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철근콘크리공사 Flashcards

1
Q

철콘 구조의 기둥에서 띠철근(Hoop Bar)의 역할2가지

A

1) 콘크리트의 가로방향 변형 방지

2) 기둥의 좌굴방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철근의 Hook를 두는 곳 5군데

A

1) 기둥 및 보의 외곽부 철근 (이형철근)
2) 굴뚝근, 대근, 늑근 및 고정근
3) 도면에서 지시된 부분
4) 시공 이음부
5) 원형철근 말단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온도조절 철근이란?

A

온도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수축으로 생긴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철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헌치란?

A

거푸집 등 콘크리트 구조물 접합부에 집중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설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철근 이음법의 종류 3가지

A

1) 결속선 이음(겹친이음)법
2) 용접이음법
3) 기계적이음
4) 가스압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가스 압점이 금지되는 경우 3가지

A

1) 철근의 지름 차이가 6mm 이상인 경우
2) 철근의 재질에 서로 다른 경우
3) 항복점 강도가 서로 다른 경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철근의 정착 위치

  • 기둥의 주근 : ( )
  • 큰보의 주근 : ( )
  • 지중보의 주근 : ( ) 또는 ( )
  • 벽철근 : ( ) , ( ) 또는 ( )
  • 바닥철근 : ( ) 또는 ( )
A
  • 기둥의 주근 : ( 기초 )
  • 큰보의 주근 : ( 기둥 )
  • 지중보의 주근 : ( 기초 ) 또는 ( 기둥 )
  • 벽철근 : ( 기둥 ) , ( 보 ) 또는 ( 바닥판 )
  • 바닥철근 : ( 보 ) 또는 ( 벽체 )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이유 3가지

A

1) 콘크리트의 유동성(시공성) 확보
2) 재료분리 방지
3) 소요강도 유지 및 확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철근의 간격을 결정하는 기준 3가지 (최소간격)

A

1) 1.5d 이상 (d : 철근지름)
2) 1.25G 이상 (G : 굵은골재지름)
3) 2.5cm 이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는 이유 3가지

A

1) 내구성(중성화방지)
2) 내화성 확보
3) 시공성(con’c 타설) 증대
4) 부착력 증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철근의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 법 5가지

A

1) 철근에 아연도금 또는 에폭시 코팅철근 사용
2) 콘크리트에 방청제 혼입
3) 골재에 제염제 사용
4) 철근피복두께 확보
5) 수밀한 콘크리트 사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각 배근 순서 나열

(1)기둥 (2)계단 (3)기초 (4)보 (5)바닥판 (6)벽

  • RC조 :
  • SRC조 :
A
  • RC조 : 기초 – 기둥 – 벽 – 보 – 바닥판 - 계단

- SRC조 : 기초 – 기둥 – 보 – 벽 – 바닥판 - 계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기초철근의 조립 순서

(1) 기둥주근 설치 (2)철근간격 표시 (3)대각선 철근 배근
(4) 띠근 끼우기 (5)스페이서 설치 (6)직교철근 배근
(7) 거푸집위치 먹줄치기

A

(7)거푸집위치 먹줄치기 -> (2)철근간격 표시 -> (6)직교철근 배근 -> (3)대각선 철근 배근 -> (5)스페이서 설치 -> (1)기둥주근 설치 -> (4)띠근 끼우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철근 간격재(스페이서)의 종류 3가지

A

1) 모르타르재 2) 철판재 3) 철근재 4) 파이프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거푸집이 갖추어야할 구비조건 3가지

A

1) 안정성 :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 확보
2) 정밀성 : 형상, 치수의 정확성
3) 시공성 : 조립, 해체가 용이
4) 수밀성 : 시멘트 풍리 새지 않게 치밀 시공
5) 경제성 : 반복 사용이 가능한 많은 재질 선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거푸집 간격을 유지 :

