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TOMY & P~B(1-2) Flashcards

1
Q

호흡기계는 크게 상기도(upper respiratory tract)와 하기도(lower respiratory tract)로 구분된다. 다 음 중 상기도에 속하는 것은?
A. 후두(larynx)
B. 기관(trachea)
C. 기관지(bronchus)
D. 폐(lung)

A

A. 후두(laryn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다음은 비중격(nasal septum)을 구성하는 골이나 연골이다. 이 중 관련이 없는 것은?
A. 비골(nasal bone)
B. 서골(vomer)
C. 비중격연골(septal nasal cartilage)
D. 사골(ethmoid bone)

A

A. 비골(nasal bon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비강내 후각 점막(olfactory nerve)이 주로 분포하는 부위는?
A. 비강의 전방 1/3
B. 비강의 후방 2/3
C. 비강의 상방 1/3
D. 비강의 하방 2/3

A

C. 비강의 상방 1/3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다음의 부비동(paranasal sinus) 중 그 용적이 가장 큰 것은?
A. 전두동(frontal sinus)
B. 상악동(maxillary sinus)
C. 접형동(sphenoid sinus)
D. 사골동(ethmoid sinus)

A

B. 상악동(maxillary sinu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보기 중 그 개구부(opening)가 비강에서 가장 상방(superior)에 위치한 것은?
A. 전두동(frontal sinus)
B. 상악동(maxillary sinus)
C. 접형동(sphenoid sinus)
D. 사골동(ethmoid sinus)

A

C. 접형동(sphenoid sinu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상악동(maxillary sinus)은 비강의 어느 부위에 개구(opening)하는가?
A. 접사함요(sphenoethmoidal recess)
B. 상비도(superior nasal meatus)
C. 중비도(middle nasal meatus)
D. 하비도(inferior nasal meatus)

A

C. 중비도(middle nasal meatu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이관(auditory tube or Eustachian tube)이 서로 연결하는 부위의 올바른 조합은?
A. 중이(middle ear) ↔ 인두(pharynx)
B. 중이(middle ear) ↔ 후두(larynx)
C. 내이(inner ear) ↔ 인두(pharynx)
D. 내이(inner ear) ↔ 후두(larynx)

A

A. 중이(middle ear) ↔ 인두(pharyn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소아에서 감기 등으로 비대해진 편도(tonsil)를 아데노이드(adenoids)라고 하고 기도 폐쇄가 심하면 절제술의 적응이 되기도 한다. 아데노이드란 편도 중 어느 부위를 가리키는가?
A. 설편도(lingual tonsil)
B. 구개편도(palatine tonsil)
C. 이관편도(auditory tube tonsil)
D. 인두편도(pharyngeal tonsil)

A

D. 인두편도(pharyngeal tonsi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다음은 후두(larynx)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가장 관련이 먼 것은?
A. 연하(swallowing)시 흡인(aspiration)방지
B. 발성(speech)
C. 공명작용(resonance)
D. 호흡(공기의 통로)

A

C. 공명작용(resonanc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기관(trachea)이 시작되는 부위는?
A. 갑상연골(thyroid cartilage)
B. 윤상연골(cricoid cartilage)
C. 피열연골(arytenoid cartilage)
D. 설상연골(cuneiform cartilage)

A

B. 윤상연골(cricoid cartilag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다음 중 폐포(alveoli)의 총 면적에 가장 가까운 것은?
A. 20-50m2
B. 50-100m2
C. 100-150m2
D. 150-200m2

A

B. 50-100m2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가스교환(gas exchange)이 이루어지는 폐의 호흡구역(respiratory zon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종말 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
B. 폐포(alveoli)
C. 폐포관(alveolar duct)
D. 폐포낭(alveolar sac)

A

A. 종말 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폐 엽(lung lobes)과 구역(lung segments)의 수를 가장 정확히 표시한 것은?
A. 좌폐: 2엽 8구역
B. 좌폐: 3엽 10구역
C. 우폐: 2엽 10구역
D. 우폐: 3엽 8구역

