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Flashcards

1
Q

각골난망(刻骨難忘)

A

남에게 입은 은혜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혀지지 아니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각주구검(刻舟求劍):

A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간담상조(肝膽相照)

A

서로 속마음을 털어놓고 친하게 사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감지덕지(感之德之)

A

분에 넘치는 듯싶어 매우 고맙게 여기는 모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감탄고토(甘呑苦吐)

A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비위에 따라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함을 이르는 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거안사위(居安思危)

A

편안하게 지내더라도 항상 어려운 때를 생각하고 대비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견마지로(犬馬之勞)

A

개나 말 정도로 하찮은 힘,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으로 낮추어 이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견마지심(犬馬之心)

A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 신하/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결초보은(結草報恩)

A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리는 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경전하사(鯨戰蝦死)

A

고래 싸움에 새우가 죽는다는 속담(俗談)을 한자어로 옮긴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계륵(鷄肋)

A

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고려공사삼일(高麗公事三日)

A

고려(高麗)의 정책(政策)이나 법령(法令)은 사흘만에 바뀐다는 뜻으로, 한 번 시작(始作)한 일이 오래 계속(繼續)되어 가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고식지계 **

A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고육지책

A

자기 몸을 상해가면서까지 꾸며내는 계책. =임시변통 = 미봉책 = 언 발에 오줌누기 = 고육지계=고육계=고육책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고장난명(孤掌難鳴)

A

‘왼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또는 ‘ 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백지장도 맛들면 낫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

A

오이 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않는다는 뜻으로, 의심(疑心)받을 짓은 처음부터 하지 말라는 뜻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관포지교

A

관중과 포숙의 사귐. 우정이 아주 돈독한 친구 관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교각살우(矯角殺牛)

A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이나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 빈대 미워 집에 불 놓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구중심처(九重深處)

A

겹겹이 문으로 막은 깊은 곳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이르는 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금란지의(金蘭之誼)

A

친구 사이의 매우 두터운 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금지옥엽(金枝玉葉)

A

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쥐면 꺼질까 불면 날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기우(杞憂)

A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낭중지추(囊中之錐)

A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다정다감(多情多感)

