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와 망각 Flashcards
전이
전이는 이전의 학습이 새로운 학습 혹은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형식도야설
인간의 마음이 기억력, 추리력, 주의력, 상상력 등 몇 개의 정신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학,논리학, 라틴어와 같은 어려운 과목들로 정신 능력을 단련하면 / 일반능력이 도야되어 / 어떤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동일요소설
손다이크가 형식도야설을 비판하면서 제시하는 것으로 / 최초의 학습상황과 새로운 상황에 동일한 요소가 많이 있을 때 전이가 잘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일반화설
많은 구제적인 사례에 대한 탐구에서 추출된 일반 법칙이나 원리를 학습하도록 하면 새로운 구체적인 상황에서 전이가 잘 일어난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형태이조설
형태주의 이론과 관계있는 것으로 문제 상황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 주어진 문제의 구조적 성질을 이해하였을 때 / 전이가 잘 일어난다는 입장이다.
전문가 - 초보자 이론
전문가 - 초보자 이론은 전문가가 많은 영역관련 지식과 전략을 구조화하여 지니고 있으며 / 이를 다양한 상황에 적용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 전문가의 전략과 경험을 학습자에게 습득하도록 하면 /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잘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학생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로 문제 해결해야 하는 방법과 전략을 구조화시켜/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 다양하고 많은 문제 상황에 이러한 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다음/ 이에 대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면 전이가 잘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메타인지 이론
정보처리에 대한 계획, 감독, 평가 및 조절할 수 잇는 메타인지적 지식이 많으면 같은 내용을 학습했어도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것을 학습하고 기억하며, 이들을 문제해결에 잘 전이할 수 있다는 입장.
전이의 유형
정적 전이, 부적 전이, 수평적 전이, 수직적 전이, 구체적 전이, 일반적 전이, 자동적 전이, 의식적 전이
정적 전이
이전에 학습한 것이 새로운 상황에서의 학습을 촉진하는 경우
부적 전이
선행학습이 후속 학습을 방해하는 경우
수평적 전이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과 다르긴 하지만 서로 비슷한 수준의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것
수직적 전이
이전에 학습한 하위 개념은 그 보다 상위 수준의 과제를 학습하는 데 적용되는 경우
구체적 전이
한 상황에서 배운 규칙, 사실, 기술들을 아주 유사한 상황에 적용될 때 일어난다.
일반적 전이
일반적 전이는 한 상황에서 배운 원리와 태도들을 더 넓은 범위의 다양한 상황에서 새로운 문제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적 전이
자동적 전이는 이전에 학습한 기술이나 지식이 거의 자동적으로 기억에서 인출되어 / 현재의 매우 유사한 과업에 적용되는 경우를 말한다.
의식적 전이
의식적 전이는 한 상황에서 과제를 학습한 후 추출한 추상적 원칙이나 도식을 새로운 상화에서의 과제에 적용하는 경우이다.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1) 망각곡선에 따르면 / 학습한 직후에 가장 많이 망각된다.
2) 학습자료가 의미 있게 조직화될수록 기억이 오래 가고 / 보다 더 잘 조직된 개념과 논리적 원리가 무의미한 음절보다 기억이 오래 간다.
간섭설
망각이 단순히 시간의 경과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 후 파지를 방해하는 외부적 영향, 즉 간섭이 일어나서 망각이 촉진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1)순행제지 : 이전에 학습한 내용이 그 이후에 학습한 내용의 재생을 방해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2)역행제지 : 뒤에 학습한 내용으로 인해 이전에 기억한 내용의 재생이 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뒤에 학습한 내용이 그 이전에 학습한 내용의 재생을 방해하는 경우)