A

격리재(세퍼레이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거푸집을 쉽게 뗄 수 있도록 거푸집면에 칠하는 약제 :

A

박리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타설된 콘크리트 윗면으로부터 최대 측압면까지의 거리 :

A

콘크리트헤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신축이 가능한 무지주 공법 :

A

페코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사용 할 때마다 작은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 번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거푸집시스템 :

A

갱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슬라브에 배근되는 철근이 거푸집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격재 (피복두께유지)

A

스페이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벽거푸집이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고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격리재 :

A

세퍼레이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

A

와이어클리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콘크리트에 달대와 같은 설치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매입하는 철물 :

A

인서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막는 긴장재 :
폼타이
26
거푸집 계산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보, 슬래브 밑면 : - 벽, 기둥, 보 옆 :
- 보, 슬래브 밑면 : 생콘크리트 중량, 작업하중 , 충격하중 | - 벽, 기둥, 보 옆 : 생콘크리트 중량, 생콘크리트 측압
27
콘크리트의 측압이 크게 걸리는 원인 4가지
1) 사용 철근 철골량이 적을 수록 2) 온도가 낮을 수록 3) 벽두께가 두꺼울 수록 4) 부어넣기 속도가 빠를 수록
28
콘크리트 헤드란?
수직부재에서 최종 타설된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최대 측압이 발생하는 곳까지의 수직거리
29
거푸집 조립 순서
[3]기둥 -> [1]보받이 내력벽 -> [4]큰보 -> [6]작은보 -> [5]바닥 -> [2]외벽
30
RC조 건축물 독립기초의 일반적 시공순서
[7] 기초거푸집 -> [2] 기초판 철근배근 -> [10] 기둥철근 기초에 정착 -> [4] 기초판 콘크리트 타설 -> [5] 기둥 철근배근 -> [11] 기둥거푸집 벽의 한편 거푸집 -> [1] 벽 철근 배근 -> [8] 벽의 딴편 거푸집 -> [9] 보, 슬래브 거푸집 -> [3] 보 슬래브 철근배근 -> [6] 콘크리트 타설(기둥+벽+보+슬래브)
31
거푸집 존치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 4가지
1) 부재의 종류, 위치 2) 콘크리트 강도 3) 시멘트의 종류 4) 평균온도(기온)
32
기초, 보 옆, 기둥 및 벽의 거푸집널 존치기간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 )N/mm2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될 때까지이며, 받침기둥의 존치기간은 슬래브 밑과 보 밑의 설계기준 강도의 ( )%이상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얻어질때까지이고, 계산결과에 관계없이 받침기둥 해체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 )N/mm2이상이어야 한다.
