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1 Flashcards

1
Q

*해수, 담중대혈, 인후건조와 통증, 천식, 도한, 오심번열, 설홍소태 등의 증상?
*70세 남성 환자, 만성적인 천식과 기관지염, 숨을 쉬기가 힘들고, 적은 양의 끈끈한 황색담이 있는 기침, 요통, 현훈 이명, 도한, 밤에 인후가 건조해짐 설태는 없고, 약간의 부분적인 두껍고 누런 무근태가 있다. 방제는?

A

폐신음허, 담중대혈
*백합고금탕에서 다량의 객혈: 길경을 빼고 백모근, 선학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발열. 흉협만통, 황달, 구고. 오심, 구토, 식욕저하, 월경부조, 음부소양, 설색이 붉고 황니태,맥이 현활삭 ?
*음부소양, 소화불량, 발기부전이 있다면?
*과량복용시 비를 손상하며, 또한 진액을 손상하여 음허를 유발하고, 심하면 양허까지도 유발

A

용담 사간탕
*객혈시 : 목단피, 측백엽 / 손발이 떨린다: 조구등, 절패모 / 눈 붉고,두통: 상엽,국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심의 모자보사법

A

소충-보 / 소부-사
*심화, 신음허의 침구 치료는? 소충, 소부를 사하고 축빈, 관원, 지실, 태계를 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감기, 해수, 천식, 황색담, 인후통, 미오한, 설첨홍, 부삭맥인 환자를 치료하는 혈은?

A

열결, 합곡, 풍문, 폐수, 곡지, 대추, 소상, 공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골절 케이스 주고 혈자리 선택

A

대저 (위치로 나옴) T1도도-대저-견외수(0.3-0.7사)
*쇄골이 부러졌을 때 쓰는 경혈은? 제1흉추 옆으로 1.5촌/도도 옆 1.5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복내구급통, 기천, 월경부조?

A

충맥-공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팔맥교회혈 주치-심흉위-내관, 공손

A

*45세 남성, 위완부의 창만감, 트림, 오심구토와 함께 만성 소화불량을 호소한다.
맥은 실했고 긴장되어 있으며 특히 관부가 실하고 긴했다. 설태는 두꺼운 흰색이었다.
가장 적합한 침구선혈은? 내관-공손
*사역산중에 사용하면 좋은 혈위: 내관,공손
*창백한 혀, 면색위황, 불면, 건망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 치료 혈은? 내관 – 심혈허
*혈허로 인한 목 뒤의 통증, 두통에 가장 좋은 혈? 내관
*식적을 치료하는 혈? 양문, 하완, 내정, 여태, 내관, 공손
*임신 2-3 개월된 여성, 오심구토, 음식을 먹기도 힘들다. 침구처방을 하고자 한다. 적절한 치료혈
은? 중완, 내관, 공손 중족내공
*임신 2-3 개월 된 여성, 오심구토, 음식을 먹기도 힘들다. 체온이 상승 맥이 빠르고, 황달 증상이
보인다. 적절한 조치? 중완, 내관, 공손, 태충, 양릉천에 자침하면 오심구토와 황달이 치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편두통 케이스 주고 혈자리 위치 고르는 문제- 보기중에 외관, 족임읍 들어간거 하나
    *늘 피곤하고 소화도 불량한 여성 환자가 월경 때만 되면 먼저 두통이 시작된다고 호소하며 내원
    하였다. 이번에는 후두통이 있는 듯하다가 좌측 편두통으로 전이되었다고 한다. 치료혈은?
A

백회, 기해, 간수, 비수 족삼리. 외관. 중저, 족임읍, 태양, 솔곡
*편두통: 양유, 대맥(외관, 족임음)?
*편두통 치료혈: 태양, 솔곡, 외관, 족임읍, 풍지
*좌측편두통? 왼쪽(좌): 외관 오른쪽: 족임읍,
*좌측 편두통을 두침: 우측 감각구 하 2/5 / 감각구:통증, 안면구: 하 2/5 : 편두통, 삼차신경통
*여성, 두통이 시작될 때는 한쪽 편두통에서 다시 천천히 눈, 이마, 미간으로 다시 머리끝, 뒷목으
로 통증이 간다. 가능한 병변 경맥은? 족양명경, 족태양경 족소양경, ,족궐음경, (위방담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위화 케이스(잇몸출혈, 소곡선기..), 오수혈중 어느 혈자리? “내정”
A