A

정이 많고 감정이 풍부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당랑거철(螳螂拒轍)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철없이 함부로 덤비는 경우.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줄 모른다 (당랑=사마귀)
26
대기만성(大器晩成):
큰 그릇은 만드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는 말로, 큰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
27
도청도설(道聽塗說)
길에서 들은 일을 길에서 이야기한다는 뜻으로, 무슨 말을 들으면 그것을 깊이 생각지 않고 다시 옮기는 경박한 태도를 이르는 말
28
독수공방(獨守空房)
➀혼자서 지내는 것 ➁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29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동쪽 집에서 밥을 먹고 서쪽 집에서 잠을 잔다는 뜻으로, 본래의 뜻은 지나친 욕심을 꼬집는 의미였으나 지조도 없이 이리저리 붙는 처신 또는 한 군데 정착하지 못하는 떠돌이 삶을 의미한다
30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31
등용문(登龍門)
용문(龍門)에 오른다는 뜻으로, 입신출세의 관문을 일컫는 말
32
마이동풍(馬耳東風)
말의 귀에 동풍이 불어도 말은 아랑곳하지 않는다. 남의 의견이나 충고의 말을 귀담아듣지 아니하고 흘려버림.
33
만시지탄(晩時之歎)
시기에 늦어 기회를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
34
망양보뢰(亡羊補牢)
양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35
망양지탄(亡羊之歎):
갈림길이 매우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을 길이 없음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36
망양지탄(望洋之歎):
큰 바다를 바라보며 하는 한탄이란 뜻으로, 어떤 일에 자기 자신의 힘이 미치지 못할 때 하는 탄식을 이르는 말
37
망운지정(望雲之情)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
38
맥수지탄(麥秀之嘆)
고국의 멸망을 한탄함을 이르는 말.
39
목불식정(目不識丁)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글자를 전혀 깨치치 못하여 무식하거나 사리에 몹시 어두운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丁자를 보고도 고무래 인줄 알지 못한다
40
무인동방(無人洞房)
임이 없는 외로운 여인의 방
41
문경지교(刎頸之交):
서로 죽음을 함께 할 수 있는 막역한 사이를 이르는 말.
42
미망인(未亡人):
남편(男便)과 함께 죽어야 할 것을, 아직 죽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란 뜻으로, 과부(寡婦)가 스스로를 겸손(謙遜)하며 일컫는 말
43
미봉지책
눈가림만 하는 일시적인 계책 = 미봉책
44
미증유(未曾有)
지금까지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
45
반포보은(反哺報恩):
(1)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일 (2)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 반포지효
46
반포지효(反哺之孝)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
47
방약무인(傍若無人)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행동함( 주위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 )
48
방촌지간(方寸之間)
사람의 마음 속, 흉중(胸中)을 이르는 말.
49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
근심이 이어져 끊임이 없음을 비유한 말.
50
백일천하(百日天下)
엘바 섬을 탈출한 나폴레옹 1세가 파리에 들어가 제정(帝政)을 부활시킨 후부터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여 퇴위할 때까지의 약 100일간의 지배를 가리킴
51
사고무친(四顧無親):
의지할 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
52
사면초가(四面楚歌)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53
사족(蛇足)
쓸데없이 붙이는 말
54
살신성인(殺身成仁):
자신(自身)의 몸을 죽여 인(仁)을 이룬다는 뜻
55
삼순구식(三旬九食)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책력 보아 가며 밥 먹는다)
56
삼일천하(三日天下)
삼일 동안 천하를 차지함. 짧은 동안 政權(정권)을 잡았다가 곧 逐出(축출)당함을 이름.
57
상명지통(喪明之痛)
눈이 멀 정도로 슬프다는 뜻으로, 아들이 죽은 슬픔을 비유적으로 지칭
58
새옹지마(塞翁之馬)
세상의 일들이 모두 한 치 앞을 알 수 없을 정도로 그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인생의 길흉화복은 쉽게 예측할 수 없다는 뜻.
59
선각자(先覺者):
남보다 먼저 사물이나 세상일을 깨달은 사람
60
설상가상(雪上加霜):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속담 중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바꿔 쓸 수 있다.
61
어로불변(魚魯不辨)
비슷하게 생긴 글자인 어(魚)와 노(魯) 자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무식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2
연목구어(緣木求魚) **
나무에 올라 고기를 얻으려고 한다는 뜻으로,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아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하는 말
63
오비이락(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을 이르는 말.
64
오월동주(吳越同舟)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해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5
와신상담(臥薪嘗膽) **
