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신온 해표제 Flashcards
1
Q
- 치료의 팔법(八法) 중 표증(表證)을 치료하는 방법은?
A
한법(汗法)
2
Q
- 다음 중 해표하는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신온해표
B. 신량해표
C. 부정해표
D. 표리쌍해
E. 표리화해
A
포리화해
3
Q
- 다음 중 마황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A. 마황탕은 40분 이상 충분히 오래동안 끓여서 복용해야 한다.
B. 마황탕에는 생감초 대신 자감초를 사용한다.
C. 빈혈이 심하다면 사용을 조심한다.
D. 고혈압이 있다면 사용을 조심한다.
E. 복용한 후 땀이 났다면 다시 복용 해서는 안 된다
A
A. 마황탕은 40분 이상 충분히 오래동안 끓여서 복용해야 한다.
4
Q
- 마황탕으로 치료해야 하는 병증의 환자에게서 보일 수 있는 증상이 아닌 것은?
A. 오한발열
B. 항배강통(强痛)
C. 미한출
D. 맥부긴
E. 설태박백
A
C. 미한출
5
Q
- 마황탕과 대청룡탕을 비교할 때 다음 중 잘 설명한 것은?
A. 마황탕은 표열을 대청룡탕은 이한(裏寒)을 치료한다.
B. 마황탕은 무한(無汗)한 표증을 대청룡탕은 미한출(微汗出)이 있는 표증을 치료한다.
C. 마황탕은 외감한 표한(表寒)을 대청룡탕은 표한(表寒)과 함께 이열(裏熱)을 치료한다.
D. 마황탕은 체력이 약한 사람에게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E. 두 처방 모두 외표(外表)가 약한 사람에게 충분한 양을 투여해야만 효과가 있다.
A
C. 마황탕은 외감한 표한(表寒)을 대청룡탕은 표한(表寒)과 함께 이열(裏熱)을 치료한다.
6
Q
- 만약 외감풍한을 받은 환자에게서 기침과 함께 기관지에서 가래소리가 난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삼요탕
B. 마황가출탕
C. 마황탕
D. 화개산
E. 마행이감탕
A
D. 화개산
7
Q
- 만약 외감풍습을 받은 환자에게서 표증의 오한발열 증상과 함께 온몸이 무겁고 아프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삼요탕
B. 마황가출탕
C. 마황탕
D. 화개산
E. 마행이감탕
A
E. 마행이감탕
8
Q
- 만약 외감풍한사를 받은 환자에게서 코가 막히고 기침이 있으며 이와 함께 혀가 뻣뻣하여 말이 잘 안 나오거나 머리나 눈이 어지럽거나 혹은 팔다리가 뻣뻣하고 마비가 온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삼요탕
B. 마황가출탕
C. 마황탕
D. 화개산
E. 마행이감탕
A
A. 삼요탕
9
Q
- 다음 중 만약 외감풍한습으로 인해서 표증과 함께 백니태가 보인다면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제는?
A. 삼요탕
B. 마황가출탕
C. 마황탕
D. 화개산
E. 마행이감탕
A
B. 마황가출탕
10
Q
- 다음의 해표제 중에서 기표(肌表)으로부터 표사(表邪)를 제거하는 본초는?
A. 마황
B. 계지
C. 방풍
D. 형개
E. 백지
A
B. 계지
11
Q
- 맥이 부긴(浮緊)하고 무한(無汗)한 환자에게 사하제를 잘못 투여한 후 맥이 부완(浮緩)해지고 복만복통(腹滿腹痛)이 나타났다면 다음 중 어떤 처방이 가장 적합하겠는가?
A. 화개산
B. 마행이감탕
C. 계지탕
D. 계지가작약탕
E. 계지거작약탕
A
D. 계지가작약탕
12
Q
- 계지탕은 위강영약(衛强營弱)한 표증을 치료하는데, 다음 어떤 본초가 영약(營弱)을 치료하는가?
A. 계지
B. 작약
C. 생강
D. 대조
E. 감초
A
B. 작약
13
Q
- 외감풍한을 받은 환자가 항배강통(項背强痛)이 있으면서 한출과 오풍(惡風)이 있다면 다음 어떤 방제가 가장 적합하겠는가?
A. 마황가출탕
B. 계지부자탕
C. 계지가갈근탕
D. 계지이월비일탕
E. 대청룡탕
A
C. 계지가갈근탕
14
Q
- 다음 중 외감풍한의 표증(表證)과 이증(裏證)을 함께 치료하지 않는 방제는?
A. 향소산
B. 대청룡탕
C. 소청룡탕
D. 계지가갈근탕
E. 대강활탕
A
D. 계지가갈근탕
15
Q
- 풍한감기에 걸린 환자가 오한발열과 기침이 심하며 가래가 많이 나온다면 다음 중 가장 적절한
방제는?
A. 향소산
B. 대청룡탕
C. 소청룡탕
D. 계지가갈근탕
E. 대강활탕
A
C. 소청룡탕
16
Q
- 표증(表證)의 오한발열이 있는 환자가 기침과 함께 누런 가래가 나온다면 다음 중 함께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는 본초는?
A. 마황
B. 행인
C. 석고
D. 황금
E. 백작
A
E. 백작
17
Q
- 여름철에 찬음료를 마신 후에 오한발열과 함께 머리와 몸이 무거우며 속이 울렁거리면서 가슴이 답답하다면 다음 중 서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초로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연교
B. 향유
C. 백편두
D. 후박
E. 생강
A
A. 연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