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Flashcards
1
Q
왕건의 인생 역전
A
- 송악 개성의 호족
- 궁예의 신하
- 공을 세워 태봉의 최고 관직인 시중
- 궁예가 왕권 강화 위해 호족 탄압 -> 호족들이 궁예 내쫓고 -> 왕건을 국왕으로 세움
- 왕건 - 국명 고려로
- 송악 천도
2
Q
고려의 후삼국 통일
A
- 신라와 우호적
- 후백제와 대립 - 공산전투 패, 고창 전투 승
- 후백제 내분 -> 견훤이 신검에게 왕위 빼앗김 -> 고려에 투항
- 신라 경순왕 - 고려에 나라 넘겨줌
- 고려 - 후백제 공격 -> 후삼국 통일
3
Q
고려의 후삼국 통일의 의의
A
- 고백신발 -> 민족 재통합
- 지방 세력 정치 참여 -> 정치 참여 세력 넓어짐
4
Q
태조의 정책
A
- 빈민 구제
- 호족 포섭
- 호족 견제
- 민족 통합
- 북진 정책
- 훈요 10조
5
Q
태조 - 빈민 구제
A
세금 감면
6
Q
태조 - 호족 포섭
A
- 혼인 관계
- 관직, 토지, 왕씨성 하사
7
Q
태조 - 지방 통치 보완 + 호족 견제
A
- 사심관 제도 - 호족/공신을 사심관으로 삼아 출신 지역을 다스리게 한 제도(최초 신라 경순왕)
- 기인 제도 - 호족 자제를 수도에 stay, 출신 지역 사 자문, 볼모로 삼음
8
Q
태조 - 민족 통합
A
- 신라, 후백제 세력 지배층으로
- .발해 유민 포용
9
Q
태조 - 북진 정책
A
- 고구려 계승 -> 고구려 영토 회복
- 서경(평양, 고구려의 수도) 중시
- 발해 유민 - 서북 지방에 가조토록
- 거란 배척
- 청천강~영흥만
10
Q
태조 - 훈요 10조
A
- 불교(연등회, 팔관회 열심!), 유교, 도교, 풍수지리설 짬뽕
- 중국 문화 주체적 수용
- 서경 중시
- 관리 임금 가감 X, 농민 부담 X
11
Q
광종
A
혜종, 정종 대 혼란혼란
광종 - 호족 견제, 왕권 강화
1. 노비안검법 - 호족 불법 차지 노비 양인으로 해방
2. 과거제 - 유교 인재
3. 공복 색깔
4. 반대 숙청!
5. 칭제건원
12
Q
성종
A
중집체 강화
1. 최승로 - 시무 28조 수용 - 유교 통치 이념으로, 지방관 파견, 불교/토착신앙행사 억제(재정 낭비)
2. 당, 송 제도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