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인즈의 거시경제이론 Flashcards

1
Q

케인즈의 등장배경 =경제대공황
재고의 축적,실업의 증가

케인즈의 경기대공황 원인 설명
1.총수요(유효수요의 부족)
2.수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ㅇㅎㅅㅇ이론
3.케인즈의 국민소득이론은 ㄱㅇ이론이다.

A

케인즈의 등장배경 =경제대공황
재고의 축적,실업의 증가

케인즈의 경기대공황 원인 설명
1.총수요(유효수요의 부족)
2.수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유효수요이론
3.케인즈의 국민소득이론은 고용이론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케인즈의 기본이론]

1.자본주의 경제는 완전고용상태가 아니고 ,일반적으로 __이 존재한다.
2.자본주의 경제에서는 ㅂㅇㅈㄱㅇ이 일반적으로 더 많다.

3.고용수준은 노동의 수요, 공급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ㅅㅍㅅㅈ의 ㅊㅅㅇ에 의해 결정된다
4.총수요는 완전고용수준 아래에 머물 수 있으며, ㅂㅇㅈㄱㅇ의 원인이 될 수 있다.
5.고용,소득수준은 공급의 측면이 아닌 ㅅㅇ의 측면이 중요하다.

6.ㅅㅇ의 ㅂㅊ이 항상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저축>투자“ 인경우 이자율의 감소가 아닌 “유효수요의 부족현상”이 나타난다
7.고전학파의 ㅇㅂㅅ은 현실과 맞지 않다.
*화폐시장에서의 이자율이 투자를 변화시켜 총수요에 영향을 주고,
총수요는 국민소득과 고용에 영향을 주므로
“화폐부문과 실물부문은 서로 밀접하게 ㅇㄱ되어 있다“

A

[케인즈의 기본이론]
1.자본주의 경제는 완전고용상태가 아니고 ,일반적으로 실업이 존재한다.
2.자본주의 경제에서는 불완전고용이 일반적으로 더 많다.
3.고용수준은 노동의 수요, 공급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품시장의 총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4.총수요는 완전고용수준 아래에 머물 수 있으며, 불완전 고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5.고용,소득수준은 공급의 측면이 아닌 수요의 측면이 중요하다.

6.세이의 법칙이 항상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저축>투자 인경우 이자율의 감소가 아닌 유효수요의 부족현상이 나타난다
7.고전학파의 이분성은 현실과 맞지 않다.
*화폐시장에서의 이자율이 투자를 변화시켜 총수요에 영향을 주고,
총수요는 국민소득과 고용에 영향을 주므로
“화폐부문과 실물부문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케인즈의 국민소득 결정이론=유효수요이론]

1.장기적 경제성장 중심이 아닌 단기적 대량실업해결에 초점을 맞춤
2.국민경제는 ㅇㅇㅅㅅ능력이 존재한다
=노동과 자본이 실업상태에 있으므로, ㅅㅇ만 있다면 생산의 증가는 언제든지 가능하다
3.”물가수준은 불변“이므로 ㅁㅁ소득의 증가=ㅅㅈ소득의 증가
4.생산능력은 ㄷㄱ에 불변이다 / 자본투자에 의한 생산증대는 논외로 함
5.“ㄱㅇ수준은 ㄱㅁㅅㄷ에 비례한다”
=1.국민소득의 크기가 결정되면 ->2.수요를 충족시킬만한 고용수준이 결정된다.

A

[케인즈의 국민소득 결정이론=유효수요이론]

1.장기적 경제성장 중심이 아닌 단기적 대량실업해결에 초점을 맞춤
2.국민경제는 잉여생산능력이 존재한다
=노동과 자본이 실업상태에 있으므로, 수요만 있다면 생산의 증가는 언제든지 가능하다
3.물가수준은 불변이므로 명목소득의 증가=실질소득의 증가
4.생산능력은 단기에 불변이다 / 자본투자에 의한 생산증대는 논외로 함
5.“고용수준은 국민소득에 비례한다”
=1.국민소득의 크기가 결정되면 ->2.수요를 충족시킬만한 고용수준이 결정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케인즈의 절약의 역설과 한계]
절약의역설 : 사회적으로 저축의증가->소비의감소->총수요의감소->저축감소 유발
절약의역설의 한계
*저축이 투자로 연결되지 않으면 성립되는 이론
*저축이 투자로 이어진다면
총수요의 감소는 발생되지 않고
자본스톡의 증가로 미래경제성장을 가져올 수도 있음

A

[케인즈의 절약의 역설과 한계]
절약의역설 : 사회적으로 저축의증가->소비의감소->총수요의감소->저축감소 유발
절약의역설의 한계
*저축이 투자로 연결되지 않으면 성립되는 이론
*저축이 투자로 이어진다면
총수요의 감소는 발생되지 않고
자본스톡의 증가로 미래경제성장을 가져올 수도 있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케인즈 승수]
-단순승수
-복합승수
-정부지출승수
-조세승수
-정부의 이전지출승수
-*균형재정승수
-조세가 “비례세”인경우의 승수
-개방경제승수
-모든경우의수의 승수

A

[케인즈 승수]
-단순승수
-복합승수
-정부지출승수
-조세승수
-정부의 이전지출승수
-*균형재정승수
-조세가 “비례세”인경우의 승수
-개방경제승수
-모든경우의수의 승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