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1 Flashcards
*해수, 담중대혈, 인후건조와 통증, 천식, 도한, 오심번열, 설홍소태 등의 증상?
*70세 남성 환자, 만성적인 천식과 기관지염, 숨을 쉬기가 힘들고, 적은 양의 끈끈한 황색담이 있는 기침, 요통, 현훈 이명, 도한, 밤에 인후가 건조해짐 설태는 없고, 약간의 부분적인 두껍고 누런 무근태가 있다. 방제는?
폐신음허, 담중대혈
*백합고금탕에서 다량의 객혈: 길경을 빼고 백모근, 선학초
*발열. 흉협만통, 황달, 구고. 오심, 구토, 식욕저하, 월경부조, 음부소양, 설색이 붉고 황니태,맥이 현활삭 ?
*음부소양, 소화불량, 발기부전이 있다면?
*과량복용시 비를 손상하며, 또한 진액을 손상하여 음허를 유발하고, 심하면 양허까지도 유발
용담 사간탕
*객혈시 : 목단피, 측백엽 / 손발이 떨린다: 조구등, 절패모 / 눈 붉고,두통: 상엽,국화
심의 모자보사법
소충-보 / 소부-사
*심화, 신음허의 침구 치료는? 소충, 소부를 사하고 축빈, 관원, 지실, 태계를 보
*감기, 해수, 천식, 황색담, 인후통, 미오한, 설첨홍, 부삭맥인 환자를 치료하는 혈은?
열결, 합곡, 풍문, 폐수, 곡지, 대추, 소상, 공최
골절 케이스 주고 혈자리 선택
대저 (위치로 나옴) T1도도-대저-견외수(0.3-0.7사)
*쇄골이 부러졌을 때 쓰는 경혈은? 제1흉추 옆으로 1.5촌/도도 옆 1.5촌
복내구급통, 기천, 월경부조?
충맥-공손
팔맥교회혈 주치-심흉위-내관, 공손
*45세 남성, 위완부의 창만감, 트림, 오심구토와 함께 만성 소화불량을 호소한다.
맥은 실했고 긴장되어 있으며 특히 관부가 실하고 긴했다. 설태는 두꺼운 흰색이었다.
가장 적합한 침구선혈은? 내관-공손
*사역산중에 사용하면 좋은 혈위: 내관,공손
*창백한 혀, 면색위황, 불면, 건망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 치료 혈은? 내관 – 심혈허
*혈허로 인한 목 뒤의 통증, 두통에 가장 좋은 혈? 내관
*식적을 치료하는 혈? 양문, 하완, 내정, 여태, 내관, 공손
*임신 2-3 개월된 여성, 오심구토, 음식을 먹기도 힘들다. 침구처방을 하고자 한다. 적절한 치료혈
은? 중완, 내관, 공손 중족내공
*임신 2-3 개월 된 여성, 오심구토, 음식을 먹기도 힘들다. 체온이 상승 맥이 빠르고, 황달 증상이
보인다. 적절한 조치? 중완, 내관, 공손, 태충, 양릉천에 자침하면 오심구토와 황달이 치료
- 편두통 케이스 주고 혈자리 위치 고르는 문제- 보기중에 외관, 족임읍 들어간거 하나
*늘 피곤하고 소화도 불량한 여성 환자가 월경 때만 되면 먼저 두통이 시작된다고 호소하며 내원
하였다. 이번에는 후두통이 있는 듯하다가 좌측 편두통으로 전이되었다고 한다. 치료혈은?
백회, 기해, 간수, 비수 족삼리. 외관. 중저, 족임읍, 태양, 솔곡
*편두통: 양유, 대맥(외관, 족임음)?
*편두통 치료혈: 태양, 솔곡, 외관, 족임읍, 풍지
*좌측편두통? 왼쪽(좌): 외관 오른쪽: 족임읍,
*좌측 편두통을 두침: 우측 감각구 하 2/5 / 감각구:통증, 안면구: 하 2/5 : 편두통, 삼차신경통
*여성, 두통이 시작될 때는 한쪽 편두통에서 다시 천천히 눈, 이마, 미간으로 다시 머리끝, 뒷목으
로 통증이 간다. 가능한 병변 경맥은? 족양명경, 족태양경 족소양경, ,족궐음경, (위방담간)
- 위화 케이스(잇몸출혈, 소곡선기..), 오수혈중 어느 혈자리? “내정”
*내정, 형혈이므로 열을 꺼줌 : 형혈: 심신열
*상복작열감, 잇몸출혈, 소곡선기, 변비, 소변단적, 찬물마심, 구취, 항문작열감? 청위산(군:황연)
*오한, 미발열, 치통, 잇몸이 빨갛게 붓고 피가 난다. 진단은? 위화상락
- 양교맥의 극혈
3부양 곤륜 직상으로 3촌 / 신맥: 외불간 내요배주
*불면이 있는 환자가 간질과 족외번을 호소한다. 치료혈: 3부양
여구의 자침방법
0.3-0.5촌 횡자, 연피자, 복재신경
내과첨단에서 5촌 직상한 곳으로 경골 내측면에 있으면서, 경골 가까운 곳에 자침
*늑간신경통과 가장 관련된 경락 및 치료혈(여구,양릉천,지구) : 간경, 기문, 지구, 양릉천, 구허
*음위(양위)의 원인과 치료혈은? 심비의 손상과 명문화의 쇠약/여구, 관원, 삼음교, 신문, 명문
- 기흉을 피하기 위해 심수, 비수에 어떻게 자침해야 하는가?