A

A. 좌폐: 2엽 8구역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다음의 호흡근(respiratory muscle) 중 주로 흡기(inspiration)에 관계하는 근육이 아닌 것은
A. 내늑간근(internal intercostal m.)
B. 척주기립근(erector spinae)
C. 외늑간근(external intercostal m.)
D. 소흉근(pectoralis minor)

A

A. 내늑간근(internal intercostal 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다음의 호흡근(respiratory muscle) 중 주로 호기(expiration)에 관계하는 근육은?
A. 복근(abdominal m.)
B. 전사근(anterior scalene m.)
C. 횡격막(diaphragm)
D. 흉쇄유돌근(SCM)

A

A. 복근(abdominal 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숨을 최대한 크게 들이쉰 다음 공기를 최대한 내뱉을 때 나온 폐용량(lung capacity)을 폐활량(vital capacity)라고 한다. 정상 성인에서 그 용량은 대개 얼마나 되나.?
A. 1,200cc
B. 2,400cc
C. 3,600cc
D. 4,800cc

A

D. 4,800cc

17
Q

숨을 최대한 크게 들이쉰 다음 공기를 최대한 내뱉더라도 폐에 남아 있는 폐용적(lung volume)을 잔 기량(residual volume)이라고 부르는데 정상 성인에서 그 용적은 대개 얼마나 되나?
A. 500cc
B. 800cc
C. 1,200cc
D. 1,500cc

A

C. 1,200cc

18
Q

폐활량계(spirometer)를 사용하여 폐용적(lung volume)을 검사했을 때 총폐용량(total lung capacity)을 나타내는 것은?
A. 폐활량(vital capacity) + 잔기량(residual volume)
B. 폐활량(vital capacity) + 흡기잔기량(inspiratory reserve volume)
C. 일회호흡량(tidal volume) + 호기잔기량(expiratory reserve volume)
D. 일회호흡량(tidal volume) + 잔기량(residual volume)

A

A. 폐활량(vital capacity) + 잔기량(residual volume)

19
Q

다음 중 건강한 성인에서의 폐활량(VC: vital capacity)에 가장 가까운 수치는?
A. 1-2L
B. 2-3L
C. 3-4L
D. 4-5L

A

D. 4-5L

20
Q

폐활량 측정법(spirometry)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A. 일회호흡량(tidal volume)
B. 흡기잔기량(inspiratory reserve volume)
C. 호기잔기량(expiratory reserve volume)
D. 잔기량(reserve volume)

A

D. 잔기량(reserve volume)

21
Q

성인에서 FEV1/FVC의 정상 범위는?
A. 45-50%
B. 55-60%
C. 65-70%
D. 75-80%
E. 85-90%

A

D. 75-80%

22
Q

다음의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의 항목 중 폐쇄성 폐질환(obstructive lung disease) 을 가진 환자에서 정상치 보다 증가할 수 있는 것은?
A. FVC(강제 폐활량)
B. FEV1(1초 강제 호기량)
C. FEV1/FVC
D. 잔기량(RV)

A

D. 잔기량(RV)

23
Q

정상 성인의 1회 호흡량(tidal volume)은 약 500cc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들이마시더라도 일부 공 기는 기도를 채우기만 하지 실제 가스교환에는 참여하지 못하므로 이를 해부학적 사강(anatomical dead space)이라 부르는데 그 용적은 얼마나 되나?
A. 50cc
B. 150cc
C. 250cc
D. 350cc

A

B. 150cc

24
Q

다음 중 정상 성인의 분당 호흡수에 가장 가까운 것은?
A. 8-12회
B. 12-18회
C. 20-26회
D. 40-60회

A

B. 12-18회

25
Q

오랫동안 흡연을 한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는 호기가 길어지는 호흡을 보인다. 이러한 호흡 은?
A. 폐쇄성 호흡(obstructive breathing)
B. 한숨성 호흡(sighing breathing)
C. 불규칙 호흡(ataxic breathing)
D. 체인-스톡스호흡(Cheyne-Stokes breathing)