기초, 보 옆, 기둥 및 벽의 거푸집널 존치기간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 5 )N/mm2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될 때까지이며, 받침기둥의 존치기간은 슬래브 밑과 보 밑의 설계기준 강도의 ( 2/3 )%이상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얻어질때까지이고, 계산결과에 관계없이 받침기둥 해체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 14 )N/mm2이상이어야 한다.
33
갱폼(Gang form)의 정의와 장, 단점 2개씩 써라
1) 정의 : 거푸집을 사용할 때마다 작은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공법 2) 장점 : 인력 및 비용절감, 마감 단순화, 기능공의 영향 미약 3) 단점 : 설치장비 필요, 초기투자비 과다, 거푸집 조립시간 필요
34
클라이밍 폼
벽체용 거푸집으로 거푸집과 벽체 마감공사를 위한 비계틀을 일체로 조립하여 한꺼번에 인양하여 설치하는 공법
35
Flying Form(table form)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으로 장선, 멍에, 서포트 등을 일체로 제작하여 부재화한 거푸집 공법
36
Flying Form(table form) 장점
1) 조립과 분해 작업의 생략으로 설치기간 단축 2) 거푸집의 처짐량 감소, 외력에 대한 안정성 큼 3) 재료의 전용률이 크다.
37
슬리이딩 폼
수평적 또는 수직적으로 반복된 구조물을 시공이음없이 균일한 형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거푸집 공법
38
터널폼이란?
슬래브와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을 일체화하기 위한 대형형틀로 트윈쉘과 모노쉘로 구분
39
무지주공법의 수평지지보 종류 2가지와 특징
받침 기둥없이 보를 걸어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방식 | 1) 보우빔(bow beam) 2) 페코빔(pecco beam)
40
Waffle form이란?
무량판 구조에서 2방향 장선 슬래브 공사 시 사용되는 기성재 거푸집
41
무량판 구조란?
RC조 구조방식에서 보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슬래브를 직접 기둥에 지지시키는 구조방식
42
콘크리트 타설 방법 중 V.H공법이란?
침하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 벽 등 수직부재를 먼저 타설하고 수평부재를 나중에 분리하여 타설하는 방법으로 보통 하프 슬래브 공법과 병행하여 적용
43
콘크리트의 타설 순서
[1]기초 -> [3]기둥 -> [7]벽 -> [6]계단 -> [2]보 -> [5]바닥판 -> [4]파라펫
44
콘크리트 타설 시 기둥은 한번에 넣지말고 다지면서 | ( )시간에 ( )m이하로 천천히 부어넣는다.
콘크리트 타설 시 기둥은 한번에 넣지말고 다지면서 | ( 1 )시간에 ( 2 )m이하로 천천히 부어넣는다.
45
포틀랜드 시멘트 종류 5가지
1) 1종 :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2) 2종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3) 3종 : 조감 포틀랜드 시멘트 4) 4종 :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5) 5종 :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46
혼합시멘트의 종류 3가지
1) 고로슬래그 2) 플라이 애쉬 3) 실리카 훔
47
콘크리트용 골재를 굵은 골재
일반적으로 ( 5 )mm체에 모두 남거나 대부분(85%)이 남는 콘크리트용 골재를 굵은 골재라고 한다.
48
헛응결이란?
가수한 시멘트풀이 20내에 발열하지 않고 헛 굳여졌다가 이후 순조롭게 경화가 진행되는 현상
49
시멘트의 풍화작용이란 시멘트가 대기중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수화작용으로 (1)가 생기고 공기중의 | (2)를 흡수하여 (3)를 생기게 하는 작용
시멘트의 풍화작용이란 시멘트가 대기중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수화작용으로 ( 수산화석회 )가 생기고 공기중의 | ( 이산화탄소 )를 흡수하여 ( 탄산석회 )를 생기게 하는 작용
50
