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2 Flashcards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컴퓨팅 자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기술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은 ?
- 시스템 it 리소스를 요구하는 즉
시 제공(on-demand delivery) - 원격으로 제공 ;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함
-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주문형 접근이 가능 (on-demand availability of
computer system resources) -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 (pay-as-you-go), 관리비 들지 않음.
+ 따라서 IT 기업은 서비스 개발에 집중할 수 있고, HW 구매/관리/유지보수 등에
시간/자원을 투자할 필요가 없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리소스를 통합하여 어떻게 사용자에게 리소스로 제공할 까?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다.
가상화 기술이란 ?
은 VMware나 Virtualbox와 같이 단일한 물리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여러 환경
이나 자원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
가상화 기술에서 가상 자원을 관리/배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
하이퍼바이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3가지는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PaaS (Platform as a Service), SaaS (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3가지를 구분하는 기준은 ?
얼만큼의 컴퓨팅 자원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고, 얼만큼의 자원을 클라우드에서 제공받는가에 따라 서비스 모델을 구분함
지금까지의 모델과 새로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의 차이점은 ?
지금까지는 IT 인프라의 여러 필요한 구성 요소 모두 사용자가 관리해야만 했지만, 이제는 일정 부분을 클라우드를 통해 사용하는 형태가 도입됨
기존의 서비스 모델 (기업이 직접 데이터센터를 보유/관리/운영하는 경우) 어떻게 서비스 를구축, 운영을 했나 (하드웨어 vs 소프트웨어 나누어서) ?
- 물리적인 기기, 장비, 하드웨어(CPU, RAM, Storage,
Network device 등)를 모두 직접 구매하고 설치/관리 - OS 및 필요 SW를 직접 설치, 네트워크 환경을 직접 구성, 서버 운영 및 관리를 직접 수행
기존의 서비스 모델 기존의 서비스 모델 (기업이 직접 데이터센터를 보유/관리/운영하는 경우) 의 단점과 장점은 ?
단점 :서비스 운영을 위한 모든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수행해야 하므로, 시간/비용이 많이 소요됨
장점 :사용자가 모든 것을 제어하기 때문에 최적의 customize 할 수 있음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란 ?
클라우드에서 기본적인 HW 인프라(CPU/MEM/HDD, 네트워크 등)만 제공받는 클라우드 서비스
IaaS 에서 사용자가 안해도 되는 것과 해야 되는 것은 ?
안해도 되는 것 (제공받는 것) : 기본적인 IT 인프라(cpu/mem/hdd,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않아도 됨
해야되는 것 : 기본적 인프라 이외 나머지 사용자가 직접 설치/관리함(OS 설치, SW 제품 개발 및 설치, 서비스 운영 등)
IaaS 의 예시는 ?
Amazon EC2, Microsoft
Azure, Openstack 등
PaaS (Platform as a Service) 란 ?
HW 인프라 뿐 아니라 개발 플랫폼 (OS, 미들웨어 등)을 클라우드로 부터 제공받는 클라우드 서비스
PaaS 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sw 개발, 운영
PaaS 의 단점은 ?
HW 인프라에 대한 제어가 어렵고, 제공되는 플랫폼과 개발 제품간의 호환이 되
지 않을 경우 문제 발생할 수 있음
PaaS 서비스 제공 업체 예시를 드시오
Heroku, Google App Engine,
IBM Bluemix, OpenShift,
SalesForce 등
SaaS (Software as a Service) 란 ?
인프라, 플랫폼 및 서비스 모두 클라우드에서 제공받는 형태이다.
SaaS 사용 시, 서비스를 직접 개발/설치 해야하는가 ?
no.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단순히 사용만 하면 됨.
SaaS 사용 시 서비스 관리를 유저가 해야하는 가?
서비스 관리할 필요도 필요없음
SaaS 의 단점 (혹은 한계점) 은 ?
customize가 어려움
클라우드 배포 모델 (Deployment model) 이란 ?
배포모델이란 클라우드 환경의 특정 형태이다. 소유권, 규모, 접근 방법 등에 의해 4가지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클라우드 배포 모델 4가지는 ?
public cloud, community cloud, private cloud, hybrid cloud
클라우드 배포 모델을 4가지로 구분하는 기준은 ?
