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2 Flashcards

1
Q
  1. 비경의 교회혈
A

소방간담폐 /소장, 방광, 간, 담, 폐 / 관원, 중극, 기문, 일월, 중부 (모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가슴에서 호흡과 혈액순환 주도하는 기
A

종기(호흡 약하고, 목소리가 작다 혈액순환)
*호흡에 관여하며 기혈을 순환시키는 기는? 종기
*기단, 호흡곤란, 심계, 입술과 설색이 청자색이다. 원인은?
폐기허로 종기가 영향 받았다
*환자가 기단, 호흡단촉, 입술이 청자색이다. 원인은?
폐기허가 종기에 영향을 미침
*남자 학생이 감기에 잘 걸리고 성격은 부끄러움이 많고 만성 기관지염을 앓고 있다. 말할때 목소리가 작으며 사지가 차갑다. 부족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는? 종기
*사지의 한온(寒溫)과 체온을 조절하는 기는? 위기, 종기
*4세 여자아이, 소변불리, 재채기가 있다. 무슨 기와 관련이 있는가?
종기 (원기,종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좌골신경통 치료혈
A

환도, 거료, 현종, 양릉천 (환양족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보사법- 호흡보사와 서질보사(속도) 짬뽕으로 나옴
A

*보법(호흡보사+서질보사) : 환자가 호기시 천천히 자침 빠르게 발침하고 침공을 닫는다.
*보사법 중 사법이 맞는 것은? 경락과 반대로 자침, 환자가 흡기시 자침
*호흡보사법의 사법은? 환자가 흡기시 자침 침공을 열어둔다
*.서질보사(徐疾) 보법은? 천천히 자침 빠르게 발침
*보법이 맞는 것은? 압침은 중하게, 호기 때 자침
*서질보사법의 수기법으로 정확한 것은? 진침은 완만하게, 천천히 진침, 출침 빠르게
*유뇨를 치료할 때 보사법이 맞는 것은? 위양을 보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실증 케이스 주고 전침을 어떻게 하는가?
A

고주파, 자극 길게

*좌골신경통의 치료에 가장 좋은 것? 적외선, 고주파로 전침 5-10분
*비교적 강한 고주파의 pulse 전류를 써서 5-10분간 자극하면 좋은 것? 좌골신경통
*소변 실금, 뇨저류시 전침은? 소변실금(허증) 저주파 뇨저류(실증) 고주파
*뇨저류와 뇨실금의 전침 치료방법이 맞는 것은? 뇨저류는 고주파 펄스 전류, 뇨실금은 저주파 펄스 전류를 사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양교맥과 양유맥이 교회하는 혈?

A

노수, 풍지
*상완을 안쪽으로 견정에서 직상, 견갑극하연에 있는 요함처: 노수 (노수가 의기 양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정명, 윗잇몸, 승장을 교회하는 경락
A

위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치매, 설염, 피부염
A

비타민 B3 결핍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수근관 증후군 케이스 주고 어떤 신경?
A

정중신경 (엄지,검지,중지 통증)
*대릉, 내관, 외관으로 치료하면 효과가 좋은 것은? 수근관증후군
*수근관증후군의 검사법은? Tinel, Phalen Test, Thumb abduction(무지외전)
*완관절의 반복적인 운동으로 발생하며 증상이 밤에 심해지고 엄지, 중지, 검지의 통증과 이상감각을 호소하는 질병은? 수근관증후군
*날씨가 너무 더워 하루 종일 에어컨을 켜 놓고 집에서 타이프 작업을 하다가 팔목이 심하 게 아프며 붓고 찬 느낌이 있다. 적당한 조치? 대릉에 강자극을 하며, 완횡문을 피부침으로 고자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외전이 안되는 환자
A

극상근, C5 문제
*의사가 팔을 안쪽으로 밀고, 환자는 의사(검사자)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견관절을 외전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한의사가 포도상구균에 감염되었다. 어떻게 하나?
A

환자치료 불가
*한의사가 어떤 병에 걸렸을 때 치료를 못하는가?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인두염
*피부표면이나 구강내, 기도, 요도, 결장과 눈의 점막등을 침입하여 자연 저항력을 무너뜨리는 가장 무서운 균은? 포도상구균
*침으로 치료할 수 없는 것은? 포도상구균에 피부감염
*잦는 항생제 처방으로 포도상구균에 내성이 생긴 환자에게 사용하면 좋은 본초는? 황금
자침하면 ACTH 분비 촉진, Hydrocortisone 함량이 증가 호산구가 감소된다. 또 한 백혈구가 증가하며, 특히 황색포도상구균, 세균성 이질에 대한 백혈구 작용을 증가시켜 주는 혈? 족삼리, 합곡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혀의 미각을 담당하는 신경?
A

미각: CN7(전2/3), CN9(후1/3) 안면신경, 설인신경
*감각, 온도, 통증, 압박, 촉각 느끼는 것: CN5(혀의 앞 2/3) 3차신경,/ CN9(혀의 뒤 1/3)설인신경,
*혀운동: CN12 설하신경
*맛을 느끼는 안면신경 설인신경은 감각하고 미각을 둘다 담당
*설의 전2/3의 미각과 안면의 표정근육 운동 및 눈을 감은 것에 관여?: 7번 안면신경
*구토 및 내장반사와 관련되는 뇌신경: 10번 미주신경 X
*하루밤 사이, 반쪽 얼굴이 마비, 눈이 감기지 않고 이마주름이 잡히지 않으면: 7번 VII 안면신경
*흉쇄유돌근, 승모근을 지배하여 목의 운동에 깊이 관여하는 신경: 11번 부신경(갈근탕)
*평형감각과 관련이 있는 것: 8번 청신경 전정신경
*동공의 직경이 lmm 이하인 환자가 빛에 의한 동공반사가 없다면? 2,3번 신경(동공반사)
*시력이 자꾸 떨어지는 환자, 마른 깃털 같은 솜으로 눈각막을 건드렸는데 아무런 반응없다면?
5,7번 신경 (각막반사)

후각, 시각, 동안, 활차, 삼차, 외전신경, 안면, 이(청신경), 설인, 미주신경, 부신경, 설하신경
,*어깨의 으쓱 으쓱은 11번 부신경.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을 담당.
*중풍은? 12번. 설하신경. / *컨닝은, 6번. 외전신경
*메니에르: 8번. 청신경
*구안와사: 7번. 안면신경.
*부교감신경이나 교감신경(자율신경)계와 밀접한 것은. 통증, 온도, 감각 느낌: 10번, 미주신경
*혼합신경이란 운동과 감각신경이 함께 있는 것. 5, 7, 9, 10번. 즉, 삼차, 안면, 설인, 미주신경.
*후시청은? 후각, 시각, 청각은 감각. 그러므로 후시청 빼면 다 운동. 1, 2, 8이 후시청.
*나머지 3, 4, (5는 혼합으로 가고), 6, 11, 12번이 운동신경이다.
*동공 뇌신경 보기에 2번과 3번이 따로 나왔다면 2번으로
*각막 뇌신경 보기에 5번과 7번이 따로 나왔다면 5번으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갑상선 호르몬 부족 케이스 (피로, 비만,추위를 잘탐..) 호르몬: TSH 증가 / T3,4 감소
A
  • 점액수종(Myxedema), 선천성바보 난장이, 하시모토 갑상선염, 오한, 식욕부진, 체중증가, 서맥
    갑상선기능저하 –à TSH 증가
  • 식욕저하, 피로, 점액이 차서 부종이 있다. 부은 곳을 누르면 금방 원위치로 오지 않는다. 피부가 거칠고 건조하다면? 갑상선기능 저하
  • 차가운 것을 싫어하고, 체중증가, 식욕저하, 땀이 적어짐, 쉽게 피로해짐, 대사율 감소, 쉰 목소리가 난다. 원인은? 갑상선 기능 저하- 양기부족 : 신양허
  • 양약을 먹고 난 후 체증증가, 피부건조, 부종, 변비 피로, 관절염이 발생했다면, 원인은? 갑상선호르몬 분비 과다 억제
    *중년 여성이 검사 중 혈증에 갑상선 호르몬 촉진(TSH)의 농도가 정상치 초과? 갑상선기능 저하
    *신체허약, 식욕항진, 체중감소, 열에 대한 불내성(더위 참지 못함), 근육쇠약? Grave’s Dz
  • 갑상선 중독증(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신경과민, 감정불안, 불면, 체중감소, 발열, 땀이 나는 환자를 혈액검사했다. 맞는 것은? TSH 저하
  • 기초 대사율(BMR)을 올리는가? 갑상선기능 항진증
  • 그레이브스 (Graves’Dz) 신체허약, 식욕왕성, 체중감소, 오열, 갑상선종, 심계, 빈맥은 갑상선 기능 항진
    *갑상선호르몬 분비 기능실조 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은?: : 그레이브스병(항진)과 크레틴병(유아기의 갑상선 기능 저하)
    *젊은 여자 환자가 Graves disease라는 진단을 받았다, 치료 후 기면, 오한, 동작과 반응의 느림,식욕 감퇴 등의 증상이 생겼다면? 갑상선 기능 억제 과다
    *적혈구 감소를 일으켜 빈혈을 만드는 질병은? 갑상선기능항진, 간경화
    *MAOI[항우울제)를 복용하면 인체가 흡수하는 어떤 물질을 차단하게 되는가 세로토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쿠싱신드롬 케이스
A

