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의 변증 Flashcards
- 심의 기능
- 혈(血)을 주관하고 혈맥조절 한다
- 얼굴에 나타난다
- 신(神)을 저장한다 “신지활동의 기초물질 => 혈액”
- 설(舌)에 개규한다
- 심은 말하는 것을 주관한다
- 땀을 주관
- 소장과 표리
- 심은 열(사)를 싫어한다
- 心者 君主之官也 神明出焉 (심은 군주지관이고 정신이 나온다)
- 심의 병증
- 血을 주관하고 神을 저장하는 것이 심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서 대부분의 병증이 血과 神에 관련된다
- 혈(血)과 음(陰)은 신(神)의 거하는 집이다
- 음혈이 충만될 때 神이 온전하고 정신적으로 행복과 활력을 갖는다
- 정신이 방해되면(정지문제로) 심혈허, 심음허를 초래
- 일반적인 병인
(1) 외사(外邪)
- 화(열)사는 심을 직접 침범하지 않고 심포를 침범하여 영기를 손상 (고열, 정신착란, 혼궐)
(2) 정지(情志)방면
- 기쁨이 지나치면 상심(傷心), 심기를 이완하고 기허유발 (잘 일어나지 않는다)
- 슬픔이 지나치면 심(心)과 폐(肺)에 영향 -> 심기허, 양촌맥이 약함
- 슬픔이 오래되면 -> 기허 -> 기체-> 울이화화(鬱而化火)-> 심화를 유발
- 성냄이 지나치면 간(肝)과 심(心)에 직접 영향 -> 간양/간화-> 심화 (설변과 첨이 홍, 홍점가능)
(3) 기타요인
- 음식부절(습담형성), 담음(痰飮), 기체어혈
- 심의 변증
(1) 허증: 심기허, 심양허(심양폭탈), 심혈허, 심음허
2) 실증: 심화항성, 담미심규(痰迷心竅), 담화요심(痰火擾心), 심혈어조(心血瘀阻
심계, 기단(활동시), 자한, 면색창백, 피곤, 의욕상실
설담(혹정상) 甚즉 중앙열문이 설첨까지 이어지고 양변이
붓기도 함, 허맥 甚즉 좌 촌맥이 약간 홍허 (경취시 뜨고
중취시 허맥)
심계, 피곤함, 허맥
심기허
心氣虛
심계, 기단(활동시), 자한, 피곤, 의욕상식, 심장주변의 경직
감 혹 불편감, 냉감, 면색광백, 사지냉(특히 손)
설담 반대 젖은설, 침약맥 혹은 결맥
심계, 냉감, 사지냉, 침맥
심양허
心陽虛
심계, 기단, 약하고 앝은 호흡, 심한한출, 사지냉, 입술의 청
색증, 심하면 혼궐, 설이 아주창백/청자, 짧은설, 복맥, 미맥
입술의 청색증 복맥-미맥
사지냉
심양폭탈
心陽暴脫
심의 양기가 갑작스럽게 소진되어 쇠약해지는 것을 말함. 심양허(心陽虛)는 대개 구병모상(久病耗傷), 선천품부부족(先天稟賦不足)이나, 노년기의 장기쇠약(年老臟氣衰弱)으로 발생한다. 어떤 급성병의 위중한 단계에서 과성(過盛)한 사기(邪氣)에 정기(正氣)가 대항하지 못하여 심양폭탈(心陽暴脫)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심양폭탈 [心陽暴脫] (한국전통지식포탈, 한국전통지식포탈)
폭탈: 陽氣나 진액 등이 갑자기 빠져나가는 것임.