*내정, 형혈이므로 열을 꺼줌 : 형혈: 심신열
*상복작열감, 잇몸출혈, 소곡선기, 변비, 소변단적, 찬물마심, 구취, 항문작열감? 청위산(군:황연)
*오한, 미발열, 치통, 잇몸이 빨갛게 붓고 피가 난다. 진단은? 위화상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양교맥의 극혈
A

3부양 곤륜 직상으로 3촌 / 신맥: 외불간 내요배주
*불면이 있는 환자가 간질과 족외번을 호소한다. 치료혈: 3부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여구의 자침방법

A

0.3-0.5촌 횡자, 연피자, 복재신경
내과첨단에서 5촌 직상한 곳으로 경골 내측면에 있으면서, 경골 가까운 곳에 자침
*늑간신경통과 가장 관련된 경락 및 치료혈(여구,양릉천,지구) : 간경, 기문, 지구, 양릉천, 구허
*음위(양위)의 원인과 치료혈은? 심비의 손상과 명문화의 쇠약/여구, 관원, 삼음교, 신문, 명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기흉을 피하기 위해 심수, 비수에 어떻게 자침해야 하는가?
A

10-20 mm 사자 (대저~비수: 0.5-0.7 사자)
삼초수: 0.5-1.0직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기흉의 전조증상 고르는거 : 흉통, 기침, 심하면 호흡곤란, 청색증, 혼수
A

*X-Ray결과, 종경동이 한쪽으로 이동, 흉부에 과한 공명음(resonance)이 한쪽에서 들린다면? 기흉
*폐부위 자침 후 가슴에 통증, 기침? 침을 뽑고 911 혹은 상황을 보다가 악화되면 911
*훈침 전조증상: 어지럽고, 식은땀 토하고 싶다 심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쇼크 /심하면 911
*훈침 예고 증상: 식은 땀, 약한 맥박, 기단
*훈침 치료: 소료, 인중, 내관, 중충, 족삼리, 용천, 합곡 *뜸: 백관기 백회, 관원, 기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경문 위치(12 늑간..)주고 어느 경의 모혈인가?
A

신경
*12경문-신, 11장문-비, 7일월-담, 6기문-간모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담경 형혈의 위치
A

협계, 족배에서 4, 5지 지봉간, 지복연의 후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양로혈 자침시 자세
A
  • 수태양경의 극혈이며, 척골소두 배면, 척골 경상돌기 요측 골봉에 있는 혈의 취혈법?
    ->팔꿈치를 굽혀 손을 가슴에 댄다
    *척골경상 돌기 요측, 골봉 속 / 0.3-0.5 직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후계 위치 주고 주치 고르는 것
A

-> 제5 중수지관절 후연 0.5-0.7 직자
*급성요통 4대혈자리: 인위후요(인중, 위중, 후계, 요통)
*동작표시(취혈법): 백곡후풍 (백회, 곡지, 후계, 풍시)
*후계+신맥은 팔맥교회혈: 목내자(눈의 안쪽), 경항, 견배
*한 여성이 손, 발, 무릎이 항상 차고 추위를 싫어하며 잠을 새우처럼 구부려서 자고 기운이 없으
며 항상 잠이 온다고 호소하였다. 이 환자의 설은 담하고 태는 백활, 맥은 침세무력 하였다. 팔맥
교회혈로 위 환자를 치료? 후계, 신맥 (소음한화증 사역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급성 어깨 통증 케이스 주고
A

조구 : 외과상 8촌 / 독비-해계 상거허 하 2촌 0.5-1.0 직자
*공사판에서 일하는 남자가 팔을 들 때 어깨 통증이 있다. 일하면서 무거운 것을 많이 들고 일과후 동료들과 맥주를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치료혈?
견우, 곡지, 견전, 풍륭, 조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천식환자(열증이 포함된)가 침을 맞고 황색 가래가 맑은 물같은 가래로 바뀌었다. 혈자리 처방을 어떻게 바꾸는가?
A

*황담, 기침, 발열이 있는 환자에게 척택, 소상, 풍륭, 어제, 중완을 자침 후 기허증상과 함께 백색의 담을 뱉기 시작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치료법은?
->소상, 어제를 빼고 족삼리, 수분을 보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수삼양의 교회혈?
A