중심비만, 다모증. Moon face. 가느다란 사지. Buffalo hump
*부신피질기능항진으로 코티졸이 과잉 분비되어, 복부팽창, 비만, 대칭성의 탈모증, 고혈압, 심부전, 당뇨병 등으로 발전되는가: 쿠싱신드롬 (제2형 당뇨와 관련)
* Moon face, 사지위축(가늘고 마르다). 복부 지방 증가, 여성이 여드름 많이 증가, 다모증, 피부에 자색무늬, 피부가 유연하다: 쿠싱신드롬 Cushing Syndrome
* Cortison(코티졸)과다 분비로 체중 증가, 보름달 같은 얼굴, 고혈압, 다모증, 부종: 쿠싱
* 쿠싱증후군은 아래 어느 물질의 과다분비로 일어나는가? Glucocorticoids
* 검은색피부(피부색소 침착). 입안 점막에 검은 반점이 생기고 흉터나 유두의 색깔이 눈에 띠게 짙어짐, 탈모증상, 무기력, 피로감, 체중감소, 오심구토, 식욕감퇴, 저혈압에 의한 현기증이 있다.
무슨 병인가? * 부신피질저하로 인한 에디슨병 Addison Dz
* 핍력, 체중감소, 식욕감퇴, 소화불량, 졸음, 오심, 구토, 피부색 짙어짐, 저혈압이 있다면 예상 가능한 질병은? Addison Diseas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Lasix 부작용
A

현훈,칼륨K 부족(Potassium),췌장암 / 칼륨,칼슘 부족(전해질부족)/복령

*환자는 Furosemide/Lasix를 복용 중이다. 환자의 증상은? 수종
*이뇨제인 라식스(Lasix)를 복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현훈, 칼륨(포타숨)손상
*Furosemide(Lasix)를 처방받는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간질성 신염(이뇨제라서)
*Lasix = Furosemide (이뇨제이면서 고혈압약) 본초로는 복령이다. (암기법: 라복) 심, 비, 신.

비신양허 환자는 소변문제가 있다. 심장: 주장신(귀신신), 안신을 하니까 고혈압 환자에도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대승기탕 구성 및 용량
A

*대황: 6-12 망초: 9-12 후박: 12-24 지실: 12-15 g
*오후에 고열, 변비, 구갈욕내음, 복부창만, 심번, 조동, 섬어, 침실맥? 대승기탕
*오후에 열이 난다 : 양명부증- 변비와 침실맥 (모하비 : 수족양명 모혈, 하합혈, 비경(대횡)
*발열. 복부창만통, 거안, 심번, 황건태. 침실맥은 육경변증의 어느 단계인가? 양명부증-대승기탕
*과복시 구토 심한 설사를 유발하는 방제는? 대승기탕
*복부창만, 복통, 손발의 땀, 변비, 복부에 덩어리가 있다. 방제는? 대승기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영분증 케이스
A

청호별갑탕 (야열조량,열퇴무한,형식소수,골증조열, 설홍소태,맥세삭)
*저녁에 열이 나고 아침에 몸이 시원해지는 환자에게 처방하면 좋은 방제? 청호별갑탕
*일주일 전에 오한발열, 인후통이 있던 환자가 침구 치료 후 좋아졌으나 아직도 가벼운 열, 피부 반진, 설홍소태, 맥세삭? 영분증 ( 청호별갑탕: 청호6g à 열이 심하면 24g 증량)
*환자가 고열, 정신없고 헛소리, 설홍이고 뻣뻣하면?: 열입심포/영분증
*갑자기 말을 못하고 밤에 열이 심하며, 혀가 심홍하며 굳어있다. 원인? 영분증/열입심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청호별갑탕의 효능을 상승시키기 위해 추가할 본초?
A

백모근(혈뇨 진액보충)
*AIDS 환자 소변 황색, 황태 문제: 청호별갑탕+ 백모근(감담, 한)
*더운 여름 날, 9세 된 아동이 발열이 심해 병원을 방문했다. 진단결과 청호별갑탕 증이었다. 추가하면 좋은 본초는? 백미 (원인모를 발열에 쓰는 것)
*더운 여름 날, 9세 된 아동이 발열이 심해 병원을 방문했다. 진단결과 청호별갑탕 증이었다. 추가하면 좋은 본초는? 백미. 지골피 / 원인모를 발열에 쓰는 것
*AIDS 환자에게 좋은 처방은 청호별갑탕
*청호별갑탕 금기는? 고열, 다한, 설홍황태, 홍삭맥 (혈분증 금)
*신열야심 반진은은 설홍강, 맥세삭 방제? 청호별갑탕. (야간에 열은 AID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청호별갑탕을 쓸수 없는 경우
A

보기에 혈분증(,출혈,설홍) 증상이 있었음
*온병초기, 근육경련, 경풍자에 금하는 방제: 청호별갑탕
*발열, 경련, 정신혼미는? 혈분증
*허풍내동, 열극생풍, 망음, 망양은?혈분증
*열사가 들어와서 헛소리 하는 것은? 영분증, 혈분증.
*때때로 오는 관절통, 관절의 신전 안됨. 저열, 심계, 현훈, 세맥, 설홍자, 무태이다. 진단? 영분증
*열사가 혈관으로 들어오면, 혈관 위에 들어오면 영분증.
*혈관 밑부터 뼈까지가 혈분증. 혈관에 열이 들어오면, 출혈, 고열, 경기, 정신이 다 혈분증
*몸은 더운데 손발은 차다. 즉, 열입심포. 보기에 몸은 더운데 손발이 차다가 나오면 열입심포로 가고, 이게 안나오면 영분증으로 간다. 방제는 사역산증. 진열가한眞熱假寒

  • 혈분증 (혈분실열/혈분허열): 간/신
    1) 혈분실열: 고열, 번조, 피부발진, 광증, 토혈, 객혈, 변혈, 뇨혈 설: 설강자
    맥: 현삭 방제: 서각지황탕 (수우각 대신 생지황 / 코피: 목단피 / 석고, 지모, 치자
    2)혈분허열: 미열, 도한, 번조, 불면, 구갈불욕음, 오심번열, 관홍, 골증조열, 피부발진
    설: 설홍소태 또는 설강 맥: 세삭 방제: 청호별갑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간위불화(간비부조, 케이스 주고 – ?
A