혼화재와 혼화제 정의
- 혼화재 : 콘크리트 물성을 개선하기 위해 비교적 다량으로 이용 | - 혼화제 : 콘크리트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약품적으로 소량 사용
51
혼화재의 종류 3가지
1) 플라이 애쉬 2) 고로슬래그 3) 포졸란
52
혼화제의 종류 3가지
1) AE제(표면활성제) 2) 경화촉진제 3) 유동화제
53
AE제(표면활성제)
공기 연행제로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 입자를 고르게 분포시킨다.(시공연도를 개선)
54
시멘트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촉진시킨다.
응결경화촉진제
55
화학반응이 늦어지게 한다.
응결경화지연제
56
혼화재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 4가지
1) 워커빌리티 증진 2) 블리딩, 재료분리 감소 3) 수밀성 증진 4) 초기강도 감소, 장기감도 증가
57
AE제의 사용목적 3가지
시공연도증진, 내구성 증진, 동결융해 저항성 증대
58
- 엔트랩트 에어(Entraped air)
일반콘크리트에 자연적으로 들어가는 1~2% 공기량을 말한다.
59
- 엔트레인드 에어 (Entrained air)
연행공기라 하여 AE제를 사용할 때 함유되는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3~6% 공기량
60
콘크리트 배합에서 -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 )배합 - 시멘트량이 적을수록 ( )배합
-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 부 )배합 | - 시멘트량이 적을수록 ( 빈 )배합
61
콘크리트의 표준배합설계 순서 나열 ``` [1]슬럼프값의 결정 [2]시방배합의 산출 및 조정 [3]배합강도의 결정 [4]물시멘트비의 선정 [5]잔골재율의 결정 [6]소요강도의 결정 [7]굵은 골재 최대치수 결정 [8]현장 배합의 결정 [9]시멘트 강도의 결정 [10]단위수량의 결정 ```
[6]소요강도의 결정 -> [3]배합강도의 결정 -> [9]시멘트 강도의 결정 -> [4]물시멘트비의 선정 -> [1]슬럼프값의 결정 -> [7]굵은 골재 최대치수 결정 -> [5]잔골재율의 결정 -> [10]단위수량의 결정 -> [2]시방배합의 산출 및 조정 -> [8]현장 배합의 결정
62
일반적인 콘크리트 배합설계 순서 나열
[5]소요강도의 결정 -> [2]배합강도의 결정 -> [7]시멘트 강도의 결정 -> [3]물시멘트비의 결정 -> [4]잔골재율의 결정 -> [8]온도 및 표준편차의 결정 -> [6]현장배합의 결정 -> [1]시방배합의 결정
63
슬럼프 플로우
슬럼프 테스트를 하여 콘크리트가 옆으로 퍼진 정도로 초유동화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측정할 때 사용
64
잔골재율
잔골재량과 골재 전량과의 절대 용적률 | 잔골재 용적 / (잔골재 + 굵은골재 용적) X 100(%)
65
조립률
골재의 체가름 시험을 통해 골재의 입도를 간단한 수치로 나타낸 것
66
물시멘트 비(W/C비)란 ?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속에 포함된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
67
물시멘트비가 클 때(현장가수 시) 문제점 4가지
1) 강도저하 2) 재료분리 3)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 발생 4) 내구성 및 수밀성의 저하 5) Creep 증대 6) 철근부식 촉진
68
시방서에서 규정한 철콘의 표준 슬럼프값은 일반적인 경우에 ( )mm이며, 단면이 클 경우엔 ( )mm이다. 또한 AE제의 공기량 기준은 ( )%정도이다.
시방서에서 규정한 철콘의 표준 슬럼프값은 일반적인 경우에 ( 60 - 180 )mm이며, 단면이 클 경우엔 ( 40 - 150 )mm이다. 또한 AE제의 공기량 기준은 ( 4 - 5 )%정도이다.
69
시공연도 - 워커빌리티
묽기정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등 복합적인 의미에서의 시공 난이 정도
70
반죽질기 – 컨시스던스
단위수량에 의해 변화하는 콘크리트 유동성의 정도, 혼합물의 묽기 정도
71
성형성 - 플라스틱시티