A

A. 폐쇄성 호흡(obstructive breathing)

26
Q

당뇨병(diabetes mellitus) 환자들은 혈중의 대사산물 중 케톤체(ketone body)의 증가로 인해 심한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때 심한 산증이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깊고 빠 른 과호흡(hyperpnea)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호흡 형태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A. 쿠스마울 호흡(Kussmaul respiration)
B. 지속성 호흡(apneusis)
C. 체인-스톡스 호흡(Cheyne-Stokes respiration)
D. 바이오트 호흡(Biot’s breathing)

A

A. 쿠스마울 호흡(Kussmaul respiration)

27
Q

보기 중에서 호흡이 점점 깊어져서 어느 정점을 이룬 후 얕아지기 시작하여 무호흡상태 (apnea)에 빠졌다가 다시 과호흡-무호흡형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비정상적인 호흡 형태로 주로 중병 의 말기에 나타나는 것은?
A. 쿠스마울 호흡(Kussmaul respiration
B. 지속성 호흡(apneusis)
C. 체인-스톡스 호흡(Cheyne-Stokes respiration)
D. 바이오트 호흡(Biot’s breathing)

A

C. 체인-스톡스 호흡(Cheyne-Stokes respiration)

28
Q

동맥가스분석(ABG) 상으로 동맥 pH의 정상 범위는?
A. 6.95-7.05
B. 7.05-7.15
C. 7.15-7.25
D. 7.25-7.35
E. 7.35-7.45

A

E. 7.35-7.45

28
Q

사람이 죽기 전의 호흡은?
A. 불연속적이고 들쑥날쑥한 거친 호흡
B. 서서히 느린 작은 호흡
C. 깊은 호흡과 무호흡이 번갈아 발생
D. 숨이 가쁘고 헐떡거려 곤란하고 담명, 간대성 근경련을 동반

A

C. 깊은 호흡과 무호흡이 번갈아 발생

29
Q

동맥가스분석(ABG) 상으로 동맥 CO2 분압(PaCO2)의 정상 범위는?
A. 25-35 mmHg
B. 35-45 mmHg
C. 45-55 mmHg
D. 55-65 mmHg

A

B. 35-45 mmHg

30
Q

산소(O2)가 혈액에서 가장 많이 운반되는 형태는?
A. 용존 산소(dissolved O2) Carbaminohemoglobin
C. 산화헤모글로빈(oxyhemoglobin)
D. 중탄산염(bicarbonate)

A

C. 산화헤모글로빈(oxyhemoglobin)

31
Q

이산화탄소(CO2)가 혈액에서 가장 많이 운반되는 형태는?
A. 용존 이산화탄소(dissolved CO2)
B. Carbaminohemoglobin
C. 산화헤모글로빈(oxyhemoglobin)
D. 중탄산염(bicarbonate)

A

D. 중탄산염(bicarbonate)

32
Q

호흡 조절중추(respiratory control center)가 존재하는 곳은 다음의 뇌간(brain stem) 중 어느 부위 인가?
A. 중뇌(midbrain)
B. 교뇌(pons)
C. 연수(medulla)
D. 교뇌(pons), 연수(medulla)
D. 중뇌(midbrain), 교뇌(pons), 연수(medulla)

A

D. 교뇌, 연수

33
Q

화학수용체(chemoreceptor)에 해당되는 것은?
A. 대동맥동(carotid sinus)
B. 경동맥소체(carotid body)
C. 대동맥궁(aortic arch)
D. 내경정맥동(internal carotid sinus)

A

B. 경동맥소체(carotid body)

34
Q

호흡수와 호흡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A. 동맥혈內 PCO2
B. 동맥혈內 PO2
C. 동맥혈內 pH
D. 정답 없음

A

D. 정답 없음

35
Q

보기 중에서 가장 강력한 인자는?
A. 동맥혈內 PCO2
B. 동맥혈內 PO2
C. 동맥혈內 pH
D. 정답 없음

A

A. 동맥혈內 P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