소요산(먼저 간울, 나중에 비허) 목승토
간비범비: 간기체+비허 변비설사 교대, 변당, 성급합, 복부창통 설담박백태, 현맥
태충, 양릉천, + 중완, 비수, 족삼리
**간비범위: 간위불화 완복부 협륵부 창만, 오심구토, 위산역류, 탄산, 트림, 설담박백태, 현맥
태충, 양릉천 + 위수, 족삼리, 상완, 하완, +양문
* 34세 여자, 조그만 공장에서 하루 12시간씩 일을 한다. 월급을 받을 날짜가 2주가 지났는데도
주지 않는다. 사장과 월급문제로 다투고 난 뒤부터 좀 불안해지고 상복부와 협늑이 답답하고 아
프다. 시큼한 위산이 많아 역류하고 트름은 계속 나온다. 오심과 구토가 있다. 평소에도 식사가
불규칙하다. 일하고 와서 배가 고프면 밤 12 먹어야 한다. 맥은 현약 설변홍 박황태? 간위불화-소
요산 목승토
* 40세 여성, 월경 전 증후군이 있고 간혈허 증상을 보인다. 가벼운 구고가 있고 맥이 현하다. 방
제는? * 소요산 월경전 간기체
* 간위불화로 인한 임신오조를 치료할 수 있는 혈은? 중완, 족삼리, 내관, 태충, 단중(전중)
##간위허한 **
오수유탕(군: 오수유 9-12g) 맥 현세지 (맥세지, 또는 세현)
* 오수유는 간위허한, 토연말, 식즉구토(간의 스트레스 문제), 궐음두통, 즉 두정통
* 53세 여성 환자, 삼일 동안 계속 배가 아팠다고 한다. 오늘 아침에는 밥을 먹은 후에 구토와 설
사를 했다고 하며 손발이 차다고 한다. 그녀의 설을 보니 창백했고 태는 하얗고 미끌 미끌 했으
며 맥은 현세했다. 적당한 방제는? 오수유탕
* 38세 여자, 식당의 주방에서 일하는데 땀을 비 오듯 흘린다. 더워서 매일 얼음물을 많이 들이킨
다. 일이 끝나고 집에 올 무렵부터 상복부가 불편하다. 맑은 물이 넘어오고 손으로 비벼주니 좀
나은 것 같다. 따뜻한 물을 마시니 좀 더 나아진다. 식욕은 없지만 저녁에 밥을 먹으니 더 나아진
다. 변당과 사지냉 몹시 피로하다. 맥침약 설담반? 위허와 한증(오수유탕: 간위허한, 위허한)
*환자가 식즉구토, 탄산, 통증이 있는 것 같지는 않고 불쾌한 느낌, 백활태, 맥이 현세하다. 치법으
로 가장 타당한 것은: 온보간위, 강역기 지구 ( 오수유탕의 치법 -간한범위)
*토연말, 탄산, 두달 동안 월경이 없다. 방제는? 오수유탕
*오수유탕 가감에서 심계/불면일 때 쓰는 본초? 당귀, 복령.
* 오수유탕증 환자가 상복통이 심하다면 추가할 본초는? 단삼,목향
* 메니에르병을 치료하는 방제?반하백출천마탕, 진무탕, 오수유탕, 오령산, 이진탕, 온담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용담사간탕에 간화범폐시 가감
A

목단피 측백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보화환(완애후염, 완복창만,애부탄산,후황니태, 염식)
A

군: 산사(Lipitor 콜레스테롤)
* 스시를 과식, 설사 식욕상실 상복창만 구토 후 호전, 구취, 탄산, 트림, 불면, 설태는 두껍고 맥은 활유력하다. 방제는? 보화환
* 위완창만, 트림, 입에서 시큼한 맛, 활맥, 투명한 끈적이는 태가 있다. 진단은? 식체위완-보화환
*40세 여성, 식욕이 없으며 위완부가 창만해진다. 머리가 어지럽고 미식미식 하면서 자꾸 구토가 나온다. 입에서 썩은 냄새가 난다. 진단은? 식체- 보화환
* 보화환 증상이 있는 환자가 변비가 있다. 추가하면 좋은 본초는? 대황

  • 고등학생이 최근 식욕감퇴, 설사, 설태활니이다. 당신이 보화환으로 치료했다. 학생은 현재 심한 복창감이 있다면? 후박, 지실 (보화환은 후지다.) *보화환+ 비허증상: 백출(보비의 요약)+지실
  • 아목시실린을 6주째 복용하고 있는 환자가 식당에서 밥을 먹은 후 탄산조잡, 복부창만 오심구토, 설사, 설태는 후니, 맥이 활하다. 방제는? 보화환? (p584-147) 항생제-평보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월국환 케이스
A