거북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 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6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왕래하여 사귄다( 비슷한 부류의 인간 모임을 비유 )
67
이단(異端)
자기(自己)가 믿는 이외(以外)의 도(道). 옳지 아니한 도
68
일문불통(一文不通)
한 글자도 읽을 수 없다
69
일일삼추(一日三秋):
하루가 삼 년 같다는 뜻으로, 사랑하는 사람끼리의 사모(思慕)하는 마음이 간절(懇切)함을 이르는 말. 또는 뜻대로 만날 수 없는 초조(焦燥)함
70
임시방편
갑자기 터진 일을 우선 간단하게 둘러맞추어 처리 = 임시편통 = 임시방패 = 임시배포
71
임시변통(臨時變通)
갑자기 터진 일을 우선 간단하게 둘러맞추어 처리한다는 의미.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괸다’와 비슷한 의미로 쓰임.
72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유사) 자업자득
73
적반하장(賊反荷杖):
도둑이 도리어 몽둥이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잘 한 사람을 나무라는 경우
74
전대미문(前代未聞)
이제까지 들어 본적 없는 일 = 전인미답
75
전도요원(前途遙遠)
가야 할 길이 아득히 멂. 장래가 창창하게 멂.
76
전무후무(前無後無)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
77
전인미답(前人未踏)
이제까지 그 누구도 가 보지 못함. 이제까지 그 누구도 손을 대어 본일이 없음. = 전대미문
78
전전긍긍(戰戰兢兢):
전전(戰戰)은 겁을 먹고 벌벌 떠는 것. 긍긍(兢兢)은 조심해 몸을 움츠리는 것으로 어떤 위기감에 떠는 심정(心情)을 비유(比喩ㆍ譬喩)한 말
79
전전반측(輾轉反側)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 전전불매(輾轉不寐).
80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한다는 뜻으로 바쁜 틈을 타서 어렵게 공부함.
81
주마가편(走馬加鞭)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말.
82
주마간산(走馬看山)
달리는 말 위에서 산천을 구경( 몹시 바빠서 이것저것 자세히 살펴볼 틈도 없이 대강대강 훑어보고 지나침)
83
진언부지(眞諺不知)
진서(한자)나 언문(한글)을 다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무식하여 잘 모름
84
천리안(千里眼):
천 리 밖을 보는 눈이란 뜻
85
천석고황(泉石膏肓)
산수를 사랑함이 지극하여 마치 불치의 깊은 병에 걸린 것같이 되었다는 뜻
86
청경우독(晴耕雨讀)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오는 날에는 글을 읽는다.
87
청출어람(靑出於藍)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중에 난 뿔이 우뚝하다’와 유사한 의미.
88
초록동색(草綠同色):
풀색과 녹색은 같은 색이라는 뜻으로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같이 어울리게 마련이라는 뜻
89
출사표(出師表):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재상 제갈공명(諸葛孔明)이 위나라를 토벌하러 떠날 때 임금에게 올린 글. 이 의미가 시간이 흐르면서 확대되어, 주요한 일에 임하면서 심경을 발표하는 것 또는 중요한 일에 임하는 것 자체를 가리키게 되었다
90
침소봉대(針小棒大)
작은 일을 크게 불리어 떠벌림
91
풍수지탄(風樹之嘆) **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윈 이들의 슬픔을, 부모를 봉양 하고자해도 그럴 수 없는 처지를 한탄하는 것을 일컫는다. = 풍목지비 = 풍수지감 = 풍수지비
92
하석상대(下石上臺) **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괸다 = 언발에 오줌누기 = 상하탱석 = 상석하대 = 임시변통
93
함흥차사(咸興差使):
심부름을 간 사람이 소식이 아주 없거나 또는 회답이 좀처럼 오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94
혼정신성(昏定晨省)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봐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 = 동온하정
95
홍익인간(弘益人間)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뜻으로 ≪삼국유사≫의 단군 신화에 나오는 말이다
96
홍일점(紅一點)
푸른 잎 가운데 한 송이의 꽃이 피어 있다는 뜻으로, 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를 띠는 것. 또는 많은 남자(男子)들 사이에 끼어 있는 한명 뿐인 여자(女子)
97
화촉동방(華燭洞房)
첫날밤에 신랑 신부가 자는 방
98
효시(嚆矢):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시작되어 나온 맨 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99
오불관언 (吾不關焉)
나는 그 일에 상관하지 아니함. (cf. 수수방관)
100
독서망양 (讀書亡羊)
글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서 먹이고 있던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에는 뜻이 없고 다른 생각만 하다가 낭패를 봄을 이르는 말
101
순망치한脣亡齒寒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 서로 이해관계가 밀접한 사이에 어느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그 영향을 받아 온전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102
빈계지신牝鷄之晨 = 빈계사신
암탉이 새벽을 알리느라고 먼저 운다는 뜻으로, | 부인이 남편을 젖혀 놓고 집안일을 마음대로 처리함을 이르는 말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103
상가지구喪家之狗
초상집의 개라는 뜻으로, ①별 대접을 받지 못하는 사람 ②여위고 지칠 대로 지친 수척한 사람을 비유
104
한시태출 (旱時太出)
가뭄에 콩 나듯 한다 | 일이나 물건이 드문드문 나타난다는 말
105
토사구팽 (兔死狗烹)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게 되어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