심계, 현훈, 불면, 다몽, 건망, 근심, 잘놀람, 면색무화, 구순
창백, 설담, 가는 설체, 약간건조, 맥삽/ 맥세 심계, 불면, 건망, 설담
심혈허
心血虛
심계, 현훈, 불면다몽, 잘 놀람, 건망, 근심, 심번, 관홍, 조
열, 도한, 구건인조, 오심번열, 설홍무태, 설첨홍 반대 홍점,
깊은 중심 열문이 설첨까지 이어짐, 부허/세삭맥, 촌맥이
홍, 척맥이 약
심계, 심번, 관홍
설홍소태(깊은 중심열문)
심음허
心陰虛
심계, 갈증, 구설궤양, 심번 짜증, 충동질, 열감, 불면, 면적,
짙은 소변, 혹 혈뇨, 구고, 설홍(첨이 더홍), 홍점과 함께 반
대, 황태, 혹 중앙열문이 설첨까지 이어짐, 실삭홍맥(특히
좌촌), 촉맥가능
설궤양, 구갈, 심계, 설홍
심화항성
心火亢盛
심화(心火)가 왕성한 것. 내상칠정(內傷七情)으로 정지(情志)의 화(火)가 성해지거나 육음(六淫)의 사기(邪氣)가 몸 안에 몰려서 화로 되거나 맵고 더운 음식이나 성질이 따뜻한 보약을 지나치게 많이 먹어서 생긴다. 심화항성되면 번열(煩熱)이 나고 불안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며 입 안과 혀가 헐고 아프며 갈증이 나고 혀가 붉어지며 맥이 삭(數)한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청심사화법(淸心瀉火法)을 쓰는데 출혈 증상이 있을 때는 양혈법(涼血法)을 배합하여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심화항성 [心火亢盛]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신지혼란, 의식상실, 혼미, 구토, 후중담명, 실어증
후니활태, 망자, 설첨까지 가는 중심열문, 설반대, 활맥
신지혼란, 후중담명
활니태
담미심규
痰迷心竅
달리 담몽심포(痰蒙心包) · 담조심규(痰阻心竅)라고도 일컬음. 습담(濕痰)이 심규(心竅)를 장애하여 의식이 장애된 증. 정신이 혼미해지고 목구멍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 가슴이 답답해진다. 심하면 정신을 잃고 잘 깨어나지 못한다. 습담을 없애면서 정신이 들게 하는 방법으로 안궁우황환(安宮牛黃丸)이나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을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담미심규 [痰迷心竅]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심번, 심계, 구고, 불면다몽, 잘놀람, 조리없는 말, 신지착란, 광조망동, 사람을 때리고 꾸짖음, 곡소무상, 짜증, 소리치거 나 중얼거림, 신지억울, 둔함, 甚즉 실어증, 혹 혼궐 / 설홍 황니태, 중앙에 열문(누런 망자수반), 설첨이 더붉고 홍반점 과 함께 반대 / 실삭활맥 혹 삭홍활맥 혹 실삭현맥
여러가지의 신지병증
설홍황니태
담화요심
痰火擾心
심계, 흉통(왼팔내측 및 어깨로 방사), 흉민, 가슴이 조여듬,
입술과 손톱의 청색증, 지냉, 설자, 결맥
흉통, 입술의 청색증
설자
심혈어조
心血瘀阻
기단, 자한, 피곤, 면색창백, 허맥 ◄ 기허의 일반증상
심계 ◄ 심기허의 기본증상
- 실혈 (만성출혈, 월경과다)
- 정지문제 (슬픔)
보심기
심기허 (心氣虛)
심계, 기단, 피곤, 자한 ◄ 심기허 증상 (심양허는 심기허의 발전을 의미)