4삼양락 - 양지 위 4촌, 요골과 척골사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육부하합혈의 위치 위에서 아래로 순서
A

담, 위, 대, 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내관 위치주고 자침깊이
A

완횡문상 2촌, 장장근건과 요측완굴근건사이

*음유맥의 기경팔맥혈이며, 완횡문상 2촌, 장장근건(수장기건)과 요측수근굴근건(완굴기건) 사이에 위치하며 심통, 흉민, 심번을 치료하는 혈?
내관 오빠 0.5-0.8촌 직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담허 케이스 문제
A

소심이란 단어가 들어감 (구허: 담허 / 완골: 판단력)

*소심한 여성 환자, 자식들에게 엄마 노릇을 잘 하지 못한다고 불평을 들은 후로, 잠이 들기가 힘들다. 면색이 창백하고, 판단력이 저하된다. 세상에서 혼자인 꿈을 자주 꾼다. 설담,맥현세?: 담허

*여성, 시력이 점점 감퇴되고 잦은 한숨을 쉰다. 쉽게 놀라며 겁이 많고 항상 긴장되어 있는 듯하다. 설색은 담홍하고 맥은 약했다.? 담허-구허 05.-0.8 직자

*어지럽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조그만 일에도 쉽게 놀란다. 자꾸 한숨을 쉬며 용기 및 결단력이 부족: 담허

*새벽에 일어나서 잠을 못자며 괴롭힘을 당하거나 자살하는 꿈: 담허

*남에게 시달리는 꿈을 꾸며 새벽에 깨서 잠들지 못한다면? 담허

*결단력이 부족 남에게 시달리는 꿈을 꾸며 새벽에 깨서 잠들지 못한다.: 담허

*어지럽고 시력저하, 정신혼탁, 한 곳을 멍하게 주시, 겁이 많고 잦은 한숨,맥이 약함?: 담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12 경맥 병후- 이명이 들어간 문제
A

