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지반,가설,토공사 Flashcards

1
Q

평판측량 사용기구 4가지

A

1) 평판, 삼각대
2) 앨리데이드
3) 구심기
4) 다림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평판측량 만족조건 3가지

A

1) 정치(정준) : 수평
2) 치심(구심) : 위치일치
3) 정위(표정) : 방위유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기준점(Bench Mark)

A

1) 정의 : 건축물 각 부위의 위치, 높이, 폭 등의 시공기준 원점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변형이 업t이 견고히 설치
2) 설치 시 주의점 3가지
- 바라보기 좋고 공사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
- 2개소 이상 여러곳에 표시
- 공사 착수전에 설정하여 완료까지 유지(존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시멘트 창고의 관리법 4가지

A

1) 간단한 나무 구조로 기밀하게 통풍이 안되게 한다.
2) 마루높이는 지면에서 30cm 이상 높여 방습처리유의
3) 반입구와 반출구는 별도로 두고 반입 순서대로 사용
4) 창고창은 채광용으로 설치하되 습기, 외기 침입을 막기 위해 환기창을 두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달비계란?

A

현수선에 의해 작업하중이 지지되는 곤돌라식 상자 모양의 비계로서 외부마감, 외부수리, 청소 등의 용도로 사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강관비계의 연결철물종류 4가지

A

1) 커플러
2) 커플링(연결철물)
3) 클램프
4) 이음철물
5) 베이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방호선반

A

상부에서 작업도중 자재나 금속,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벽체 및 비계 외부에 설치하는 금속판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기초의 하중이 흙의 전단강도 이상이 되면
흙은 ( 1 )되고 기초는 ( 2 )를 일으키며
그 이하가 되면 흙은 ( 3 )되고 기초는 ( 4 )된다.

A

기초의 하중이 흙의 전단강도 이상이 되면
흙은 ( 붕괴 )되고 기초는 ( 침하 )를 일으키며
그 이하가 되면 흙은 ( 안정 )되고 기초는 ( 지지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피압수란?

A

불투수층의 토질 밑에 고여 있는 지하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압밀이란?

A

외력에 의하여 흙 입자사이의 간극수가 제거되어 지반이 수축되는 형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압밀침하현상이란?

A

외력에 의하여 간극내의 물이 빠져 흙 입자의 사이가 좁아지며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흙의 전단강도의 식과 각 기호의 뜻

A

τ = C + tan ∮ · σ
C : 흙의 점착력(kg/cm2)
σ : 전단면에 따라 작용하는 수직응력
tan ∮ : 흙의 전단강도(kg/cm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흙의 상태변화 5단계

A

1) 전건상태
2) 소성한계
3) 소성상태
4) 액성한계
5) 질컥한 액성상태(액체상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지반조사의 순서 4단계

A

1) 사전조사
2) 예비조사
3) 본조사
4) 추가조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Boring이란?

A

지중에 보통 10cm 정도의 구멍을 뚫어 토사를 채취하는 방식. 지중의 토질분포, 토층의 구성, 주상도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Boring의 종류4가지와 설명

A

1) 오거식 : 연약점토층, 10cm 정도 오거를 이용하여 시추
2) 수세식 : 물을 주입하여 흙과 물을 같이 배출시켜 침전 된 상태로 지층의 토질을 판별, 깊이 30cm정도의 연질층에 적당
3) 충격식 : 토사, 암석을 파쇄하여 천공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굳은 지층까지 깊이 뚫어 보는 방식
4) 회전식 : 비트를 회전시켜 굴진하는 방식으로 토사를 분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채취, 가장정확, 사질토는 어려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Boring에 사용되는 기구 4가지

A

1) Rod 로드 : 지지연결대
2) Bit 비트 : 굴삭날
3) Casing 케이싱 : 토공벽 보호철판
4) Core tube 코어튜브 : 시료 채취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샘플링의 종류 2가지와 특징

A

1) 신월 샘플링(오우거) : 연약점토, 얇은 살
2) 콤포지트 샘플링(수세식) : 굳은진흙, 약간 단단한 모래, 살짝 두꺼운 살
3) 텐션 샘플링(충격식) : 경질점토, 외관을 수송하며 회전하여 팜
4) 포일 샘플링(회전식) : 연약점토, 전체 깊이에 대해 할 수 있는 거의 완전한 토질시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사운딩(sounding)의 정의와 종류 설명

A
1) 정의 
저항체를 땅속에 삽입시켜 관입 회전, 인발저항으로 지층의 연,경도 정도를 파악하는 시험
2)종류
베인테스트
표준관입시험
콘관입시험
스웨덴식 사운딩 시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베인테스트 ? 표준관입시험?