거푸집 등의 형상에 순응하여 채우기 쉽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성질
72
마감성 - 피니쉬빌리티
표면정리의 난이정도, 마감성의 난이
73
압송성 - 펌프빌리티
펌프에 콘크리트가 잘 밀려나가는지의 정도
74
시공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4가지
1) 시멘트 양 2) 운반거리 3) 물의 양 4) 운반높이 5) 잔골재 율 6) 타설량 7) 혼화재료 8) 비빔시간 9) 작업자의 능력
75
Washington Meter
(워싱턴미터) 공기량 측정
76
Earth Pressure Meter
지하수위 측정
77
Piezo Meter
(피에조미터) 간극수압측정
78
Dispenser
(디스펜서) AE제 계량
79
워세 크리터
물시멘트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골재 계량
80
재료분리의 원인은 물시멘트비가 ( )때이고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 )때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 )나 ( )와 같은 혼화제를 사용하거나 ( )을 증가시킨다.
재료분리의 원인은 물시멘트비가 ( 클 )때이고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 지나치게 클 )때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 AE제 )나 ( 플라이애쉬 )와 같은 혼화제를 사용하거나 ( 성형성 )을 증가시킨다.
81
Bleeding이란?
블리딩 :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풀, 몰탈 및 콘크리트에서 물이 윗면에 스며 오르는 일종의 재료분리 현상
82
Laitance란?
레이턴스 : 블리딩으로 인한 잉여수가 증발된 뒤 콘크리트 표면에 남는 하얀 이물질
83
모세관 공극이란?
시멘트의 수화작용, 시멘트Gel의 형성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연속 공극의 일종
84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 시 보강방법 3가지
1) 강판접착공법 2) 앵커접착공법 3) 합성수지계 충진법 4) 충진공법
85
다음 콘크리트의 균열보수법 설명 | - 표면처리법
보통 진행 정지된 2mm 이하의 경미한 균열에 폴리머시멘트나 모르타르로 보수하는 방법
86
다음 콘크리트의 균열보수법 설명 | - 주입공법
주입구멍을 천공하고 주입 파이프를 20~30cm 간격으로 설치하여 깊이 20mm 정도로 저점도의 에폭시 수지를 밀봉제로 주입하는 공법
87
콘크리트의 강도추정을 위한 비파괴 시험 4가지
1) 슈미트 해머법 2) 표면경도법 3) 방사선 투과법 4) 인발법 5) 공진법 6) 음속법
88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 지름 ( )cm, 높이 ( )cm의 공시체 사용하며 공시체 3개의 평균 압축강도는 Fck의 ( )%여야함. - 채취시기와 횟수는 ( )일 ( )회, ( )m3마다 ( )회 배합이 변경될 때마다 실시하고, 보통은 1 검사 로트는 ( )m3가 된다.
- 지름 ( 15 )cm, 높이 ( 30 )cm의 공시체 사용하며 공시체 3개의 평균 압축강도는 Fck의 ( 85 )%여야함. - 채취시기와 횟수는 ( 1 )일 ( 1 )회, ( 100 )m3마다 ( 1 )회 배합이 변경될 때마다 실시하고, 보통은 1 검사 로트는 ( 300 )m3가 된다.
89
슈미트 해머법의 강도 보정법 3가지
1) 타격각도 보정 2) 콘크리트 재령 보정 3) 압축응력에 따른 보정
90
철콘의 선팽창계수가 1.0X10 이라면 10m의 부재가 10℃의 온도변화 시 부재의 길이 변화량은? (식과 답)
∆ L = 10m × 1.0 × 10-5 × 10℃ × 100cm | = 1mm
91
콘크리트의 중성화란 대기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으로 콘크리트 내의 ( )이 ( )으로 변하면서 알칼리성을 소실하는 현상을 말하며 중성화 반응식은 ( )이다.
콘크리트의 중성화란 대기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으로 콘크리트 내의 ( 알칼리 성분 – 수산화 칼륨 )이 ( 탄산칼슘 )으로 변하면서 알칼리성을 소실하는 현상을 말하며 중성화 반응식은 ( Ca( OH )2 + CO2 → CaCO3 + H2O )이다.
