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몽골의 침략 Flashcards
1
Q
고려 - 몽골과의 첫 만남
A
- 몽골이 금 공격 -> 금의 지배를 받던 거란인 반란 -> 몽골군에 쫓겨 고려에 침입 -> 고려, 몽골 연합 -> 거란인 있던 강동성 함락 -> 고려, 몽골 국교 맺음
- BUT 몽골 - 고려를 복속국 취급, 공물 요구
- 고려 방문한 몽골 사신 살해 -> 고려 침략
- 귀주성 등 북방의 성 저항 -> BUT 패배
- 최씨 정권 - 몽골과 강화, 북방의 점령지와 개경에 다루가치
2
Q
고려 - 대몽 항전
A
- 강화도 천도
- 백성 알아서~
- 몽골 침략 - 처인성 전투 패배 cuz 승려 김윤후와 처인 부곡의 백성이 몽골군 총사령관 살리타 죽이고 몽골군 물리침
- 특수 행정 구역 주민, 노비 저항
- 팔만대장경 제작
3
Q
대몽 항쟁으로 소실된 것은?
A
초조대장경 판목
경주 황룡사 9층 목탑
4
Q
고려 - 몽골과의 강화, 몽골의 내정 간섭
A
- 여론 - 아휴 그러자
- 최씨 정권 - 시른데 계속 정권 유지할 건데
- 무신 - 최씨 정권 아웃, 몽골과의 강화
- 쿠빌라이와 원종 - 고려 독립, 풍속 유지 조건으로 강화 맺음
- BUT 쿠빌라이 - 개경 천도해라, 일본 원정 인력 물자 대라
- 무신 정권 - 몽골 재저항 츄라이 but 내분, 개경 천도
5
Q
고려 - 삼별초의 미련
A
-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 = 삼별초
- 개경 천도 하지마앙아아앙 -> 봉기
- 강화 -> 진도 -> 제주도
6
Q
고려 - 원의 내정 간섭
A
- 정치적 독립 but 몽골(원)의 내정 간섭
- 철령 이북 쌍성총관부
서경에 동녕부
제주도에 탐라총관부
-> 고려의 영토 일부 직접 지배 - 일본 원정 - 물자, 병사 제공받음, 정동행성 폐지 X
- 국왕 - 원의 공주와 혼인
- 왕자 - 원 성장, 교육
- 이름 제후국 격 낮아짐 -> 전하, 세자, 충자 시호
- 공물 - 금, 인삼, 사냥용 매(응방), 환관, 공녀
- 몽골풍, 고려양
- 고려의 국왕 마음대로 임명, 퇴위
7
Q
고려 - 권문세족
A
- 친원
- 문벌 가문 or 통역, 원에서 국왕이나 왕자를 수행
- 기철 짱 - 원 황실과 혼인 관계
- 높은 관직 독점
- 음서 통해 권력 세습
- 횡포, 가난한 백성을 노비로 만들어 농장 경영 -> 국정 궁핍
- 충선왕, 충목왕 개혁 시도 but 실패
8
Q
고려 - 공민왕의 개혁
A
원 쇠퇴
1. 친원(기철) 세력 제거
2. 정동행성이문소 폐지 - 고려의 내정 간섭 기구
3. 쌍성총관부 공격
4. 왕실 호칭, 관청 제도 복구
5. 원의 풍습 금지
6. 승려 신돈 등용 - 내정 개혁 추진
7. 전민변정도감 - 권문세족이 빼앗은 토지, 노비 줌, 불법 노비 해방
8. 성균관 정비, 유학 교육 강화
=> 자주성 되찾음, 새로운 정치 세력 성장 기반 마련
BUT 권문세족 반발, 공민왕이 신돈 제거, 공민왕도 시해당함ㅋ
9
Q
고려 - 신진 사대부
A
- 하급 관리 or 지방 향리 자제 or 권문세족
- 성리학
- 과거 급제 -> 관직 진출
- 공민왕의 개혁 - 크게 성장
- 권문세족 비리 비판
- 친명
10
Q
고려 - 신흥 무인 세력
A
- 홍건적(원 반란 농민군) - 한때 개경 함락
- 왜구 - 해안 지방 약탈 -> 내륙, 개경 침입
- 신흥 무인 세력 - 외적 침입 물리침 -> 백성 신망, 정치 세력
ex) 최영, 이성계
11
Q
고려 - 요동 공격
A
- 고려 - 명과 외교 관계
- BUT 명 - 고려=속국, 공물 요구, 옛 쌍성총관부 지역직접 통치 선언
- 우왕, 최영 - 요동 공격 결정
- 신진 사대부 - 외교적으로 해결하자~~, 이성계 - 나도 잉 우왕이 명령해씀
12
Q
고려 - 위화도 회군
A
- 이성계 - 위화도 회군, 개경 장악, 우왕, 최영 몰아냄, 정치, 군사의 실권 잡음
13
Q
고려 - 조선 건국
A
- 신진 사대부 분열
1) 온건파(이색, 정몽주) - 고려 전기 제도 회복
2) 급진파(정도전, 조준) - 새 왕조 - 이성계 - 급진파 사대부가 좋아, 조세/토지제도 개혁 -> 권문세족 경제 기반 약화, 정몽주 제거
- 공양왕이 이성계에게 왕위를 내어 주어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