삼초
*이롱, 복창, 수종, 소변불리, 이명, 목외자통, 협종, 인후종통 등이 있던 환자가 왼쪽다리에 외측도 아프다. 진단은? 삼초

*인후종통, 복창, 수종, 이명, 이농, 협종, 유뇨, 소변불리는 어느 경맥의 병후: 삼초

*환자가 팔꿈치의 통증을 호소한다. 수소양삼초경의 경혈인 천정을 자침하고자 한다. 상하 배열법에 의해 추가하면 좋은 혈은? 양릉천 / 하합혈: 천정-양릉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29. 15 낙맥 병후중 주관절 문제
수소양 수태양
26
두침- 자궁하수, 요통
족운동감각구-야뇨, 자궁하수, 하지위약, 요통 *전후정중선의 양방으로 각 1cm되는 곳, 이와 평행으로 감각구상점의 후 1cm되는 곳에서 전방으로 3cm 전침하는 부위
27
31. 이침- 하각단(교감)
* 대이륜하각 말단에 있는 것은? 교감 * 대이륜 하각의 상연과 수평이며, 이륜내에 있다. *혈압을 하강시키며 shock를 치료하는 혈은? 1)교감 *허리가 아픈 사람이 떨어지는 나무에 맞아 허리를 다쳤다. 적절한 이침 치료 혈위는? ->대이륜 상각의 하단과 삼각와의 중점이 만나는 곳 (요저부)
28
32. 눈을 치료하기 위해 쓸 수 있는 경락
1. 소장 (목내자,목외자 둘다) 소장, 위, 양교, 음교, 독맥, 삼초, 담, 방 중에서 고름 / 음경: 임심간 *목내자(정명): 방소위 쌍교독: 방,소,위, 양교, 음교 독맥 *목외자(동자료): 초소담: 삼초, 소장, 담 *눈 경별: 간담위심 *눈과 연결되어 순행하는 경맥은? 음교맥, 양교맥, 임맥
29
33. 심장의 문제가 있는데 위경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이유?
-> 경별이 심으로 지나가므로 *심으로 가는 경별: 방위담소 비간심
30
34. 매화침, 칠성침으로 치료할수 있는 것?
피부문제, 위통 치료 * 피부두 현실이 고달픈지 위해 위해 -피부, 두통, 실면, 고혈압, 위통, 위증
31
36. 대상포진 환자에게 부항을 하려하는데 발진이 있다. 어떻게 하겠는가?
보기에는 시행하지 않는다가 없어서. 통증을 줄여 줄 수 있는 다른 부위에 부항을 한다.
32
37. 환자에게 치료를 중지할 때 어떻게 해야 하나?
치료중단 의사를 서면으로 통보하고 주변에 한의사 명단을 보내준다.
33
38. 비양허 케이스 주고 어떤 뜸?
격강구 만복사비관( 만성복통, 설사, 비위질환, 관절염) *비위허한, 설사, 복통, 관절염, 비증을 치료하는 구법은: 격강구 *윤폐, 온중지구하며 양허 치료에 사용하는 구법 / 착비 : 격강구
34
39. 급성염좌에 어떤 치료?
부항 폐위두고월 독비급 폐부(기침,천식), 위부(위병, 위통), 두통, 고혈압, 월경통. 비궤양성종기 *독사교상, 非궤양성 종기, 급성 요상어혈 (허리, 발목의 염좌) : 부항 *부항금기: 앨고경이 궤양난 잉부하복을 대수출 하지마라.
35
40. 급성복통 케이스 주고 어떻게 치료?
격염구 *복통, 설사, 이질, 산통? 격염구 (신궐구, 사역탕, 후계-신맥, 소음한화증, 임신비) *격염구: (소금장수)가 대망의 요리책을 급히 복사하다 산통난 지복. *대한, 망양, 요제통, 하리, 급성복통, 급성설사, 산통, 지냉, 복맥 방제는? 사역탕(회양구역) *사지냉, 설사, 맥미욕절 등의 사역탕 증을 도울 수 있는 것은? 사역탕, 격염구
36
41. 잉부에게 할 수 없는 것?
전침, 삼릉침
37
42. 잉부 금기 본초
삼릉 아출 목단피, 차전자, 삼칠, 연호색, 천남성, 우슬, 사간, 익모초 *유목된 구식 화분통을 왕소의 목단차에 싣고 삼연간 망을 본 부자 홍도 엄마가 능출한 천남성의 사우나에서 천상갑의 공갈유 듣고, 오오 사간 우슬 *잉부금침: 상견례 곤지 결합: 삼음교, 견정, 곤륜, 지음, 결분, 합곡
38
43. 금구하는 혈자리
인영 *정인위 +찬.사.아.풍 : 정명, 인영, 위중./찬죽,사백,아문,풍부 * 금구 경외기혈: 태양, 상염천, 어요, 구후(눈깔 태운다) *금침금구: 유중
39
44. 사봉 위치주고 치료할 수 있는 질병
제2,3,4,5 장면, 근위지관절 횡문 중앙 소아영양결핍(소아감적), 돈해 *내족하(조카) 태사비 -> 내관, 족삼리, 하완, 태백, 사봉, 비수 (위수도 좋다)
40
45. 협승장의 자침방법
0.5-1.0 사자 승장 1촌옆 *협승장, 요통혈 :딸딸이 사자는 협승장과 요통혈: 0.5-1.0 사자