10-20 mm 사자 (대저~비수: 0.5-0.7 사자)
삼초수: 0.5-1.0직자
- 기흉의 전조증상 고르는거 : 흉통, 기침, 심하면 호흡곤란, 청색증, 혼수
*X-Ray결과, 종경동이 한쪽으로 이동, 흉부에 과한 공명음(resonance)이 한쪽에서 들린다면? 기흉
*폐부위 자침 후 가슴에 통증, 기침? 침을 뽑고 911 혹은 상황을 보다가 악화되면 911
*훈침 전조증상: 어지럽고, 식은땀 토하고 싶다 심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쇼크 /심하면 911
*훈침 예고 증상: 식은 땀, 약한 맥박, 기단
*훈침 치료: 소료, 인중, 내관, 중충, 족삼리, 용천, 합곡 *뜸: 백관기 백회, 관원, 기해
- 경문 위치(12 늑간..)주고 어느 경의 모혈인가?
신경
*12경문-신, 11장문-비, 7일월-담, 6기문-간모혈
- 담경 형혈의 위치
협계, 족배에서 4, 5지 지봉간, 지복연의 후방
- 양로혈 자침시 자세
- 수태양경의 극혈이며, 척골소두 배면, 척골 경상돌기 요측 골봉에 있는 혈의 취혈법?
->팔꿈치를 굽혀 손을 가슴에 댄다
*척골경상 돌기 요측, 골봉 속 / 0.3-0.5 직자
- 후계 위치 주고 주치 고르는 것
-> 제5 중수지관절 후연 0.5-0.7 직자
*급성요통 4대혈자리: 인위후요(인중, 위중, 후계, 요통)
*동작표시(취혈법): 백곡후풍 (백회, 곡지, 후계, 풍시)
*후계+신맥은 팔맥교회혈: 목내자(눈의 안쪽), 경항, 견배
*한 여성이 손, 발, 무릎이 항상 차고 추위를 싫어하며 잠을 새우처럼 구부려서 자고 기운이 없으
며 항상 잠이 온다고 호소하였다. 이 환자의 설은 담하고 태는 백활, 맥은 침세무력 하였다. 팔맥
교회혈로 위 환자를 치료? 후계, 신맥 (소음한화증 사역탕)
- 급성 어깨 통증 케이스 주고
조구 : 외과상 8촌 / 독비-해계 상거허 하 2촌 0.5-1.0 직자
*공사판에서 일하는 남자가 팔을 들 때 어깨 통증이 있다. 일하면서 무거운 것을 많이 들고 일과후 동료들과 맥주를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치료혈?
견우, 곡지, 견전, 풍륭, 조구
- 천식환자(열증이 포함된)가 침을 맞고 황색 가래가 맑은 물같은 가래로 바뀌었다. 혈자리 처방을 어떻게 바꾸는가?
*황담, 기침, 발열이 있는 환자에게 척택, 소상, 풍륭, 어제, 중완을 자침 후 기허증상과 함께 백색의 담을 뱉기 시작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치료법은?
->소상, 어제를 빼고 족삼리, 수분을 보한다
- 수삼양의 교회혈?
4삼양락 - 양지 위 4촌, 요골과 척골사이
- 육부하합혈의 위치 위에서 아래로 순서
담, 위, 대, 소
- 내관 위치주고 자침깊이
완횡문상 2촌, 장장근건과 요측완굴근건사이
*음유맥의 기경팔맥혈이며, 완횡문상 2촌, 장장근건(수장기건)과 요측수근굴근건(완굴기건) 사이에 위치하며 심통, 흉민, 심번을 치료하는 혈?
내관 오빠 0.5-0.8촌 직자
- 담허 케이스 문제
소심이란 단어가 들어감 (구허: 담허 / 완골: 판단력)
*소심한 여성 환자, 자식들에게 엄마 노릇을 잘 하지 못한다고 불평을 들은 후로, 잠이 들기가 힘들다. 면색이 창백하고, 판단력이 저하된다. 세상에서 혼자인 꿈을 자주 꾼다. 설담,맥현세?: 담허
*여성, 시력이 점점 감퇴되고 잦은 한숨을 쉰다. 쉽게 놀라며 겁이 많고 항상 긴장되어 있는 듯하다. 설색은 담홍하고 맥은 약했다.? 담허-구허 05.-0.8 직자
*어지럽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조그만 일에도 쉽게 놀란다. 자꾸 한숨을 쉬며 용기 및 결단력이 부족: 담허
*새벽에 일어나서 잠을 못자며 괴롭힘을 당하거나 자살하는 꿈: 담허
*남에게 시달리는 꿈을 꾸며 새벽에 깨서 잠들지 못한다면? 담허
*결단력이 부족 남에게 시달리는 꿈을 꾸며 새벽에 깨서 잠들지 못한다.: 담허
*어지럽고 시력저하, 정신혼탁, 한 곳을 멍하게 주시, 겁이 많고 잦은 한숨,맥이 약함?: 담허
- 12 경맥 병후- 이명이 들어간 문제
삼초
*이롱, 복창, 수종, 소변불리, 이명, 목외자통, 협종, 인후종통 등이 있던 환자가 왼쪽다리에 외측도 아프다. 진단은? 삼초
*인후종통, 복창, 수종, 이명, 이농, 협종, 유뇨, 소변불리는 어느 경맥의 병후: 삼초
*환자가 팔꿈치의 통증을 호소한다. 수소양삼초경의 경혈인 천정을 자침하고자 한다. 상하 배열법에 의해 추가하면 좋은 혈은? 양릉천 / 하합혈: 천정-양릉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