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정치 질서 동요, 무신 정권 Flashcards
1
Q
고려 - 문벌
A
- 지방 호족 + 신라 6두품 유학자 -> 지배층, 문벌 형성
- 과거와 음서로 관직 독점
- 끼리끼리코끼리 혼인
2
Q
고려 - 이자겸의 난
A
- 딸 - 예종, 인종과 혼인
- 인종 - 이자겸 제거 시도, 반격 실패 =이자겸의 난
- 궁궐 소실
- 이자겸 - 금의 사대 요구 수용
- 제거 but 왕권 하락
3
Q
고려 - 서경 천도 운동
A
- 인종 - for 왕권 회복 -> 개혁 세력 등용 (윤언이, 정지상)
- 인종 - for 금 배격 여론 강 -> 개혁 세력 등용 (서경 승려 묘청)
- 개혁 세력 - 칭제건원
- 서경 세력(정지상, 묘청) - 풍수지리설, 서경 천도 주장, 금 정벌
- 개경 세력(김부식) - 반대, 유교, 금 사대
- 서경에서 묘청의 난 - 김부식 진압
4
Q
고려 - 무신 정변
A
- 의종 - 왕권 강화 츄라이 but 반발 -> 아몰랑
- 문벌 업, 무신 다운 - 토지 X, 공사 동원, 문신의 무신 무시
- 무신 정변 - 정중부, 이의방이 문신 제거, 의종 폐위
5
Q
고려 - 최씨 정권의 성립
A
- 무신 - 중방(회의기구)
But 권력 다툼, 집권자 자주 체인지 - 최충헌이 이의민 제거 후 수습
- 안정 정권 유지
- 국방력 강화
- 사회 개혁 소홀, 백성 수탈
6
Q
고려 - 최충헌
A
- 교정도감 - 정책 결정, 집행
- 도방 - 사병, 호위
7
Q
고려 - 최우
A
- 정방 - 자기 집에, 인사 행정
- 서방 - 문인 자문 - 문신 이규보 등용
- 야별초 - 도적 잡기 -> 좌별초, 우별초로 분리 -> 대몽 항쟁기에 삼별초
8
Q
고려 - 농민, 천민 봉기
A
- 정치 혼란, 신분 질서 흔들림, 수탈 -> 봉기
- 농민 봉기
1) 망이 망소이 형제의 난 - 명학소에서 세금 투머치
2) 김사미의 난 - 운문
3) 효심의 난 - 초전 - 천민 봉기
1) 전주 공노비 - 지방관 횡포
2) 사노비 만적 - 신분 해방 but 발각 실패 - 고백신 부흥 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