소유권, 규모, 접근 방법 등
클라우드 모델 중 public cloud 란 ?
제 3자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하고 누구나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모델 중 community cloud 란 ?
특정 커뮤니티에 속한 소비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모델 중 private cloud 란 ?
하나의 조직만을 위하여 운영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모델 중 Hybrid cloud 란 ?
위의 배포 모델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운영방식을 5가지 step 으로 설명하면 ?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hw 를 구매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오픈
- 사용자들이 서비스 사용 요청 접수
- 서비스 제공자가 가상화된 자원을 사용자에게 할당
- 사용자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가상 자원에 접근
- 사용자는 서비스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
가상화 기술이란 ?
실제가 아닌, 가상의 IT 자원(예: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을 만들어내는 것 또는 그러한 기술
+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상” 머신(=가상의 컴퓨터)을 생성할 수 있음
가상화 기술의 장점은 ?
한대의 물리적 기기에서 다수의 가상 머신을 생성/관리할 수 있음
• 즉, 한대의 컴퓨터로 여러 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다수의 동일한 가상 머신을 생성하는 방법은 ?
SW/라이브러리 구성이 완료된 가상 머신을 템플릿(=이미지)으로 만들고, 새로운 환
경 구성이 필요한 경우 템플릿을 사용하여 sw/라이브러리 구성이 동잃나 다수의 가상 머신 생성
가상화 기술의 종류를 3가지로 나누면 ?
- 호스트 가상화 (Host Virtualization)
-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Hypervisor Virtualization)
- 컨테이너 가상화 (Container Virtualization)
대표적인 호스트 가상화 기술은 ?
virtual box
대표적인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은 ?
docker
호스트 가상화 란 ?
물리적인 pc/서버에 os 설치하고, 그 위에 가상 머신을 구성/관리하는 가상머신 모니터(vmm) 를 설치한 후, 가상 머신을 설치한다.
가상 머신 모니터(VMM) 란 ?
가상머신을 구성/관리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virtualbox, vmware 등이 있다.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란 ?
물리적인 pc/ 서버에 os 를 설치하지 않고, 바로 가상화 sw 를 설치함 (즉, 호스트 os 가 없음)
하이퍼 바이저 의 대표적인 예는 ?
Hyper-V, XenServer 등
하이퍼 바이저의 장점은 ?
호스트 os 가 없으므로 HW를 제어하기 위해 호스트 OS를 거치지 않는 등 호스트 OS 구동을 위한 오버헤드가 없음
컨테이너 가상화 란 ?
호스트 os 에 컨테이너 관리 소프트웨어인 도커 엔진을 설치하고,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컨테이너 안에서 sw/라이브러리를 설치하여 개별 서버처럼 사용하는 가상화 기술
컨테이너 가상화에서 컨테이너란 ?
하나의 논리적인 구역으로 하나의 컨테이너 안에서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한다.
+ 하나의 프로세스 = 컨테이너 라고 생각해도 됨
대표적인 컨테이너 관리 SW 는 ?
도커
컨테이너 가상화의 장점은 ?
게스트 OS 구동하는 오버헤드가 없음 (훨씬 가벼움)
oracle virtualbox 란 ?
오라클이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의 가상 머신 모니터링 프로그램
oracle virtualbox 개발 언어는 ?
C, C++, Assembly
(호스트 가상화) 가상 머신 동작 원리를 구성요소 별로 설명하시오 .
- 내컴퓨터 : 호스트 머신
- 윈도우 10: 호스트 운영체제(OS)
- VirtualBox: 하이퍼바이저 ; 가상머신 관리기술/ 소프트웨어
- 가상의 컴퓨터
- 가상 머신에 설치된 운영체제
호스트 가상화 방식으로 리눅스 가상머신 구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시오.
- 설치하고자 하는 리눅스 버전의 설치 이미지 파일(*.ISO) 다운로드
- VirtualBox에서 가상 머신 생성(컴퓨터를 구입하는 것과 같은 역할)
- 가상 머신에 설치용 이미지 파일 연결하기(설치용 CD를 삽입하는 것과 같은 역할)
- 가상 머신을 시작 (가상 머신 컴퓨터의 전원을 켜는 것과 같은 역할)
- 화면에 나오는 안내에 따라서 리눅스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