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Flashcards
각골난망(刻骨難忘)
남에게 입은 은혜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혀지지 아니함
각주구검(刻舟求劍):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
간담상조(肝膽相照)
서로 속마음을 털어놓고 친하게 사귀다
감지덕지(感之德之)
분에 넘치는 듯싶어 매우 고맙게 여기는 모양.
감탄고토(甘呑苦吐)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비위에 따라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함을 이르는 말.
거안사위(居安思危)
편안하게 지내더라도 항상 어려운 때를 생각하고 대비함
견마지로(犬馬之勞)
개나 말 정도로 하찮은 힘,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으로 낮추어 이름.
견마지심(犬馬之心)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 신하/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
결초보은(結草報恩)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리는 말
경전하사(鯨戰蝦死)
고래 싸움에 새우가 죽는다는 속담(俗談)을 한자어로 옮긴 것
계륵(鷄肋)
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
고려공사삼일(高麗公事三日)
고려(高麗)의 정책(政策)이나 법령(法令)은 사흘만에 바뀐다는 뜻으로, 한 번 시작(始作)한 일이 오래 계속(繼續)되어 가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고식지계 **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
고육지책
자기 몸을 상해가면서까지 꾸며내는 계책. =임시변통 = 미봉책 = 언 발에 오줌누기 = 고육지계=고육계=고육책
고장난명(孤掌難鳴)
‘왼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또는 ‘ 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백지장도 맛들면 낫다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
오이 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않는다는 뜻으로, 의심(疑心)받을 짓은 처음부터 하지 말라는 뜻
관포지교
관중과 포숙의 사귐. 우정이 아주 돈독한 친구 관계.
교각살우(矯角殺牛)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이나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 빈대 미워 집에 불 놓는다
구중심처(九重深處)
겹겹이 문으로 막은 깊은 곳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이르는 말.
금란지의(金蘭之誼)
친구 사이의 매우 두터운 정
금지옥엽(金枝玉葉)
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쥐면 꺼질까 불면 날까)
기우(杞憂)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낭중지추(囊中之錐)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다정다감(多情多感)
정이 많고 감정이 풍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