A

1)베인테스트
= 보링구멍에 +자 날개형의 베인테스터를 지반에 관입 한 후 회전시켜 그 저항력으로서 진흙의 점착력을 판별
2)샘플러를 지반에다 30cm 관입하는 소요된 타격횟수(N)를 통해 지반의 밀도를 측정한다.
(추의 무게 : 63.5kg / 낙하고:76cm / 사질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표준관입시험의 순서

A

1) 샘플러를 보링로드의 선단에 부착한다.
2) 로드상단에 63.5kg의 추를 설치하고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킨다.
3) 샘플러를 30cm 관입 할 때 소요되는 타격횟수 N을 구하여 지반의 상대밀도를 판별한다.

22
Q

지내력 시험의 설명

1) 시험은 예정 ( )에서 행한다.
2) 하중시험용 재하판은 정방형 혹은 원형의 면적 ( )의 것을 표준으로 하고, 보통 ( ) 각의 것이 사용된다.
3) 매회 재하는 ( ) 또는 예상파괴 하중의 ( )로 하고, 각 재하에 의한 침하가 멎을 때까지의 침하량을 측정한다.

A

1) 시험은 예정 ( 기초저면 )에서 행한다.
2) 하중시험용 재하판은 정방형 혹은 원형의 면적 ( 0.2m2 )의 것을 표준으로 하고, 보통 ( 45cm ) 각의 것이 사용된다.
3) 매회 재하는 ( 1ton 이하 ) 또는 예상파괴 하중의 ( 1/5 이하 )로 하고, 각 재하에 의한 침하가 멎을 때까지의 침하량을 측정한다.

23
Q

지반의 허용응력도(kN/m2)

A
  • 장기허용 지내력도
    1) 경암반 : 4000
    2) 연암반 : 2000
    3) 자갈 : 300
    4) 자갈+모래 : 200
    5) 모래+점토 : 150
    6) 모래 : 100
  • 단기허용 지내력도
    장기허용 지내력도 ×2배
24
Q

연약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대책

1) 상부 구조물의 경우 2가지
2) 기초 구조물의 경우 2가지

A

1) 상부 구조물의 경우 2가지
- 건물의 경량화 및 중량 분배 고려
- 평면의 평균길이를 짧게 한다.
- 이웃하는 건물과의 거리를 띄운다.
2) 기초 구조물의 경우 2가지
- 기초 유효면적을 크게 한다.
- 지정 등으로 보강, 지반개량