군약: 창출, 천궁 (월창천 : old: 향부자) : 이거뭐지? 짬뽕 케이스
*36세 남성, 어제 저녁 여자 친구와 싸운 후 가슴과 상복부가 꽉차서 답답하며 때때로, 통증도 있고, 썩은 냄새가 있는 신트림을 한다고 한다. 또한 협륵부에 심하지는 않지만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다고 한다. 방제는?
월국환 육울증-기혈습담화식
*여자 친구와 싸운 후 식사를 한 뒤 찌르는 듯한 통증, 식욕감소, 소화불량, 흉복비만감, 트림, 구토, 탄산, 가벼운 해수, 많은 담이 있다. 방제는?
월국환 (찌르는 듯한 통증: 어혈 즉 혈체)
*환자가 흉협부의 가벼운 자통과 열감, 트림, 흉부만민감, 오심구토, 신중감을 호소한다면? 월국환
* 흉복비민감, 답답함, 협부의 고정자통, 트림, 구토 탄산 가벼운 해수, 다량의 가래, 소화불량이 있다면? 월국환
* 설사와 변비가 교대로 있고, 위완부가 창만하며, 오심구토, 트림이 나며, 입에서 신맛과 함께 썩은 냄새가 나고, 심한 스트레스로 고생하고 있다. 설태는 니태, 맥은 활하다면? 월국환
* 간기울결을 치료하는 방제? 월감소소사 (월국환,감맥대조탕,소요산,소시호탕,사역산 산으로)
* 월국환을 처방하려는 환자가 습이 많다면 가하면 좋은 본초? 후박, 복령
* 월국환 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흰색의 담을 뱉을 때 가감하는 본초는? 반하, 천남성
* 위기허로 인한 울증에 못 쓰는 방제는? 월국환
* 어혈, 트름, 흉부만민감이 있다면? 월국환
* 월국환에 도움이 되는 혈은? 태충, 양릉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계지복령환 케이스
A
  • 28세 여성 자궁에서 미량의 출혈이 계속 나오며 혈색은 자암하고 복통이 있다며 내원하였다. 통증은 아픈 부위가 고정되고 복진을 해보니 복부의 경련과 긴장감이 있었고 복진 하면 통증이 더 심해진다고 만지는 것을 싫어했다. 방제는? 계지복령환(임산부 신용)
  • 자궁의 고정정가, 또는 오로정체, 월경장애, 자궁출혈 등에 사용하는 방제는? 계지복령환
  • 자궁섬유종, 자궁근종, 탈장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혈위와 방제? 열결(임맥),계지복령환
  • 생리문제가 있는 여자환자 입술이 녹청하면서 안색 창백하다면? 어혈+월경통, 계지복령환
    *여성이 월경부조, 면색이 청록색, 손톱이 창백하다면? 혈한과 통경
    *입술과 손톱이 청록색? 혈한(한응)과 월경통
  • 하복통이 중앙에 집중 따뜻한 것을 대면 통증 완화 월경량소 혈괴 냉감 요배통 변증은? 한응계지복령환(덩어리가 없어도 월경문제 계지복령환/월경통은 기체 어혈로 아플 때)
    *여성환자, 청록색과 흰색이 손톱에 있고, 입술도 청자색이다. 이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혈한, 월경통
    92. 상기생을 주초하면? 거풍습, 보간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93. 청위산의 군약:
황련 * 상복부의 작열감, 잇몸출혈, 소곡선기, 변비, 소변단적, 찬물을 마신다면? 청위산, 위화 * 50세 여성, 위완부 작통으로 고통 받고 있다. 그녀는 오심구토, 치은출혈, 갈증, 불면, 호흡곤란, 설은 붉고, 중앙에 열문, 누런 태가 있으며 맥은 실하고 약간 빨랐다. 진단은? 위화-청위산
26
94. 중서(백호탕) 케이스
4대 양명경증:대열,대한, 대갈, 홍대맥- 위중,인중(수구),곡택 산타모니카에 다녀온 후 대열, 대한, 대갈, 맥홍대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중서-백호탕 * 대열, 대한, 대갈, 맥홍대를 호소한다. 치료 경락은?: 수족양명경,독맥/ 양명경증
27
95. 보중익기탕 케이스
군: 황기/ 홍허맥 *기허발열, 자한, 단기, 자꾸 주저 앉음, 변당, 안색광백, 사지위약, 자궁하수, 탈항? 보중익기탕 *성인남자 배가 아랫쪽으로 빠지는 듯한 느낌, 기운없고 피곤시 발열이 나타난다면? 보중익기탕 *복부추창감 탈황 치질 기허발열 식욕부진 자꾸 주저 앉을려고함 장부변증? 중기하함 보중익기탕 * 대변에 피는 없고 휴지에만 묻으면? 중기하함. 보중익기탕 / 치질 *밥을 잘 먹는데도 매우 피곤, 조그만 움직여도 진땀이 난다. 면색은 창백하고 다리에 근육통이 있다. 복부근육은 탄력이 있고 밤에 잠이 잘 오지 않고 식후에 피곤하다. 설은 백하고 맥은 세허하다. 양방 진단은 당뇨병이다. 처방은??? * 보중익기탕 (기허발열) *대변에 피가 보이면 위암이나 대장암. 휴지에만 뭍으면 치질. *치질의 4대 혈자리: 장승백이가 치질에 걸렸다. 장강, 승산, 백회, 이백. *직장하수 자궁하수에 쓰는 본초? 황시승-황기,시호,승마 * 출산 후 본초방제? 십보인. (십전대보탕, 보중익기탕, 인삼) *신허 자궁하수: 관자곡조-관원,자궁,곡천,조해 / 탈항: 장승백이-장강,승산,백회,이백 *기허 자궁하수: 백기족귀-백회, 기해, 족삼리, 귀래. 귀래*(제하4촌 중극 옆 2촌) 폐경에도 좋다.
28
96. Pitting edema(양수) 케이스, 치료방법?
위편음결합- 위양,편력,음릉천,열결,합곡-오피산 *환자가 바닷가 여행 후 수종이 생겼는데 양수라고 진단했다. 가능성이 가장 높은 병증은 무엇이며 가장 효과가 좋은 치료 혈위는? ->전신부종, 안검 부종, 누르면 함몰되지 않는다. / 편력, 열결, 위양, 합곡으로 치료 *뇨저류와 뇨실금의 치료혈로 가장 적절한 것은? 차료, 위양, 중극 또는 삼음교, 신수, 중려수 *석림을 치료하는 혈은? 중극, 방광수, 음릉천, 위양 *양수종의 병기가 맞는 것은? 외감풍사+내부수음정체 / 열결, 합곡, 편력, 위양, 음릉천
29
97. 혈림 치료혈자리
혈해,삼음교- 백모근,지유 * 혈림으로 인한 임증 혈은? 혈해, 삼음교 * 방광: 방중음. 방광수, 중극, 음릉천 * 습: 음삼수수 * 열: 대합곡 혈림: 방중음+혈해,삼음교 / 기림: 방중음+행간 석림: 방중음+위양 / 고림: 방중음+신수, 조해(비해, 석창포) / 노림: 방중음+백기족 *하복부 창통을 호소하던 환자가 현재는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소변이 나을 때는 피가 섞여나온다. 입이 건조하다 가장 적당한 본초는 백모근 *소변단적, 소변불리, 소변빈급, 혈뇨 있는 환자가 혈림이 있으면 추가 할 것은? 백모근 *소변이 혼탁하며, 잘 나오지 않을 때 쓰면 좋은 본초는? 백모근 *코피를 흘리는 아이에게 사용하는 본초는? * 백모근,초치자 *열로 인한 코피를 치료하는 본초는? 백모근, 황금, 석고
30
98. 신양허 케이스 주고 도움이 될 수 있는 혈자리 고르는 문제