냉감, 사지냉 ◄ (양허의 주요증상)
면색광백 ◄ 양허의 전형적인 얼굴 표현 (혈허는 면색무화)
- 심기허와 동일
- 신양허
온보심양
심양허 (心陽虛)
구순청색 ◄ 양기부족으로 혈의 추동이 어려워 심한 혈어 혼궐 ◄ 심기의 완전한 탈증, 정신이 머물곳이 없음 (즉 허증의 혼궐) 단축설 ◄ 극도의 양허로 양기가 설근을 움직이지 못함 / 양허는 또한 음한내성을 유발, 근육수축유발 복맥(伏脈) ◄ 침맥의 극한적인 경우, 극도의 양허를 뜻하며 결맥(結脈) ◄ 극도의 양허로 심박동 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 * 본증은 극도의 심양허증으로 근본적으로 심양허와 다르지 않으며 다만 더 심각함
- 심양허와 동일 (거의 대부분 만성적이며 심한 신양허에서 유래)
- 총체적인 기탈은 신정기의 탈증에서 기인
- 신양허의 어떠한 원인도 심양폭탈의 간접원인
회양, 소궐, 지한
심양폭탈 (心陽暴脫)
불면, 다몽, 근심, 잘 놀람 ◄ 신(神)이 거주할 곳이 없다 <- 심혈허
생각이 둔하고 건망 ◄ 심이 정신작용을 조절
심계 ◄ 심혈부족으로 심기부족이 되어 심계 (혈은 기의 母) (cf. 심기허의 심계와 구별할 것)
현훈 ◄ 혈허의 일반적인 증상(혈이 뇌를 자양실조)
면색무화 ◄ 혈부족 (cf. 양허는 면색광백)
설담, 가는 설체, 건조 ◄ 심혈부족으로 설에 충분한 혈이 도달 못해 (양허는 젖은설)
맥세삽 ◄ 혈부족 반영하는 맥
- Diet -> 비기허 -> 혈부족
- 오랜 걱정근심-> 신을 교란
- 심한 출혈(출산등)
보혈
양심
안신
심혈허(心血虛)
불면다몽, 근심, 잘 놀람, 건망,… ◄ 심음허는 심혈허 증상을 포함한다
심혈허 불면: 잠들기는 어려우나 일단 잠이 들면 숙면
심음허 불면: 잠들기도 어렵고 밤에 자주 깬다
심번 ◄ 면부열감이 동반되며 특히 저녁에 심함
심번, 관홍, 오심열, 저열/열감, 구조인건, 도한 ◄ 음허로 인한 허열 (음허의 주요증상)
- 심음허는 주로 신음허를 수반하거나 신음허로 인함
(신음이 심을 자양하지 못해서 심의 허열이 상염)
- 심혈허는 젊은사람(특히 젊은 여성)에 흔하고 심음허는 중년이나 노년에서 흔하다
박락태 ◄ 음허의 설태
설홍 ◄ 허열상염
설첨이 붓고 홍점 ◄ 심의 허열을 반영
중심열문◄ 어느 심의 병증에서도 가능
- 얕은 중심열문 + 설색의 변화가 없다 <- 체질적인 심장허약으로 병리적인 변화는 없다
- 깊은 중심열문 + 설첨이 더홍 + 붓고 <- 체질적 심장허약 + 심장에너지의 병리적 변화
- 중심열문 + 설홍소태(박락태) <- 심음허
부허맥 ◄ 음허 (양쪽 척맥이 약함은 신음허, 촌맥이 홍함은 심의 허열상염)
- 오랜 근심걱정 바쁜 생활로 음기를 손상
- 열사가 체액과 심음을 소진
보양심음
보신음
안신
심음허(心陰虛)
구설궤양, 심번, 불면, 면적,구고 ◄ 심의 실열의 표현
(단 궤양과 심번은 음허의 경우와 구별할 것)
짙은 소변 ◄ 심화가 소장으로 하주(표리관계), 소장과 방광은 같은 태양경
설홍 + 유태 ◄ 실열
설첨이 홍 + 반대 ◄ 심의 열
삭맥 ◄ 열의 맥
홍맥(특히 촌맥이) ◄ 심화의 존재
* 궤양 (심화항성: 붉고 돌기된 테두리, 심한 통증 / 음허내열:흰색의 테두리)
* 심번 (심화항성: 심한 안절부절, 짜증, 열감, 다혈질 / 심음허: 보다 경미함)
- 오랜 근심 걱정 우울등 정지문제
- > 기기조체 -> 鬱而化火 - 특히 만성적인 우울
- 간화로 기인(분노 좌절 후회)
청심
안신