92
콘크리트의 알칼리 골재반응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 중의 실리카, 탄산염이 화합하여 알칼리 실리카 겔이 생성되어 팽창되면서 콘크리트에 균열, 조직 붕괴가 일어나는 현상
93
콘크리트의 알칼리 골재반응 방지 대책 3가지
1) 저알칼리 시멘트 사용 2) 반응성 골재 사용 금지 3) 방수제 사용으로 수분억제 4) 염분 사용 금지
94
다음이 과량 함유될 경우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1) 유기불순물 : 2) 염화물혼입 : 3) 점토덩어리 : 4) 당분 함유 :
1) 유기불순물 : 콘크리트 강도 및 내구성 저하 2) 염화물혼입 : 중성화 및 철근부식 3) 점토덩어리 : 부착력저하와 균열 4) 당분 함유 : 응결지연
95
염분을 포함한 모래를 골재로 사용하는 경우 철근 부식에 대한 방청상 유효한 조치를 4가지 쓰시오
1) 콘크리트 중의 염소 이온양을 적게한다. 2) 철근의 피복두께를 충분히 확보한다. 3) 물시멘트비를 적게한다. 4) 양질의 방청제를 사용한다. 5) 밀실한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96
배쳐 플랜트란?
레미콘 생산시 물, 시멘트, 골재 등을 정확히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 혼합하는 생산 설비
97
다시비빔이란?
아직 엉기지 않은 콘크리트를 시간 경과 또는 재료 분리된 경우에 다시 비벼 쓰는것
98
되비빔이란?
콘크리트가 응결하기 시작한 것을 다시 비비는 것
99
콘크리트 크리프 현상이란?
하중의 증가 없이 일정한 하중을 계속적으로 가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되는 콘크리트의 소성변형
100
철콘 이어치기 형태 고르기 1) 수직 : 2) 수평 : 3) 축에 직각 :
1) 수직 : 보, 슬래브, 벽 2) 수평 : 기둥, 벽 3) 축에 직각 : 아치
101
콘크리트를 이어치는 경우 1) 보, 바닥 및 지붕슬래브의 수직 타설이음부는 스팬의 ( )부근에 주근과 직각방향으로 설치. 2) 기둥 및 벽의 수평 타설이음부는 지붕슬래브, 보의 ( )에 설치하거나 바닥슬래브, 보, 기초부의 ( )에 설치.
1) 보, 바닥 및 지붕슬래브의 수직 타설이음부는 스팬의 ( 중앙 )부근에 주근과 직각방향으로 설치. 2) 기둥 및 벽의 수평 타설이음부는 지붕슬래브, 보의 ( 하단 )에 설치하거나 바닥슬래브, 보, 기초부의 ( 상단 )에 설치.
102
Cold Joint
휴식 시간 등으로 응결되기 시작한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어치기 할 때 일체화가 저해되어 생기게 되는 줄눈
103
Construction Joint
시공줄눈 | 거푸집의 측압을 고려하여 계획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구획을 정할 때 설치하는 줄눈
104
Control Joint
조절줄눈 | 지반 등 안전한 위치에 있는 바닥판이 건조수축에 의하여 표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치하는 줄눈
105
Expansion Joint
신축줄눈 | 온도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건축물의 전체적인 불규칙 균열을 한곳에 집중시키기 위한 설계 및 시공시 고려되는 줄눈
106
콘크리트의 다짐이란?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를 막고 밀실한 충전을 위해 진동기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확보한다.
107
굳지않은 콘크리트 다짐법 3가지
1) 콘크리트 표면 다짐 2) 진동다짐방법 3) 거푸집 두드림 방법
108
콘크리트 다짐의 진동기 종류 3가지
1) 막대형 진동기 2) 거푸집 진동기 3) 표면 진동기
109
진동기를 많이 사용하면 ( )현상 일으키고 | AE콘크리트에서는 ( )이 많이 감소된다.
진동기를 많이 사용하면 ( 재료 분리 )현상 일으키고 | AE콘크리트에서는 ( 공기량 )이 많이 감소된다.
110
진동다짐기 사용시 주의점 4가지
