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철근콘크리공사 Flashcards
철콘 구조의 기둥에서 띠철근(Hoop Bar)의 역할2가지
1) 콘크리트의 가로방향 변형 방지
2) 기둥의 좌굴방지
철근의 Hook를 두는 곳 5군데
1) 기둥 및 보의 외곽부 철근 (이형철근)
2) 굴뚝근, 대근, 늑근 및 고정근
3) 도면에서 지시된 부분
4) 시공 이음부
5) 원형철근 말단부
온도조절 철근이란?
온도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수축으로 생긴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철근
헌치란?
거푸집 등 콘크리트 구조물 접합부에 집중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설치
철근 이음법의 종류 3가지
1) 결속선 이음(겹친이음)법
2) 용접이음법
3) 기계적이음
4) 가스압점
가스 압점이 금지되는 경우 3가지
1) 철근의 지름 차이가 6mm 이상인 경우
2) 철근의 재질에 서로 다른 경우
3) 항복점 강도가 서로 다른 경우
철근의 정착 위치
- 기둥의 주근 : ( )
- 큰보의 주근 : ( )
- 지중보의 주근 : ( ) 또는 ( )
- 벽철근 : ( ) , ( ) 또는 ( )
- 바닥철근 : ( ) 또는 ( )
- 기둥의 주근 : ( 기초 )
- 큰보의 주근 : ( 기둥 )
- 지중보의 주근 : ( 기초 ) 또는 ( 기둥 )
- 벽철근 : ( 기둥 ) , ( 보 ) 또는 ( 바닥판 )
- 바닥철근 : ( 보 ) 또는 ( 벽체 )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이유 3가지
1) 콘크리트의 유동성(시공성) 확보
2) 재료분리 방지
3) 소요강도 유지 및 확보
철근의 간격을 결정하는 기준 3가지 (최소간격)
1) 1.5d 이상 (d : 철근지름)
2) 1.25G 이상 (G : 굵은골재지름)
3) 2.5cm 이상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는 이유 3가지
1) 내구성(중성화방지)
2) 내화성 확보
3) 시공성(con’c 타설) 증대
4) 부착력 증대
철근의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 법 5가지
1) 철근에 아연도금 또는 에폭시 코팅철근 사용
2) 콘크리트에 방청제 혼입
3) 골재에 제염제 사용
4) 철근피복두께 확보
5) 수밀한 콘크리트 사용
각 배근 순서 나열
(1)기둥 (2)계단 (3)기초 (4)보 (5)바닥판 (6)벽
- RC조 :
- SRC조 :
- RC조 : 기초 – 기둥 – 벽 – 보 – 바닥판 - 계단
- SRC조 : 기초 – 기둥 – 보 – 벽 – 바닥판 - 계단
기초철근의 조립 순서
(1) 기둥주근 설치 (2)철근간격 표시 (3)대각선 철근 배근
(4) 띠근 끼우기 (5)스페이서 설치 (6)직교철근 배근
(7) 거푸집위치 먹줄치기
(7)거푸집위치 먹줄치기 -> (2)철근간격 표시 -> (6)직교철근 배근 -> (3)대각선 철근 배근 -> (5)스페이서 설치 -> (1)기둥주근 설치 -> (4)띠근 끼우기
철근 간격재(스페이서)의 종류 3가지
1) 모르타르재 2) 철판재 3) 철근재 4) 파이프재
거푸집이 갖추어야할 구비조건 3가지
1) 안정성 :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 확보
2) 정밀성 : 형상, 치수의 정확성
3) 시공성 : 조립, 해체가 용이
4) 수밀성 : 시멘트 풍리 새지 않게 치밀 시공
5) 경제성 : 반복 사용이 가능한 많은 재질 선택
거푸집 간격을 유지 :
격리재(세퍼레이터)
거푸집을 쉽게 뗄 수 있도록 거푸집면에 칠하는 약제 :
박리제
타설된 콘크리트 윗면으로부터 최대 측압면까지의 거리 :
콘크리트헤드
신축이 가능한 무지주 공법 :
페코빔
사용 할 때마다 작은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 번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거푸집시스템 :
갱폼
슬라브에 배근되는 철근이 거푸집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격재 (피복두께유지)
스페이서
벽거푸집이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고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격리재 :
세퍼레이터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
와이어클리퍼
콘크리트에 달대와 같은 설치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매입하는 철물 :
인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