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300 Flashcards
1
Q
- 병원근무자들에게 요구되는 예방접종?
A
B형 간염
2
Q
- 급성질환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A
극혈
3
Q
- 격강구를 하는 환자가 너무 뜨겁다고 할 때는?
A
생강편을 들어 올린 후 피부를 살펴서 다시 뜸을 놓는다
4
Q
- 추위를 타며 면적 소변색은 노랗고 설홍 건조 맥침약, 옷은 입으려 하지 않는다면?
A
진열가한
5
Q
- 고혈압 환자의 병증은?
A
음양양허 습담조체 음허양항
6
Q
- 환자가 땀을 많이 흘리고 소변을 자주 본다 금기는?
A
사혈법
7
Q
- 침 하나로 같은 환자를 치료시 발생하는 감염은?
A
자가감염(자생감염)
8
Q
- 임신오조혈?
A
중완 족삼리 내관 태충 단중(간위불화)
Ren12, St36, Pc6, Lv3, Ren17(Lv St disharmony)
9
Q
- 온침?
A
관절염 복통
10
Q
- 얼굴에 붉은 반점과 얼굴색이 담황색이라면?
A
간어혈과 비허
11
Q
- 음사가 들어와서 병이 들었다면?
A
음이 성해서 양이 부족하여 한증
12
Q
- 정신이 맑지 못하고 몸이 거대하게 느껴진다면?
A
4해혈(혈해-충맥,기해-단중,수해-뇌,수곡의해-위)중 혈해실증
13
Q
- 치료중 동맥을 자침시 취할 방법?
A
5분간 출혈부위를 누른다 (정맥은 30~60초)
14
Q
- 피하에 침이 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MD에게 보낸다
15
Q
- 척추교정?
A
환자의 요구를 거절한다
16
Q
- 병의 허실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혈은?
A
원혈
17
Q
- 3개월된 임산부가 쓸 수 없는 혈은?
A
합곡 삼음교 차료 상료
LI4, Sp6, UB31, UB32
18
Q
- 부항 치료 후 피부에 문제가 있을 때는?
A
치료하지 않는다
19
Q
- 호흡곤란 심계 불면의 오행변증은?
A
금모화
20
Q
- 호흡곤란 심계 불면의 오행변증은?
A
금모화
21
Q
- 혈전이 있을때 본초?
A
지유
22
Q
- 신장에 자침 했을때 일어나는 현상?
A
혈뇨 저혈압
23
Q
- 오한발열 두통 소화가 잘 안되며 몸이 무겁고 백니태 활맥에 방제?
A
곽향정기산 /
24
Q
- 피모를 윤택하게 하는 기는?
A
위기
25
275. 호흡이 약하고 목소리가 약하다면 관련된 기는?
종기
26
276. 산모 출산후 땀을 많이 흘릴때 본토?
황기
27
277. 무릎반사의 검사?
L3
28
278. 인당의 공표?
안신 서풍 지경
29
279. 음교맥의 교회경?
족소음,족태양
30
280. 콜레스테롤이 생성하는 호르몬은?
알도스테론
31
281. 혈중 creatinine 검사는 어떤 장부와 관계있는가?
신
32
282. 임맥과 위경이 복부 깊은 곳에서 만나는 곳은?
중완 상완
Ren 12, Ren 13
33
283. 중풍후유증, 실어증이 있다면 방제?
천마구등음
34
284. 행간의 위치?
제1,2 지봉간 지복연 후방
35
285. 파킨슨병과 관련된 근육 긴장도의 이상은?
뻣뻣
36
286. 두침의 안면구 위치?
운동구 또는 감각구 하 2/5
37
287. 수유모에게 금하는 본초?
곡아 또는 맥아
38
288. 간을 촉진하는 방법?
정와위로 11,12늑간 뒤에 손을 넣어 앞쪽으로 밀며 간을 촉지
39
289. 열이 45-72시간 간격으로 왔다갔다 한다?
말라리아
40
290. 수면과 관련이 있는 것은?
혈+음
41
291. 위경 경락의 유주?
정명을 지나고 윗잇몸을 통과하여 승장으로 감
42
292. 양계의 압통이 관련된 골절은?
주상골
43
293. 햄스트링 근육에 속하는 것은?
대퇴이두근/반건양근/반막양근
44
294. 아문 자침시 주의사항?
상향사자
45
295. 골과 관절을 싸고 있는데 상피 세포가 존재하는 것은?
골막 근막 건막
46
296. 혈뇨의 원인?
혈열과 기허
47
297. 적백하리 이급후중 설태황니 맥활삭 또는 유삭. 진단?
습열리
48
298. 롬베르그 검사법?
감각성 실조
49
299. 간화상염의 금기음식?
mutton + garlic
50
300. 표증에 부항을 할 수 있는 혈은?
풍문 폐수UB13, UB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