1) 수직으로 사용한다. 2) 삽입간격을 50cm로 한다. 3) 공극이 남지 않도록 서서히 뺀다. 4) 철근에 닿지 않도록 한다. 5) 굳기시작한 콘크리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111
수화반응이 지연되어 콘크리트의 응결 및 강도발현이 느린 콘크리트
한중콘크리트
112
슬럼프 로스가 증대하고 슬럼프가 저하하며 동일 슬럼프를 얻기위해 단위수량이 증가하는 콘크리트
서중콘크리트
113
슬럼프의 경시변화가 보통콘크리트보다 커서 여름에는 30분, 겨울에는 1시간정도에서 베이스 콘크리트의 슬럼프로 되돌아오는 경우가 있는 콘크리트
유동화콘크리트
114
수화열이 내부에 축적되어 콘크리트 온도가 상승하고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콘크리트
매스콘크리트
115
서중콘크리트란 일평균기온이 ( )℃를 초과하거나 | 일최고기온이 ( )℃를 초과 시 타설하는 콘크리트이다.
서중콘크리트란 일평균기온이 ( 25 )℃를 초과하거나 | 일최고기온이 ( 30 )℃를 초과 시 타설하는 콘크리트이다.
116
서중콘크리트 시공 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콘크리트 품질 및 시공면에 미치는 영향 5가지
1) 단위수량의 증가로 인한 내수성, 수밀성 저하 2) 슬럼프저하발생으로 충전성 불량, 표면마감 불량 발생 3) 초기발열증대에 따른 온도 균열 발생 4) 장기강도 저하 5) 초기의 급격한 수분증발로 초기 건조수축균열 발생
117
한중콘크리트는 일평균 기온이 ( )℃이하의 동결위험이 있는 기간에 타설하는 콘크리트를 말하고 물시멘트비는 ( )이하로 하며 동결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초기강도 ( )까지 보양한다.
한중콘크리트는 일평균 기온이 ( 4 )℃이하의 동결위험이 있는 기간에 타설하는 콘크리트를 말하고 물시멘트비는 ( 60% )이하로 하며 동결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 AE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초기강도 ( 5MPa )까지 보양한다.
118
한중 콘크리트의 문제점을 위한 대책
AE제 사용 보온양생 물시멘트비를 60%이하로 유지
119
한중콘크리트는 초기강도가 낮으므로 ( )를 이용하여 거푸집 해체시기나 양생기간을 검토한다. 또한 양생온도가 달라져도 이것이 같으면 콘크리트 강도가 비슷한 것으로 본다.
한중콘크리트는 초기강도가 낮으므로 ( 적산온도 )를 이용하여 거푸집 해체시기나 양생기간을 검토한다. 또한 양생온도가 달라져도 이것이 같으면 콘크리트 강도가 비슷한 것으로 본다.
120
한중콘크리트의 보온양생방법 3가지
1) 단열 보온양생 2) 가열 보온양생 3) 피복 보온양생
121
경량 콘크리트 중 Thermo concrete(서모콘)이란?
콘크리트 제작시 골재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물, 시멘트, 발포제만으로 만든 경량콘크리트
122
ALC콘크리트(경량기포)의 장점 4가지
1) 경량성 2) 내화성 3) 단열성 4) 차음성
123
중량 콘크리트란?
중량골재를 사용하여 방사선을 차폐할 목적으로 만든 콘크리트
124
중량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골재 2가지
1) 철강석 2) 중정석 3) 자철광
125
플라스틱 콘크리트(폴리머콘크리트)의 특성 4가지
1) 단위 체적당 단가가 비싸다. 2) 고감도, 다양한 용도, 경량성, 내구성, 완벽한 수밀성 등의 경제성을 갖는다. 3) 높은 점착성으로 석재, 금속, 목재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4) 내화성은 좋지 않다.
126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쓰이는 섬유 3가지
1) 유리섬유 2) 석면섬유 3) 합성섬유
127
유동화 콘크리트 제조방법 3가지
1) 공장첨가 유동화 : 레미콘 공장에서 유동화제를 첨가시켜 비빔 2) 공장첨가, 현장유동화 : 레미콘 공사에서 유동화제 첨가하고 현장에서 비빔 3) 현장첨가 유동화 : 현장에서 유동화제를 첨가하고 비빔
128
콘크리트면 노출시켜 마무리
제물치장콘크리트 (노출)
129
부재 단면치수 80cm이상이고 콘크리트 내,외부 온도차가 25℃이상인 콘크리트
매스콘크리트
130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란?