심화항성(心火亢盛)
정신지둔, 언어장애 ◄ 어린이의 경우 혼궐, 마비, 실어증 ◄ 성인의 중풍의 발작 후 신지혼란, 의식상실, 혼미 ◄ 담(痰)이 심과 정신을 조체시킴 실어증 ◄ 심은 舌로 개규, 담이 심기를 방해하여 혀의 움직임을 곤란하게 하여 신지이상 ◄ 담(痰)이 심의 神저장을 방해하여 구토, 후중담명 ◄ 담이 흉중에 조체 설태니활, 활맥 ◄ 담의 설맥 * (담미심규는 담탁이 심규를 막은 실증으로 화(火)를 제외하고는 담화요심의 경우와 유사하나 서로 다른 상황에서 발생)
- 어린이 –> 체질적
- 성인 – > 음식(생냉,기름진)
- > 담을 생성 - 음식문제+정지문제(오랜근심등)
개규
거담
소궐
담미심규(痰迷心竅)
신지이상 ◄ 담이 심규를 막아 정신을 혼란시킴
신지억울, 둔함, 중얼거림 ◄ 전증: 음적인 성질이지만 실증이다 (보하면 안된다)
제어곤란한 웃음과 울음(곡소무상), 소리침, 광조, 타인(打人), 조리없는 말 ◄ 광증증세
실어증, 혼궐 ◄ 담화가 심규를 몽폐하여 정신을 흐리게 하면 심할 경우
(심양폭탈의 혼궐과 구별할 것)
설홍 ◄ 열 중앙에 누런 열문 ◄ 심의 열 (황)니태, 활맥 ◄ 담(열)을 반영 * 담과 화가 심에 조체한 실증 (비록 심의 병변으로 나타날지라도 비기허(수액운화실조)로 인한 습담에 기인)
- 심한정지억울 -> 기기조체
- >오랜 울이화화 - 음식(맵고 기름진)-> 담과 열
- 열입심포 ->신지착란과 혼미
청심화
거담
안신
담화요심(痰火擾心)
흉통(자통), 흉민 ◄ 혈어 <- 혈행을 곤란 <- 심양허(양기는 운행시킨다)
다른 심의 병에서는 흉통이 없기 때문에 주증이 된다 (운동이나 추운 날씨로 반복발작)
심화의 경우 열이 흉중에서 혈을 응결시켜 혈어가 됨
양방의 협심증(Angina pectoris)과 유사
입술과 손톱의 청색증, 지냉 ◄ 혈어로 얼굴과 손에 이르지 못함, 흉중의 혈어로 페의 종기
와 심기운행이 불창
설자 ◄ 혈어반영 (청자색이면 양허내한으로 인한 혈어, 홍자의 경우 심화로 인한 혈어)
결맥 (불규칙하게 멎고 느리다) ,
(느린맥 ◄ 내한, 불규칙한 맥 ◄ 혈어로 혈행의 방해)
* 본증은 단독이 아닌 다른 심의 병 (심양허, 심혈허, 심화)에서 기인하므로 증상도 다양하다.
본 증상은 단지 심혈어에 관한 것으로 실제로는 심양허, 심혈허, 심화의 증상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심양허나 심혈허가 원인일 경우 허실협작, 심화가 원인이면 실증으로 표현 (대부분 심양허
에 기인)
- 오랜정지문제(근심 슬픔 원한 분노)
- > 기혈불창 -> 흉중어혈
- > 심의 기혈조체 - 오랜 심양허
활혈거어
온보심양
안신
심혈어조(心血瘀阻)
심기허
통리, 내관, 심수, 전중, 기해
심양허
심양허 심기허 + 대추 (뜸)
심양폭탈
기해, 관원, 신궐, 명문, 족삼리, 내관, 신수, 백회, 대추, 심수
심혈허
신문, 내관, 거궐, 구미, 관원, 격수, 비수
심음허
신문, 내관, 거궐, 구미, 관원, 음극, 삼음교, 부류, 조해
심화상염
소부, 소충, 신문, 구미, 삼음교, 조해
담미심규
간사, 심수, 비수, 중완, 풍륭, 소충, 인중
담화요심
간사, 신문, 소부, 소충, 대릉, 구미, 심수, 중완, 비수, 풍륭, 삼음교
태충, 행간, 백회, 본신, 두임읍, 신정
심혈어조
내관, 극문, 신문, 전중, 궐음수, 혈해, 격수, 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