“명문” 신태관 명부지기 * 금궤신기환-중완 단중, 신수, 관원/신경의 시간에 모혈 자침/설담반대, 박백윤, 맥침약-신양허 *40세 환자 요슬산연, 호흡곤란, 흡기가 저하되는 느낌이 있다. 조루도 심하고 발기력이 현저히감퇴되고 있다. 피로가 심하고 소변이 청하다. 설색은 담백하고 부어 있고, 태는 젖어 있었다. 진단은? 신양허 (신불납기-기본적으로 신양허: 조루, 발기불능) * 다리에 마목감, 사지냉, 요통, 왼쪽 다리가 부어 불편하고 다리의 통증으로 걷기가 힘들다. 방제는? 금궤신기환(신양허로 수기상승) * 남성환자, 사지가 냉하며 요슬산연을 호소한다. 소변의 양이 점점 줄고, 성기능이 계속 감퇴된다고 한다. 적당한 방제는? 금궤신기환(부자, 계지+육미지황환) *금궤가 있으니 부자인 계지. * 빈뇨, 조루, 약간의 도한을 호소하는 환자가 발기부전이 있고 맥이 침약 하다면? 금궤신기환 * 남성 환자 요통, 심번, 도한, 불면 등의 증상이 있으며 손발이 차고 추워하며 하지가 부어 있었 다. 그의 맥은 침약하고, 설은 창백하고 부어 있었다면? 금궤신기환 腎陽虛 신양허 * 환자가, 다리가 저린 듯하다고 하며 추위를 싫어한다. 손발은 차고 다리가 무겁고 아파서 걷기 가 힘이 든다고 한다. 또한 눕기가 불편하고 벽에 기대야 편하다고 하며, 왼쪽 다리가 특히 불편 하다고 한다. 적당한 방제는? 금궤신기환 *요슬산연, 양위, 불임, 대하, 오경설이 있는 환자에게 부류, 지실, 명문, 관원, 신수, 태계 를 이용하여 치료하고자 한다. 추가하면 좋은 기경팔맥혈과 방제는? 후계, 금궤신기환 * 출산 후 자한, 피곤, 기진맥진하여 자꾸 주저 않으려 한다. 또한 사지냉, 두훈, 안화, 사지무력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적절한 본초와 치료 방제는? 금궤신기환+사물탕+당삼 * 식욕부진, 양위, 불임 소변불리, 다리부종 및 통증, 요슬산연, 이명, 맥침약의 증상이 있는 환자 가 야뇨를 호소할 때 금궤신기환에 추가하면 좋은 약은? 고삽약, 오미자 * 요통, 하지허약, 허리이하의 냉감, 소변불리, 부종, 뇨실금, 척맥이 특히 약하다. 설색은 창백하고, 부어있고 윤기가 있다. 방제는? 금궤신기환 * 당뇨에 효과가 좋은 방제가 모두 맞는 것은? 백호탕, 육미지황환, 금궤신기환 * 55세 남성환자, 관골부위가 붉고, 소변이 단적하다. 밤에 땀을 흘리며 귀에서 소리가 나며 발목 의 부종이 있다. 진단은??? * 신양허+신음허 *태어날 때 부터 백혈구 감소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평소 골다공증과 허리통증도 있다. 현재는 뇨실금, 소화되지 않는 음식물과 함께 설사, 불임, 사지가 차고 하지부종, 식욕부진, 유정, 양위가 있다, 방제는? 우귀환(신양허+신정허)
31
99. 잠은 드는데 중간에 깨는 케이스
신음허 *밤에 자주 깨며 밤새 내내 계속되는 꿈, 또는 잠을 잘 수 없다. 원인은? 음허 *밤에 자주 깨고, 악몽. 하늘을 날아 다니는 꿈, 심번. 구고, 구갈, 심계, 설첨이 붉고, 좌측 촌맥이 홍삭하다. 진단은?? 심화 *새벽에 잠이 깬 후 다시 잠을 들지 못하고 결단력이 없다, 치료혈은? 담허-격수,담수, 구허, 곡천, 족삼리 삼음교, 관원, 간수, 혼문 *신음허 환자가 열증과 구갈이 심하고, 소변이 많이 나올 때 쓸 수 있는 것은? * à 지골피, 생지황, 과루근(천화분) *뜸이 안되는 증상은? 신음허 환자 (실열, 허열 금지)
32
100. 위기불화 불면 케이스
위수 족삼리 (내관(음유), 공손) 36세 여자, 불면으로 찾아왔다. 일주일째 거의 잠을 못 잤다고 한다. 위완부의 막힌감과 창통 및 트림이 있고 배변이 힘들다고 한다면? 니태 맥활 / 보화환 -위수, 족삼리 *안신삼 = 불면의 3대 혈자리(안면, 신문, 삼음교) *심신불교 안신삼+ 심수 신수 태계: 황련아교탕 *심비양허 = 심수, 비수, 은백: 귀비탕. /*간화상요: 간수, 담수, 완골 *위기불화 = 위수, 족삼리: 보화환이나 사군자탕
33
101. 전광 발작시 (낮에)
신맥 사, 조해 보 (양교맥 항진: 신맥-외불간, 내요배주(주간) *남성환자, 계속되는 기면(嗜眠), 시험공부를 하는데 정신을 차릴 수가 없어 공부에 지장이 많다.치료혈은? 좌측 신맥 보, 우측 조해 사 *28세 남성, 만성적인 졸림 (somnolence) 때문에 고생한다. 졸음 운전을 하다가 교통사고가 나서 두개골 (skull) 골절을 입었다. 그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시험을 봐야 하는데 졸음 때문에 문제가 많아 치료하기 위해 왔다. 침구치료는? 좌측의 신맥 보, 우측의 조해 사 + 정명(평보평사) *43세 남성, 현기증(dizziness), 하지 외측의 통증을 호소한다. 얼굴은 붉고 다리 외측의 근육이 매우 긴장되어 있다. 혈압은 높았고 매우 긴장되게 보였다. 맥은 현실삭 했고, 설은 붉었다. 침구치료는? 좌측에는 신맥, 우측에는 후계를 자침. 양교맥이니까 *54세 여성 심한 불안감과 공포증 (claustrophobia)을 호소한다. 지하에 있는 극장과 교회에 가는 것을 두려워한다. 또한 집에 혼자 있으면 매우 불안해하고 긴장했다. 가슴의 불편감 있고, 맥은 삽하고 혀는 창백하나 설첨이 붉었다. 침구치료는? 우측은 내관, 좌측은 공손 *12세 소년, 중이(Middle ear Infection)의 감염이 있었다고 한다. 치료? 좌측 외관 *내관-공손(내관을 우선) / *외관-족임읍(외관을 우선) / 신맥-후계(신맥을 우선)/ 조해-열결(조해우선) *안신: 내관, 신문 *전정중선상, 흉검 결합부 아래 1촌에 위치, 섬흉통, 전광을 치료하는 혈위를 어떻게 자침 하여야 하는가? 구미: 하향 사자0.4-0.6촌 / 제상 7촌 *화습열 영신지하고 거담하며 두통, 현훈, 해수, 효천, 흉통, 변비, 하지위비, 종통, 전광, 간증, 인후종통, 폭음을 치료하는 혈의 위치는? 풍륭 : 외과상 8촌 조구외측 1횡지 / 경골 전연 옆 2횡지 *미골 첨단 직상2촌, 변비, 전광에 쓰이는 혈위의 자침은? 향상 횡자 1.0~2.0촌 요기
34
102. 간양상항 케이스(기혈허)주고 혈자리
백회, 관원 들어감 *간양상항의 4대증상: 설강불어, 실어증, 구완와사, 편마비(한쪽만 마비)까지 *기혈허: 간수, 비수, 신수 + 백회, 기해, 족삼리 + 곡천 +태계, 관원 *늘 피곤하고 소화도 불량한 여성 환자가 월경 때만 되면 먼저 두통이 시작된다고 호소하며 내원 하였다. 이번에는 후두통이 있는 듯하다가 좌측 편두통으로 전이되었다고 한다. 치료혈? à백회, 기해, 간수, 비수 족삼리. 외관. 중저, 족임읍, 태양, 솔곡 *간기울결: 태양지구 장기내기 +외관, 족임읍+ 곡천+신태관+조태지: 천마구등음(군:천마,구등) *두훈목현, 심계, 건망, 우측 편두통, 우측 눈 뒤의 통증, 이명, 급조이노, 요슬산연을 호소한다. 침구치료 혈위는? 태충, 곡천, 삼음교, 태계 간수 풍지 양보, 솔곡 현리 외관 협계, 태양, 찬죽 *55세 여성 환자 머리가 어지럽고 불면이 심하며, 건망증이 있다. 머리가 묵직하고 터질 것 같고 가슴도 두근두근하다. 진단은? 간양상항 *건망: 신허도 가능 *간양상항으로 인한 현훈을 치료하는 혈위는? 신수, 행간, 태계, 풍지, 간수 *간양상항으로 인한 두통에 대한 침구치료는? 신수, 행간, 태계, 풍지, 백회, 현로, 협계 *간양상항 현훈이 있는 환자의 가장. 적절한 치료법은? 신수, 태계를 보, 간수, 행간, 풍지를 사하고 백회, 태양, 인당혈에 피부침 34세 여성 환자, 심한 불안감과 함께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한다. 걱정과 근심이 많고 가슴도 두근두근 하며, 우측의 안광통이 심하며, 통증이 있을 때면 바늘로 찌르거나 칼로 베는 듯한 느낌이 전해온다. 월경 전에 번조감이 오며 월경은 규칙이 없다. 월경의 양은 많은 편이고, 색은 어둡다. 맥은 기타 줄을 당기는 듯 긴장되어 있으면서 약했고, 설은 짙은 홍색에 설변과 설첨에 어반이 있었으며 설첨이 더 붉고 태는 황태이다. 진단은? 심간어혈로 인한 간양상항 *간혈허, 간양상항 등으로 근건과 관절이 영양부족하여 오는 둔부통증에 자침하면 좋은 기경팔맥 교회혈은? 족임읍-대맥 *편두통의 치료혈은? 태양, 솔곡, 외관, 족임읍, 풍지 / 양유+대맥 *밤에 귀에서 매미 우는 소리가 난다. 진단은? 간양상항(호각소리-실증: 간양상항, 간기체, 간화) *설홍, 양변이 더 심함, 맥은 현 / 곡천, 풍지, 태계, 신수, 간수