레디믹스 콘크리트 – 콘크리트 제조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생산되며, 아직 굳지 않은 상태로 현장에 운반되는 콘크리트
131
트랜시트 믹스트 콘크리트
트럭믹서에 모든 재료가 공급되어 운반 도중에 비벼 지는 것
132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고정믹서에서 어느정도 비빈 것을 트럭 믹서에 실어 운반 도중 완전히 비비는 것
133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고정믹서로 비빔이 완료된 것을 에지테이터 트럭으로 운반하는 것
134
레미콘의 검사 사항 3가지
1) 슬럼프 테스트 2) 콘크리트 강도 3) 공기량 시험
135
레미콘의 공기량은 보통 콘크리트의 경우 ( )%, | 경량콘크리트의 경우 ( )%이며 허용오차는 ( )%
레미콘의 공기량은 보통 콘크리트의 경우 ( 4 ~ 5 )%, | 경량콘크리트의 경우 ( 5 )%이며 허용오차는 ( 1 . 5 )%
136
레미콘의 표기 명칭 20 - 30 - 150 (1) (2) (3)
1) : 굵은 골재 최대치수 20mm 2) : 콘크리트 강도 30Mpa 3) : 슬럼프 값 150mm
137
프리스트레스 공법에 사용되는 긴장재 3가지
1) PC강선 2) PC강연선 3) PC강봉
138
프리스트레스 공법의 정작법 3가지
1) 쐐기식 2) 나사식 3) 루프식
139
Pre-tension공법이란?
강현재에 미리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넣고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넣고 완전 경화 후 강현재 단부에서 인장력을 푸는 방법
140
Post-tension공법이란?
콘크리트를 부어 넣기전에 얇은 쉬스를 묻어두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쉬스 구멍에 강현재를 통해 긴장시키고 고정시킨다.
141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방지법 2가지
1) Pre-cooling : 재료냉각 물,골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냉각하여 콘크리트 온도를 저온화 시키는 방법 2) Pipe-cooling : 타설전 pipe 배관, 관 내 냉각수를 순환시켜 콘크리트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방법
142
프리팩트 콘크리트란?
거푸집내에 굵은 골재를 미리 채워넣고 그 사이에 특수 모르타르를 압력으로 중비하는 콘크리트
143
제물치장 콘크리트란?
외장마감 처리를 하지 않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최종 마감면으로 활용되는 콘크리트 | 마감공사생략 – 공기단축 재료절감, 경량화, 단순미
144
매스콘크리트란?
부재의 단면 최소치수가 80cm 이상이고, 콘크리트 내부 최고온도와 외부 기온차가 25℃ 이상으로 예상되는 곳에 쓰이는 콘크리트
145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방지대책 고르기
1) 중용열시멘트 사용, 2) Pre-cooling 방법 사용 3) 단위시멘트량 감소
146
숏크리트란?
압축공기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분사하여 피복재를 형성하는 뿜칠콘크리트 공법으로 건나이트라고도 한다.
147
숏크리트 종류 3개
건나이트, 본닥터, 제트크리트, 시멘트건
148
숏크리트 장,단점 1개씩
장 : 시공성이 좋고 가설 공사비 감소 (밀착성우수, 수밀성, 강도, 내구성 우수) 단 : 건조수축, 균열이 크고, 숙련공 필요
149
고강도 콘크리트는 설계 기준강도가 일반콘크리트의 경우 | ( )MPa이상이고, 경량 콘크리트일 경우 ( )MPa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설계 기준강도가 일반콘크리트의 경우 | ( 40 )MPa이상이고, 경량 콘크리트일 경우 ( 27 )MPa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150
고성능 콘크리트의 3가지 종류
1) 고강도 콘크리트 2) 고유동성 콘크리트 3) 고내구성 콘크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