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TOMY & P~B(3) Flashcards
심첨(apex of heart)의 해부학적 위치를 가장 정확히 설명한 것은?
A. 제2늑간극(intercostal space)
B. 제3늑간극
C. 제4늑간극
D. 제5늑간극
D. 제5늑간극
심저(base of heart)의 해부학적 위치를 가장 정확히 설명한 것은?
A. 제2늑간극(intercostal space)
B. 제3늑간극
C. 제4늑간극
D. 제5늑간극
A. 제2늑간극(intercostal space)
심자(深刺)할 경우 심첨(apex of heart)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경혈은?
A. ST17(유중)
B. ST18(유근)
C. KI22(보랑)
D. KI23(신봉)
C. KI22(보랑)
만약 전흉부에 자침 중 부주의로 심장을 찔렀다면 다음 중 찌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심방이나 심실은?
A. 우심방(Rt. atrium)
B. 우심실(Rt. ventricle)
C. 좌심방(Lt. atrium)
D. 좌심실(Lt. ventricle)
B. 우심실(Rt. ventricle)
좌심방(Lt. atrium)과 좌심실(Lt. ventricle) 사이의 판막(heart valve)은?
A. 대동맥판(aortic valve)
B. 폐동맥판(pulmonary valve)
C. 삼첨판(tricuspid valve)
D. 승모판(mitral valve)
D. 승모판(mitral valve)
문-5의 보기 중 우심방(Lt. atrium)과 우심실(Lt. ventricle) 사이의 판막(heart valve)은?
A. 대동맥판(aortic valve)
B. 폐동맥판(pulmonary valve)
C. 삼첨판(tricuspid valve)
D. 승모판(mitral valve)
C. 삼첨판(tricuspid valve)
문-5의 보기 중 가장 전방(anterior)에 위치한 것은?
A. 대동맥판(aortic valve)
B. 폐동맥판(pulmonary valve)
C. 삼첨판(tricuspid valve)
D. 승모판(mitral valve)
B. 폐동맥판(pulmonary valve)
심장의 판막(heart valve) 중 일명 반월판(semilunar valve)라고 부르는 판막들의 조합은?
가. 대동맥판(aortic v.)
나. 폐동맥판(pulmonary v.)
다. 삼첨판(tricuspid v.)
라. 승모판(mitral v.)
A. 가 나
B. 가 다
C. 다 라
D. 나 라
A. 가 나
폐동맥판(pulmonary valve)이 닫힐 때의 소리를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위치는?
A. 제2늑간극
B. 제3늑간극
C. 제4늑간극
D. 제5늑간극
A. 제2늑간극
대동맥판(aortic valve)이 닫힐 때의 소리를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위치는?
A. 제2늑간극
B. 제3늑간극
C. 제4늑간극
D. 제5늑간극
A. 제2늑간극
승모판(mitral valve)의 해부학적 위치에 가장 가까운 것은?
A. 제2늑연골(costal cartilage)
B. 제3늑연골
C. 제4늑연골
D. 제5늑연골
C. 제4늑연골
승모판(mitral valve)이 닫힐 때의 소리를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위치는?
A. 제2늑간극
B. 제3늑간극
C. 제4늑간극
D. 제5늑간극
D. 제5늑간극
순환계의 일차적 교환혈관(primary exchange vessel)이라 불리는 것은?
A. 동맥(artery)
B. 세동맥(arteriole)
C. 모세혈관(capillary)
D. 세정맥(venule) E. 정맥(vein)
C. 모세혈관(capillary)
보기 중에서 순환계의 저항혈관(resistance vessel)이라고 불리는 것은?
A. 동맥(artery)
B. 세동맥(arteriole)
C. 모세혈관(capillary)
D. 세정맥(venule)
E. 정맥(vein)
B. 세동맥(arteriole)
보기 중에서 순환계의 용적혈관(capacitance vessel)이라고 불리는 것은?
A. 동맥(artery)
B. 세동맥(arteriole)
C. 모세혈관(capillary)
D. 세정맥(venule)
E. 정맥(vein)
E. 정맥(vein)
대동맥궁(aortic arch)의 3대 분지가 아닌 것은?
A. 우총경동맥(Rt. common carotid a.)
B. 무명동맥(innominate a.)
C. 좌총경동맥(Lt. common carotid a.)
D. 좌쇄골하동맥(Lt. subclavian a.)
A. 우총경동맥(Rt. common carotid a.)
윌리스환(cerebral arterial circle of Willis)을 구성하는 동맥은?
A. 추골동맥(vertebral a.)
B. 외경동맥(external carotid a.)
C. 요동맥(lumbar a.)
D. 늑간동맥(intercostal a.)
A. 추골동맥(vertebral a.)
다음은 자침 시 동맥 손상(arterial injury)을 피해야 할 경혈(acupoints)이다. 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A. 기충(ST30)
B. 충양(ST42)
C. 충문(SP12)
D. 대영(ST5)
A. 기충(ST30)
이화료(TE20)를 자침 시 손상을 피해야 할 동맥(artery)은?
A. 안면동맥(facial a.)
B. 총경동맥(common carotid a.)
C. 천측두동맥(superficial temporal a.) D. 안와하동맥(infraorbital a.)
C. 천측두동맥(superficial temporal a.)
자침 시 대퇴동맥(femoral a.)의 손상에 주의해야 할 경혈(acupoints)은?
A. 곡골(CV2)
B. 횡골(KI11)
C. 기충(ST30)
D. 충문(SP12)
E. 급맥(LR12)
D. 충문(SP12)
수오리(LI13)의 자침 시 주의해야 할 동맥(artery)은?
A. 척골 측부동맥(ulnar collateral a)
B. 척골 반회동맥(ulnar recurrent a)
C. 요골 측부동맥(radial collateral a)
D. 요골 반회동맥(radial recurrent a.)
C. 요골 측부동맥(radial collateral a)
경거(LU8) 및 태연(LU9)의 자침 시 손상을 피해야 할 동맥(artery)은?
A. 액와동맥(axillary a.)
B. 상완동맥(brachial a.)
C. 요골동맥(radial a.)
D. 척골동맥(ulnar a.)
C. 요골동맥(radial a.)
자침 시 총경동맥(common carotid a.)의 손상을 주의해야 할 경혈(acupoints)은?
A. 천돌(CV22)
B. 결분(ST12)
C. 인영(ST9)
D. 천정(LI17)
C. 인영(ST9)
기문(SP11)을 자침 시 주의해야 할 동맥은?
A. 대퇴동맥(femoral a.)
B. 슬와동맥(popliteal a.)
C. 비골동맥(peroneal a.)
D. 후경골동맥(post. tibial a.)
A. 대퇴동맥(femoral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