35
103. 삼차신경통 혈자리
3명의 사공이 협력하여 태양에 도착하니 찬사를 받았다. * 삼차신경통은 1. 눈위 이마 / 2. 광대뼈 / 3. 입이나 입옆 1차분지: 양백, 태양, 사백,(사죽공) / 2차분지; 하관, 청궁 (찬죽, 사백) / 3차분지: 지창, 대영 (협승장) *풍사: 합곡, 외관 / 간위의 열: 내정, 태충, 족삼리 / 음허화왕: 태계를 자침한다 *풍열이 침입하여 경락의 기혈이 조체되어 불통, 간위의 실열이 상충, 음허양항하여 허화가 상승하는 등의 원인으로 발병하는 것은 무엇인가? à 삼차신경통 *아침에 세수 시, 돌연 뺨, 아래 턱, 입술, 치은에 찌르는 듯한 자통이 있다. 다시금 재발하는데, 매번 몇 분씩 지속된다. 주로 낮에 발생한다. 병인은? 삼차신경통 *삼차신경통과 다발성신경염의 원인은? 풍열
36
104. L4 3mm 돌출 , 혈자리
신수, 대장수, 관원수 들어감 *L5 디스크가 있고 어혈이 있는 급성 외상 요통을 치료하는 혈위는? 백환수, 대장수, 관원수, 십칠 추하, 요양관, 위중, 신수, 수구, 요통혈, 아시혈 *요통이 무릎전면을 지나 발목내측으로 이어진다면? L4 / 무릎반사 L2, L3, L4
37
105. 케이스 주고 맥회혈
태연(요요요) 완횡문 요측단 요골동맥 요측 요함부
38
106. 위증케이스
하지위축.. 어떤 경락을 쓰나? 다기 다혈인 양명경 *환도 양릉천, 족삼리 해계 (환양족해) * 상전장골극 하연, 봉공근 외측, 치골결합 하연과 수평인 혈의 주치는? 하지위비증 비관/독활/1.0-1.5직자/ 다리가 시들어서 힘이 없거나, 비증(근육이나 관절이 아픈 것.)
39
107. 월경부조 – 후기케이스- 혈자리-
천추, 기혈, 지기, 태충 *선기: 기허, 혈열 기허증: 중기족삼(중완,기해,족삼리,삼음교) / 혈열: 혈해,중극,곡지,수천,행간,연곡 *후기: 기체,혈허,혈어,한 / 기체: 천추, 지기, 기혈, 태충, 기문 / 혈허와 한증,어혈: 관원, 기해, 삼음교, 백회, 신문 *선후부정기: 간기체,신허,비허 간울(간기체):기해, 사만, 간사, 여구, 단중, 기문, 신문, 태충/신허증엔 관원, 신수, 교신
40
108. 고환종통- 한체간맥케이스- 혈자리
대중여태, 대돈, 중극, 여구, 태충 추운 겨울 날 등산을 다녀온 이후로 소복이 자주 당기는 것 같은 느낌이 나며 고환이 아프다고 내원하였다. 맥은 침현지했다. 진단은? 한체간맥: 육계, 오약, 소회향, 오수유 *소장기통으로 소복급통, 복부창만, 거안, 복명, 고환이 밑으로 당기는 듯한 통증이 있을 때 자침 하면 좋은 혈자리는? 양릉천, 태충, 장문, 하거허, 삼음교, 기해, 귀래, 대거
41
109. 월경을 조절하는 장부?
간, 비, 신, 자궁
42
110. 비허대하 케이스 혈자리
음대백기족: 음릉천, 대맥, 백환수, 기해, 족삼리
43
111. 자궁하수 케이스 어떤 기경팔맥?
대맥(복부창만, 월경,요통,하지위약,자궁하수)
44
112. 혈열로 인한 붕루케이스
중극, 은백, 혈해, 곡천(중국 은나라에 혈곡이 있다) *갱년기의 부인이 요 며칠 질에서 갑자기 대량 출혈이 있었고, 피 색깔이 짙고, 끈적끈적 하다. 번조불안, 실면, 두통, 두훈, 설태황, 맥삭유력이 있다. 치료혈은? 중극, 은백, 혈해, 곡천/ 고경환
45
113. 월경통 케이스(실증)-
태충, 지기, 중극. 차료 합곡 혈해 + 귀래, 대거 *45세 여성 환자, 그녀는 늘 월경전에 하복통이 시작된다고 한다. 요즘 들어 월경량이 줄면서 적 괴가 나오기 시작했다고 한다. 월경색은 어둡고, 적괴가 나간 후에는 증상이 완화된다고 했다. 또 한 그녀는 하복부가 매우 차며 가끔 심한 통증이 유발된다고 했다. 그녀의 설은 푸른 보라색을 띠고 있었으며 맥은 껄끄러웠다. 진단 및 방제는? 이한+간혈어, 온경탕 à위 환자의 월경통을 치료할 수 있는 혈은? 중극, 지기, 혈해, 합곡, 태충, 차료, 귀래, 대거 *기혈부족으로 인한 월경통을 치료하는 혈은? 신수 관윈 족삼리 삼음교 비수(허삼족이 비신관원)
46
114. 담미심규 케이스 주고 장부변증 /정신병 3가지
담화요심,담미심규,위장담화 *37세 여성 환자, 10 대 시절에 정신적인 문제가 있어 양방병원에서 진단한 결과 조울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적이 있었다. 광증이 유발될 때는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지나가는 행인에게 막말을 해대기도 했고, 또래 친구들을 마구 때리기도 했으며, 까닭 없이 웃기 시작하면 참기도 힘들었다. 광증 발작 후 몇 년 동안은 별 증상 없이 지나가다 최근 갑자기 정신이 흐릿해지고 마음이 우울 해지면서, 피로와 함께 오심구토가 동반되기 시작했다. 밖에 나가기를 싫어하며, 병원에도 오기 싫어했는데 겨우 가족들이 이끌고 왔다. 설은 붉고 태는 두꺼운 누런 태였으며, 보기에도 진득거 리게 보였다. 설첨이 특히 부어 있었으며 약간의 어반도 보였다. 진단은? 담화로 인한 담미심규 *환자가 정신병을 앓고 있다. 이전에 장기간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으며 자신의 행위를 통제할 수 없고 실면, 구고가 있다.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설은? 설홍, 황니태, 설의 중앙에서 설첨으로 이어지는 열문이 있고 돌기가 있다 담화요심 45세 여성, 정신이상과 잦은 흥분, 가끔 미칠 듯이 날 뛰며, 정신이 모호할 때도 있다고 한다. 가끔 구토할 때면 약간의 담이 나오기도 하며, 갈증은 심한 편은 아니라고 한다. 대변을 본 후에는 항문에 작열감이 있으며. 광증이 있을 때는 잠을 안자고 밤을 세운 적도 있다고 한다. 설태는 후 황니 했고 맥은 침실 했다. 진단은? 위장담화(양명부증-맥침실) / 담화요심:맥침실 없음 *담화요심, 담미심규, 위장담화의 근본 원인은? 비기허
47
115. 출혈 케이스주고 장부변증-
비불통혈(귀비탕) 심비양허(심혈허+비기허) *45 세 여자, 호흡이 짧고, 면색이 핏기가 없다. 식욕이 없으며 사지가 무력하다. 대변에 피가 섞 여 나오고 코피도 자주 나온다. 진단은? 비불통혈: 귀비탕 *30세 여자, 생리때도 아닌데 월경이 갑자기 나오며, 색은 담홍, 그녀는 늘 힘이 없으며 얼굴은 창백하고 두통, 불면 있고 머리가 아플때는 아무기억도 나지 않는다. 진단은? 심비양허(비불통혈) *AIDS환자, 인공수정 하기 일주일 전부터 심계, 불면, 소화불량 증세가 있었다.진단?심혈허+비기허 *붕루와 불면이 있으며 맥이 허약한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혈자리와 자침방법을 고른다면? 극문, 내관, 신문, 비수, 심수에 자침, 은백에 뜸( 비불통혈: 은백, 구허 뜸) *기와 혈의 관계가 맞는 것은? 비기허는 대출혈을 유발한다 *뜸을 사용해 치료할 수 없는 것은? 4번(열증 안됨) 1)비기하함 2)비불통혈 3)비위습열 4)간신음허 *여성이 빈혈진단을 받았다. 음식정상, 월경이 길면 8-10일, 월경량이 많다. 헤모글로빈이 낮다. 이 여성의 빈혈의 유형과 치료는? 철분결핍성 빈혈, 철분과 비타민C를 함께 복용