41
46. 팔풍의 위치와 자침방법
*족배 지봉단의 요함중 지복연의 후방/ 좌우: 8혈 0.5~0.8촌 사자 *팔풍과 팔사(손가락): 서근, 거풍습, 활혈
42
47. 간질치료 혈자리
요기, 사신총, 십선 (요사십) *요기(간질의 요혈): 1.0~2.0촌 상향 횡자/ 미골첨단 2촌직상/ 간질,불면,변비 *사신총: 백회 전후좌우 1촌/ 0.5-1.0 횡자 / 두통,불면, 건망, 현훈, 간증 *십선: 열손가락 첨단 지갑 0.1촌 떨어진 곳/0.1-0.2 천자,점자사혈 / 중풍,혼미,간질,고열,소아경풍
43
48. 우하복 통증 케이스 주고-
*난미혈: 족삼리 2촌 아래 1.0-1.2 직자 / 급성난미염(충수염),소화불량,하지탄탄 *신비한 난이 백개다 112 바로. 신수(0.8-1.2 직자 중국침구학), 비중, 난미혈, 백충와만 1.0~1.2촌 *백충와: 혈해상 1촌(슬개골 내측상연 3촌위): 풍진 습진 충적
44
49. 무릎 치료에 가능한 혈자리
독비, 학정, 양릉천, 양구, 슬안, 혈해, 백충와 *축구 후에 무릎 위쪽이 부어 있고 통증이 심하다. x-레이 결과 뼈에 아무 이상이 없었다. 치료 혈위는? 양구, 혈해, 음릉천
45
50. 삼초수의 자침법 0.5-1.0 직자
요추1번(L1) 현추 - 삼초수 – 황문(기사) – 비근(오빠) *L5 디스크 치료 : 삼초수 신수 대장수, 관원수 위중 은문 (신대관)
46
51. 소양두통의 형태와 혈자리
편두통, 측두통-태양, 솔곡,외관. 족임읍, 협계 *외관, 족임읍, 협계, 솔곡, +본신, 신정, 현로, 현리 *왼쪽 편두통 치료시 좌우배혈법에 근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혈위는? 왼쪽 외관, 오른쪽 족임읍 *측두통을 치료하는 것은? 대맥, 양유맥 (외관, 족임읍) / 시호, 천궁 *측두부로 올라가는 기경은? 양유, 양교맥
47
52. 비기허를 유발하는 감정
사(思) 생각을 많이 하면~
48
53. 오장의 기능
화저통운 : 화생, 저장 통제, 운화 *오장의 기능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정기를 화생하고 수곡정미를 저장 및 흡수한다.
49
54. 힘이 넘쳐 통제 못함(실증)
골수혈의 실증 백회,풍부 *마약중독자가 힘이 넘쳐서 자기를 통제 못한다. 무엇의 항진인가? 수해혈 -백회 풍부 *현훈,이명 (수해혈 허증): 백회, 풍부 *살이 찌는 느낌 체증증가는? 혈해혈 (몸이 커짐: 실증 / 대저, 상거허, 하거허) *환자가 복부 창만감을 느낀다. 가장 가능성이 있는 병변 부위는? 수곡지해 실증-기충,족삼리
50
55. 소변문제 치료할 수 있는 혈자리
위양 *소변불리를 치료하는 하합혈? 위양 *소변불리, 유뇨를 치료하는 혈은? 위양 *허리가 아픈 사람을 육부하합혈로 치료? 방광경의 하합혈 위중(UB:40)
51
56. 위양의 위치와 자침깊이
위중외측, 대퇴이두근건 내연 0.5-1.0 직자
52
57. 족삼양의 공통병후
신지병(정신병), 열병 족삼양 교회혈: 대추, 백회, 양교, 현종 수삼양(대, 삼, 소): 인후 족삼양: 신지, 눈병,열병 수삼음: 흉부 족삼음: 부인과병 *수삼양경과 족삼양경의 공통병후? 열병
53
58. 족삼양의 교회혈
대추, 백회, 양교, 현종 중 보기에 양교만 있었음(대추가 중요)
54
59. C 형 간염의 잠복기?
14-180일 나옴
55
60. 이침- 교감(하각단)의 위치
대이륜 하각의 상연과 평행하는 대 이륜에 있다. *교감(=하각단) (암기법: 교감선생님이 다리가 짧다) 교감의 위치는 대이륜 하각의 말단
56
61. 이침- 이하선염 치료 혈자리
대병첨(평천,사선), 면협, 뇌, 내분비(병간) *대병첨(기침,효천): 대이병의 첨단 *이하선염 치료혈 : 외관, 예풍, 협거, 합곡, 곡지, 열결, 태충, 곡천
57
62. 요통과 소변문제 동시주고 이침 혈자리
요도혈 *유뇨, 빈뇨, 뇨급, 뇨통이 있다면? 대이륜 하각하연과 서로 평행하는 이륜처
58
64. 풍비의 치료혈위
격수, 혈해 / 풍박부 : 설태박니 부긴,부완
59
65. 2 개월 임산부 임신오조에 쓸수 있는 혈자리
중완, 족삼리, 내관, 태충, 단중
60
66. 소변문제에 쓸 수 있는 방제
저용팔: 저령탕(심불해저), 용담사간탕(간담습열,생식기 문제), 팔정산(방광습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