰각(沒却)
아주 없애버림, 무시해버림
99
몽리(蒙利)
이익을 얻음, 또는 덕을 봄. / 저수지, 보 따위의 수리시설에 의하여 물을 받음. (예. 몽리를 챙기다)
100
무지(拇指)
손가락으로 찍는 지장
101
무진장(無盡藏)  
① 다함이 없이 굉장히 많음 ② [불교] 덕이 넓어 끝이 없음. 닦고 닦아도 다함이 없는 법의(法義)를 이른다.
102
미상불(未嘗不)
아닌게 아니라 과연
103
박토(薄土)
메마른 땅.
104
발군(拔群,뽑을발/무성할패)
여럿 가운데에서 특별히 뛰어남 (발군의 실력)
105
발연(勃然,艴然)
왈칵 성을 내는 태도, 일어나는 모양이 세차고 갑작스럽다 (할아버지의 발연한 모습에 온 식구가 벌벌 떨었다)
106
벽두(劈頭)
글의 첫머리 또는 일의 시작된 머리 (예. 신년벽두)
107
보결(補缺,이지러질결)
결원이 생겼을 때에 그 빈자리를 채움 (=보궐)
108
보무(步武)
위엄 있고 활기 있게 걷는 걸음 (ex)보무도 당당하다
109
보전(補塡,메울전)
부족한 부분을 보태어 채움
110
봉정(奉呈)
문서나 문집 따위를 삼가 받들어 올림 (ex) 저서 봉정, 기념집 봉정
111
분열(分列)
각각 갈라져서 늘어섬. 또는 그렇게 함.
112
불가해(不可解)하다
‘불가해한 사건, 불가해한 현상’에서처럼 이해할 수 없다는 의미
113
비견
앞서거나 뒤서지 않고 어깨를 나란히 한다 ‘낫고 못할 것이 없이 정도가 서로 비슷
114
비등沸騰
액체가 끓어오름. 액체가 어느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그 증기압이 주위의 압력보다 커져서 액체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기화라는 현상. 물이 끓듯 떠들썩하게 일어남 (진주에까지 그 소문이 날아들었으니 여론의 비등이 얼마만 한 것이었는지 짐작이 될 것이다)
115
파벽(破僻)
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 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파천황)
116
비위(脾胃)
지라, 즉 비장과 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어떤 음식물이나 일에 대해 먹고 싶거나 하고 싶은 마음. (비위가 동하다) 어떤 음식물이나 일을 삭여내거나 상대해 내는 성미. (비위가 강하다)
117
사기(些技)
변변치 못한 기예(技藝) 또는 사소한 기능
118
사기(四氣)
철에 따라 달라지는 네가지 기운(봄의 따뜻함/여름의 더위/가을의 서늘함/겨울의 추위를 이른다)
119
사기(士氣)
의욕이나 자신감 따위로 충만하여 굽힐 줄 모르는 기세
120
사기(邪氣)
요사스럽고 나쁜 기운/『한』사람의 몸에 병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외적 요인을 통틀어 이르는 말/『북』남을 해치려는 나쁜 심보
121
사리(事理 일사/다스릴리)
사물의 이치. 일의 도리
122
사리(邪理간사할사/다스릴리)
 그릇된 이치나 생각.
123
사사(謝辭)
‘고마운 뜻을 나타내는 말 혹은 사죄하는 말
124
사철(捨撤)
베풀어줌
125
사학(四學)
조선 때 나라에서 인재를 기르고자한 서울의 교육기관
126
사학(邪學)
요사스러운 학문이나 학설, 주자학에 반대하거나 위배되는 학문을 가리키던 말
127
사활(死活)
죽기와 살기, 어떤 중대한 문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예)사활을 걸다. 사활이 걸리다.
128
산화(散華)(散花)
어떤 대상이나 목적을 위하여 목숨을 바침
129
생면(生面)
처음으로 대함. 또는 그런 얼굴
130
석패(惜敗)
경기나 경쟁에서 약간의 점수 차이로 아깝게 짐
131
세모(歲暮)
한 해가 끝날 무렵, 설을 앞둔 섣달그믐께 = '세밑'으로 순화
132
송영(送迎)
가는 사람을 보내고 오는 사람을 맞음. = 송구영신
133
호도(糊塗)
풀을 바른다는 뜻으로, 명확하게 결말을 내지 않고 일시적으로 감추거나 흐지부지 덮어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4
진애(塵埃)
티끌과 먼지를 통틀어 이르는 말. 세상의 속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진애에 가득 찬 현실에 진저리 친 남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