48
116. 간혈허 케이스
혀 가장자리가 오렌지색 *설변이 오렌지색(미황색, 주황색)이다. 원인은? 간혈허 *설색이 창백 양변이 더욱 심하고 건조, 심하면 양변이 주황색을 띤다. 원인은? 간혈허 *40세 여성, 머리가 어지럽고, 면색은 핏기가 없다. 설사를 자주 하며 피로도 심하다. 사지가 가끔 저리고 식욕이 없다.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어지럽다. 설변은 오렌지색이었다. 진단은? 비간혈허 *18세 남성, 11살 때 부터 간질 (epilepsy) 로 고생해 왔다. 간질이 발작할 때면 의식을 잃었고, 심각한 진전이 있었고, 입에서는 거품이 나왔다. 또한 편두통 이명이 있고. 환자의 맥은 약하고 빨랐으며, 가벼운 현맥, 설은 붉은데, 특히 설변이 더 붉었고, 뻣뻣했으며, 설태는 후황니했다. 진단이 가장 적절한 것은? 비기허로 담 생성 및 간혈허 유발, 간혈허가 간양상항, 간풍내동 유발 *월경을 한 후에 항상 현훈 불면, 건망, 삶의 방향감각이 없어진다. 원인은? 간혈허 *월경을 할 때 암자잭의 혈괴, 작은 덩어리가 나오고 월경 직후에는 힘이 없고 피곤하고 식욕이 없다. 진단은? 간혈어+간혈허 *불면, 악몽, 생생한 꿈, 시물모호, 사지마목, 치법은? 보심혈, 양간혈 (간혈허 )
49
117. 간담습열 케이스-
음부소양, 습열대하.:중차삼태 : 중극,차료,삼음교,태충/용담사간탕 *발열. 흉협만통, 황달, 구고. 오심, 구토, 식욕저하, 월경부조, 음부소양, 설색이 붉고 황니태, 맥이 현활삭하다. 진단은? 간담습열: 용담사간탕(습열대하) 임맥과 대맥 *중극, 차료, 삼음교, 태충 가려움이 심하면 여구 추가 / 열증: 혈해,곡지 추가 / 방제: 용담사간탕 *비허대하: 음대백기족 (시험에 많이 나온다) 음릉천, 대맥, 백환수, 기해, 족삼리 /완대탕 *신허대하? 신수부대관대 신수, 부류, 대맥, 관원, 대혁 /금쇄고정환 *음부소양, 소변불리, 월경부조를 치료하는 혈의 자침법은? 여구 0.3-0.5촌 횡자 *음부소양에 사용하는 본초는? 고삼, 황백, 차전자, 황금, 사장자
50
118. 한체간맥 케이스 혈자리
고환종통+한증 맥침현지 대중여태: 대돈, 중극,여구, 태충 *한체간맥: 고환추창통, 고환수축통, 소복창만, 따뜻하면 호전, 백활태, 침현지 *추운 겨울 날 등산을 다녀온 이후로 소복이 자주 당기는 것 같은 느낌이 나며 고환이 아프다고 내원하였다. 맥은 침현지했다. 진단은? 한체간맥 – 대중여태 (대돈, 중극(중도), 여구, 태충) *간을 직접 침범하지 않지만 간의 내풍 유발을 촉진하는 것은 무엇인가? 외감풍사 (한체간맥) *젊은 환자가 막 알래스카 우편수송 여행단에서 돌아왔다. 두통, 하복부 동통과 근육 경련이 있다. 그 통증이 음부와 대퇴 내측에 이른다. 추우면 통증이 가중, 맥현지이다. 간경의 한사를 제거하기 위해 좋은 본초는? 오약, 소회향, 오수유 *소복이 당기며 통증이 있으며 설이 축축하고 백태, 맥이 침하고 현하다면? 한체간맥(축축:한증)
51
119. 신기불고 케이스 주고 장부변증
방제: 금쇄고정환 *33세 여성 환자, 소변의 횟수가 많아지고 오줌이 맑고 많으며 소변을 본 후에도 오줌을 자꾸 옷에 흘린다. 밤에 소변을 보는 횟수가 많고 가끔 잠을 자는 도중에 소변이 나을 때도 있고 만성적인 대하가 있다. 원인은? 신기불고 *흡기가 힘들며 기침할 때 소변실금이 있다. 움직이면 호흡곤란이 더욱 심해지며 사지가 차고 얼굴에 푸른 빛이 돈다. 진단은? 신기불고 없으면 폐신기허 *기침할 때 소변실금이 있다. 원인은? 신기불고 우선 없으면 폐신기허 *식욕감소, 정신적 피곤, 설사 후 피로가 심해진다. 복부가 은은히 아프며, 사지가 차다. 잦은 설사 로 탈장까지 왔다. 진단은? 장허활사(대장한(오리똥)에서 발전, =대장허탈) *수뇨관 및 정관이 약하다. 원인은? 신기불고
52
120. 위화 케이스 장부변증
내정,여태+대합곡+양구+상완,하완,건리,양문,(중완) 위완부, 잇몸출혈, 상치은(치통포함), 구취, 소곡선기, 설홍황태, 항문작열감: 형혈(내정, 여태) 치료원칙: 청위화 혈: 내정, 여태, 상완 중완, 하완, + 대합곡 /방제: 청위산 군약: 황연.(상초열) *55세 남자, 평소 짜고 매운 음식을 좋아한다. 구갈이 있는데 꼭 얼음물을 들이 킨다. 한끼 식사량이 남보다 적지 않은데 밥을 먹고 돌아서면 또 배가 고프다. 잇몸이 붓고 아프며 출혈이 되기도 한다. 요즘은 속을 불로 지져 대는 것처럼 아프다. 시큼한 물이 올라오고 미슥거리고 무엇을 먹으면 금방 토할 것 같다. 호흡이 불편하며 설홍 황건태 맥삭? 위화 *44세 아줌마 흉격에 열이 심하고 잇몸에서 피가 자주 난다. 남편이 입에서 악취가 난다고 한다. 늘 갈증이 심하며 요즘은 잠도 잘 오지 않는다. 진단은? 위화 *50세 여성, 위완부 작통으로 고통받고 있다. 그녀는 오심구토, 치은출혈, 갈증, 불면, 호흡곤란을 호소했다. 환자의 설은 붉고, 중앙에 열문이 있고, 누런 태가 있으며 맥은 실하고 약간 빨랐다. 진단은? 위화 *45세 아줌마가 한의원에 방문, 흉격열과 오심구토, 잇몸에서 피가 나며 악취가 난다고 하였다. 또한 구갈, 불면 등을 호소했다? 위화 *오심구토, 구취, 갈증, 불면, 설이 붉고 중앙에 열문, 태는 누렇고 건조,맥이 빠르다. 원인은? 위화 *상복부의 작열감, 잇몸출혈, 소곡선기, 변비, 소변단적, 찬물을 마신다면? 위화, 청위산 *오심구토, 탄산조잡, 치통, 입 냄새, 치은출혈, 변비가 있다. 환자의 설상과 맥상이 가장 알맞은 것은? 홍색설, 황태, 맥은 활삭하다 *45 세 여성 환자, 3년 동안 위장이 있는 부분의 통증과 항상 거북한 느낌이 있어왔다. 양방 병원 에 가보니 만성 위염이라고 진단하였다. 그녀는 늘 속이 미식미식 하였고 갈증이 매우 심해, 매일 다량의 찬 물을 마신다고 하여 시큼한 물이 트림할 때면 넘어온다고 한다. 또한 치은이 붉고 부어 있으며, 구취가 심하다고 한다. 최근 들어 밥을 먹기가 싫다고 했으며, 대변은 변비였었는데 묽게 나온다고 하였으며 맥은 강했고, 특히 우측 관맥이 현맥이었다. 설은 중앙이 특히 붉고, 황건태가 있었다. 알맞은 진단은? 위화, 비습 *60세 여성 환자, 과거 10년 동안 위완통으로 고생하였다. 양방에서는 위염이라고 진단하였다고한다. 그녀는 6개월 전부터 냄새를 잘 맡을 수 없었다고 하며, 동시에 맛도 잘 구별하기가 힘들다고 했다. 구토를 할 때면 시큼한 물이 넘어오기도 하며 매일 다량의 물을 마신다고 한다. 가끔 코피도 나고 잇몸에서도 피가 난다고 한다. 또한 그녀는 최근 몇 년 동안 항상 무른 대변이 나온다고 했다. 그녀의 맥은 우측 관맥이 기타 줄을 당기는 것처럼 팽팽했고 설 중앙에는 누런 태가 있었으며 설변이 약간 부어 있었다. 진단은? 위화, 비기허 *상복부의 통증. 급격한 전두통, 탄산, 구취가 있다. 원인은? 위화 *60세 여자, 후각을 잃은 지 2년이나 됐으며 자주 갈증을 느끼며 매일 많은 양의 물을 마신다. 가끔 잇몸에서 피가 나며 적흑색의 변을 본다고 한다. 진단은? 위화치성 *오한, 미발열, 치통, 잇몸이 빨갛게 붓고 피가 난다. 진단은? 위화상락 *소화되지 않는 음식물을 구토하는데 탄산이 없다면? 위기허 / 탄산이 있으면 간기범위 *소화가 잘되면서(소곡선기) + 탄산= 위화
