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지반,가설,토공사 Flashcards
평판측량 사용기구 4가지
1) 평판, 삼각대
2) 앨리데이드
3) 구심기
4) 다림추
평판측량 만족조건 3가지
1) 정치(정준) : 수평
2) 치심(구심) : 위치일치
3) 정위(표정) : 방위유지
기준점(Bench Mark)
1) 정의 : 건축물 각 부위의 위치, 높이, 폭 등의 시공기준 원점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변형이 업t이 견고히 설치
2) 설치 시 주의점 3가지
- 바라보기 좋고 공사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
- 2개소 이상 여러곳에 표시
- 공사 착수전에 설정하여 완료까지 유지(존치)
시멘트 창고의 관리법 4가지
1) 간단한 나무 구조로 기밀하게 통풍이 안되게 한다.
2) 마루높이는 지면에서 30cm 이상 높여 방습처리유의
3) 반입구와 반출구는 별도로 두고 반입 순서대로 사용
4) 창고창은 채광용으로 설치하되 습기, 외기 침입을 막기 위해 환기창을 두지 않는다.
달비계란?
현수선에 의해 작업하중이 지지되는 곤돌라식 상자 모양의 비계로서 외부마감, 외부수리, 청소 등의 용도로 사용
강관비계의 연결철물종류 4가지
1) 커플러
2) 커플링(연결철물)
3) 클램프
4) 이음철물
5) 베이스
방호선반
상부에서 작업도중 자재나 금속,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벽체 및 비계 외부에 설치하는 금속판재
기초의 하중이 흙의 전단강도 이상이 되면
흙은 ( 1 )되고 기초는 ( 2 )를 일으키며
그 이하가 되면 흙은 ( 3 )되고 기초는 ( 4 )된다.
기초의 하중이 흙의 전단강도 이상이 되면
흙은 ( 붕괴 )되고 기초는 ( 침하 )를 일으키며
그 이하가 되면 흙은 ( 안정 )되고 기초는 ( 지지 )된다.
피압수란?
불투수층의 토질 밑에 고여 있는 지하수
압밀이란?
외력에 의하여 흙 입자사이의 간극수가 제거되어 지반이 수축되는 형상
압밀침하현상이란?
외력에 의하여 간극내의 물이 빠져 흙 입자의 사이가 좁아지며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
흙의 전단강도의 식과 각 기호의 뜻
τ = C + tan ∮ · σ
C : 흙의 점착력(kg/cm2)
σ : 전단면에 따라 작용하는 수직응력
tan ∮ : 흙의 전단강도(kg/cm2)
흙의 상태변화 5단계
1) 전건상태
2) 소성한계
3) 소성상태
4) 액성한계
5) 질컥한 액성상태(액체상태)
지반조사의 순서 4단계
1) 사전조사
2) 예비조사
3) 본조사
4) 추가조사
Boring이란?
지중에 보통 10cm 정도의 구멍을 뚫어 토사를 채취하는 방식. 지중의 토질분포, 토층의 구성, 주상도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Boring의 종류4가지와 설명
1) 오거식 : 연약점토층, 10cm 정도 오거를 이용하여 시추
2) 수세식 : 물을 주입하여 흙과 물을 같이 배출시켜 침전 된 상태로 지층의 토질을 판별, 깊이 30cm정도의 연질층에 적당
3) 충격식 : 토사, 암석을 파쇄하여 천공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굳은 지층까지 깊이 뚫어 보는 방식
4) 회전식 : 비트를 회전시켜 굴진하는 방식으로 토사를 분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채취, 가장정확, 사질토는 어려움
Boring에 사용되는 기구 4가지
1) Rod 로드 : 지지연결대
2) Bit 비트 : 굴삭날
3) Casing 케이싱 : 토공벽 보호철판
4) Core tube 코어튜브 : 시료 채취기
샘플링의 종류 2가지와 특징
1) 신월 샘플링(오우거) : 연약점토, 얇은 살
2) 콤포지트 샘플링(수세식) : 굳은진흙, 약간 단단한 모래, 살짝 두꺼운 살
3) 텐션 샘플링(충격식) : 경질점토, 외관을 수송하며 회전하여 팜
4) 포일 샘플링(회전식) : 연약점토, 전체 깊이에 대해 할 수 있는 거의 완전한 토질시험
사운딩(sounding)의 정의와 종류 설명
1) 정의 저항체를 땅속에 삽입시켜 관입 회전, 인발저항으로 지층의 연,경도 정도를 파악하는 시험 2)종류 베인테스트 표준관입시험 콘관입시험 스웨덴식 사운딩 시험
베인테스트 ? 표준관입시험?
1)베인테스트
= 보링구멍에 +자 날개형의 베인테스터를 지반에 관입 한 후 회전시켜 그 저항력으로서 진흙의 점착력을 판별
2)샘플러를 지반에다 30cm 관입하는 소요된 타격횟수(N)를 통해 지반의 밀도를 측정한다.
(추의 무게 : 63.5kg / 낙하고:76cm / 사질토)
표준관입시험의 순서
1) 샘플러를 보링로드의 선단에 부착한다.
2) 로드상단에 63.5kg의 추를 설치하고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킨다.
3) 샘플러를 30cm 관입 할 때 소요되는 타격횟수 N을 구하여 지반의 상대밀도를 판별한다.
지내력 시험의 설명
1) 시험은 예정 ( )에서 행한다.
2) 하중시험용 재하판은 정방형 혹은 원형의 면적 ( )의 것을 표준으로 하고, 보통 ( ) 각의 것이 사용된다.
3) 매회 재하는 ( ) 또는 예상파괴 하중의 ( )로 하고, 각 재하에 의한 침하가 멎을 때까지의 침하량을 측정한다.
1) 시험은 예정 ( 기초저면 )에서 행한다.
2) 하중시험용 재하판은 정방형 혹은 원형의 면적 ( 0.2m2 )의 것을 표준으로 하고, 보통 ( 45cm ) 각의 것이 사용된다.
3) 매회 재하는 ( 1ton 이하 ) 또는 예상파괴 하중의 ( 1/5 이하 )로 하고, 각 재하에 의한 침하가 멎을 때까지의 침하량을 측정한다.
지반의 허용응력도(kN/m2)
- 장기허용 지내력도
1) 경암반 : 4000
2) 연암반 : 2000
3) 자갈 : 300
4) 자갈+모래 : 200
5) 모래+점토 : 150
6) 모래 : 100 - 단기허용 지내력도
장기허용 지내력도 ×2배
연약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대책
1) 상부 구조물의 경우 2가지
2) 기초 구조물의 경우 2가지
1) 상부 구조물의 경우 2가지
- 건물의 경량화 및 중량 분배 고려
- 평면의 평균길이를 짧게 한다.
- 이웃하는 건물과의 거리를 띄운다.
2) 기초 구조물의 경우 2가지
- 기초 유효면적을 크게 한다.
- 지정 등으로 보강, 지반개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