25
부동침하의 원인 6가지
1) 지반이 약한 경우 2) 이질지정(지층)일 경우 3) 지하수위가 변경되었을 경우 4) 연약층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 (경사지반) 5) 지하에 매설물이나 구멍이 있을 경우 6) 지반이 메운 땅일 경우
26
Sand drain 공법 목적과 방법이란?
-목적 : 연약점토층이 깊은 경우 간극수를 제거하여 지반의 경화개량을 도모 -방법 : ① 지름 40-60cm 정도의 철관을 적당한 간격으로 때려 박는다. ② 철관 속에 모래를 다져 넣어 모래 말뚝을 형성한다. ③ 지표면에 하중을 가해 모래 말뚝을 통해 간극수를 제거한다.
27
탈수공법 4가지
1) 샌드드레인 2) 웰 포인트 3) 페이퍼 드레인 4) 상석회
28
다짐공법의 종류 2가지
1) 다짐말뚝공법 | 2) 폭파다짐공법
29
흙의 휴식각이란?
흙입자간의 응집력, 부착력을 무시한 때 마찰력 안으로 중력에 대하여 정리하는 흙의 사면각도
30
흙막이 공법 자체가 지하구조물이면서 흙막이 및 버팀대 역할을 하는 공법의 종류 3가지
1) 개방잠함공법 2) 수평버팀대 3) 용기잠함공법
31
흙막이 공법의 종류 4가지
1) 어스앵커스 공법 2) 엄지말뚝설치 공법 3) 지하연속벽 공법 4) 버팀대 설치 공법
32
철재 널말뚝의 종류 4가지
1) 테레루즈 식 2) 심플렉스 식 3) 라르센 식 4) 랜섬 식
33
히빙 파괴란?
하부지반이 연약할 때 토압에 의해 저면 흙이 붕괴되고 흙막이 바깥 흙이 안으로 밀려 파기저면부가 불룩하게 솟아나는 현상
34
보일링 분사현상이란?
투수성이 좋은 사질지반에서 유동지하수에 의해 저면의 모래지반이 공동화되어 지지력이 상실되는 현상
35
파이핑 현상이란?
흙막이 벽의 부실공사로 흙막이 벽이 뚫린 구멍 또는 이음부위를 통해 흙탕물이 새어나오는 현상. 인접 지반 약화의 원인
36
히빙, 보일링 현상 방지법 3가지
1) 흙막이 벽의 밑둥을 깊게 넣는다. 2) 지하 수위를 낮춘다. 3) 지반 개량을 통해서 지반을 고결시킨다.
37
흙파기 공법 중 - 중앙 먼저 파고 가장 자리 : - 가장 자리 먼저 파고 중앙 :
- 중앙 먼저 파고 가장 자리 : 아일랜드 컷 | - 가장 자리 먼저 파고 중앙 : 트렌치 컷
38
Island Cut방식의 정의
흙파기 면에 따라 널말뚝을 박은 다음 널말뚝 주변부의 흙을 남겨가면서 중앙부의 흙을 파고, 그 부분에 기초 또는 지하 구조체를 축조한 후 이에 흙막이 버팀대를 가설하여 널말뚝 주변부를 굴착하는 공법
39
Island Cut 시공 순서
1) 흙막이 설치 2) 중앙부 굴착 3) 중앙부 기초구조물 구축 4) 버팀대 설치 5) 주변부 굴착 6) 지하구조물 완성
40
Trench Cut 시공 순서
1) 흙막이 설치 2) 외곽부 굴착 3) 외곽부 기초구조물 구축 4) 버팀대 설치 5) 중앙부 굴착 6) 지하구조물 완성
41
어스앵커 공법이란?
흙막이 널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앵커 주변의 마찰력으로 흙막이 널에 작용되는 측압에 대항하는 공법
42
어스앵커 공법의 특징 4가지
1) 버팀대와 지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 대형 토공장비, 넓은 작업장이 확보 되어야 한다. 3) 부분 굴착이 가능하고, 공기가 단축된다. 비싸다. 4) 부정형 파기, 지반변화에 따른 설계 변경이 용이하다.
43
지하연속벽의 특징 4가지
1) 소음과 진동이 낮아 도심지 공사에 좋다. 2) 벽체 강성이 높아 대규모 건물에 이용 3) 차수성이 우수, 주변 지반에 대한 영향이 적다. 4) 모든 지반에 가능하다.
44
슬러리 월 공사에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 용액의 사용목적 3가지
1) 굴착벽면의 붕괴 방지 2) 지하수 유입방지(차수역활) 3) 굴착부의 마찰저항 감소 4) 부유물 배제, 방지 효과
45
Top Down 공법의 장점 4가지
1) 지하와 지상층의 공사병행으로 공기단축 가능 2) 주변건물 및 도로 침하 방지 억제, 안정한 공법 3) 기후와 무관한 전천 후 작업 가능 4) 1층 바닥판 선시공으로 작업공간 확보 가능
46
언더피닝 공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기존건물 가까이 신축공사 할 때 지하수위 저하 또는 터파기 공사 등에 따른 인접지반의 지내력 약화에 대한 지반 및 기초 보강공법
47
언더피닝 공법의 종류 4가지
1) 2중 널말뚝 공법 2)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공법 3) 강제 말뚝 공법 4) 모르타르 및 약액주입공법 5) 갱피어
48
건물의 부상 방지 대책 4가지
1) 락-앵커 사용 2) 유입 지하수 배수 철저 (부력감소) 3) 고정하중 증가 (옥상정원 등) 4) 이중지하실 설치하여 지하실 채움
49
흙막이 계측 시 사용되는 측정기 3가지
1) Inclino meter 2) Load oell 3) Strain gauge
50
1) 기계보다 높은 곳 굴착 : 2) 기계보다 낮은 경질 지반 굴착 : 3) 기계보다 낮은 연질 지반 굴착 : 4) 좁은 곳 수직 굴착 : 5) 운반거리 60M이하의 배토작업 : 6) 땅고르기, 정지작업 : 7) 토사 적재 등 상차작업 : 8) 운반과 깔기를 겸하는 장비 :
1) 기계보다 높은 곳 굴착 : 파워셔블 2) 기계보다 낮은 경질 지반 굴착 : 백호 3) 기계보다 낮은 연질 지반 굴착 : 드래그라인 4) 좁은 곳 수직 굴착 : 클램쉘 5) 운반거리 60M이하의 배토작업 : 도저 6) 땅고르기, 정지작업 : 그레이더 7) 토사 적재 등 상차작업 : 로우더 8) 운반과 깔기를 겸하는 장비 : 트렉터 셔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