53
121. 새싹 샌드위치 먹고 급성복통 케이스
한사범위 (급성복통+새싹샌드위치) *매일 점심을 오이와 새싹 샌드위치. 셀러드, 수박 쥬스 한 쿼터를 먹는다. 갑자기 배가 아프다면 원인은? 한사범위(급성, 갑자기, 심하다, 통증이 나오면 한사범위) *위완통이 있다. 매일 점심을 오이와 새싹 샌드위치. 셀러드 수박 쥬스 한 쿼터를 먹는다. 이 통증의 원인은? 한사범위 (문제은행 p689 한사범위 ) *위완통이 있는데 매일 점심을 오이와 새싹 샌드위치와 셀러드, 수박쥬스 한 쿼터를 먹는다. 통증의 원인은? 비양허(문제풀이 p44 비양허)
54
122. 미열, 미구갈 등 상국음 케이스주고 방제가감
상국음+우방자 *미열, 미갈, 급성결막염, 두통. 인후통, 해수가 있다면? 상국음+우방자 *더운 지방 여행 후 해수, 가벼운 발열, 오한, 가벼운 갈증, 목이 뻣뻣하고 인후종통이 있다. 박백태가 있고 맥은 부삭하다. 가장 적절한 것은? 상국음+우방자 *약간의 발열 및 갈증, 해수, 목이 가렵고 인후종통, 부삭맥, 적절한 방제는? 상국음+우방자
55
123. 풍열범안에 추가할 본초-
백질려, 결명자, 하고초, +국화(백국) *풍열환자가 급성결막염이 있다면? 상국음+백질려, 결명자, 하고초 *오한발열, 목적종통, 광선공포증,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온다(영풍유루). 적절한 치료방제 구성으로 알맞은 것은? 상국음+결명자, 백질려, 하고초
56
124. 간담습열(열증,황달 등) 케이스 주고 본초 선택
-용담사간탕: 군-용담초 신-시호,황금,치자(시금치) *뜨거운 눈물이 나고, 눈이 붉고 구고, 아지러움 맥이 현실삭 할 때 추가하면 쓸 수 있는 본초는? ->시호, 황금, 용담초 *음부소양 증상에 쓰는 본초는? 고삼, 황백, 차전자, 황금(간담습열: 음부소양, 대하, 고환종통) *거습청열 + 지통, 안신 : 지양, 완골, 척중, 간수, 담수, 비수, 위수, 음/양릉천, 기문, 일월 *살충지양?: 사상자 *트리코모나스 균 : 고삼(생식기,여구),사상자 *보중익기탕 환자가 대하가 심하면 넣으면 본초는 창출,황백(이묘산) ** 하고초 : 간담 *경부 임파선종 간양상항에 의한 고혈압과 시력저하에 좋은 본초는? 하고초 *환자의 음혈 부족이 심각하다면, 시호를 아래 어느 것으로 대체해야 좋은가? 하고초(인청하) *고혈압 간양상항에 쓰면 좋은 본초는? 1결명자, 상기생, 하고초
57
125. 인후종통으로 항생제를 먹고 있는데 급성 상복통으로 병원에 왔다. 가능한 이유는?
->항생제를 건너 띄고 한 번에 양을 두배 먹었다. (항생제 부작용)
58
126. 사역산 케이스(열증+사지냉)주고 방제고르기:
심번+사지냉(열궐증) 간울+사지냉 * 사지냉, 상복부의 번민감, 설홍황태, 맥현삭, 방제는? 사역산 * 복통, 심한 설사, 사지냉, 가슴과 상복부의 창만감이 있다. 적당한 방제는? 사역산 * 사역산을 돕는 혈은? 내관, 공손 * 사역산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협륵통, 월경부조 등 혈허 증상을 보여 지실을 빼고 백출 복령, 당귀를 추가했다. 하지만 환자가 습열로 대하가 있다. 추가할 수 있는 본초는? 창출, 황백(이묘산) **사역탕 케이스(한증+사지냉)주고 방제고르기, 신궐+격염구 /신궐, 관원, 기해 뜸 *48세 여성 사지와 무릎이 항상 차고 추위를 싫어하며 항상 잠이 온다. 잠은 새우처럼 구부려서 자며 늘 기운이 없다고. 음식이 소화가 안된 설사를 하고 갈증은 없다. 방제는? 사역탕 *복통, 설사, 요통 치료 및 회양구역에 이용되는 구법은? 격염구 신궐, 관원, 기해를 구(뜸)한다 *심한 복통, 사지냉 많은 땀을 흘리고 맥이 매우 약하다면? 배꼽에 소금을 채우고 뜸(격염구, 신궐) *추위를 타는 환자에게 방제를 잘못 처방하여, 그 결과 두통, 항강, 사지궐냉, 신지실상 증상이 생겼다. 어떤 방제를 처방 했겠는가? 백호탕
59
127. 십전대보탕 케이스(5 번의 출산. 등등)주고 방제 고르기
출산 후 변비: 대장액휴 *40 여성, 출산 도중 다량의 출혈이 있었다. 병원에 찾아온 이유는 어지러움과 입 냄새, 그리고 변비 때문이었다. 진단은? 대장액휴, 세삽맥 *노인의 변비 환자에게 가능한 진단은? 대장액휴 *애기 5명을 출산한 아줌마가 최근 들어, 사지가 저리고 두훈목현, 소화불량, 피로 등이 심해진다고 하고, 자궁출혈이 지속된다고 한다. 또한 자꾸 추위를 타기 때문에 밖에 나가기가 싫다고 한다. 적당한 방제는? 십전대보탕 *출산 후 자한, 피곤, 기진맥진하여 자꾸 주저 않으려 한다. 또한 사지냉, 두훈, 안화, 사지무력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적절한 본초와 치료 방제는? 십전대보탕+보중익기탕, 인삼(십보인) *산모가 출산 후 땀을 많이 흘린다면? 황기 *여섯 번이나 난산을 했던 여인이 백대하가 있고 변당, 발목에 부종? 비습 *자궁문제가 있는 40대 주부, 세 명의 아이를 출산한 후 어렵게 또 아이를 가졌다. 임신을 한 이후로 입맛이 없는데 특히 아침은 한 번씩 먹곤 한다. 또한 커피를 먹고 나면 기운이 난다고 한다. 사지가 추우며 항상 집안에만 있으려고 한다. 의사한테 비타민 B12 주사 처방을 맞으면 힘이 솟곤 한다고 한다. 설은 담하며 맥은 세약 하다면? 신양허 *어렵게 출산 후 기단, 건망, 불면, 면색창백, 현훈, 심계, 입술에 핏기가 없다. 또한 도한도 있다면 이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혈위는? 거궐 신문 조해 음극 (부류+음극) *임산부 독감 예방주사 맞을 때 옳은 것은? 임산부는 독감 예방주사를 언제든 맞아도 된다. *41세 여성, 몇 년 전부터 자궁섬유종, 월경통, 월경량다, 짙은 경색, 소복부가 매우 단단하며 절진시 섬유종이 명확이 감지됨. 수차례 치료 후 월경도 정상 회복. 섬유종은 적어지고 소복부가 편해지고 월경통이 사라졌다면? 열결, 조해 / 계지복령환 *임신부 금지: 대도혈소마생단 / 신용: 평팔계 / 생화탕: 오로부진 *요통, 추위를 호소하는 환자가 기침을 하며, 심계, 지속적인 자궁출혈, 불면, 설이 창백하고 맥이 세약하다. 진단은? 십전대보탕 (기혈양허+한증) *환자가 발기부전, 식욕감소, 사지무력, 소화불량, 사지마목, 안화, 추위 호소, 방제는? 십전대보탕
60
128. 정신병 케이스 주고 방제
감맥대조탕 *가벼운 정신분열, 하품을 자주한다. 방제는? 감맥대조탕 *정신집중력 저하로 ADHD 판정을 받은 아이가 있다면 변증은? 감맥대조탕 *행동과 말하는 것이 정상이 아니다. 조울증, 하품, 방향감각상실, 미쳤다...? 감맥대조탕 * 군약 :부소맥 (9 ~10그람) /신약: 감초(9그람), 대조(10매) + 추가하면 효과상승: 용골과 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