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LE Flashcards
대동맥판 협착증에서 판막 치환을 해야하는 중증도기준은 몇 퍼센트인가?
Ejection fraction 50%
= LV dysfunction이 있다는 의미이다.
대동맥판 역류증에서 판막 치환의 적응증은?
증상이 있을 때는 좌심실 기능이 정상이어도 적응증이 된다.
무증상인 경우
- LV EF 75mm
- LV ESV > 55mL/m2
DCMP와 HCMP 중 digitalis 사용이 금기인 것은?
HCMP.
유방암으로 CMF 항암요법을 시행중인 환자에서 심부전이 발생하는 경우 어떤 형태의 심부전이 발생할까?
DCMP.
고용량의 CMF (cyclophosphamide, MTX, 5-FU) 투여 부작용으로는 DCMP가 있다
(저용량의 경우 골수억제, 탈모, 출혈성방광염).
Peripartum cardiomyopathy의 mortality는?
10%. 따라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DCMP에 준한 치료를 한다.
HCMP 금기 약물?
- 전/후부하 감소약물
질산염제제
이뇨제,
혈관확장제(DHP-CCB, ACEi) - LV수축력 증가약물
digitalis
HCMP 치료제?
LV수축력 약화시켜서 outflow pressure gradient 감소시키는 BB, non-DHP CCB
HCMP에서 전부하 감소시 심잡음 증가하는 이유?
전부하 감소 → 비후해진 심실중격이 LVOT를 막아 intermitent outflow obstruction → turbulence 증가 → 심잡음 증가
RCMP?
이완이 제한되어 있다.
- 대칭적으로 LV wall 비후
- EF는 비교적 정상/약간 감소
효과적 치료방법 없음
Squatting (스쿼트) 시 심장 부하의 변화?
SVR증가시켜 후부하 증가.
전부하 증가
NTG, amyl nitrite 시 심장 부하 변화?
전부하 감소.
Tachycardia시 심장 부하?
전부하 감소.
Alcohol 섭취 시 심장 부하 변화?
혈관확장을 일으켜 후부하 감소.
심근염은 대개 self-limiting하나 DCMP로 진행할 수 있다?
맞다.
심장막염에서의 ST 분절 상승은 어떤 형태인가?
upward concave
심장막염에서 효과적인 검사?
US이다. 주로 심낭삼출액이 동반되기 때문.
Pulsus paradoxus?
흡기 시 수축기혈압이 10 초과 감소하는 것.
흡기 시 흉곽압력 감소로 전부하가 증가하여 RV팽창되어 LV 압박한다. 또한 폐혈관도 확장되어 LV로 들어가는 혈류도 감소된다. 따라서 혈압이 저하가되는데 10까지는 정상이다. 당연히 EF가 감소하므로 맥박은 보상적으로 증가한다.
심장눌림증, 천식, 폐쇄수면무호흡에서 나타날 수 있다.
LA myxoma는 대부분 가족력이?
없다.
급성 감염심내막염의 m/c 병원체는?
Staphylococcus aureus.
아급성 감염심내막염의 m/c 병원체는?
Streptococcus viridans.
인공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에서 1년 내 감염심내막염이 발생한 경우 m/c 병원체는?
Staphylococcus epidemidis.
삼첨판을 침범하는 감염심내막염의 m/c 병원체는?
Staphylococcus aureus.
감염심내막염의 안저검사 소견은?
Roth’s spot.
망막 출혈부 중심에 백혈구가 응집된 흰 점.
감염심내막염에서 예방적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 경우?
고위험군에서 필요함.
- 인공판막
- 과거력
- 교정되지 않은 청색증 선천 심질환
- 완전히 교정된 선천 심질환에서 수술 6개월 이내
- 불완전하게 교정된 선천 심질환
- 심장 이식 후 판막 구조 이상으로 발생한 판막 역류
티체 증후군 (Tietze syndrome) 이란?
늑연골염. 흉통을 일으켜 ACS와 감별해야할지도..그러나 찌르는 듯한 양상의 흉통을 일으킴.
안정협심증이 매우 의심될 때 심근효소검사는 필요할까?
필요없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불안정협심증이 의심되는 경우는 시행해야 한다.
99m테크네슘-pyrophosphate scan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괴사된 심근.
심근에서 유리된 Ca에 결합하므로 허혈심근은 확인되지 않는다.
항부정맥제 class
- Na 채널 차단
A,C군) phase 0 기울기 감소시켜 전도속도 느리게
B군) phase 3 단축하여 불응기 감소 - BB: 방실결절에 작용하여 심박수 감소
- K 채널 차단: phase 3 연장하여 불응기 연장
- CCB: 방실결절에 작용하여 심박수 감소
항부정맥제 class 1C인 quinidine의 금기
- 선천성 long QT 증후군
- hypoK
- Torsades de Pointes (TdP)
에서 TdP를 유발할 수 있어 금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